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인 지역사회 적응기술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이달엽(Dal-yob Lee),박희찬(Hee-chan Park),김동일(Dong-il Kim),박혜전(Hye-jeon Park) 한국직업재활학회 2004 職業再活硏究 Vol.14 No.1

        타 전문영역과 마찬가지로 장애인 직업재활 분야에서도 평가는 서비스 효율성을 극대화시켜 주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 정신지체인을 포함하는 발달장애인의 직업적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탐색하고, 직업개발, 고용창출 및 고용 유지에 필수적인 적응기술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읽기 능력이 결여되어 있거나 지연된 정신지체를 포함한 발달장애인에게 사용할 수 있는 비언어적 검사가 결여되어 있다. 이런 비언어성 검사는 전적으로 검사자의 관찰과 판단에 의거하는 체크리스트와는 달리 검사 자와 피검자 사이에 상당한 정도의 상호작용, 예를 들면 시법을 포함하는 구두지시를 요구하기 때문에 재미있고 능동적인 검사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정신지체인과 발달장애인은 직업전 단계에서 기능파악과 지역사회 통합을 위해 지역사회 적응기술 훈련이 매우 강조되고, 동시에 적합한 비언어성 적응행동 검사가 없는 실정에서 평가척도의 개발은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임상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그림을 이용한 지역사회 적응기술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SSSQ와 ABS의 문항들을 재구성하고 새로운 문항들을 첨가하여 우리나라의 형편과 일상생활 및 직업생활 기술정도의 평가에 알맞은 척도를 개발하여 장애인의 지역사회 적응능력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이들 기술들을 7개 영역으로 재구성하고, 직업생활과 대인관계 및 여가생활의 새로운 영역문항들을 추가함으로써 지역사회 적응기술을 총 9개 영역 179개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이 179문항 그림 평가도구의 측정학적 적합도는 수용할 만하였으며, 내담자의 지역사회 적응과 직업 관련 특성들도 훌륭하게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 적응점수들이 중요한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았다.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a community living skill s inventory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289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ing mental retardation and 1,356 elementally school children. For the specific goals of the study to suggest proper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efficiently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mportant variables for community living skills a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ategory of CLIN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9 areas; ① the basic concept, ② the functional signs and symbols, ③ the house management, ④ the health and security, ⑤ the public services, ⑥ the time and measurement, ⑦ the budgeting, ⑧ the career life, ⑨ the personal relations and leisure life. The numbers of items for each category pre-determined are ranged from 18 to 24 scale items totaling 179. Secondly,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ranged from .6672 to .9699: The basic concept is .8905, and the personal relations and leisure life is .9699. As a results of the validity examination of CLIN, each category of the scales shows high relationships with other criteria. For the content validity purpose, several conference meetings by 3 professors at S university, C university in Seoul and at D university in Daegu, and 9 experienced field practitioners were organized. Criteria-referenced validities are established with IQ scores, social ages, and BRS scores of the participants. Also, construct validities were established using factor analyses. As results of this research study, the rehabilitation services that improve the intelligence level and community living skill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successful vocational rehabilitation. To improve adaptation skills which should be acquired, the rehabilitation service delivery system has also to be improved. The CLIN can be an important tool for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to assess their skills at work as well as in community. When someone puts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into operation, he or she must consider how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goes according to the functional levels of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In addition, because human resources are very important, performing vocational evaluation should be practiced appropriately during training courses and counseling sessions. Also it is necessary for the vocational evaluators to have an positive attitude and good motivation. These changes will develop and enable to maintai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chances for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to live in their community independently. Rehabilitation practitioners thoughts and attitudes toward vocational rehabilitation should be innovated.

