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구경북지역의 육아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이주림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5 대구경북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the evaluation items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child-rearing environment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and suggest improvements through this evaluation items. This study researches literature and national statistics to derive the evaluation items which represent the level of child-rearing environment and all the borough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are classified into four using Jenk’s Natural Break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ly, Seo-gu in Daegu needs to be improved totally. In case of Suseong-gu in Daegu, Yecheon-gun in Gyeongsangbuk-do needs to be improved in the sector of physical environment. Through this evaluation index the municipalities themselves could find out where they improve in any sector of the child care environment and also know what to do to improve it. Even though the evaluations are characterized by a relative system, it is useful to find out the boroughs which need to be improved their child-rearing environment.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의 육아환경 현황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고, 이를 통해 육아환경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육아환경을 사회적 육아환경과 물리적 육아환경으로 구분한 후 선행연구와 국가통계데이터를 검토하여 육아환경을 대표할 수 있는 변수를 도출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Jenk’s Natural Break Method를 활용하여 평가항목별로 대구경북지역 내 지자체의 점수를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종합적으로 대구 서구의 육아환경 개선이 요구되며, 물리적 육아환경의 경우 대구 수성구, 경북 예천군의 개선이 요구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평가지표를 통해 거시적인 관점에서 각 지자체 스스로가 어떠한 부문에서 육아환경의 수준을 제고해야하는지를 알 수 있다. 이는 규범적이고 절대적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며 상대적인 평가라는 특징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시급한 지역, 육아환경 수준이 낮은 지역을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경북지역의 마리나 항만 수요 추정에 관한 연구

        이주림,김아름,손정민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4 대구경북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제1차 마리나 항만 기본계획’ 의 수요분석 과정을 검토하고, 수요분석의 전제가 되는 조건을 명확히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요추정에 결정적인 전제요소는 해양레저기구의 범위 설정, 사업장 소유 해양레저기구 대비 개인 소유 해양레저기구 비율, 해양레저기구 증가율, 경북지역 배분비율 등의 요소가 있다. 둘째, 경북지역의 마리나 수요는 2019년 727척이며, 이는 국토해양부 기본계획 수요의 약 91% 수준이다. 셋째, 민감도 분석결과에 따르면 마리나 항만 수요 추정에 있어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변수는 해양 레저기구 보유척수의 증가율이다. 본 연구는 마리나 항만 조성사업의 실행력 제고를 목적으로 사업 수행 시 모니터링 해야 할 수요 결정요소를 명확히 하였다는 점과민감도 분석을 통해 수요를 시나리오별로 추정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eterminants of demand estimation for marina port in Gyeongbuk region and estimate demand of marina port in Gyeongbuk region with sensitivity analysis based on the 1st Master Plan of Marina Port.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ly, the determinants are items of marine leisure vehicle, ratio of individual marine leisure vehicle by company vehicle, growth rate of marine leisure vehicle, assignment of Gyeongbuk region. Secondly, the result of demand estimation shows that Gyeongbuk region needs 727 marina port in 2019 which is 91% of estimation result in Master Plan. Thirdly, based on sensitivity analysis growth rate of marine leisure vehicle i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in the demand estimation. The study suggests that policy makers or local governments develop marina port by the minimum level of demand estimation result and promote the next development step-by-step with consideration of determinants changing. The study suggests that policy makers or local governments develop marina port by the minimum level of demand estimation result and promote the next development step-by-step with consideration of determinants changing.

      • KCI등재

        근린생활권의 육아환경 요소에 대한 영유아 어머니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서울시 송파구를 대상으로 -

        이주림,구자훈,Lee, Joo-Lim,Koo, Ja-Hoon 한국주거학회 2015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6 No.3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perception of mothers of infant and toddler on the child-rearing environment and compare the recognition of parents who live in APT and multi-family hous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thers in order to survey the level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n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factors for child-rearing. The result of questionnaire is analyzed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ccording to the result of IPA by housing types,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separation of pedestrian and vehicle, natural environment and playground is required particularly in the multi-family housing area. the mothers need soundproofing of house and management of unwanted facilities in neighborhood in common. In the apartment, improvement of child-care facilities and children's library is required. The results of IPA on the mothers of infant and toddler may be important foundation for future strategies for child-rearing environment improvement.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이종물질에 의해 복잡한 불규칙 무늬가 형성된 물체 표면의 영상 기반 셰이딩 기법

