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의 문화적 자기관과 감정표현불능증의 관계: 세대에 의해 조절된 정서표현양가성 및 정서억제 연속매개과정 모형

        김해진,권소영,정선호,이동훈,Haejin Kim,Soyoung Kwon,Sunho Jung,Donghoon Lee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9 No.2

        The traditional Korean society has been classified as an Eastern collectivist culture, but in the flow of globalization and digitalization along with the post-Cold War era of the 1970s, Western individualistic culture and values quickly permeated the Korean younger generation. Since rapid changes occurr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here may be differences in cultural self-construal between generations living in the same era. Due to this, psychological problems related to emotional expression and suppression may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generations. Therefore, in the current study, 1,000 Korean adult men and women from their 20s to 60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level of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lexithymia,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AEE) and emotional suppression(ES).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self-construal and alexithymia,) and the mediating process of AEE and ES were examined. The generation of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industrialization cohort (birth year < 1970) and the digitalization cohort (birth year starting from 1970). Using the PROCESS macro(Hayes, 2022), we tested a serial mediation model of AEE and ES between the relative independent self-construal(RIS) and alexithymi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vel of alexithymia increases by the serial increase of AEE and ES when RIS decreases. Next, we examined a moderation effect of generatione on the mediation process of AEE and ES, and found that generation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S and alexithymia. That is, the effect of ES on alexithymia is significant for the digitalization cohort, while it is not significant for the industrialization cohort. The current results imply that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f Koreans have been differently developed according to prevailing cultural values in each generation, and that the negative influence of emotion suppression c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ultural background of each genera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기본간호학실습에서 학습성과 평가도구의 적용 사례: 의사소통능력 평가를 중심으로

        김해진(Haejin Kim),천의영(Eui Young Cheon),김은경(Eun Kyu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에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시 의사소통능력 평가에 사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구성하고 적용 결과를 기술한 사례연구이다. 문헌고찰과 전문가 검토를 통해 의사소통능력 평가도구를 구성하였고, 2019년 10월부터 11월까지 일 대학 기본간호학실습 교과목을 수강 중인 94명을 대상으로 적용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시 평가되어야 할 의사소통능력 항목으로 5가지 요인(자기 소개, 눈맞춤, 정서적 지지, 정보제공, 치료적 접촉)이 도출되었으며 활력징후를 측정하는 기본간호술 수행 시 평가된 의사소통능력은 5점 만점에 평균 3.96점으로 나타났다. 루브릭에 따른 학습성과 달성도는 전체 학생의 95.8%가 ‘중’ 이상에 도달하여 목표 성취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졸업 시 역량으로 핵심기본간호술과 의사소통능력이 요구되는 현실에서, 기본간호학실습 교육과정에서 사용 가능한 의사소통능력 평가도구를 구성하고 적용하여 학습성과 달성도를 확인함으로써 학습성과 평가과정을 개선하고 체계적인 평가 체계를 구성하는데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는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의사소통능력 평가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 확보를 위한 연구, 다양한 평가도구와의 비교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This is the report of a case study to describe the results of applying an evaluation tool for communication ability when performing core basic nursing skills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The communication ability evaluation tool was construct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advice. The tool was applied to test 94 students who were taking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s from October to November 2019. As a result, five factors (self-introduction, eye contact,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provision, and therapeutic touch) were derived as evaluable items of communication ability to be evaluated when performing core basic nursing skill, and were evaluated when performing core basic nursing skills to measure vital signs. The average communication ability was 3.96 out of 5 points. According to the rubric, 95.8% of all students attained "medium" and reached their goal achievement lev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providing an important basi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utcome evaluation process and for constructing a systematic evaluation system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um. Further studies to sec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is communication ability evaluation tool and comparative studies with various evaluation tools are suggested.

      • KCI등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지식 및 위험지각과 예방적 건강행위와의 관련성 연구

        김해진(Haejin Kim),천의영(Eui Young Cheon),유장학(Jang Hak Y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지식 및 위험지각과 예방적 건강행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A시 S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29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2020년 8월 1일에서 8월 20일까지 설문조사하였고,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 나이, 주관적 성적수준에 따라 지식 차이가 나타났고, 학년에 따라 위험지각 차이가 나타났으며, 나이,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라 예방적 건강행위 차이가 나타났다. 예방적 건강행위는 지식, 위험지각과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예방적 건강행위에 미치는 요인은 나이(β=.188, p <.01), 주관적 건강수준(β=-.245, p <.001), 지식(β=.254, p <.001), 위험지각(β=.191, p <.001), 총 설명력은 18.9%(F=17.904, p <.001)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예방적 건강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나이, 주관적 건강수준, 지식, 위험지각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간호대학생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고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of coronavirus disease-2019 on preventive health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291 students in A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between August 1 and 20,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 SPSS ver. 18.0. Knowledge of COVID-19 was significantly dependent on age and school records. Risk perceptions were significantly dependent on educational grades. Age, health status,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preventive health behavior, which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ge significantly predicted preventive health behavior (β=.188, p<.01), health status (β=-.245, p<.001), knowledge (β=.254, p<.001), and risk perception (β=.191, p<.001) that it accounted for 18.9% (F=17.904, p<.001) of the variance. An educational program is required to enhance the preventive health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in a background of COVID-2019 that considers student age, health level, knowledge, and perception of risk.

      • KCI등재

        간호대학생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김해진(Kim Haejin),김은경(Kim Eun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된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과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문헌 검색은 국내 5개의 데이터베이스(RISS, KISS, DBpia, NDSL, KMbase)를 통해 이루어졌고 2000년 이후부터 2020년 1월까지 발표된 문헌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간호학생’, ‘감염’, ‘교육’, ‘프로그램’, ‘중재’, ‘효과’를 조합하여 검색하였다. 총 228편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선정기준에 맞는 9개의 논문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최근 보건의료계 문제에 따른 의료인의 감염관리 역량 요구에 비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감염관리 프로그램의 연구 수는 미흡한 편이었고 대부분 3학년 학생 위주로 교육이 집중되어 있었다. 감염관리 교육은 주요 결과변수인 대상자의 감염관리 지식, 태도, 수행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간호대학생의 감염관리 역량이 향상되도록 교육과정에서 단계적으로 감염관리 교육을 시행할 필요가 있으며 레벨D 보호구 착용을 포함한 신종감염병 관리에 대한 교육이 확대되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교수법을 적용하고 감염관리 수행을 객관적으로 측정한 중재연구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This study is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infection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for nursing students. The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through five domestic databases (RISS, KISS, DBpia, NDSL, and KMbase) and targeted documents published from 2000 to January 2020. The main search terms were ‘nursing student’, ‘infection’, ‘education’, ‘program’, ‘intervention’, and ‘effect’. A total of 228 papers were searched, and nine papers meeting the selection criteria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number of studies on infection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nursing students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recent demands of healthcare workers for infection control and education was mostly focused on third grade students. The infection management educ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ubject s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management, the main outcome variabl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ep-by-step infection management training in the curriculum so that nursing students infection control capabilities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activate an intervention study that applies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objectively measures infection management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