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새로운 혈액저류 조영제를 이용한 신장 자기공명 영상의 유용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Gd-DTPA와 비교

        조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1919

        Magnetic Resonance imaging provides the unique capability to assess anatomy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kidney in one exami nation. With use of fast MR sequence and new contrast agents, many have shown the potential for MR to provide excellent anatomic images, dynamic images and also the measurement of renal 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using new blood pool contrast agents (Gadomer-17 and Gadofluorine-M) of renal MR imaging in comparison with Gd-DTPA. Renal MR imaging was obtained in 20 rabbits before and 1, 5, 10, 20 and 30 minutes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0.1mmol/kg Gd-DTPA, 0.05 & 0.1mmol/kg Gadomer-17, and 0.05 & 0.1mmol/kg Gadofluorine-M. The signal to noise ratio(SNR) and contrast to noise ratio (CNR) of the renal cortex, medulla and pelvis were measured over the time. The distinctness of visualized renal vessels were graded. There was similar shape of SNR and CNR curves of Gadomer-17 and Gd-DTPA. Sequential renal MR images showed gradual parenchymal enhancement and the collecting system with Gd-DTPA and Gadomer-17. As compared with Gd-DTPA, the renal vessels were well demonstrated with Gadomer-17. There was quite different shape of SNR and CNR curves of Gd-DTPA and Gadofluorine-M. The renal cortex, medulla and pelvis were not distinctly different tiated with Gadofluorine-M. 0.1mmol/kg Gadofluorine-M yielded excellent demonstration of the rabbit renal vessel (P<0.05). Gadomer-17 was found to be promising contrast agents for renal MR imaging; further evaluation in its utility for renal MR imaging in human is warranted. Gadofluorine-M provided greater vascular imaging than Gd-DTPA and Gadomer-17, but it is suboptimal for evaluation of renal parenchymal enhancement. 신장은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으로 인해 이상유무를 알아 보기 위해 여러 가지의 영상기기를 이용하여 검사하여야 한다. 최근 새롭고 빠른 영상기법의 개발과 조영제의 사용으로 인해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한 신장의 구조와 기능의 평가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기공명영상 조영제인 Gd-DPTA와 비교하여 새로운 혈액저류 조영제(blood pool contrast agents)가 신장 자기공명 영상시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0마리의 토끼를 5군으로 나누어 각각 Gd-DTPA 0.1mmol/kg, Gadomer-17 0.05mmol/kg과 0.1mmol/kg, Gadofluorine-M 0.05mmol/kg과 0.1mmol/kg을 정맥 주사후 자기공명영상을 얻었다. T1- weighted 3D fast spoiled gradient echo 기법을 이용하여 신혈관과 신실질이 가장 잘 보이는 관상면의 조영증강 전, 증강 후 1분, 5분, 10분, 20분, 30분의 영상을 얻어서 신혈관의 선명도를 측정하고 각각 신피질, 신수질, 신우의 신호강도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이하 SNR)와 대조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이하 CNR)를 측정하였다. 신혈관의 선명성 정도는 Gadofluorine-M 0.1mmol/kg를 주입한 토끼 군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Gadofluorine-M 0.05mmol/kg, Gadomer-17 0.1mmol/kg, Gadomer-17 0.05mmol/kg, Gd-DTPA 0.1mmol/kg 군의 순으로 우수하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Gd-DPTA군과 Gadomer-17군의 시간에 대한 SNR과 CNR 곡선은 유사한 모양을 보였고 두 조영제군 모두 신피질, 신수질, 신우의 구별에 우수하였으며 신혈관은 Gadomer-17군에서 더 잘 보였다. 그리고 Gadofluorine-M군의 SNR과 CNR곡선은 Gd-DTPA 군과 Gadomer-17군과는 다른 모양을 보였고 신피질, 신수질, 신우의 구별이 잘 되지 않았으나 신혈관의 조영은 가장 우수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Gadomer-17은 Gd-DTPA군에 비해 신혈관 평가에는 더욱 우수하고 시간에 따른 신실질의 변화를 잘 볼 수 있는 장점을 가 지고 있어서 추후 신장 자기공명 영상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Gadofluorine-M은 신실질을 평가하거나 신장 배설 기능을 알아보는 데는 제한점이 있지만 자기공명 신혈관조영술시 같은 용량의 다른 조영제보다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어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고려 무인정권시대 문신 조영인·조충 연구

