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항공기산업 발전요인에 대한 발전국가론적 접근 : 한국, 일본의 항공기산업 발전 비교연구

        이주익(Lee, Ju Ik),서정민(Seo, Jung Min)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0 국제학논총 Vol.3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사한 국제적 환경과 국내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일본의 항공기산업 발전 수준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 원인을 발전국가론을 기반으로 한 이론적 시각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은 1970년대부터 전략산업으로 육성을 시작한 철강, 조선, 화학, 자동차산업 등 대부분의 관련 산업들에서는 일찌감치 일본을 따라잡고 국제경쟁력을 확보하였으나, 그러한 산업들의 총화인 항공기산업에서는 여전히 일본에 비해 크게 뒤처져 있다. 이러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한·일 양국의 항공기산업 발전을 위한 중요한 시기이자, 국가와 산업계의 전략적 상호작용이 가장 극명하게 대비되는 1950년대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의 시기를 대상으로 각국 정부가 산업계와 연계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내재된 자율성의 수준 차이에 주목한다. 일본 정부는 전후 국내외적으로 항공기산업의 발전에 많은 제한사항이 존재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기업들과 연계하고 소통하는 높은 수준의 내재된 자율성을 통해 효과적인 항공기산업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였다. 일본 정부와 재계의 연합된 영향력은 반대하는 세력들을 설득시키고 그들의 목표에 부합하는 정책을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항공기산업의 성공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 반면 한국의 경우 항공기산업 정책의 수립과 추진과정에서 정부-기업 간의 연계가 매우 열악한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정부의 강력한 자율성은 항공기산업 육성 초기, 강력한 자원의 응집력과 정책의 추진력을 보장하는 힘이 되었지만,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던 정부의 내재된 자율성으로 인해 산업의 발전이 지체되고 말았다. 이처럼 한·일 양국이 항공기 산업에서 보인 내재된 자율성의 차이는 각국의 산업정책 수립 및 추진과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항공기산업 발전 수준의 큰 격차로 이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s of differences in the level of development of the aircraft industry in Korea and Japan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based on the developmental state thesis, despite similar international environment and domestic efforts. Korea has caught up with Japan early and secure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most related industries, including the steel, shipbuilding, chemical and automobile industries, which began to be fostered as strategic industries in the 1970s, but still lag far behind Japan in the aircraft industry, which is the generalization of such industries. To analyse these causes, the study notes the level of embedded autonomy that implies governments" ability to connect and communicate with industries in the period from the 1950s to the early 1990s, which is an important time for the development of the aircraft industry in both Korea and Japan, and where strategic interactions between the countries and industries are most starkly contrasted.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restrictions on the development of the aircraft industry both at home and abroad after the war, the Japanese government ha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effective aircraft industry policies through a high degree of embedded autonomy that links and communicates with businesses. The combined influence of the Japanese government and the business community has convinced opposing forces and enabled them to implement policies consistent with their goals, which have enabled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aircraft industry.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linkage between the government and businesses remained at a very poor level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policies for the aircraft industry. The government"s strong autonomy was a force to ensure the cohesion of resources and the driving force of policies strongly in the early stage of the development of the aircraft industry, but the embedded autonomy of the government, which remained at a low level, delayed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As such, the difference in embedded autonomy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aircraft industry directly affected each country"s industrial policy-mak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which consequently led to a wide gap in the level of aircraft industry development.

      • KCI등재

        연속된 사건에 대한 한국어와 영어의 표현 양상

        정수진 ( Su Jin Jeong ),이주익 ( Ju Ick Lee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5

        본 논문은 개념화자의 해석 방식이 언어 표현의 구조와 의미에 반영된다는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한국어와 영어의 복문을 대상으로 하여 각 언어의 개념화자가 연속된 두 사건을 해석하는 방식을 비교하고 그 차이를 밝힌 것으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경-배경 할당 방식’에 있어서는 한국어와 영어 모두 Talmy가 제시한 보편적 원리에 따르고, 한국어 및 영어의 개념화자가 시간적·논리적으로 연속된 두 사건을 해석하는 방식은 ‘선행/원인-배경 배경’과 ‘후행/결과-전경 전경’으로 동일하다. 둘째, 개념화자의 ‘시선 이동의 방향’ 측면에서는 한국어 및 영어의 개념화자가 연속된 두 사건을 해석하는 방식에 차이가 나타난다. 한국어의 개념화자들은 객관적 상황에 존재하는 사건 그 자체를 중심으로 발생 순서에 따라 해석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영어의 개념화자들은 객관적 상황에 존재하는 사건을 자신의 주관에 따라 재구성하여 사건의 발생 순서와 다르게 해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시 말해, 한국어 복문의 어순은 ‘배경종속절 종속절 종속절+전경주절 주절 주절’로 고정되지만, 영어 복문의 어순은 ‘전경주절 주절 주절+배경종속절 종속절 종속절’과 ‘배경종속절 종속절 종속절+전경주절 주절 주절’로연속된 사건의 발화 순서에 제약이 없다. 이는 한국어와 영어의 개념화자의 해석 방식, 구체적으로 시간적·논리적으로 연속된 두 사건에 대한 개념화자의 시선 이동 방향의 차이가 언어 표현에 그대로 반영된 결과이다. In light of cognitive linguistics, a variety of linguistic expressions reflect how a language user construes a given context such as event and situation. In this respect construals of the same situation can vary depending on individuals and languages. From the perspective this paper explores construal and perspectival modes in terms of directions of viewing sequential events in Korean and English complex sentences. The finding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in Figure-Ground alignment. complying with Talmy`s universal principles of events in an interevent relation. Moreover, when it comes to events in a relation of temporal sequence and causality, the earlier-occurring event and the causing event act as Ground, and the later-occurring event and the resulting event act as Figure in both Korean and English. Second, in terms of positional changes of Figure-Ground within a complex sentence, Korean and English have differences with each other. This study reveals that the directions of one`s viewing two events in sequence and with causality result in those distinctions between languages. Korean speakers seem to have the tendency to view the events in question in accordance with time order of events occurring. On the other hand, English speakers appear to have some flexibility in observing the events depending on their own perspectives in that their direction of viewing correspond to the direction of the referent events occurring and conversely, the opposite correlation can exist between the directions. That is, in terms of clause order within a complex sentence, only the sentential structure ``Ground in a subordinate clause + Figure in a main clause`` appears in Korean while English permits both the sentential structures such as ``Ground in a subordinate clause + Figure in a main clause`` and ``Figure in a main clause + Ground in a subordinate clause. The rationale behind this is that when it comes to two events in sequence and with causality, there exist clear-cut differences of direction of viewing them between Korean and English speakers, which are directly projected onto their language expression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