        이주림(Joo-Rim Lee),남양희(Yang-Hee Nam)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

        물체 표면의 재질을 실물에 가깝게 렌더링 하는 것은 그래픽 콘텐츠의 사실감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은 속성이 다른 여러 구성 물질에 의해 복잡한 무늬가 형성된 표면을 한 장의 스틸 사진만을 이용하여 셰이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 방법들은 이와 같은 이종물질에 의한 불규칙한 텍스처의 렌더링을 위해 많은 이미지를 필요로 하거나 특수 촬영 장비를 사용했으며, 수작업에 의해 물질별 표면 영역을 나누어 주어야 했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 특성에 따른 물질별 텍스처 영역 분할법의 자동 선택 방식을 제시하였고, 그 결과로 구분된 물질별 레이어에 대해 근사화(approximate)된 양방향 반사도 분포함수(BRDF) 값을 구함으로써 주어진 사진과 다른 조명 조건이나 시야(view)에 대해서도 대응되는 렌더링 및 셰이딩 결과를 생성할 수 있음을 보였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shading technique for realistic rendering of the surfaces with irregular and complex textures using a single photograph. So far, most works have been using many photographs or special photographing equipment to render the surfaces with irregular and complex textures as well as dividing texture regions manually. We present an automatic selection method of the region segmentation techniques according to properties of materials. As our technique produces a reflectance model and the approximated Bidirectional Reflection Distribution Function(BRDF) parameters, it allows the recovery of the photometric properties of diffuse, specular, isotropic or anisotropic textured objects. Also it make it possible to present several synthetic images with novel lighting conditions and views.

      • KCI등재

        육아환경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 자치구의 물리적 환경을 중심으로

        이주림 ( Lee Joo Lim ),구자훈 ( Koo Ja Ho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3

        본 연구는 도시 내 소생활권의 물리적 육아환경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개발된 지표를 이용하여 서울시 자치구의 물리적 육아환경 수준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현재 육아환경 특성과 개선 방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육아환경과 관련한 국·내외 선행연구와 육아정책 분야와 도시계획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1차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둘째, 전문가 설문과 설문 결과에 대한 적합도 검증을 통해 최종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셋째, 실증분석을 위해 정규분포 이론과 Natural Break Method를 활용하여 각 자치구의 평가항목별 통계값을 4단계로 설정하고, 항목별 점수를 구한다. 넷째, 25개 자치구에 육아환경 평가지표를 적용하여 유형화하고 시사점을 제시한다. 연구의 결과,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물리적 육아환경이 가장 좋은 자치구는 중구로 나타났다. 출산율과 영유아 밀도를 고려한 육아 환경평가에서 강동구, 강서구, 구로구, 성동구, 성북구, 송파구, 은평구 등 7개 자치구는 출산율과 영유아 밀도가 높았으나 육아환경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치구들 은 육아에 대한 수요를 고려하여 다른 어떤 지역보다 육아환경 개선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통계데이터를 활용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객관성 확보가 가능 한 물리적 육아환경에 대한 평가지표를 개발했다는 점과 이를 활용해 서울시 자치구의 육아환경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indicators to evaluate physical environment for child-rearing of local governments in Seoul. Local governments will be evaluated by using the developed indicators. Therefore, assessment items were derived by literature survey about physical environment for child-rearing and interviews with child care policy experts and urban planners. For an empirical analysis, a statistic of each assessment items in local governments is set in four levels by a normal distribution theory and natural break method. The score of each assessment are also calculated. The result of research tells that Jung-gu is the best local government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child-rearing. By the assessment of physical environment for child-rearing, which considers total fertility rate and density of early child, the seven local governments such as Gangdong-gu, Gangseo-gu, Guro-gu, Seongdong-gu, Seongbuk-gu, Songpa-gu, Eunpyeong-gu have a high ratio of total fertility and high density of early children, however physical environment isn`t good. These seven local governments need more effort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child-rearing because of the high demand of child care. The research has a meaning that the assessment indicator about physical environment for child-rearing has developed, which is possible to achieve continuous objectivity and monitoring by a statistic from Seoul,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physical environment for child-rearing for local governments in Seoul is provided by the developed indica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