        김태욱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1917

        이 연구는 고려 무인정권시대 문신 조영인(1133∼1202)과 아들 조충(1171∼1220)에 관한 연구이다. 조영인은 최충헌집권기에 수상에 올랐으며, 조충은 재추가 되었고 거란의 침입을 물리쳤다. 이들은 모두 무인정권시대 특히 최충헌 집권기에 크게 활약한 인물들이며, 이들의 횡천조씨가문은 이후 고려의 유력한 가문 중 하나로 성장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12∼13세기 고려시대 개인들의 삶에 대한 연구이며 무신이 권력을 장악한 시대 아래 문신의 삶에 대한 연구이다. 아울러 한 가문의 위상이 변화해가는 모습을 살펴본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조영인⋅조충의 성장과 좌주⋅동년⋅문생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알아보고 관리로 활동한 기간을 시기별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무인정권시대 속에서 이들이 문신으로 살아온 삶을 조망하였다. 이후 횡천조씨가문을 조영인⋅조충 이전과 이후로 구분해 살피면서 이들이 가문의 위상에 준 영향과 이후 자손들의 관계 진출과 혼인 양상을 추적해서 가문의 전개와 위상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조영인은 서울에서 대대로 중하급 관리를 배출한 가문에서 태어나 수상을 지낸 외할아버지 문공원의 영향 속에서 성장하였다. 혼인은 두 차례 하였는데 당성홍씨 홍관의 손녀, 파평윤씨 윤언이의 손녀로 모두 잘 알려진 귀족가문이었다. 그가 28세에 과거에 급제하였을 때 시험관인 좌주는 김영부⋅이지심인데 김영부는 무신란에 반기를 든 김보당의 아버지였고, 이지심은 무신란에 죽었기 때문에 무신란 이후 이들의 후광을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과거에 함께 급제한 동년은 유공권⋅최선 등 4명이 알려졌는데 이들과 비교해 조영인은 앞서서 승진하였으며 동년간에 사돈을 맺기도 하였다. 조영인은 40여 년 간 관리로 활동하면서 중앙의 행정사무, 외교업무 그리고 왕의 비서, 문한관의 직무를 거치고 과거 시험관도 맡았으며 능력을 인정받아 세상이 그를 중요하게 여겼다. 이의민 집권기에는 재신이 되었고 최충헌 집권기에는 총재가 되어 활약하였으며 문하시중에 오르고 사후 배향공신이 되었다. 조영인은 고려시대 관리 가운데 개인으로나 가문으로나 가장 큰 성취를 이룬 인물 중 한 사람으로 개인으로는 고려시대 최고 관리의 지위에 올랐고 가문을 일으킨 실질적인 시조로 횡천 조씨 후손들은 모두 그 자손이었다. 조영인은 어려서는 남의 잘못을 말하지 않는 생활태도를 가진 외할아버지의 훈육을 받았고, 친척인 윤인첨과 문극겸의 처지를 통해서 무인정권시대 관리가 어떻게 생활해야 하는지를 경험하였다. 계속 승진해 고위관리가 되어서는 단짝동료인 유공권이 철저히 왕을 선택한데 반해 그는 왕뿐만 아니라 세상을 함께 선택해 세상의 평판이 그를 중하게 여겼다. 두아들의 혼사도 무반가문과 무반에게 존경 받는 문반가문을 선택해 가문을 보전하고 격상시켰다. 그리고 자신은 최충헌 정권에 참여해 최고 관직에 올랐지만 그것은 명목뿐이었고 현실은 최충헌의 독재체제로 굳어져가며 그는 69세에 눈이 어둡 다는 이유로 퇴직하고 이듬해 사망하였다. 조충은 조영인의 둘째 아들로 재상가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당시 내로라하는 귀족가문이자 아버지의 동년인 최선의 딸과 혼인하였다. 20세에 과거에 급제할 때 좌주는 이지명⋅임유인데 임유는 아버지의 동료이자 왕실의 외척이었고 최충헌의 사돈이었다. 조충은 훗날 과거를 관장한 뒤에 급제자들을 데리고 그를 찾아가 예를올렸으며 그와 사돈을 맺었다. 동년은 이규보⋅유승단 등 십 여 명이 알려졌는데, 조충은 이들과 비교가 무의미할 정도로 빠르게 승진해 가장 출세하였으며 이들에게 의지하고 기댈 수 있는 동년이었다. 조충은 30여 년 간 관리로 활동하면서 다양한 행정관직과 문한직을 거쳤지만 대간직은 거치지 않았고 과거 시험관도 맡았으며 외교와 군사 분야에서도 크게 활약하였다. 그는 자신이 뛰어난 행정관이자 문한관이었으며, 훌륭한 외교관이자 사령관임을 보여주었다. 특히 원수로 임명되어 거란의 침입을 물리치고 몽고와 외교관계를 맺는데 주도적인 구실을 하였다. 영웅이 되어 개선한 뒤에는 독락원을 조성하였는데 그것은 집권자 최충헌의 시기와 경계를 받았기 때문이었다. 조충은 이러한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홀로 즐긴다는 독락원을 조성하고 자신이 어떠한 정치적인 의지를 갖고 있지 않다는 모습을 보여주려고 하였다. 독락원은 그에게 낙원과 囹圄의 경계선상에 있는 곳이었다. 그 해 최충헌이 사망하고 이듬해 조충도 50세의 이른 나이에 사망하였다. 고려시대 횡천조씨가문은 서울에서 대대로 중하급 관리를 배출한 가문이었는데, 조영인과 조충 이후로 정치적⋅학문적⋅사회적으로 명망이 높아져 최고의 귀족가문으로 자리잡았다. 이후 자손들은 꾸준히 관리가 되었는데 특히 조영인과 조충 이래 조계순 → 조변 → 조문간⋅조문근 → 조무에 이르는 계열은 고려 말까지 대대로 재상에 올랐다. 혼인은 3품 이상의 고위관리가문과 하였는데 시기별로 무인정권기에는 무반가문, 고려 후기에는 원 세력과 신진 문반가문과 혼인하였다. 그렇지만 지속적으로 당대 권세가와 혼인하였다는 점은 변하지 않았는데, 그들은 최충헌가, 채송년가, 김방경가, 차신가, 이제현가, 신귀가, 권용가였다. 후기에는 새롭게 등장하는 가문들에게 혼인을 통해 사회적 지배층이 되려는데 사다리와 같은 구실을 하였다. This study deals with two civil officials Cho Yǒng-in(1133∼1202) and his son, Cho Ch’ung(1171∼1220)during the Military Rule in the Koryǒ Dynasty. Cho Yǒng-in became prime minister during Ch’oe Ch’ung-hǒn’s years in power, and Cho Ch’ung served as chaech’u, a participant of Privy Council and subdued Khitan army invading Koryǒ. These father and son played great roles in political arena during the ruling period of Ch’oe Ch’ung-hǒn. Hoengch’ǒn Cho clan which Cho Yǒng-in and Cho Ch’ung came from becam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milies in the Koryǒ Dynasty. This study addresses lives of Koryǒ people during the twelveth and thirteenth century. This essay also explains lives of civil officials under the rule of military officials. Finally, this dissertation shows changes of a family in terms of political and social status at the latter part of the Koryǒ Dynasty. First, this study shows the process that Cho Yǒng-in and Cho Ch’ung grew into powerful political figures. This study also analyzes social relations of Cho Yǒng-in and Cho Ch’ung by examining chwaju, the examination officer and tongnyǒn, the successful candidates at the same time. Their official career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were also a part of this study. Next, this study reveals how Cho Yǒng-in and Cho Ch’ung maintained their official careers under the military rule of Ch’oe Ch’ung-hǒn. Finally, Istudy Hoengch’ǒn Cho clan before and after political success of Cho Yǒng-in and Cho Ch’ung. More specifically, I research changes of Hoengch’ǒn Cho clan in terms of political and social status by analyzing how much influence Cho Yǒng-in and Cho Ch’ung gave to their Cho clan and by tracing which clans they had marriage relations with. Cho Yǒng-in was born in the capital city and in the family which had produced middle and low class officials for generations. Mun Kong-wǒn, grandfather on his mother's side, had much influence on growth of young Cho Yǒng-in. Cho Yǒng-in married twice. One was a granddaughter of Hong Kwan and the other was a granddaughter of Yun Ǒn-i. Both wives came from aristocratic lineages. When Cho Yǒng-in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his chwaju, the examination officer, was Kim Yǒng-bu and Yi Chi-sim. Kim Yǒng-bu was a father of Kim Po-dang who rose against The Military Officers Revolt. Yi Chi-sim died during The Military Officers Revolt. Therefore, Cho Yǒng-in had no hope to gain any support from his two examination officers: Kim Yǒng-bu and Yi Chi-sim. Cho Yǒng-in had tongnyǒn, the successful