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폴리에틸렌 시편의 균열진전거동 시뮬레이션

        이지미(Jimi Lee),최병호(Byoung-Ho Choi) 대한기계학회 201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3 No.12

        Many engineering polymer is suitable for Crack Layer theory (CL). According to this theory, polymer have different size and shape of process zone (PZ) and in the case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crack propagates in a d discontinuous manner. In this article, slow crack growth was simulated by microsoft visual C++ 2010 on the grade of HDPE with single edge notched bar (SENT) specimen.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stress ratio (R-ratio) that is defined as the ratio of minimum and maximum stress of loading, fracture energy, and draw stress parameter were studied. These parameters have clear tendency and the program has view which appropriate for many other polymers just by turning some parameters into proper parameters.

      • 미디어아트로 문제해결 : 열화상카메라 속 걷는 사람들

        이지미(Lee Jimi),조세희(Jo Sehui),조채훈(Cho Chaehoon),원종윤(Won Jongyoun)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코로나 19 장기화로 인해 체온 체크는 필수요소로 다중 시설 이용시에는 열화상 카메라를 지나쳐야 만이 시설 이용이 가능하다. 열화상 카메라는 바이러스 확산 방지 예방의 목적성을 충족하지만 여러 명이 지나가는 화면 속 뒷사람이 나를 쳐다본다는 불편함, 몸의 실루엣이 드러나 수치심을 유발하는 등의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따라서 우리는 체온 체크를 하면서도 사생활을 보호하고 수치심을 예방할 수 있는 해결책으로써 미디어아트를 활용하였다. 열 화상 카메라 앞에서 미디어아트로 표현된 내모습을 발견하고 상호작용하며 유쾌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문화적 도시재생을 위한 장소 만들기에 요구되는 공간 활용 요소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도시재생뉴딜사업 일반근린형 활성화계획을 중심으로 -

        이지미 ( Lee Jim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 배경과 목적) 도시재생사업이 일반적인 재개발, 재건축 사업과의 차이점은 해당 지역의 문화자원 활용을 통한 도시공간 활성화와 주민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한다는 점이다. 특히 2017년 이후 본격화된 도시재생뉴딜사업의 특장점인 지역 문화 자원을 활용한 장소만들기가 지역 주민에게 공유된 장소애착에 기반한 문화적 도시재생이라는 인식 아래 본 연구는 도시재생뉴딜사업이 목적하는 지역 공동체 활성화와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을 위한 공간 조성을 위한 공간 활성화 요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문화 자원 활용을 통한 장소만들기의 근간 이론이 되는 장소애착 개념 파악과 장소애착 형성 요소를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공간 활용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울산광역시 도시재생뉴딜사업 대상지 중 일반근린형 사업지 6곳을 사례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도시재생뉴딜사업은 법률에 근거한 법정 지표에 의해 쇠퇴 지역으로 평가된 곳을 대상으로 실행되며 단순 주거 환경 개선에 머물지 않고 도시 기능을 재활성화시켜 도시 경쟁력 회복과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바탕으로 하는 사업이다. 이는 도시재생뉴딜사업이 장소 기반의 문화를 통해 지역의 문화적 재생 및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문화적 도시재생사업과 일맥상통함을 보여준다. 즉, 문화적 도시재생사업의 핵심은 장소 가치 재발굴을 통한 장소만들기라는 점이다. 장소만들기에는 지역 공동체 주민들이 공유하고 있는 경험된 기억이라는 장소감이 기반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진화심리학적 관점에 따른 장소 애착 형성 요인과 지역 커뮤니티 공간 활용 요소 등을 고려하여 장소감 기반 장소만들기를 통해 조성된 공간 분석 요인으로 지역성, 공유성, 귀소성, 접근성과 지속성을 도출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한 분석 요소와 분석틀을 통해 울산광역시 14개 사업 대상지 중 일반근린형 사업 대상지 6곳을 사례로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결론) 사례를 통해 살펴본 울산광역시 도시재생뉴딜사업 대상지들은 지역 문화 자원 활용을 통한 지역 정체성 확보와 주민들의 경험된 기억의 채집과 축적이라는 귀소성 확보에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지역 문화 자산의 공유성 또는 접근성 등은 다양한 계층의 사용자와의 관계 설정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좀 더 세밀하게 살펴져야 한다. 나아가 향후 도시재생뉴딜사업을 통해 조성된 다양한 장소들의 지속 가능성 부분은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반영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difference betwee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general redevelopment / reconstruction projects is that it seeks to revitalize urban spac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local residents through the use of local cultural resources.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spatial activation elements required for revitalizing the local community, which is the purpose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and creating a space for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cultural urban regeneration is placemaking through the use of local cultural resources, which is a feature of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that has been in full scale since 2017, is a cultural urban regeneration based on the place attachment shared by local residents. (Method) It trie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lace attachment which are the basis theory of placemaking through the use of cultural resources, and derive elements forming place attachment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based on which six general neighborhood project sit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mong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in Ulsan Metropolitan City. (Results)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are implemented in areas that have been assessed as declining areas according to statutory indicators based on legislation, which is based on the restoration of urban competitiveness by revitalizing urban functions, and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ommunities through job creation, not just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is shows that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are in line with the cultural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hich aim for cultural regeneration and revitalization of a region through place-based culture. The placemaking is based on a sense of place that is an experienced memory shared by residents of the local community. This paper derives locality, shareability, homing, accessibility and sustainability as spatial analysis factors created through placemaking based on the sense of place, considering factors that form place attachment and elements of space utilization in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e evolutionary psychology perspective. (Conclusions)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sites looked through the cases in Ulsan Metropolitan City have in common in making efforts to secure the local identity through the use of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to secure the homing property of collecting and accumulating the memories experienced by the residents. However, the shareability or accessibility of local cultural assets should be examined in more detail a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users of various classes. Furthermore, the sustainability of various places created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in the future requires continuous attention and research as it should reflect changes over time.

