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흰쥐 C6 신경교종 세포에서 Fluoxetine의 전처리 시간에 따른 Dexamethasone-매개 열충격 단백질 70의 발현 억제
이준석,양병환,김석현,최미란,채영규 대한정신약물학회 2004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5 No.1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examethasone and fluoxetine on the expression of 70kDa heat shock protein(HSP70) in C6 glioma cells. Methods : The C6 glioma cells belong to control group were incubated with DMEM culture solution, the cells belong to dexamethasone group were incubated with dexamethasone for 6 hours, and the cells belong to fluoxetine group were incubated with fluoxetine for 1, 6, 24, and 72 hours, separately, and then exposed to dexamethasone for an additional 6 hours. Crude extracts from control, dexamethasone and fluoxetine-treated C6 glioma cells were separated on a 10% SDS-PAGE and probed with anti-HSP70mAb. Results : 1) Dexamethasone(10uM, 6hours) reduced the level of HSP70 expression relative to control, but this redu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Pretreatment with fluoxetine(10uM, 1, 6, 24, and 72 hours) and exposure to dexamethasone(10uM, 6hours) decreased the level of HSP70 expression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fluoxetine treatment. 3) Fluoxetine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 of HSP70 at 24 and 72 hours compared to control. However, compare to the level of HSP70 expression at 24 hours, the level of HSP70 expression at 72 hours was elevated.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examethasone and fluoxetine may affect HSP70 expression through effects on GR. 목 적: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hypothalamic-pi -tuitary-adrenal;HPA) 축의 과다활동은 우울 장애의 특징이며, 항우울제 치료는 HPA 축의 과다활동을 정상화시킨다. 또한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열충격 단백질(heat shock protein;HSP)이라고 알려진 일군의 단백질이 증가되는데, HSP의 일종인 70kDa HSP(HSP70)는 신경세포의 스트레스를 조기에 알려주는 민감한 표식자이며, glucocorticoid 수용체(glucocorticoid receptor;GR)에 결합하여 활성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glucocorticoid, fluoxetine, 그리고 HSP70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흰쥐 C6 glioma 세포에 glucocorticoid계의 일종인 dexamethasone을 6시간 동안 처리했을 때 HSP70의 발현 정도를 면역탁본법(im unoblot)을 이용해 조사하여 glucocorticoid가 신경세포에서 HSP70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fluoxetine을 1, 6, 24, 72시간 동안 전처리한 이후 dexamethasone에 노출시켜서 HSP70의 발현 양상을 비교 조사하였다. 결 과:첫째, dexamethasone이 HSP70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fluoxetine으로 전처리이준석 등 73 한 이후 dexamethasone에 노출시켰을 때 HSP70의 발현이 전처리 기간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특히 24시간 및 72시간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의미 있게 감소되었다. 셋째, fluoxetine을 전처리한 이후 24시간까지는 HSP70의 발현이 지속적으로 감소되었지만 72시간에서는 미약하지만 다시 증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결 론:본 연구 결과는 fluoxetine 치료가 단기적으로 GR을 전위시키는 기전을 통하여 GR 저항성을 개선시킴으로써 HPA 축의 과다활동 및 혈청 cortisol 농도의 상승을 정상화시킬 뿐만 아니라 HSP70의 발현을 낮추고, 더 나아가 주요 우울증의 증상을 개선시킬 것이라는 새로운 항우울 작용을 제시한다.
이준석,최일윤,이현석,고동춘 한국철도학회 2003 한국철도학회논문집 Vol.6 No.4
A health monitoring system becomes a very useful tool to obtain information on long term behavior of the important railway structures such as very long span and special type bridges. It can be also used to give a warning signal to the maintenance engineer when the structure shows abnormal behavior. However, due to long term use and temperature changes, the health monitoring system needs to be calibrated periodically. In this study, calibration and gauge factor readjustment process made for the health monitoring system installed in the railroad bridges and tunnel are reviewed and a few findings are updated. Future work will be concentrated on the long-term analysis of the measurement data and on the database structures so that the assessment of the structure is possible 철도교량 및 철도터널 등의 철도 노반구조물은 시공 정밀도 및 공용기간 등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설계시 예측한 이상적인 거동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며 이를 대비한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대책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중요 구조물은 정기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등을 통하여 구조적 안전성 및 내하력 등을 확인하고 있으나 점검자의 주관, 재하시험 방법 및 계측기기의 상태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국내 주요 교량 및 대표적인 구조물에 대하여는 상시계측시스템이 설치·운영되고 있으며 (이준석 등, 2000) 외국의 경우에도 설치 예가 보고된 바 있다 (Li 등, 2001). 그러나 상시계측시스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는 계측센서의 적정 위치선정 (Heo 등, 1997) 및 주기적인 교정이 필수적이며, 특히 전기저항식 센서를 채택하여 상시계측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검정 및 교정작업이 계측데이터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필수조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교량 및 터널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계측센서, 현장계측실내 데이터 저장장치 및 중앙계측실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종합적인 검정방안과 이에 따른 교정작업을 중심으로 최근의 연구결과를 기술하였다.