      • 정신장애인, 가족, 재활스탭들의 직업재활에 대한 인식 연구

        이달엽(Dal-yob Lee),이승욱(Seung-wook Lee),박혜전(Hye-jeon Park) 한국직업재활학회 2003 職業再活硏究 Vol.13 No.1

        본 논문에서는 정신장애인 본인과 그 가족, 그리고 재활스탭들 사이의 정신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서비스 인식수준을 조사하였다. 이들의 서비스 욕구 또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 개선과 전략개발을 위한 기초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분석되었다. 조사에는 103명의 정신장애인, 정신장애인 가족구성원 42명, 그리고 정신재활스탭 52명 등 총 200명이 참여하였다. 연구자가 구조화한 설문지는 일반적 문항을 제외하고 19문항의 서비스인식척도, 10문항의 가족관계척도, 16문항의 직업능력인식척도로 모두 45문항의 세 가지 척도로 구성되었다.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첫째, 가족구성원 중 어머니가 정신장애인의 가장 적극적인 보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재활서비스는 매우 제한적으로 인식되었고 재활서비스 형태는 의료서비스 중심이었다. 셋째, 정신장애인의 낮은 고용율은 부정적인 사회적 태도와 사회적 낙인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 넷째, 세 집단의 인식수준은 직업재활서비스 이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가족과 함께 살고있는 정신장애인이 홀로 살고있는 정신장애인보다 더 높은 가족관계 인식을 가지고 있어 직업재활욕구를 가진 가족들의 지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여섯째, 회귀분석에 의해, 직업재활인식에서 가장 중요한 설명변수는 정신장애인의 직업능력에 대한 인식수준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인식 수준은 나이, 정신장애인의 직업능력에 대한 올바른 인식, 가족과의 관계, 이전 직업경험, 재활서비스의 이용, 그리고 의료서비스 기간과 같은 몇 가지 중요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 연구결과의 함의점에서 개별 내담자의 욕구와 능력에 맞는 직업재활서비스 질의 개선의 필요가 강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leve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mong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emselves, their family members, and the rehabilitation staff members. Service needs of this specific population group were also analyz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a couple of policy measures and strategies. One hundred three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42 families, and 52 rehabilitation staff members working in different geographic are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talling 200 research participants. The questionnaire developed shares three basic scales, the awareness scale of 19 items, the family relationship scale of 12 items, and the rights for work scale of 16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① Female parent seems to be the primary care-giver of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②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re very limited and their psychiatric rehabilitation services are bounded for medical services; ③ Low employment rate among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s the result of negative social attitude and the social stigma attached to disabled persons was observed; ④ The awareness level of three different response groups shows statistical differences on the utiliza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⑤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disabled persons who live with their extended family and disabled persons who live without their family members. It is indicative of the positive influence of supportive family member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needs; ⑥ Based on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ost important predict variabl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awareness is identified as the level of recognition for vocational potential of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In conclusions, the awareness leve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is influenced by several important factors, such as age, appreciation of vocational potential of psychiatrically disabled,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members, former occupational experience, utiliza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s, and the length of health services.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hat there is a strong need to improve quali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corresponding to individual client s needs and abilities.

      • KCI등재후보

        장애인의 이동권과 접근성 보장을 위한 특수차량 개념설계

        이달엽 ( Dal-yob Lee ),이근민 ( Kun-min Rhee ),이덕영 ( Dug-young Lee ),이수철 ( Soo-cheol Lee ),이승욱 ( Sung-wook Lee ),임명준 ( Myung-joon Lim ),김경명 ( Kyoung-myoung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5 No.3

