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남한 이주 북한인의 학력 인정 문제에 대한 입법론적 검토

        이차영 대한교육법학회 2000 敎育 法學 硏究 Vol.12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blem that how recognize the North Koreans' school career in South Korea in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recent, There are many migrants from North to South Korea. So, the problem of assisting them to adjust to a new environment becomes important issue than ever. But, it is known that they still have some difficulties in getting along in South Korea. Cultural difference, neighbors' prejudice, and relative incompetence are the examples of such difficulties. In the sphere of education, such difficulties, if any, should be eliminated like any other spheres. There are three methods for recognizing the school career which completed in other school/social systems. Recognizing the career according to school year in each system is one method. According to newly measured competence regardless of the school year is another method. And the third method is recognizing the grade or school level which completed in other school/social system as it was. As elementary school year in North Korea is two years shorter than in South Korea, and as the $quot;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w$quot; in South Korea adopts the first method which mentioned above. so the migrants from North to South Korea suffer discomfort which their school career being underestimated. This underestimating can be serious disadvantage to them especially in a schooling-grounded society such as Korea. This study proposes an amendment of the$quot;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w$quot; to the direction that, i) recognizing the migrants' school career as it was accepted in North Korea, ii) broadening the tuition fee assistance to the migrants especially in vocational schools, iii) developing the criterion-centered evaluation instruments in national level with regard to the commonness/difference of curriculum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These amendment directions are suggested with the reasons of why.

      • KCI등재

        學校選擇의 看過된 代案 : 家庭學校의 挑戰과 法的 課題 an overlooked alternative in school choice

        이차영 대한교육법학회 2002 敎育 法學 硏究 Vol.14 No.2

        The importance of the issue of school choice is growing among parents in Korea, because they step into a role of higher involvement than ever before in the academic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Recent tendency toward school diversification also makes this issue more sensitive. In this context the research on the school choice is active, whereas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homeschooling as a choice alternative is quite rare. However, a few homeschoolers are appearing continuously even if the current law system is hostile to them. And increase numbers of parents are demanding high quality of education unrestricted to the general schools for their children. This situation can be the practical reason to this kind of study. The most serious problem that the homeschooling invokes is its legal status. As the current Korean laws on education consider the compulsory education as the compulsory attending to the general school, homeschoolers can't help violating the laws. But letting the homeschool be in the illegal status can't be justified on any reason in a democratic society. The parental rights to their children are to precede the national rights to its children. So, it would be necessary to clarify that compulsory education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 compulsory attending to the general school, and to give a legitimate status to homeschool as an alternative school by amending related laws in the long run. But this amending can't be easily achieved in a short period, because almost all of the current laws on compulsory education have concentrated the education only in general school, not in homeschool.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feasible solution that makes homeshcool as a possible exception to the duty of compulsory education. The core question about the fate of homeschool is what status should be given to it legally as mentioned above. The answer to this question can be a clue to solve the related problems as follows. How to recognize institutionally the school career of homeschoolers, who should bear the cost of homeschooling between the parents and the public, what kind of obligation can we require to the homeschool parents, and how to relieve the infringed rights of stakeholders with regard to the homeschooling. f the stats of homeschool is secured firmly by law, it would be quite natural to require the elevated responsibility to that homeshcool. Homeschool is a manifestation of nostalgia for the original form of education, and is yet on the unpopular way in Korea owing to the compulsory education laws. But the legal problems that the homeschool invokes would be abundant, important, and very controversial.

      • 낙엽송 조림지의 간벌 이후 시간 경과에 따른 하늘소 군집의 변화 양상

        이차영,남영우,최원일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간벌 후 하늘소 군집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강원도 인제군 낙엽송 임지 중 2012년 가을에 간벌한 곳을 조사지로선정하고, 다중깔때기트랩과 Ipsenol, Ipsedienol 페로몬 유인제를 이용하여 유인되는 하늘소 군집을 2013년부터2015년까지 1~2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하늘소류는 총 7아과 33종 502개체가 채집되었다. 간벌 후1년 미만, 1년, 2년 차의 하늘소 개체수는 각각 206, 234, 62개체로 간벌 후 2년이 지나자 개체수가 크게 감소하였다.하늘소류 군집지수를 분석한 결과, 간벌 후 1년 미만, 1년, 2년 차의 다양도지수는 2.06, 1.73, 1.70으로 점차 감소하였고우점도지수는 0.45, 0.66, 0.73으로 점차 증가하였다. 이는 간벌 후 1년 미만일 때는 7개 아과가 채집되었으나, 2년이지난 후에는 3개 아과(꽃하늘소아과, 목하늘소아과, 하늘소아과)만 채집되어 하늘소 군집 구성에서도 차이를 보이기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 대학평가의 정치학: 대안적 논의