candidates at the same time, such as Yu Kong-gwǒn, Ch’oe sǒn, and several others. Compared to his tongnyǒn, Cho Yǒng-in got a rapid promotion and had marriage relations with his tongnyǒn family. Cho Yǒng-in's official career was maintained for 40 years working for various offices and becoming a civil service examination officer. Cho Yǒng-in had a good reputation as an able official. During the period of Yi Ǔi-min's rule, Cho Yǒng-in became chaesin, chancellor and later became chongchae, prime minister in the years of Ch’oe Ch’ung-hǒn's rule. Cho Yǒng-in w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civil officers in the Koryǒ Dynasty. Personally, he rose to the highest position in civil offices. In terms of family, he became a de facto progenitor of Hoengch’ǒn cho clan. In his childhood, Cho Yǒng-in got disciplined by his maternal grandfather who had life attitude that people should not find fault with others. Cho Yǒng-in also realized how civil officials could manage to survive under the rule of military officials by witnessing how Yun In-ch’ǒm and Mun Kǔk-kyǒm, his relatives, overcame life threats from military officials. When Cho Yǒng-in promoted to a high ranking official, he worked for king as well as worked for the world while Yu Kong-gwǒn, his close colleague, only stood on the side of the king. Therefore, people had a high opinion of Cho Yǒng-in. In terms of marriage relations, two sons of Cho Yǒng-in chose their spouses coming from muban, military officer order and munban civil officer order which were friendly to muban. Thus, Cho Yǒng-in could preserve his family and even upgrade its status under the military rule. He finally became prime minister but his position was purely nominal because Ch’oe Ch’ung-hǒn's dictatorship kept strengthened. Cho Yǒng-in retired at the age of 69 allegedly because of his weak eyesight and died next year. Cho Ch’ung, the second son of Cho Yǒng-in, was born and grew in the aristocratic lineage. He married a daughter of Ch’oe sǒn who was also came from a famous lineage of this day and was tongnyǒn of Cho Yǒng-in. When Cho Ch’ung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his chwaju, the examination officer, was Yi Chi-myǒng and Im Yu. Im Yu was one of colleagues of Cho Yǒng-in and was a royal relative by marriage. Im Yu also had marriage relation with Ch’oe Ch’ung-hǒn family. Later, Im Yu and Cho Ch’ung also had relation by marriage. Tongnyǒn of Cho Ch’ung were Yi Kyu-bo, Yu Sǔng-dan, and several others. Compared to his tongnyǒn, Cho Ch’ung was the most successful in his official career so he was a reliable supporter to depend on to his tongnyǒn. Cho Ch’ung's official career was maintained for 30 years working for various offices but he was never appointed to the position of taegan, censors. Cho Ch’ung also became a civil service examination officer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iplomatic and military areas. Cho Ch’ung was an outstanding administrative official, excellent diplomat, military commander. Specifically, Cho Ch’ung subjugated Khitan army invading Koryǒ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Mongol. After he returned with glorious victory against Khitan army, Cho Ch’ung built Tongnagwon. This was because Ch’oe Ch’ung-hǒn was jealous and cautious of Cho Ch’ung's success. To avoid Ch’oe Ch’ung-hǒn's suspicious attention, Cho Ch’ung built Tongnagwon which meant 'the place to enjoy alone' and tried to show that he had no intention to gain political power against Ch’oe Ch’ung-hǒn. Tongnagwon was located at borderline between paradise and prison for Cho Ch’ung. Cho Ch’ung died at the age of 50 a year after Ch’oe Ch’ung-hǒn's death. Originally, Hoengch’ǒn cho clan was the capital-based family which had produced middle and low class officials for generations. However, after Cho Yǒng-in and Cho Ch’ung had great success in the officialdom, Hoengch’ǒn cho clan changed into one of the most distinguished families with political, academical and social influence. Descendants of Cho Yǒng-in and Cho Ch’ung continuously became government officials. Specifically, six Cho clan members including Cho Kye-sun, Cho Pyǒn, Cho mun-gan, Cho Mun-gǔn and Cho mu became prime minister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Hoengch’ǒn cho clan had marriage relations only with high and mighty lineages. During the period of military rule, Hoengch’ǒn cho clan chose their spouses coming from muban, military officer order. At the end of the Koryǒ Dynasty, Hoengch’ǒn cho clan had marriage relations with families from pro-Yuan forces or new bureaucratic class. Regardless of their changes, Hoengch’ǒn cho clan did not change the one principle: they choose to marry spouses coming from powerful families at that time. They were Ch’oe Ch’ung-hǒn’s family, Ch’ae Song-nyǒn’s family, Kim Pang-gyǒng’s family, Ch’a Cín’s family, Yi Che-hyǒn’s family, Sin Kwi’s family, and Kwǒn Yong’s family. On the other hand, Hoengch’ǒn cho clan also became the career ladder to newly emerging families which tried to enter into the ruling class by establishing marriage relations. key words: Cho Yǒng-in, Cho Ch’ung, Hoengch’ǒn cho clan, Chwaju, Tongnyǒn, Tongnagwon, Mun Kong-wǒn, Yun In-ch’ǒm, Mun Kǔk-kyǒm, Kim Yǒng-bu, Im Yu, Ch’oe sǒn, Yu Kong-gwǒn, Yi Kyu-bo, Yu Sǔng-dan, Ch’oe Ch’ung-hǒn, Ch’oe Ch’ung-su, Cho Paek-ki, Cho Suk-ch’ang, Cho Kye-sun, Cho Pyǒn, Cho mun-gan, Cho Mun-gǔn, Cho mu, Cho Sa-ǔi, Ch’ae Song-nyǒn, Kim Pang-gyǒng, Yi Che-hyǒn.