        본 연구는 장애인이 사회로부터 고립되어 살아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특수 차량의 설계와 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축적하고 승용차의 승.하차 문제에 관련된 장애인의 특별한 욕구에 상응하는 특수차량의 기구학적 개념설계를 위한 기초 단계로서 몇 가지중요한 연구목적을 설정하여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 보호자와 당사자 모두 장애인의 자가운전에 대해 매우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있었다. 장애인 차량 자가운전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장애인 보호자들이 일상활동과 여가에 많은 가치를 두는데 비해, 장애인은 사회활동과 경제활동에 더 많은 가치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들 원하는 차량의 특성은 이동이 편리하고, 공간이 넓고, 편안하며 휠체어를 운반하기 용이한 차를 선호하므로, 승차감이 일반 승용차만큼 우수하고 탑재공간이 넓은 차량을 개조하여 휠체어를 탑재함과 동시에 가족 구성원들과 함께 이동하기에 용이한 차량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장애인 보호자와 장애인 당사자 모두 자가운전이 매우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고 자가운전을 통해 장애인의 사회.경제활동 및 여가활동이 증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서울의 일부지역에서만 실시하고 있는 장애인운전면허시험을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장애인 운전면허교육 기관을 확대.활성화하여 장애특성에 맞는 운전교육과 시험을 통해 장애인들의 면허취득을 활성화시켜야 할 것이다. The rights of mobility among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 live independently are basic forms of civil rights to move and navigate the community from the place where they leave to the destined intended without having neither any restrictions nor limitations. These rights include the entitlement of public services and the attainment of accessible environmental construction. There are many mobility and transportation measures for the general public, such as public buses, subway trains, vans, etc. However, one of the most convenient transportation measures should be a modified car appropriately maintained. Based on the individual needs of those who have disabilities because of the cost and the trai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ll the vehicles should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as possible as can. This research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individual needs and traits for modifying a special vehicle designed for persons with mobility impair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had purposes to analyze the design concept and the accommodation need for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exists a need to modify a sports utility vehicle for ensuring a space enough to position a wheelchair user. Second, there should be established a consortium among the car manufacturers, consumers and engineers to mass product vehicles modified for wheelchair drivers. Finally, driving schools and licensing offices for persons with special needs should be much more expanded across the nation. Self-driving may greatly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disabled persons and improve the opportunity to integrate in the community where they live.

      • KCI등재후보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와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소고

        이달엽(Dal-yob Lee),이승욱(Seung-wook Lee),박혜전(Hye-jeon Park),노임대(Im-dae Noh) 한국직업재활학회 2004 職業再活硏究 Vol.14 No.1

        우리나라에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관으로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시설, 특수학교,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등 전국적으로 약 590개소 이상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 중심의 서비스 부족, 비합리적 서비스 전달기관의 역할과 기능, 서비스전문화 부족 등의 문제로 통합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의 미확립으로 재활기관은 서비스이용자 모집경쟁을, 장애인 입장에서는 동일한 내용의 서비스가 중복적으로 제공되어 불편함을 겪고, 시간적, 경제적 낭비를 초래하게 되었다. 서비스 기관들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지 못할 때 조직과 자금의 중복과 낭비가 발생하고 서비스단절과 누락, 과잉 등 많은 문제를 야기 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직업재활 서비스전달체계의 개선과 서비스 제공기관의 체계화, 관련기관 간의 상호 네트워크 구축은 제한된 국가사회적 자원을 적절히 장애인의 욕구에 맞게 사용하기 위한 일차적 과제라고 볼 수 있다. 바람직한 장애인의 직업재활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전달체계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부처의 통합적 시스템을 통해 자원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고, 둘째, 재활전문공무원제를 도입하여 전문성과 책임성이 포함된 정책적 리더쉽을 발휘하여 재활기관 간 협력을 이끌어 내어야 하며, 셋째, 서비스 이용자 중심의 전달체계로의 전환과 중증장애인에게 우선하는 서비스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an emerging profession in Korea because one of the most important rehabilitation goals is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rehabilitation clients. It is a basic human right. Recently,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institutes have continually been increasing. However, there is a concern and paucity of research regarding service deliver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improve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ervice quality should be guaranteed through the networking among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and professionals, inter-agency agreement, and well trained personnel. Without adequately service delivery system and trained personnel for deliver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coordination among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d agencies, the outcome of a variety of efforts in many levels of society is continuing to be disappointing. Networking among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persons with disabilities, employers, and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increases experience exchange, public awareness, facility resource allocation, cooperation, training opportunities, knowledge-based decision making and appropriate utilization of research. In order to operate organiza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effectively, develop and evaluate professional programs, and activate linkage between organizations off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education opportunities for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should also be increased and supported. Furthermore, vocational rehabilitation measures should be constantly provided on highly individualized bases, while maintaining good networking among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d organizations themselves. A common body of knowledge underlying the practi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hould provide standardization of preparation and practice, and protection of integrity of rehabilitation services. The client-centered rehabilitation practice emphasizes life long process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cluding employment. Further analysis of changes and content in service delivery based on comprehensive, continuity, accountability and accessibility will greatly enhance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고용촉진과 직업재활 이슈, 발전을 위한 전략과 세부 프로그램 필요성 연구: 장애인고용패널을 중심으로