        이차영 한국교육정치학회 2015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

        대학평가는 대학에 대한 평가이다. 누가, 어떤 목적으로, 어떻게 평가하는가에 따라 대학평가 의 양상은 천태만상이고 평가에 따르는 영향력 또한 천차만별이다. 한 예로 정부가, 대학의 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대학의 교육여건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정부가 대학에 대해 차등적인 행?재정적 조치를 하는 평가가 있다. 또 다른 예로는 한 쌍의 청춘 남녀가, 적당한 데이트 코스를 찾기 위해, 대학 캠퍼스의 경관에 대한 누리꾼들의 인상비평 을 참고하여, 가보고 싶은 대학의 순위를 정해 연휴 일정을 짜는 대학평가를 할 수도 있다. 전자 의 평가는 상당한 공식성을 띠면서 대학에 큰 영향을 미치겠지만, 후자의 평가는 개인의 주관적 정서에 의존하며 대학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미미할 것이다.

      • 교육 생태계 관점에서 본 교권, 학습권, 인권의 관계

        이차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6 No.11

        교육학 논의에서 생태계란 아직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개념은 아니다. 자연과학, 특히 생물학에서 주로 사용하던 개념을 차용한 것으로 보이기는 하나, 교육학 분 야의 논의에서는 그 개념이 어떤 목적과 의미로 사용되는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검 토된 적은 별로 없다. 이를 보완하는 작업이 개별 연구자의 일회성 논의를 통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는 않겠지만, 여기에서는 후속 논의를 위해 교육 생태계의 의 미를 다소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교과교육 분야 교원양성기관 평가의 실태와 과제

        이차영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4

        학교교육에서 교과는 핵심적 위치에 있으므로, 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에서 예비교사의 교과지도 능력을 제고하는 것은 그기관의 중요한 임무이다. 양성기관에 대한평가는 그임무의 수행 여부에 대한 확인으로서 중요한데, 이 연구의목적은 교과교육 분야에 대한 양성기관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종단적으로 추적하는데 있다. 이제까지 이루어진 교과교육 분야의 평가에 대한 점검 결과 세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평가항목과 평가 기준이 매 주기별로 달라져 동일한 양성과정이 평가주기에 따라 어느정도 발전해왔는지를 확인할수없다. 둘째, 1, 2주기평가까지는동일 평가주기에 있어서도 양성기관에 따라 평가의 항목과 평가 기준이 달라져 양성기관별 교과교육 실태를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어렵다. 셋째, 평가결과를 등급으로만 공개하고있어 양성기관들의 상대적 위치를 알려주는데에는 편리하나, 그절대적 수준을 알려주지 못해 결과 활용을 제한하고있다. 2015년도에 시작할 4주기 평가모형의 세부 내용이 현단계에서 아직확정된 상태가아니므로, 그 결정을 위한 추후 검토와 논의의 과정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는 개선책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개선의방향으로 교과교육 분야 평가항목의 일관성 유지, 양성과정별 교과교육 실태의 비교 가능성유지, 평가결과 제시방식의 다변화(상대적등급및절대적수준)등을 제시한다. Subject education is critical in schooling. Therefore, it is a very important task for Teacher Training Institution(TTI) to enhance the subject teaching ability of expectancy teachers. This task can be checked through the evaluation of TTI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of TTIs. By monitoring the past 3 periods (1998-2014) of evaluation in Korea, this study reveals three pitfalls of the evaluation as follows: 1) The evaluation items and criteria have been changed during those periods, thus it is difficult to properly assess the extent of progress made by the TTIs. 2) For some periods, each evaluation differed in items and criteria applied, thus making an objective assessment is difficult. 3) The evaluation results have been made public only in the form of relative grades, thus it is difficult to discern the absolute level of each TTI in the sphere of subject education. When devising the new evaluation model for the 4th period (2015- ), it will be necessary to take three reformative directions as follows; consistency in evaluation, comparability among various types of TTIs, and diversification of the reporting methods of the evaluation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