      • 남북한 스포츠 교류 인식과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이조영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1871

        When the Cold War ear after World War II which was divided into two camps based on ideology and values,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ended with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the Eastern Bloc.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now approaching 80 years, has also persisted. During these years of separation, North and South Korea have existed in isolation with different ideologies and systems. In this situation, their relationship has remained in confrontation and conflict, even severing dialogue. While the international order has long moved on from the Cold War era and constantly changing, North and South Korea still seem to be living in that era.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contribute to building a peaceful 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and East Asia through increased inter-Korean sports exchanges, overcoming the ongoing confrontation. Historically, sports exchanges have played a crucial role in improving relations and fostering a sense of national unity, even during periods of cooling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ternationally where the sports exchanges have been useful in resolving serious conflicts between communities or countries. The sports exchange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which contributed to building trust in West Germany among East German residents during the unification process, can be an important example for us as Germany experienced the same division. Also, it is the most typical example of sports diplomacy is that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hose diplomatic relations were severed after the Chinese Civil War, keep the lines of communication open and normalized diplomatic relations through ping-pong diplomacy. In the context of North and South Korea, sports exchanges have been relatively active, providing opportunities to shift from the threat of war to dialogue and a mood of peace. This has demonstrated that sports can be a useful tool in resolving conflicts and promoting peaceful rela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y of inter-Korean sports exchanges in different eras: 1) Sports exchanges as a means of ideological confrontation during the Cold War, 2) Active sports exchanges during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Northern Policy of the Post-Cold War era, 3) Diverse sports exchanges during the globalization era and the Sunshine Policy of Kim Dae-Jung and Roh Moo-Hyun administrations, 4) Twists and turns leading to hopes, disappointments, and discontinuation in inter-Korean sports exchanges during the multi polar era. The most significant progress in inter-Korean cooperation occurred during the post-Cold War era when the Northern Policy was implemented. The first unified inter-Korean team at that time greatly contributed to the people's desire for unification and the cultivation of a sense of national community. The subsequent Sunshine Policy, with its active engagement, continued various sports exchang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owever, since the breakdown of the Hanoi Summit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2019, inter-Korean relations have cooled significantly, facing confrontation and security threats.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pointed out the problems of globalization based on neoliberalism and could be attributed to the failure to establish a new policy toward North Korea in line with the change in the international order that puts its own interests first. The study then investigates how the weakening sense of national community and negative perceptions of the necessity of reunification manifest in inter-Korean sports exchanges. Through an analysis of historical cases of sports exchanges and a survey on public awareness of sports exchanges and reunification, the study aims to propose valid approaches to activate inter-Korean sports exchanges for the establishment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East Asia. Based on this research, challenge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activating inter-Korean sports exchanges are identified. The limitation include the need for a paradigm shift in North Korea policy that aligns with th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order during the multipolar era.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essential to move away from the Cold War mentality, overcome ongoing confrontations, and formulate a new North Korea policy that prioritizes common interests over individual interests. Based on this research, challenge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activating inter-Korean sports exchanges are identified. The limitation include the need for a paradigm shift in North Korea policy that aligns with th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order during the multipolar era.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essential to move away from the Cold War mentality, overcome ongoing confrontations, and formulate a new North Korea policy that prioritizes common interests over individual interests. Nowadays, there is a need for the courage to establish a new paradigm in line with the era of diversification, moving away from the Cold War era. Instead of pursuing individual interests, there is a necessity to create and lead the realization of 'true values' that the Korean Peninsula peace and global society require, rather than the 'value for packaging profits.' Cooperation and exchang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hould take the lead in foster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building a peaceful East Asian regime. The Korean Peninsula is a place where not only North and South Korea but also the surrounding countries like the U.S., China, and Japan have sharply contrasting interests. Despite being a high-risk region for conflict, North and South Korea have maintained a peaceful state through implicit self-restraint in the 70 years since the Korean War. Now, based on that trust, a stable peace regime needs to be established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peace regime should evolve towards bringing peace and prosperity to all, not only North and South Korea but also the U.S., China, and Japan.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in East Asia will fundamentally resolve security concerns, rejuvenate the South Korean economy facing growth limits, and become a driving force for a new leap. In the process of promoting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building a peace regime in East Asia, sports exchange, allowing for direct confirmation of mutual trust through personal interaction, is the least politically burdensome first step. To enhance sports exchange, efforts should be made for the governments of North and South Korea to agree on regularizing exchanges, gaining parliamentary approval, and institutionalizing cooperation. Legal and institutional constraints hindering civilian exchanges should be addressed, and civilian exchanges should be expanded. The establishment of a permanent joint body for North and South Korean sports exchange needs to be explored and implemented. The government should create legal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for this, boldly push for the integration of civilian and sports-led North and South Korean sports organizations. A long-term and progressive strategy for sports exchange, including youth sports exchange for future generations, is crucial. Active collaboration with international sports organizations like the IOC and FIFA should be utilized to expand North and South Korean sports exchange.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goal of revitalizing sports exchang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establishing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a peace regime in East Asia through this, but due to limitations of the researcher, more specific measures could not be proposed. Although this is unfortunate, it remains an issue that needs to be further studied and discussed in the future.