        이달엽 ( Lee Dal-yob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1

        이 연구는 제 2웨이브 장애인고용패널 제 3차패널 자료 속에 나타난 발달장애인의 여러 가지 특성들을 현재 우리사회 속에서 나타나고 있는 장애인 고용상의 쟁점들과 관련 지어 분석하였다. 특히 인구통계적 특성들과 경제적 상황들을 성별로 구분하여 살펴 보았고 의사 소통과 같은 전반적인 역량 수준들을 성별과 차별경험, 사회경제적 측면, 그리고 장애 영역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조사된 여러 가지 변수들을 교차시켜 분석한 결과, 법정 분류상의 발달장애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세분화할 필요성과 직업관련 서비스의 종류와 폭을 더욱 넓히고 지금보다 확충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나아가 발달장애인의 주관적 직업정체성의 회복과 더불어 고용과 직업재활에 대한 일반대중이나 국가사회적 관심의 증대와 주위 환경의 개선 및 이후 장애인고용패널 조사상의 개선점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important research variable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3rd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nd Wave, such as education, gender, discrimination experience base on disability, onset of disability, multiple disability, economic activities, and employable skills. Groups differences are identified among gender, disability types, and job satisfaction. Finally, correlations among disability groups and job satisfaction, self esteem, self efficiency, disability acceptance level, and daily life satisfaction are positive each other, while discrimination experience is negativ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the legal defini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related employment/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re much more extended. Furthermore, the improvement of public attitude toward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s required and the refinement of panel survey items is suggested.

      • KCI등재

        Assessment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Counseling : 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재활상담 영역에서의 평가 : 최근 경향과 미래의 전망

        이달엽(Dal-Yob Lee),박석돈(Suk-Don Park) 한국직업재활학회 2000 職業再活硏究 Vol.10 No.2

        평가는 전문적인 판단과 효과적인 중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의미를 제공하기 때문에 인간의 문제를 다루기위한 가장 전문적인 영역이 된다. 또한 평가는 과학적인 방식에서 인간의 행동을 바꾸고 이해하기 위해서 행해진다. 이러한 관계에서 평가에 대한 정의는 “평가 절차와 활동은 재활중재, 의사결정, 재활계획을 위해서 내담자 및 내담자의 주변 정보를 찾는 것이 필요하다” 이다. 평가 활동에서는 관찰, 평가결과와 다른 관련된 적절한 치료적 정보를 통한 평가사의 판단을 기본으로 둔 것을 포함한다. 재활에서 평가는 훈련과 치료를 위해 할 수 있는 제한점뿐만 아니라 내담자의 장점과 잠재성에 초점을 두었다. 본 논문에서는 아래와 같은 중요한 주제를 다루었다. 첫째, 재활상담 영역에서의 평가의 기능과 역할의 소개 둘째, 재활 평가에서의 이슈로서 재활상담의 전문적인 영역에서의 현상 탐구에 대한 논증 셋째, 평가의 미래 전망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 이 영역에 대한 몇가지 견해.

      • KCI등재후보

        정신지체인 직업준비도 척도개발 예비연구

        이달엽(Dal Yob Lee),김정일(Jung-Il Kim) 한국직업재활학회 2005 職業再活硏究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인을 위한 직업준비도 척도를 개발하는 데 두었다. 연구 대상은 개발 된 척도항목들을 적용하여 221명의 정신지체장애인을 평가한 84명이 직업재활 종사자들로 전국의 장애인종합복지관에 근무하는 이들은 모두 취업장애인 115명. 미취업장애인 106명이 평가되었다. 사용된 척도는 요인분석을 통해 설정되었는데, 모두 7개의 요인으로 분해할 수 있었다. 내용 타당도를 확립하기 위해 관련학과 교수와 전문가 4명에 의해 체계적으로 검토되었다. 이외에도 척도문항의 신뢰도 계수들은 모두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척도의 내적 일관성과 검사자 간 신뢰도는 모두 적정한 수준으로 사용된 척도점수에 대한 취업장애인과 미취업장애인 집단 간의 비교에서, 취업장애인의 점수가 모든 요인에서 미취업장애인보다 높아, 직업준비도 항목들의 예측력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n employment readiness scale for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composed of 221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at rehabilitation centers nationwide. 115 employed persons and 106 unemployed persons. The outcom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All items extracted from 7 factors and turned out to be appropriate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e internal consistency of all the scale items is high. resulting a Chronbach s alpha score of 9711.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of each factor also ranged from .8334 to .9553. indicating that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is scale is appropriate. The inter-rater reliability is .857. and reliabilities for the each factor ranged from .672 to .868. Therefore. this scale showed that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several reliability index are moderate. The difference of the two groups. people who are employed and those not employed. has examined by several t-tests. A series of t-test carried on revealed that disabled workers who are employed showed higher scores in every factor than those who are not employed. Because disabled persons who are employed toward the preparation for jobs are much highly developed in terms of work readiness than those who are not employed. the results were supportive for the construct validity of this scale.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coefficients are as being appropriate.

