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막 Na β"-Alumina 복합 고체 전해질 및 Gel-Type 유황 양극을 활용한 상온형 Na-S 전지의 특성 평가

        이진실,유학균,이윤기,김재광,주종훈,Lee, Jinsil,Yu, Hakgyoon,Lee, Younki,Kim, Jae-Kwang,Joo, Jong Hoo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20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3 No.5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Na β"-alumina composite thick film as a solid electrolyte, to reduce the resistance of electrolyte for a Na/S battery. An alumina/zirconia composite material was used to enhanc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lyte. A solid electrolyte of about 40 ㎛ thick was successfully fabricated through the conversion and tape-casting method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 of the solid electrolyte on the battery performance, the electrolyte was polished by dry and wet processes, respectively, and then the Na/S batteries were prepared for analyzing the battery characteristics. The battery with the dry process performed much better than the battery made with the wet process. As a result, the battery manufactured by the dry process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surface treatment process of the solid electrolyte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battery capacity and coulombic efficiency, as well as the interface reaction.

      • 공간지향형 내러티브와 인플래터블 아키텍쳐를 이용한 도시 미디어 아트

        이진실(Jinsil lee),김상욱(Sangwook Kim)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공간지향형 내러티브는 전시, 관람이 이루어지는 물리적인 전시 설치물과 전시 공간을 하나의 내러티브로 전달하려는 의도로 고안 되었다. 일반적인 오브젝트 형태로 이루어진 예술 작품의 경우, 관람자는 전시공간에 설치된 예술작품의 외형을 관람하는 것으로 관람을 마친다. 그러나 공간 지향적 내러티브는 외부적인 예술관람 뿐 아니라, 관람자가 예술 설치물의 내부로 들어가 공간적인 이동과 공간속의 내러티브를 경험하며 관람의 폭을 다양하고 깊이 있게 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작과 이동이 용이한 비닐 소재의 인플래터블을 하나의 예술적 건축물로 설치하고 영상 혹은 가상현실의 이미지로 제작된 영상을 프로젝션하여 관람자가 예술적 의도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여, 관람자의 공간적 이동 흐름을 따라 비선형적(nonlinear)이며 병렬적 형태의 내러티브를 경험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공간지향적 예술적 표현은 일상적 도시공간의 예술적 변용을 자연스럽게 유발하고, 도심의 공간을 예술적 표현의 공간으로 공간적 전회를 발생시켜 도심 속의 미디어 아트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

        학습공동체를 통해 살펴본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의 실습지도에 대한 실천적 지식

        이진실(Lee, Jinsil),정가윤(Chung, Ka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를 통하여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이 학습공동체에서 예비보육교사 지도과정에 대한 실천적 지식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기간은 2019년 1월부터 2020년 5월까지로 이 기간 중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이 6개월 동안(2019년 6월~11월) 12회의 학습공동체에 참여하며 예비보육교사 지도과정에 대한 자신들의 실천적 지식을 탐색하며 이를 구성원들과 함께 공유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학습공동체를 통해 인식하게 된 연구 참여자들의 실천적 지식을 보육실습 지도교사의 특성에 맞게 분석하였고, 그 결과 지도교사들이 학습공동체를 통해 예비보육교사 지도과정에 대한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실천적 지식에 대해 인식하고 재구성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은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의 개별전문성과 더불어 보육교사들의 집단전문성까지도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look over how childcare practice teachers could perceive practical knowledge about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raining courses by participating in learning community. To figure out what practical knowledge childcare practice teaches has, 4 training teachers with the experience of teaching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raining courses had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This research had been conducted for about 1 year and 5 months, from January 2019 to May 2020, which included approximately 6-months running period of learning community.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checking field dailies, and collecting other documentational evidence. And the analysis of research results had been conducted in the order of transcription, data integration, area analysis, data classification &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n classified data. The result shown at this research is as below. Childcare practice teachers could acquire the practical knowledge about him or herself, understanding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nvironment, teaching contents, curriculum, and its methods. To conclude, the researcher could find out that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y could be the chance of discussing with members, checking their teaching procedures, developing it. This process could make childcare practice teachers perceive practical knowledge about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nd the contents and methods which is reorganized by childcare practice teachers could be helpful to develop effective childcare practice teaching methods. Not only that, learning community provide the chance of conversation sharing and learning.