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이데올로기를 가치로 미국과 소련 양 진영으로 나뉘었던 냉전 시대는 소련과 동구권의 붕괴로 막을 내렸다. 이후 세계는 탈냉전과 세계화를 거친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와 초유의 COVID-19 팬데믹을 경험하면서 탈세계화, 지역주의 확산으로 공통의 가치보다는 개별 이익이 중시되는 새로운 세계질서인 다극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남북한의 분단도 어느덧 80년이 가까워지고 있다. 지난 분단의 세월 동안 남북한은 서로 다른 이념과 체제 속에서 단절된 채 지나왔다. 그러는 사이 남한에서는 20. 30대 젊은 층에서 민족 공동체 의식이 점차 희박해지고 경제적 부담을 이유로 통일의 필요성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북한은 탈냉전 이후 국제사회 고립을 극복하기 위하여 자력갱생와 핵무장을 통한 생존 전략을 추구하였으나, 경제난을 극복하지 못하고 오히려 경제의 대 중국 의존도는 심화되고 핵개발로 인한 국제사회 제재로 고립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남북한의 관계는 대화마저 단절된 채 대립과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국제질서는 냉전 시대가 막을 내린지 오래되었고,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지만 남북한은 아직도 냉전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이 연구는 남북 스포츠 교류에 관한 국민의식 분석을 바탕으로 남북한 스포츠 교류의 활성화 방안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들어 민족 공동체 의식과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이 확대되고 있어 먼저 남북한 이질감을 극복하고 교류협력을 통해 상생하는 것이 남북한 모두의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상황이다. 교류협력이 없어도 글로벌 환경변화와 경쟁에서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하고 안보 위험 없이 평화를 유지할 수 있다면 본 연구는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역사적으로 스포츠 교류는 남북 관계 냉각기에도 교류를 통하여 관계를 개선하고 민족공동체 동질성을 고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분단 상황 속에서도 남한은 세계 10위권의 경제력을 가지게 성장하였다. 하지만 대외적으로는 미중 갈등과 국제질서의 변화, 치열한 글로벌 경쟁 그리고 대내적으로는 출산률 급감에 따른 인구감소와 이로 인한 국가소멸 위기를 걱정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러 지속가능한 발전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였다. 한편 북한은 생존을 위해 선택했던 핵과 미사일이 오히려 북한의 고립과 경제난을 더욱 가중시켰다. 이로 인한 북한 주민들의 열악한 환경과 국제 난민으로 제3국에서 비참한 삶을 영위하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인권을 위해서도 남북 교류협력과 한반도 평화는 반드시 필요하다. 심각한 갈등과 대립 관계에 있는 공동체나 국가 간에 이를 해소하는데 스포츠 교류가 유용하게 활용된 사례는 국제적으로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통일과정에서 동독 주민들에게 서독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는데 기여한 동서독 스포츠 교류는 같은 분단을 경험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사례가 된다. 그리고 국공 내전이후 외교관계가 단절되었던 미국과 중국이 핑퐁외교를 통해 대화의 문을 열고 국교 정상화에 이른 것은 스포츠 외교의 가장 전형적인 사례이다. 스포츠는 정치성을 배제하고 인간 본연의 모습으로 상대와 교류를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비정치적, 비이데올로기적이지만, 스포츠는 외교, 이데올로기, 국가통제, 국제사회 진출 등 국내외 정치적 목적을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그러면서도 스포츠는 정치적 도구로 사용될 때 따르는 책임이라는 측면에서도 공식적 외교활동에 비해 훨씬 자유롭다. 실패의 부담을 줄여주기 때문에 국제관계 개선이나 갈등 해소를 위한 도구로 스포츠가 활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특히 남북한과 같이 민감한 관계에 있어 더욱 그 효용성이 높다. 스포츠는 활동에 참여하는 참여자들 간의 접촉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공동의 목표를 향해 협력하는 과정에서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연대감과 일체감을 형성하게 하는데 기여한다. 남북 단일팀 경기나 국제 스포츠 경기대회에서 공동입장 등이 남북한 주민들에게 민족 공동체감이나 통일의식을 고취시켜 주는 것이 그러한 예이다. 남북한 이질성 해소를 위해서는 민족공동체 구성원으로서 공동의 특성을 회복하고 발전시켜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런 점에서 스포츠 교류의 실질적 의미가 있다. 남북관계에 있어 스포츠 교류는 아주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타 분야보다는 상대적으로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한반도 주변의 전쟁위험과 긴장상태를 스포츠를 통해 대화와 평화무드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현 상황을 해소하고 평화국면으로 전환하는 데에는 스포츠만한 유용한 도구가 없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분단 이후 현재까지 남북한 스포츠 교류의 역사를 시대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① 냉전 시대 체제대결 수단으로서 스포츠 교류, ② 탈냉전 시대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으로 가장 활발히 진행된 남북한 스포츠 교류, ③ 세계화 시대 김대중, 노무현 정부의 대북 포용정책과 다양화된 스포츠 교류, ④ 다극화 시대 희망과 좌절 그리고 단절로 이어진 굴곡진 남북한 스포츠 교류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남북 교류협력이 가장 획기적으로 발전된 시기는 탈냉전 시대 북방정책이 추진된 시기였다. 그 시기 최초의 남북 단일팀이 성사되어 온 겨레에 통일에 대한 뜨거운 열망과 민족공동체 의식 함양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리고 이어진 햇볕정책이 추진된 시기에도 적극적인 포용정책으로 다양한 남북한 스포츠 교류가 이어졌다. 그런데 2019년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이후 현재까지 남북 관계는 완전히 냉각되고 단절된 채 대립과 안보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그것은 전 세계 수많은 국가들이 신자유주의에 기반 한 세계화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자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추진하는 국제질서 변화에 맞는 새로운 대북정책을 수립하지 못한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다음으로는 민족 공동체 의식이 희박해지고, 통일의 필요성에 부정적인 인식이 남북한 스포츠 교류에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남북 스포츠 교류에 관한 국민의식을 조사하였다. 스포츠 교류의 역사적 사례 분석과 스포츠 교류와 통일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를 바탕으로 한반도 및 동아시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본 연구가 목표로 하는 남북한 스포츠 교류 활성화의 타당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조사결과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던 20, 30대에서도 남북한 교류협력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다수가 공감하고 있었다. 젊은 층에서 통일의 필요성을 덜 느끼는 것은 이들이 성장하는 시기에 남북한 충돌이 많았던 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겠지만, 북한에 대한 경험이나 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였고, 제한적으로 접하게 되는 정보도 SNS 등을 통해 정제되지 않은 정보에 노출되면서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민족 공동체 의식의 약화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남북 경제협력, 정치적 관계, 한반도 평화유지에 스포츠 교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남북관계 단절 속에서도 스포츠 교류와 같은 비정치적 교류는 지속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절대적으로 많았다. 그리고 스포츠 교류 단절의 가장 큰 원인으로 정권의 성격에 따라 변하는 대북정책이라고 인식하고 있어 정권이 바뀌더라도 일관성 있는 스포츠 교류가 지속될 수 있도록 제도화하고 민간교류 기반을 조성하는 등 남북한 스포츠 교류에 대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남북한 스포츠 교류 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과제로는 다극화 시대 국제질서 변화에 맞는 대북정책 패러다임 변화가 요구되었다. 다극화 시대는 공통의 가치보다는 개별 국가의 이익이 우선시 되는 시대이다. 하지만 우리는 아직도 냉전 시대 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남북이 대립과 갈등을 지속해 오면서 우리 스스로 불필요한 장막을 키우고 편을 가르며 국가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다. 탈냉전 시대 북방정책이 이념을 초월한 획기적인 패러다임 전환으로 러시아, 중국 등 구 사회주의권 국가들과 수교를 통해 이후에 펼쳐질 세계화 시대에 우리의 경제 영토를 전 세계로 확대하는 기반을 만들었다. 이제는 냉전 시대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다극화 시대에 맞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립할 용기가 필요하다. 개별 이익보다는 공통의 이익, ‘이익을 포장하기 위한 가치’가 아니라 한반도 평화와 인류사회가 필요요 하는 ‘진정한 가치’를 창출하고 선도하여 남북한 교류협력은 물론 한반도와 동아시아 평화체제 구축을 앞장서 이끌어야 할 것이다. 한반도는 남북한뿐만 아니라 미중일러 주변국들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곳이다. 가장 분쟁의 가능성이 높지만, 한국전쟁 이후 지난 70년간 남북한은 암묵적인 자기 절제를 통해 평화상태를 유지하여 왔다. 이제는 이러한 암묵적 신뢰를 바탕으로 한반도에 항구적인 평화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그리고 그 평화 체제는 남북한을 넘어 한반도를 둘러싼 미중일러 모두에게 평화와 번영을 가져야 주는 방향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남북 교류협력과 동아시아 평화체제는 안보불안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성장의 한계에 봉착한 남한 경제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고 재도약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남북 교류협력과 동아시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과정에서 그 첫 단계를 풀어나가는 데는 정치적 부담이 적고, 인적 교류를 통해 상호 신뢰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스포츠 교류가 가장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스포츠 교류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일관성 있고 지속가능한 남북한 스포츠 교류협력을 위하여 남북한 정부가 교류 정례화에 합의하고 국회의 동의를 받는 등 교류협력의 제도화에 노력하여야 한다. 둘째, 민간 차원의 교류와 접촉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법적·제도적 제약을 정비하고 민간교류를 확대하여야 한다. 셋째, 남북한 스포츠 교류를 추진한 남북 공동의 상설 협의체를 조직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정부는 이를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민간과 스포츠계 주도의 남북한 체육기구 통합을 과감히 추진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장기적이고 점진적인 전략을 가지고 스포츠 교류를 추진한다. 여기에는 미래세대를 위한 청소년 스포츠 교류를 반드시 포함하여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통일 전 서독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정치 교육을 통하여 통일에 대비하였고 동독 청소년들과의 교류에 큰 노력을 기울여 이들이 통일 이후 독일 사회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점을 본받아야 할 것이다. 새로운 미래세대가 남북한 주역이 되는 현 시점에서 청소년들의 스포츠 교류는 미래세대 간 새로운 동질성 형성으로 기성세대가 창출하지 못한 효과를 이루어 내는 것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IOC, FIFA 등 국제 스포츠 단체와 협력으로 남북한 스포츠 교류를 확대하는 방안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남북한 스포츠 교류를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남북한 평화공존과 동아시아 평화체제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연구자의 한계로 인하여 보다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이 부분은 아쉽지만 앞으로 더 연구되고 논의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 초등 3~4학년 일반, 발달성 난독,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담화이해력

