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무적합, 직무만족, 직무몰입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이종정(Lee Jong Jeong),정재엽(Jung Jae Yeob),이달엽(Lee Dal Yob)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8 재활복지 Vol.22 No.3

        본 연구는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직무적합, 직무만족, 직무몰입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생활만족도와의 인과적 관계에 대해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한다. 본 연구는 장애인고용패널 8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임금근로자 805명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적합은 생활만족도에 있어 인간관계만족도와 물질환경만족도 요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이 인간관계만족도와 물질환경만족도에 이르는 경로에서 직무몰입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적합이 인간관계만족도와 물질환경만족도에 이르는 경로에서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경로에서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이 이중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가지고 직업재활상담의 방향성과 실천적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 among related factors of job and life satisfaction among 805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conducted a path analysis using the 8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life satisfaction scale was categorized into the huma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material environment satisfaction by an explorative factor analysis. These two satisfactions are directly affected by Job Satisfaction (JS) and Job Involvement (JI), not directly affected by Job Engagement (JE). Secondly, JS and JI have a complete mediated effect on the path from JE to these two satisfactions. Thirdly, an indirect effect in the path reaching JS was shown to be significant in a dual mediating effect through JS and JI. Based on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e wa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ing and the related supporting strategies and programs devise toward a JS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vocational rehabilitation field practitioners and professionals should consider properly intervening job factors.

      • 수도요금 규제체계 선진사례 (영국의 가격상한제를 중심으로)

        이종정 ( Jong Jeong Lee ) 한국수자원공사(K-water) 2013 저널 물 정책·경제 Vol.21 No.-

        광역상수도 등 공공요금의 규제 목적은 소비자에게는 공공서비스를 적정한 가격으로 이용하여 자원 배분의 효율성 도모하고, 사업자에게는 사업에 소요되는 원가를 보전하여 지속가능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전기, 수도 등 공공요금 규제는 사업자의 원가를 보상하지 못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공공서비스의 과소비와 사업자의 재무상태가 악화되고 있다. 현행 요금 조정은 합리적 기준에 의한다고 보기 어려운 점이 많다. 반면, 영국의 가격상한 제는 사업자의 중장기 사업계획, 투자계획 등 소요되는 원가를 바탕으로 사전에 요금 상한을 책정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사업자에게는 적정한 투자를 유도하고 소요되는 원가를 보전하는 요금을 책정하여 예측가능한 경영과 소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도를 갖고 있다. 본 논고에서는 영국의 가격상한제를 중심으로 공공요금 규제체계 선진 사례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regulating the prices of public services are to promote efficient use of public services and to compensate the costs of services provided by public utilities. However, the current regulatory system does not compensate the full cost of public services, as a result, Korean utilities such as Kepco or K-water have struggled with heavy financial debt loads. It is hard to say the regulatory system on water tariff is reasonable. On the other hand, in the U.K., ‘Price Limits’ have been adopted as a regulatory system on water tariffs. The regulatory authority sets the water tariff every five year in advance on the basis of full service costs, business plan and investment scheme analyses. This system allows the water utilities to control their business risks and customers’ use of water resources more efficiently. This paper will examine the advanced regulatory system for water tariffs based on the price limits used in the U.K.

      • KCI등재

        장애모델의 발전사를 통해 살펴 본 긍정적 장애모델의 특성과 함의

        이종정(Lee Jong-jeong)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8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1 No.41

        본 연구는 긍정적 모델을 중심으로 기존 장애모델들이 갖는 한계점들을 살펴보고, 긍정적 모델이 갖는 함의가 장애에 대한 기존의 관점들을 어떻게 보완하는지와 향후 장애에 대한 어떤 접근법이 전망되는지 고찰한다. 긍정적 모델은 장애와 손상을 반-비극적 관점으로 보고 긍정적인 장애정체성을 가질 것을 주장하는 모델이다. 긍정적 모델에서 손상과 장애는 누구에게나 일어나는 일상적인 삶의 부분이며, 장애인에게는 자신의 삶을 구성하는 정체성의 한 부분이다. 하지만 장애인의 개인적이고 심리적인 반응을 가지고 손상과 장애에 의미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장애인들이 겪는 사회의 여러 장애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을 도출하기 어렵다. 따라서 추후 장애모델에 있어서는 기존 장애모델들의 한계점들을 중심으로, 특별히 장애정체성 을 논의함에 있어서 직면하는 여러 문제들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affirmative model of disability among various disability models and to analyze limitations of the affirmation disability model in order to present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disability models. The affirmative model is a tool which seeks to celebrate the difference the characterize the lives of disabled people. It is contended that disabled people can be proud and have positive disability identity that they are different from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However, the affirmative model has difficult looking for concrete solutions to the problems faced by people with impairments because this model gives new meanings to ‘impairments’ and ‘disability’ with individual and psychological reac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disability models in the future have to consider limitations of various disability models and diverse meanings to the concept of disability and disability identity in order to focus on specific disability issues.

      • KCI등재

        청각장애인 고용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연구

        하승미 ( Ha Seung-mi ),이달엽 ( Lee Dal-yob ),이종정 ( Lee Jong-jeo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2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고용의 질을 파악하고, 여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비교분석하여 안정적인 고용상태를 위한 직업재활 전략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농인 113명, 난청인 54명, 청인 115명을 대상으로, 청각장애인의 고용의 질에 관련된 7가지 요인을 26문항의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하였고, 기술통계값, ANOVA, 회귀분석 등을 통해 요인들 간의 상호관계와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 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고용의 질은 청인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농인, 난청인 순으로 나타났고, 농인은 승진가능성, 승진공평성, 참여와 발언, 직장 내 의사소통에서 고용의 질이 낮고, 난청인은 승진가능성, 승진공평성, 노동강도, 임금만족수준, 작업과정 주도성, 참여와 발언, 상사와의 친밀, 직장 내 의사소통, 장애로 인한 차별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인보다 낮은 청각장애인의 고용의 질 향상을 위해 학력신장, 직종의 다양화, 임금 향상, 노동시장 접근 방법 다각화, 근무환경개선, 직장 내 청각장애에 대한 배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the stable and successful employment among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 of the 113 deaf, 54 persons with hard-of-hearing(the HoH) and 115 ordinary person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5 item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and 5 items about the properties of handicaps and 24 items about objective quality of employment designed for the 7 main factors and 26 sub-factors with a Likert scale. To analyze this data,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deaf and the HoH showd lower quality of employment in many aspects than other research participants groups. Second, the deaf group had the lower quality of employment in the areas of the promotion opportunities, equity in promotion, participating roles and statement of their opinions, communications in the work place, while the HoH in items such as promotion opportunities, equity in promotion, working intensity, level of satisfaction for wages, initiative in the working process, participating roles and statement of their opinions, intimacy with bosses, communication in the work place, disability discrimination. In conclusion, diversification and expansion of occupation areas, improved wages, working environment improvement, the diversification of approaches to labor market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mployment of the hearing impaired pers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