      • KCI등재후보

        직업재활의 관점에서 본 장애인 독립생활 운동의 의미와 협력체계 연구

        이달엽(Lee Dal Yob),정우석(Jung Woo Suk) 한국직업재활학회 2005 職業再活硏究 Vol.15 No.2

        독립생활(independent living: IL)은 가능한 한 이동과 생산적 활동과 같은 일상생활에 있어서 최대한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특히, 독립생활이 진보로부터 통상적인 고용으로의 전환이 이러한 노력의 가장 상위목표가 될 수 있다. 전문적이고 정책적인 관점에서도 중증장애인들에 대한 IL접근은 동료상담을 근간으로 하는 전문 활동인 만큼 중증 뇌성마비와 같은 이동영역에 있어서 제한이 따르는 사람들이 전문 훈련을 통해서 훌륭하게 소화해 낼 수 있는 직무인 동시에 취업에 있어 큰 제한점을 안고 있는 이 사람들이 전국의 IL센터에 적절히 상담사로서 배치된다면 수많은 일자리들이 새로이 제공되어 중증장애인에 대한 사회인식 개선과 재활이 더욱 앞당겨지리라는 점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중증장애인 삶의 질도 사회적 신분과 더불어 한 단계 상승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독립생활재활은 중증장애인의 역량강화의 한 형태로 생각되며, 독립생활의 기반이 조성될 때 고용이라고 하는 직업재활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독립생활과 직업재활을 위해서는 우리나라에서도 장애인을 신뢰하는 분위기와 더불어 입법을 통해서 공적 부조의 형태보다는 두 가지 형태의 재활을 우선 고려하도록 하고, 공공 의료서비스와 장애수당과 같은 재활을 가로막는 역기능적 요소들도 재활서비스의 제공과 함께 해결되어야 한다. 남에게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는 이러한 스스로의 노력과 활동만이 장애인과 장애를 지니지 않은 시민들 사이에 놓여있는 커다란 걸림돌과 장벽들을 하나씩 제거하는 결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This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basis. processes and meaning of the independent living (IL) movement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Both IL service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have been important public services enabling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to maintain quality of life and decent dignity. To live independently.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are greatly dependent on the availability of both person change and environmental change services. Many observers of society s reaction to disability have described how socially imposed roles of dependency limit the freedom of choic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independent living movement can be characterized as apolitical or civil rights movement involving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have been denied access to those rights. The civil rights movement with its emphasis on entitlement and benefit rights has provided an effective action-oriented model for the IL movement, The IL movement actively fought for the right to equal access to employment. medial care. education. social services. transportation. etc.