      • KCI등재

        매개효과 분석에서 오차 간 상관을 고려한 경향점수 역확률가중치 활용방법

        이진실(Jinsil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오차 간 상관을 고려한 경향점수 역확률가중치를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상황에 적용하고 활용방법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중학교 1학년 시기 동아리활동 참여가 중학년 2학년 시기 동아리활동 참여를 매개로 협업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상황을 통해, 오차 간 상관을 고려한 경향점수 역확률가중치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 통계적 분석을 위한 틀을 제시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KCYPS 2018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절차는 이변량 프로빗모형을 활용한 경향점수 추정, 경향점수 역확률가중치를 통한 선택편의 조정, 매개효과 분석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실제자료 분석결과, 경향점수 추정 과정에서 처치변수와 매개변수의 오차 간 상관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경향점수 추정 시 오차 간 상관을 반영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향점수 역확률가중치를 적용했을 때 공변인 균형이 잘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해당 방법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논의에서는 매개효과 분석에서 오차 간 상관을 고려한 경향점수 역확률가중치 활용의 장점 및 제한점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propensity score considering error correlation and inverse probability weighting to mediation model and show the empirical example using this method. In this study, how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ies affects collaboration competency was analyzed using KCYPS 2018 data and applicability of the method of propensity score considering error correlation in mediation analysis was investigated.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ee-step process of propensity score estimation using bivariate probit model, correction of selection bias applying propensity score weighting, and estimating mediation effect using weighted mediation model. The result of empirical data analysis revealed the error correlation in propensity score estimation between the treatment and mediator existed. When using propensity score weighting considering error correlation, differences in covariates between groups was well corrected. These results showed propensity score weighting considering error correlation could be useful in mediation analysis. Discussions were provided on the advantage and limitation of propensity score weighting in mediation analysis considering error correlation.

      • KCI등재

        매개변인이 포함된 구조방정식모형에서 공변인 통제를 위한 모형설정 방법 비교: 모의실험 연구

        이진실(Lee, Jinsil)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3

        청소년학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매개변인이 포함된 구조방정식모형에서 공변인 통제를 위한 모형설정 방법을 비교하여, 타당한 모형설정 방법을 확인하였다. 변인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공변인 통제가 중요함에도 그동안의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한 연구들에서는 공변인이 고려되지 않거나 공변인에 대한 모형설정 방법의 근거가 제시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모형에서 공변인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모형설정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의실험을 실시하였고, 5가지 모형설정 방법에 따라 효과추정치의 정확성 및 모형적합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통제 전 모형(모형1: NC model)은 모형적합도는 양호하였지만, 모든 개별 효과추정치 및 매개효과, 직접효과, 총 효과가 모두 부정확하게 추정되었다. 결과변인 통제 모형(모형2: OC model)과 외생변인 상관-결과변인 통제 모형(모형3: COC model)에서는 직접효과는 정확하게 추정되었으나, 외생 독립변인이 매개변인에 미치는 효과가 부정확하게 추정되고 이로 인해 매개효과 및 총 효과가 부정확하게 추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인 통제-결과변인 통제 모형(모형4: MOC model)은 효과추정치는 모두 정확하게 추정되었으나, 모형적합도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외생변인 상관-매개변인 통제-결과변인 통제 모형(모형5: CMOC model)에서는 모든 개별 효과추정치 및 매개효과, 직접효과, 총 효과 모두 정확하게 추정되었으며 모든 조건에서 모형적합도도 매우 양호하게 나타나, CMOC 모형이 구조방정식모형에서 공변인 통제를 위한 가장 적절한 모형설정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ethods of model specification to control covariates in mediation analysis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order to do this, monte carlo simulation was conducted. In this study, five models were compared, and each model was evaluated based on both the accuracy of estimates and model fit.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NC(Non Control) model was applied, model fit was good, however, estimates of mediation effect, 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were all found to be biased. In terms of both the OC(Outcome Control) model and the COC(Correlated Outcome Control) model, estimates of mediation effect and total effect were biased. Additionally, model fit was found to be unacceptable in both the OC model and the COC model. When the MOC(Mediator-Outcome Control) model was applied, the estimates were unbiased, but under certain conditions, model fit was unacceptable. In the CMOC model, estimates of mediation effect, 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were all unbiased, and model fit was good. Based on these results, for the purposes of controlling covariates in mediation analysis, the CMOC model was suggested as being the most appropri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