        이조영 한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71

        서론: 담화는 말로 실현되는 구어 담화와 글로 실현되는 문어 담화로 나뉜다. 학령기에는 문어 담화를 활용한 의사소통 기술이 확장된다(Pae, 2016). 교육부(2015)는 초등학교 3-4학년의 교과 목표 성취를 담화 듣기와 읽기 이해의 정도로 측정한다. 따라서 담화 듣기와 읽기 수행은 교과 성취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구어 담화 이해는 듣기를 통해, 문어 담화이해는 낭독과 묵독을 통해 이루어진다. 낭독은 입으로 소리를 내어 글을 읽는 읽기 방식을 말하며, 묵독은 소리를 내지 않고 눈으로 글을 읽는 읽기 방식을 의미한다. 낭독과 묵독에 따라 읽기이해력은 달라진다(신미향, 2005; 왕억문, 원미진, 2017). 또한 읽기이해력은 해독과 읽기유창성 능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설아영, 2016; Gough, Tunmer, 1986 ; Kim, 2020), 언어이해력과 서로 연관을 가지므로 듣기모드와 읽기모드를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담화 이해는 이해 질문의 유형(사실적 정보이해, 추론)에 따라 다르게 측정될 수 있으므로(정미란 2009; 장현숙, 이은주, 2016) 다양한 질문 유형을 사용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발달성 난독은 정상 범주의 지능을 보유함에도 정확하고 유창한 낱말 해독 및 철자법에 어려움을 가진다(배소영, 신가영, 2017). Bishop과 Snowling (2004)은 학령전기에 언어장애를 보인 학생이 난독을 동반할 수 있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따라서 해독과 읽기 유창성에 어려움 보이는 발달성 난독 집단과 제한된 어휘력과 난독을 동반하는 언어학습장애 집단의 담화이해력과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인지와 언어 및 읽기에 정상 범주의 발달을 보이는 일반집단과 정상 범주의 인지 및 언어 발달을 보이나 제한된 읽기능력을 보유한 발달성 난독 집단, 정상 범주의 인지 발달을 보이나 제한된 읽기 및 언어 능력을 보유한 언어학습장애 집단의 담화모드(듣기, 낭독, 묵독)에 따른 담화이해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낭독모드에서의 세 집단별 읽기유창성(소요시간, 오류 음절수) 능력을 분석하여 담화 읽기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대상은 총 39명으로 초등 3~4학년의 일반아동 13명, 발달성 난독아동 13명, 읽기의 어려움을 동반한 언어학습장애아동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세 집단 모두 한국어 비언어성 지능검사에서 지능지수 85 이상으로 정상 범주에 속하며, 교사 및 부모에 의해 신체 발달과 정서, 감각에 이상이 없음이 보고되었다. 일반 집단과 발달성 난독집단은 수용어휘력검사에서 백분위수 21 이상으로 어휘력에 어려움이 없으나, 언어학습장애 집단의 경우 백분위수 20 이하로 낮은 어휘력을 보유하였다. 일반 집단은 한국어읽기검사의 해독,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세 영역에서 표준점수 85 초과로 정상 범주였다. 그러나 발달성 난독 및 언어학습장애 집단은 해독,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중 한 개 이상의 영역에서 표준점수 85 이하에 속해 읽기 어려움을 보였다. 담화이해 과제는 한국어 해독해(배소영, 2017)와 이조영 외(2019)를 참고하여 학년에 친숙한 주제의 6개의 이야기글로 구성되었다. 이야기글의 길이는 한국어 읽기검사의 초등 3~4학년용 유창성 텍스트를 참고하여 구성하였으며, 텍스트별 난이도가 비슷하도록 제작하였다. 검사 시 텍스트 효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담화모드(듣기, 낭독, 묵독)별 6개 유형을 구성하였으며, 순서효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학생마다 제시 순서를 달리하였다. 대상자는 42개의 이해 질문(텍스트별 7문항; 사실적 정보 4문항, 추론 3문항)에 구어로 응답하였다. 연구문제별로 집단(일반, 발달성 난독, 언어학습장애)*담화모드(듣기, 낭독, 묵독), 집단*질문유형(사실적 정보, 추론)에 대해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repeated two-way ANOVA)을 시행하였다. 낭독모드에서의 유창성(소요시간, 오류 음절 수)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여 집단 간 비교를 하였다. 모든 통계 처리는 SPSS 25.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및 논의: 세 집단의 담화모드에 따른 담화이해능력을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F=.746, p=.564), 집단(F=10.746, p=.000)과 담화 모드(F=9.678, p=.000)에 따른 주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집단에 대한 주효과를 사후분석한 결과 일반과 발달성 난독 집단의 수행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언어학습장애 집단은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담화모드에 대한 주효과를 사후 분석한 결과, 낭독과 묵독, 낭독과 듣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묵독과 듣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초등3-4학년의 일반 집단과 읽기 어려움을 보이는 난독 및 언어학습장애 집단 모두 읽기이해에서 듣기이해보다 더 나은 수행력을 보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교과보다 짧게 조절한 친숙한 내용의 담화 텍스트를 구성하여 사용한 것과 시간제한이 없이 과제를 시행한 것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즉 읽기 어려움이 있는 아동에게 조절된 텍스트와 여유 있는 읽기 시간을 제공하는 등의 발판을 통해 읽기를 활용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읽기모드(낭독, 묵독) 중 낭독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이는 읽기이해의 제한을 보완하기 위해 낭독하여 읽는 연습과 과정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반면 난독과 함께 빈약한 어휘를 보유한 언어학습장애집단은 일반 및 발달성 난독집단 보다 유의하게 낮은 담화이해력을 보였다. 즉 친숙한 주제의 조절된 텍스트일지라도 낮은 어휘력과 읽기기술로 인해 발달성 난독아동보다 제한된 이해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담화이해에 제한을 보이는 아동들에게 읽기능력 향상과 더불어 어휘학습을 함께 지원해야 함을 시사한다. 세 집단의 질문유형에 따른 담화이해능력을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F=3.693, p=.035). 상호작용효과에 대하여 사후 분석한 결과, 사실적 정보 이해 질문에 대하여 일반 및 발달성 난독 집단은 비슷한 수행력을 보였으나, 언어학습장애집단은 유이하게 낮은 이해력을 보였다. 이는 해독 가능한 텍스트를 제공할 때 일반과 발달성 난독 아동의 수행력에서 차이가 없다는 국제난독협회의 주장을 지지한다. 반면 추론적 이해질문에 대하여는 세 집단 모두 유의하게 다른 이해력을 보였다(일반> 발달성 난독> 언어학습장애). 이러한 결과는 읽기의 어려움을 동반한 아동이 제한된 해독 및 유창성으로 인해 ‘읽기’ 자체에 더 많은 인지적 자원을 사용하는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읽기 어려움을 동반한 아동의 인지적 자원의 부족은 읽은 내용에 대한 고차원적인 추론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아동의 읽기기술을 개발하고 읽거나 들은 내용에 대하여 다각적인 활동을 통해 지식을 확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낭독모드에서 보인 세 집단의 읽기 소요시간(F=4.698, p=.015)과 오류 음절 수(F=15.840, p=.000)를 비교한 결과 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읽기 소요시간과 오류 음절 수 모두에서 일반과 발달성 난독 집단, 일반과 언어학습장애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발달성 난독 집단과 언어학습장애 집단은 읽기유창성 측면에서 속도와 정확성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측정된 이해력에서는 발달성 난독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이는 발달성 난독 아동의 경우 조절된 텍스트와 친숙한 주제, 충분한 시간을 제공할 경우, 더 나은 학업성취를 이룰 수 있음을 시사한다. 언어 학습 장애 아동에게는 충분한 시간과 언어지원뿐만 아니라 읽기에 대한 추가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Discourse comprehension is an important aspect of communication and can have an impact on academic performance. As children enter school age and acquire writing, these skills expand to include written discourse (Pae, 2016). In Korea,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measures the achievement of 3rd and 4th graders according to their ability to hear, read, and understand discourse. Therefore, children’s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are an integral part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understanding of spoken discourse is acquired through listening, but written discourse can be understood via two methods; oral reading and silent reading. Oral reading refers to reading aloud using one’s voice. Silent reading refers to reading with the eyes, without making a sound.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reading comprehens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reading method (Wang and Won, 2017; Cho, 1998; Shin, 2005). Gough and Tunmer (1986)’s Simple View of Reading (SVR) suggests that both decoding ability and language comprehension skills are needed to achieve reading comprehension. Additionally, several studies (Kim, 2020; Seol, 2016) have reported that the ability to read quickly and accurately predicts reading comprehension. This means that in order to achieve reading comprehens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ability to decode along with reading fluency. Moreover, since language comprehens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are related to one another,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two discourse modes together. Additionally, discourse understand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questions being asked (factual information vs. inference) so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comprehension using various types of questions (Jang and Lee, 2016; Jeong, 2009). Developmental Dyslexia (DD) is a category of 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 in which individuals have difficulty decoding words fluently and correctly, along with difficulty spelling, despite having normal intelligence (Pae and Shin, 2017). Bishop and Snowling (2004) found that in students with Language Learning Disorders (LLD) in early school age, these language disorders may also appear comorbid with dyslexia.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mprehension of school-age discourse in children with DD and children with LLD accompanied by dyslexi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iscourse comprehension in various discourse modes (listening, oral reading, and silent reading) among children with DD without language difficulties, and LLD children with dyslexia and a vocabulary deficit. Additionally, the reading duration, and the number of incorrectly read syllables in the reading passages exhibited by children in each group were compared wit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o examine the reading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Research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in the 3rd and 4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13 children with DD, and 13 children with LLD, for a total of 39 participants. All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as having normal intelligence, having received a score of 85 or higher on the figure section of the Korean Nonverbal Intelligence Test (K-CTONI-2), and there were no reported abnormalities in physical, emotional, or sensory development according to teachers and parents. Children in both the TD and DD group received scores in the 20th percentile or higher on the receptive section of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R), indicating that they did not have any language disorders. Children in the LLD group, on the other hand, received scores beneath the 20th percentile on the REVT-R. Children in the TD group received a score of 85 or higher on the Korean Language Based Reading Assessment (KOLRA) in the three areas of decoding,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Conversely, children in the DD and LLD groups received a score of 85 or less in at least one area of the KOLRA. The texts of the discourse comprehension tasks were comprised of six stories (Supermarket Errands, Birthday Party, Watching Movies, Going to the Library, Hospital, and Changing Day) which were pulled from Hangukoh Haedeokhe (Kim et al., 2017), Lee et al. (2019), and the reading fluency section of the 3rd to 4th graders of the KOLRA. The texts were then adjusted to control and match the number of syllables (310syllables), differentwords(80-85), and sentences (10sentences) ; including complex sentences (approximately 8). In addition, the six texts were divided according to discourse mode. The order of discourse mode comprehension tasks was varied, with one third of the children using oral reading first, one beginning with silent reading, and one third beginning with listening. All of the texts were provided in the same order; however, the discourse mode order was staggered to counter the repetition effect. After the children were asked to listen, read aloud (oral reading), or read with his or her eyes (silent reading); they were asked a series of comprehension questions. Seven questions were provided for each text; including 4 factual information comprehension questions and three inference questions. The questions were asked immediately after reading or listening, so that children were able to answer the comprehension questions directly after reading or listening to the texts in one of the three discourse modes.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study, a repeated two-way ANOVA was conducted for group (TD, DD, and LLD), discourse mode (listening, oral reading, silent reading) and question type (factual information, inference). Post-test analysis was also performed after one way variance analysis for each group’s reading fluency (required reading time) and reading accuracy (error syllable count).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25.0.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discourse comprehension tasks of the three groups according to discourse mode revealed no interaction effect(F=.746, p=.564), between group (F=10.746, p=.000) and discourse mode(F=9.678, p=.000). The main effect according to group was significant. Results of the post-analysis of the main effect on the group showed that only the LL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compared with the TD group. Results of the post-analysis of the main effect on the discourse mode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ral and silent reading, and oral reading and listening. However, the differences in performance between silent reading and listening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iscourse comprehension tasks in this study used vocabulary that is familiar to students in grades 3 to 4, and presented them with 6 adjusted discourse passages, which were controlled for length and complexity. In addition, there was no time limit placed on the task, so children were able to take as long as they needed to perform the comprehension tasks. As a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the TD children and the children with DD. This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provide text adjusted for reading in order to ai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D in the future. In contrast,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despite the adjusted text, children in the LLD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TD group. These results may indicate a possibility that the LLD group may have a vocabulary deficit alongside a difficulty with decoding. Consequently, children with LLD may be expected to face greater difficulties with academic performance compared with children with DD.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ading ability and support the vocabulary learning of children with LLD and dyslexia. Analysis of the discourse comprehension according to question type and group reveal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was significant(F=3.693, p=.035). Post-analysis of the interaction effect showed that the TD and DD group showed similar performance on the factual information question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iscourse comprehension between the DD and LLD group. For inference question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rehension between the TD and DD groups, the TD and LLD groups, and the DD and LLD groups. Inference comprehens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school aged children, and studies have found that children with language disabilities show deficits in reasoning due to difficulty performing tasks as a result of limited working memory. Therefore, the role of the SLP should not only be focused on language development, but also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school-age discourse comprehension. Analysis of the oral reading time(F=4.698, p=.015) and number of wrong syllables(F=15.840, p=.000) to oral reading mode and group reveal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was significant. Using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and controlled texts; various accommodations and methods of support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LLD can be expanded by considering discourse modes suitable for each child’s disability types and characteristics; and the role of the SLP in this should not be confined to language development, as reading support is also essential.