이준석 국립국어연구원 2000 국어문화학교 Vol.- No.5
한자와 한문이 중국에서 들어온 것임이 분명하나 우리에게는 이들을 우리 것으로 사용하려는 전통이 있다. 국어 속의 한자어는 한자와 한문을 토착화하려는 선인들의 이러한 노력 속에서 생성된 것들이다. 따라서 한자어를 우리 국어에서 몰아내려는 짓을 계속한다면 우리 스스로 문화의 무덤을 파는 것이라 아니할 수 없다. 한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헌신했던 선각자의 본의가 어디에 있었는가를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그분들은 ‘자동’이나 ‘기계’란 말 대신에 ‘오토’나 ‘머신’이 버젓이 자리 잡고 있는 이런 현실을 기대했던 것은 아닐 것이다. 국어에서 나름대로 문화 관련 명칭으로 생명을 얻어가는 ‘회관’을 몰아내고 센터로 바꾸기를 바랐던 바는 더더욱 아니었을 것이다. 그분들이 한글 사용에 보인 열정은 한문이나 한자 뒤에 가려진 지나친 형식주의를 경계하고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어야 할 시대적 당위성을 직시했던 결과라고 생각한다. 한자와 한문을 배우기 위해 보내야 하는 그 오랜 시간과 정열이 새로운 학문 체계와 기술의 습득으로 승화되어야 하는 시대적 요구를 선각했던 것이다.
Inkjet-processed Zinc-tin-oxide Thin-film Transistor with a MoO3 Interlayer and Its Stability
이준석,최운섭 한국물리학회 2012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1 No.5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terlayer effect for the source and the drain metal in an inkjetprocessed zinc-tin-oxide (ZTO) thin-film transistor, MoO<sub>3</sub> was introduced between the active layer and the aluminum electrodes. Improved electrical properties, a mobility of 3.75 cm<sup>2</sup>/V s, an I<sub>on</sub>/I<sub>off</sub> current ratio of 10<sup>6</sup>, a threshold voltage of 6.8 V, a subthreshold slope of 0.8 V/dec, were obtained by incorporating a 0.5-nm interlayer MoO3. The hysteresis and the bias stability with interlayer were investigated.
Low-temperature Processing of Inkjet-printed IZO Thin-film Transistors
이준석,최운섭 한국물리학회 2014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4 No.5
Inkjet-printed indium-zinc oxide (IZO) thin-film transistors (TFTs) were prepared at a processingtemperature of 200 C for the first time. The formulation of the inkjet solution and the processoptimization resulted in a mobility of 0.45 cm2/Vs, a threshold voltage of 7 V, an on-to-off currentratio of 105 and a subthreshold slope of 0.5 V/dec at the low annealing temperature of 200 C, thebest properties in the inkjet process thus far. The metal-oxide formation at 200 C was confirmedby using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The bias stability of an inkjet-printed IZO TFT at 200C was also characterized.
파일 시스템 노화를 해소하기 위한 자동적인 단편화 해결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이준석,박현찬,유혁,Lee, Jun-Seok,Park, Hyun-Chan,Yoo, Chuc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6 No.2
Existing techniques for defragmentation of the file system need intensive disk operation for some periods at specific time such as disk defragmentation program. In this paper, for solving this problem, we design and implement the automatic and continuous defragmentation free system by distributing the disk operation. We propose the Automatic Layout Scoring(ALS) mechanism for measuring defragmentation degree and suggest the Lazy Copy mechanism that copies the defragmented data at idle time for scattering the disk operation. We search the defragmented file by Automatic Layout Scoring mechanism and then find for empty spaces for that searched file. After lazy copy of searched fils to empty space for preventing that file from being lost, the algorithm solves the defragmentation problem by updating the I-node of that file. We implement these algorithms in Linux and evaluate them for small and defragmented file to get the layout scoring. We outperform the Linux EXT2 file system by $2.4%{\sim}10.4%$ in layout scoring evaluation. And the performance of read and write for various file size is better than the EXT2 by $1%{\sim}8.5%$ for write performance and by $1.2%{\sim}7.5%$ for read performance. We suggest this system for solving the problem of defragmentation automatically without disturbing the I/O task and manual management. 파일 시스템의 단편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기존 기법들은 디스크 조각 모음과 같이 특정 시점에 집중된 디스크의 연산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디스크의 연산 처리를 분산시키는 자동적이고, 지속적인 단편화 해소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단편화 측정을 위한 자동적인 레이아웃 스코어링(ALS: Autonomic Layout Scoring)기법과 디스크의 연산 처리를 분산시키기 위한 기법으로 디스크의 유휴 시간(idle time)을 찾아 복사를 수행하는 지연 복사(Lazy-copy)기법을 제안한다. 두 기법은 우선 자동적인 레이아웃 스코어링을 통해 단편화 된 대상 파일을 검색하고, 검색된 파일을 옮길 수 있는 연속적인 빈 공간이 있을 경우, 파일의 유실을 막기 위해 지연 복사를 수행한 후 아이노드의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단편화 현상을 해결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시스템을 실제 리눅스(linux) 환경에 적용하여 단편화 된 작은 파일의 레이아웃 스코어링을 측정 한 결과 기존 EXT2 파일 시스템보다 $2.4%{\sim}10.4%$ 정도의 레이아웃 스코어링이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실험 디스크에 파일 크기에 따른 읽기/쓰기를 실행하여 성능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EXT2 파일 시스템과 비교 하여 쓰기성능에서는 $1%{\sim}8.5%$, 읽기 성능에서는 $1.2%{\sim}7.5%$ 정도의 향상된 결과를 보았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수동적인 관리 없이도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I/O 작업에 대한 방해 없이 단편화 현상을 지속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