      • KCI등재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인프라로서의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유형에 관한 연구

        이지미 ( Lee Jim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 배경 및 목적) 지역 공동체 구성원들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은 공동체 활성화를 촉진하는 사회적 인프라로 분류될 수 있다. 더불어 다양해진 지역민들의 요구수용과 높은 토지비용, 공간 조성에 수반하는 비용 문제를 해결하는 효율적 대안으로 시설 복합화 방식이 큰 흐름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커뮤니티 공간의 시설 복합화는 제한된 토지 사용과 비용 효율화의 필요성을 넘어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다양한 욕구 실현과 지역 정체성 확립에 이르기까지, 건축을 통한 다양한 프로그램 수용이 불가피한 현대건축이 당면한 상황을 반영한 특징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배경 아래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공간 활용 특성을 도출하고 지역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양상을 유형화하여 사례 연구를 통해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통해 지역 커뮤니티 공간 활용 특성 도출과 시설 복합화 유형에 따른 사례 분석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양상의 실제상황을 살펴본다. (결과) 지역민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은 지역 공동체 유지와 활성화를 위한 필수적인 공간으로 공공공간과 그 특성을 공유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 공동체 활성화 촉진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 사례 분석을 위해 지역성, 개별성, 접근성, 공유성, 다양성, 안전성 등 6개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지역 커뮤니티 공간 유형으로는 지역 특성을 기반으로 개별 커뮤니티 공간의 중심기능에 따라 공공행정 기관 중심, 학교 시설 중심, 문화 편의 시설 중심 등 3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사례 분석 결과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해당 지역 주민들의 요구수용을 바탕으로 공간의 중심기능을 선정하고 선정된 특정 기능이 중심되어 커뮤니티 공간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커뮤니티 공간의 시설 복합화의 실질적인 이득은 지역 공동체 내부의 만성 민원의 해결뿐만 아니라 지역 공동체 주민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화합 도모에 이르기까지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결론) 지역 정체성 확립과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 조성을 위해서는 각 지역 특성에 적합한 복합화 유형을 선택하고 그 유형에 따른 공간 조성이 이루어질 때 커뮤니티 공간 조성의 본래의 목적인 지역 공동체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점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커뮤니티 공간 복합화 양상 자체가 최근 10년 사이에 두드러지게 나타난 현상이고, 시설 복합화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겠다는 정부 정책을 고려한다면 앞으로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유형에 대한 더욱 면밀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Background and Purpose) Community spaces for local community members can be classified as a social infrastructure that revitalizes the community. In addition, mixed-use facilities have become a general trend as an efficient alternative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local residents, high land costs, and the cost problems accompanying the creation of a space. The mixed-use community spaces are also a feature that reflects the current situation facing modern architecture; it is inevitable to accept various programs through architecture beyond restricted land use and the need for cost efficiency to realize divers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members and to establish a local identity. Under this social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aning through case studies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utilization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and by categorizing the mixed-use facility aspect of local community spaces. (Method) It derived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y space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examined the actual situation of mixed-use facility aspects of local community spaces through case analysis. (Results) The community spaces for local residents are essential for maintaining and revitalizing the local community; they share the characteristics with public spaces. Based on this, six characteristics, such as locality, singularity, accessibility, commonality, diversity, and safety, were derived for the case analysis of community spaces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The local community spaces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centered on public administrative agencies, centered on school facilities, and centered on cultural amenities by the main function of individual community spaces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ain function of the space was selected based on the needs of the local residents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and the community spaces were built focusing on the selected specific function. The tangible benefits of mixed-use community spaces have been shown in various form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community, from solving chronic complaints within the local community to working on harmony by operating various programs for local resident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uch spaces could contribute to revitalizing the local community, which was the original purpose of creating a community space when a complexity type suitable for each region was selected. Space was created according to the type for creating the community space to establish the local identity and revitalize the communit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mixed-use aspect of community spaces has emerged prominently in the last 10 years, and the government policy promotes building various types of community spaces through mixed-use facilities, a further in-depth study on the mixed-use type of community spaces may be needed.

      • 게더타운을 활용한 2D 메타버스 졸업작품전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최수경(Choi Sukyeong),권지혜(Gwon Jihye),김해진(Kim Haejin),정은지(Jeong Eunji),이지미(Lee Jimi),원종윤(Won Jongyoun)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대학 생활을 마무리 짓는 4 학년 졸업작품전을 온라인으로 진행하기 위해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메타버스 플랫폼인 게더타운을 선정하였고, 대학의 아이덴티티를 살린 디자인 요소들을 적용하여 졸업작품전을 구성한 서비스 디자인 경험을 공유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