      • 중국 문화산업화 과정에서의 공산당의 지배이데올로기 통제에 관한 연구

        이조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1978년 이래 중국 문화시장의 급속한 확대와 성장을 초래하는 동시에 다양한 이데올로기의 등장도 초래하였다. 이것을 대응하기 위하여 중국공산당은 문화산업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주로 “통제”(핵심 영역에 사유자본의 접근을 배제하기), “추진”(국유문화산업의 발전을 특별히 추진하기, 사유부문을 포옹하기), “건설”(유연성 있는 지배이데올로기 혁신하기, 국가공무원조직 건설하기)의 새로운 세 가지의 수단을 동시에 사용해서 이데올로기 사무를 강화하였다. 따라서 중국공산당은 지금도 충분히 문화산업화의 추진 과정과 지배이데올로기의 언어권을 통제하고 있다. 그러나 지배이데올로기의 사회통합기능이 잘 나타나게 하지 못하였고 사회단절과 사회부패의 두 장애를 직면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이데올로기 사무의 강화를 통해서 해결하기 어려운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두 장애를 제거하고 지배이데올로기를 실천하기 위해서 중국공산당은 “기층설계”로부터 용기 있게 사회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본다.

      • 북한개발시대를 대비한 체제변환국 금융역할에 관한 사례연구

        이조영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2018년 4월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과 같은 해 6월의 북미정상회담은 그동안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로 인해 얼어붙어 있던 남북화해와 교류에 대한 기대감을 한층 고조시켰다. 2016년 멈추었던 개성공업지구가 즉시 열릴 것처럼 평화무드는 급물살을 탔다. 그러나 2019년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이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면서 북미관계는 물론 남북관계도 다시 급속히 냉각되었다. 북한도 자력갱생을 강조하면서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국제사회 대북제재에 대응하여 내부결속을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현 정부에서 남북관계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남북미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점에서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이번 미국 대선에서 당선된 민주당의 조 바이든 당선자도 당초 신중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북핵문제를 포함한 북미관계 개선에 적극 관심을 보이고 있는 점들은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북한의 자력갱생을 통한 고립은 북한 자체는 물론이고 국제사회 평화와 공존을 위해서도 유익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것이 한국은 물론 국제사회 협력으로 북한의 개혁·개방을 유도하고 국제사회 일원으로 편입시키려는 노력들이 필요한 이유이다. 북한이 국제사회 일원으로 편입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현안은 핵문제 해결을 통하여 북미관계를 개선하고 국제사회 제재를 해제하여 글로벌 협력관계에 들어오는 것이다. 아울러 또 한편으로 북한 내부의 개혁을 통하여 시장경제 도입을 위한 체질 개선이 요구된다. 여기에 앞서 사회주의 경제체제에서 시장경제로의 이행을 경험한 국가들의 사례는 북한에게 많은 시사점을 줄 것이다. 하지만 사회주의 국가에서 시장경제로의 체제변환을 경험한 국가들은 각 나라들이 처했던 내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 개혁의 추진 방식과 속도 그리고 이에 따른 성과도 다양한 결과를 낳았다. 체제변혁에 관한 논의에서는 시장경제로 이행이 성공하기 위해 가격자유와와 민영화 등 개혁 프로그램을 급진적·포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보는 급진주의적 입장과 경제안정화에 중점을 두면서 단계적·부분적 개혁을 추진하여야 한다는 점진주의적 견해들이 주요 이슈였다. 급진적 혹은 점진적 방법은 현실에서는 체체변환을 경험하는 국가들이 선택할 수 있는 문제라기 보다는 각 국가가 이전까지 준비된 내부 상황이 외부 충격을 얼마나 완충할 수 있느냐에 따라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체제변환 과정은 다소 차이는 있지만, 주로 사회주의 경제체제에서 시장경제로의 변환이었다 이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경제 개발을 추진하는데 금융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전에 체제변환을 경험한 국가들의 경험들을 분석하여 각 국가들이 처한 위치에서 추진한 개혁·개방 사례들의 성과와 문제점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현재 북한의 경제 및 금융 상황을 바탕으로 향후 추진해야 개혁·개방의 방향을 제시하되 특히 금융분야에 중점을 두어 북한 금융개혁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남한 금융기관들의 역할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체제변환 과정에서 내부 조달 능력의 강약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필요하였던 것이 국제사회 지원이었다. 북한이 국제사회로부터 신뢰를 회복하고 이에 대한 대응으로 국제금융기구 및 민간자본들의 북한 개발지원을 이끌어 내기 위한 방안들도 검토하고자 한다. 북한도 2000년대 이후 특히 김정은 정권 이후 우리식경제관리방법을 통하여 시장화의 현실을 수용하고 법령의 제·개정으로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개혁을 내부적으로 지속해 왔다. 금융분야에서도 제도적으로는 이원적 금융체계를 구축하고 ICT 기술을 바탕으로 전자카드, 모바일 결제시스템 등 금융산업 현대화도 상당부분 진척된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아직도 폭넓게 확산되어 있는 장롱 속 화폐, 달러라이제이션 현상과 공금융을 압도하는 사금융 시장은 북한 당국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여기에 북한이 보유한 ICT를 접목한 금융현대화가 중요한 해결책이 될 수도 있다. 북한은 공급체계가 붕괴된 이후 회복되지 못한 정책 당국과 금융기관의 낮은 신뢰도로 인하여 충분한 내부 잉여자금을 투자재원으로 유치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오랜 기간 국제사회 제재로 인한 해외조달의 어려움으로 인한 외화부족은 북한이 개혁·개방 과정에서 풀어야 할 과제이며, 이 과정에 남한의 지원과 국제사회 공조가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아직 불확실성이 제거되지 않은 상황은 북한의 개혁·개방의 실현 가능성을 명확히 하기는 어렵다. 우선 북한 당국은 현 상황의 매듭을 풀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원인인 핵문제를 포함한 국제관계를 적극 해결하려는 노력을 통하여 미국은 물론 국제사회로부터 신뢰를 얻는 것이 시급하다. 남한 당국도 정치·외교적 이슈에도 변하지 않았던 동서독 간의 내독교역 원칙과 ‘하나의 중국’원칙을 고수하면서도 이념적 장애를 극복하고 경제적·문화적 교류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중화경제권의 결속을 강화한 중국과 대만의 사례 등을 참고하여야 한다. 보다 적극적인 정책 개발과 남한 내 공감대 형성을 통해 민간기업의 폭넓은 참여를 이끌어내어 남북 교류와 협력을 추진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북한의 아래로부터 시장화와 위로부터 개혁의 조화, 그리고 남한을 포함한 국제사회 협력으로 개혁·개방을 유도하여야 한다. 더 나아가 양안관계가 어려워도 홍콩 등 제3국을 경유하거나, 해외 화교경제권과 연계하여 경제교류를 지속해 나갔던 중국과 대만 관계를 참고하여 교착상태에 있는 현 상황을 동북3성의 재 중국동포 경제권 및 해외동포들도 참여하는 동북아경제권 활성화 방법으로 풀어나가 방안도 적극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북한 개발이 남북한 경제 발전을 넘어 주변국 모두에게 정치적·경제적으로 유리하며 항구적인 글로벌 평화와 번영에 기여한 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주고 국제사회 협력을 이끌어 내도록 남북한이 모두 함께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The Inter-Korean Summit held in April 2018 at the House of Peace in Panmunjom and the North Korea-United States Summit in June of the same year and it raised expectations for reconciliation and exchang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hict had been frozen by testing nuclear weapons and launching long-range missiles and the mood of peace outstreched rapidly as if the stopped Kaesong Industrial District would open immediately. However, in February 2019, as the 2nd summit between North Korea and United States in Hanoi in February failed to reach an agree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nations rapidly cooled down, and it weakened inter-Korean relations. Moreover, North Korea has been strengthening internal solidarity in response to long-standing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by emphasizing self-reliance. Nontheless, the current government is making efforts to improve inter-Korean relations as a priority task, Additionally, Joe Biden in Democratic Party who was elected in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showing active interest on improving US-North Korea relations includ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it could be a new turning point. Isolation through self-reliance of North Korea is not beneficial not only for North Korea itself, but also for peace and coexistenc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is is the moment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well as South Korea make efforts to reform and open society of North Korea to join in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member. In order to encourage North Korea to join in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most important issue is to improve US-North Korea relations by solving the nuclear issue and lift international sanctions to open its market to the globe. Additionally, adopting the market economy through transfomation itself is required. The examples of transfomation countries from the previous socialist economic system to the market economy give many implications to North Korea. However, transformed countries experienced various aspects by transfomation model , changing speed,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faced by each country. There are two aspects in the discussions on systemic transformation: The radical position that apply programs such as price liberalization and privatization radically into the market. Alternative aspect is gradual reforms that focus on economic stabilization are required. However, in reality, the radical or gradual manner seems to be determined by internal resilence of each country on external impact, rather than it can be chosen by itself. In additio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was mainly a shift from a socialist economic system to a market economy, and finance played an critical role in stable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analyze cases of tansforming countries to identify the achievements and challenges each country has experienced and define the role of financial sector in South Korea to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analyze cases of tansforming countries to identify the achievements and challenges each country has experienced and define the role of financial sector in South Korea to support transformation of North Korea. Despite of internal procurement capabilities, international relief would be the key in order to transforming. As follow, the research review how North Korea restore trus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attract international financial support including private sector to develop North Korea. Since the 2000s, especially since the Kim Jong-un regime, North Korea has internally embraced the reality of marketization by introducing the North Korean Way Economic system, and internally supported it through the enactment of laws and regulations. In the filed of financial industry, the modernization has progressed substantially, such as electronic cards nad mobile payment systems implemented based on ICT technology. Due to the low reslience of the authority and low reliability of financial institutions, it is difficult in attracting surplus fund as investment resources. Also difficulties in overseas procurement due to international sanctions for a long time, the shortage of foreign currency is the challenge that North Korea must solve to transform. In this process, supporting of South Korea and coope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ould be key issue.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clarify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North Korea's transformation in a situation where uncertainty has not yet been removed. First of all, it is urgent for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o gain trus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well as the United States through efforts to actively resolve the nuclear issue,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cause to untie the current situation. The South Korea also needs to study the principle of intra-German trade, which did not change even in political and diplomatic issues, and the principle of "One-China" to expand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s by overcoming ideological obstacle. In those manners, South Korea should promote inter-Korean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clarify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North Korea's transformation in a situation where uncertainty has not yet been removed. First of all, it is urgent for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o gain trus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well as the United States through efforts to actively resolve the nuclear issue,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cause to untie the current situation. The South Korea also needs to study the principle of intra-German trade, which did not change even in political and diplomatic issues, and the principle of "One-China" to expand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s by overcoming ideological obstacle. In those manners, South Korea should promote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by attracting active participation of private sectors through actively establishing policies and spread consensus on suppport North Korea in South Korea. Additionally, South Korea should make efforts to revitalize the Northeast Asian economic zone, including Northeast 3 provinces in China where Korean-Chinses clustered, in participating of overseas Koreans, by reflecting cases of Cross-Strait relations, it overcame political conflicts and continued their economical and cultural exchange via third party such as Hong Kong. Furthermore, both North and South Korea should work together to show clearly that North Korean development goes beyond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contributes to permanent global peace and prosperity, which is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beneficial to all neighboring countries.