      • LPG 지원제도의 폐지가 장애인들의 일상적 삶에 미치는 영향

        이달엽 ( Dal Yob Lee ),허창덕 ( Changdeog Huh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0 장애인복지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지난 2006년 참여정부가 장애인에 대한 LPG 지원정책을 단계적으로 폐지한다는 방침을 밝힌 이래 정부정책의 폐지가 장애인들의 일상적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전국에 거주하는 등록 장애인 중 LPG 차량 소유주와 이용자(가족포함) 5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LPG 지원정책에 대한 정부의 일방적 폐지는 먼저, 장애인들의 LPG 사용량을 감소시켰을 뿐만 아니라, 직업 활동, 치료와 건강, 자녀교육 및 양육, 가계소득, 문화생활 축소, 대인 관계 및 사회참여의 기회 감소 등 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있어 전반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LPG 차량 지원정책은 결혼 여부, 장애등급, 장애유형, 경제생활 유형에 따라 영향의 정도가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자신들의 삶의 조건에 대한 결정과정에서 소외된 장애인들은 심리적 무력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적인 대안들을 모색하고 있다.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personal motor vehicle fuel subsidy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y. Korean Government started this policy in 2001 as a form of human rights service. Mobi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independent living and work life. However, persons with significant physical disability have been encountered many constructional and transportation barriers in our society. They tend to have been tremendous man-made or built environments. This fuel subsidy policy adopted to provide persons who are registered as legally disabled with up to 250 liters of tax-free liquefied propane gas (LPG) each month. The current researchers attempt to scrutinize how the abolishment of this good LPG subsidy policy in Korea affects people with disability in their everyday lives. The impact of the policy change is described by means of survey questionnaires of which participants were 517 people with disability who own or use LPG-fueled cars or families with disabled family members. The major phenomenon the study found is that the total amount of consuming LPG has been decreased. Consequently, it impacted mobility of people with disability. Without the LPG support, they encountered difficulties in seeking jobs, securing a stable income, getting medical/health care services, rearing children and providing educational opportunity for their children. In addition to that, their social life has been negatively impacted.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social activities such as leisure, sports, socializing, and voting opportunities have been decreased. For a single participant, it was a serious problem when seeking his/her partner.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level of policy influence differed depending on the level of severity and type of disability. The study concluded that people with disability suffered from psychological alienation due to social exclusion which was determined not by them, but by the policy makers. Based on the findings, the authors suggest alternatives that help people with disabilities to the policy makers.

      • KCI등재

        산재장애인의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 연구

        이달엽 ( Dal Yob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7 No.4

        사회발전과 더불어 근로현장에서는 수많은 산업재해(산재)장애인을 양산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오래전부터 산재보산제도를 확립하여 시행해오고 있으나 주로 산재수준에 따른 금전적 보상에 치우쳐 있는 현실로 직업재활의 학문적 분야에서도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이런 이유로는 재활분야의 학문적 발달 초기단계라고 하는 한계, 재정적 투자와 직업재활 저변의 취약성 등을 들 수 있으나 산재장애인에 대한 적극적인 상담과 평가를 통한 직장복귀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재관련 통계와 조사연구결과들을 분석, 정리하여 사회발전단계에 알맞은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저자가미국 워싱톤주의 시애틀을 방문하여 산재장애인 직업재활 임상클리닉을 운영하는 민간영역의 전문가 1인과 주정부 L&I 케미셔너로 일하는 공공영역의 전문가 1인을 초점면접(focus interview)하여 얻은 면접 자료를 요약·정리하여 내용을 보충하였다. 이런 자료를 토대로 산재장애인의 직장복귀요인을 고려한 전문적 개입에 필요한 전문인력의 육성과 관리체계, 그리고 서비스 제공방향으로서 조기중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근로복지공단에 고용된 재활상담사들의 인력도 확보되어야하며, 전문 활동에 수반되는 각종서비스들이 민간영역에서 제공될 수 있도록 근로복지공단 자원을 적극적으로 아웃소싱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보겠다.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worker``s compensation system of the USA and its implications to apply in Korea. Korean worker‘s compensation system has been focused on the monetary reward without active rehabilitation efforts. Often, services are limited to medical intervention rather than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options. Therefore, rehabilitation counselors should be placed in a front line service delivery systems and a variety of service models should also be developed. Ethical preparation and service delivery behaviors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are also very important. Rehabilitation education should be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skills of empathy, functional limitations, techniques of helping, job placement, and the knowledge of communication, etc. Especially, counselors should focus on the magnification, the construction and the provision of social supports as an instrumental infra for vocational functioning among individuals with industrial injuries. Finally, the current authors suggests that early intervention strategies, service directions, professional manpower development issues, and the revolutional roles of the current service ag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