      • Microscopic traffic simulator(MITSIM)를 활용한 교통정책분석의 적용 가능성 연구

        이조영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1855

        MITSIM은 1996년부터 MIT에서 개발되기 시작한 Microscopic Traffic Simulator로서 실제 네트웍에서 차량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교통현상뿐만 아니라 Macroscopic Simulator를 이용하여 분석하기 곤란한 ATIS, ATMS 등의 분석이 가능하므로 이를 활용한 정책 분석은 매우 유용하다고 하겠다. 본 논문은 크게 4부분으로 나누어져 진행되었다. 첫째, MITSIM과 NETSIM과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MITSIM을 이용하여 어떠한 교통정책 분석이 가능한 지를 우선 파악하였다. 둘째, 이러한 시뮬레이션 결과 중 링크의 통행시간을 분석의 지표로 정하고 매 분석시 마다 이 값들에 대한 평균, 최대값, 최소값, 분산, 표준편차등의 통계치를 이용한 패턴을 분석하고 그러한 값 중 일정한 패턴을 보이는 값이 과연 정책분석을 위한 해가 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셋째, 자료의 한계성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파라미터 추정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중요 파라미터들을 대상으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러므로서 이 파라미터들이 분석에 얼마나 큰 영향을 줄 수 있는지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시뮬레이터로는 분석이 어려웠던 실제 정책 사례들에 대하여 MITSI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MITSIM의 특징 및 교통정책분석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MITSIM은 기존의 다른 시뮬레이터와 크게 다르지는 않았으나 운전자의 노선선택을 고려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기존의 시뮬레이터로 분석이 곤란했던 몇 가지 교통정책을 분석할 수는 있었으나 노선버스에 의한 영향, 주차 및 보행 등을 고려할 수 없어 이러한 교통현상이 빈번한 한국의 도시부 네트웍을 대상으로 한 정책분석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자료의 한계와 제한된 분석 환경 속에서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MITSIM을 이용한 교통 정책 분석의 가능성을 타진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MITSIM is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or program, which has been developed by the ITS program at MIT since 1996. The MITSIM makes possible to analyse various strategies of ATIS and ATMS which could not be analysed by existing other microscopic traffic simulators such as NETSIM. That is why this study choose MITSIM program as a tool to test applicability of microscopic traffic simulator to analyse impact of real transportation policies, especially policies related to ATIS and ATMS, on transportation network. This study focused on four subjects related to application of MITSIM to real transportation policies. First, this study tried to figure out what kinds of transportation policies can be analysed by using MITSIM, while comparing with NETIM which is the most popular traffic simulator in Korea. Second, some statistical measurements such as average, maximum, minimum, variance and standard deviation are used to test the performance of MITSIM. Third, sensitivity analysis for important parameters in models of the simulator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out how big the simulation results can be different if some bias are involved in parameter estimation process. Last, the study tried to show some examples such that the cases of policies could not be analysed with existing microscopic traffic simulator. This study also reviewed characteristics of MITSIM including examination of applicability of MITSIM to real transportation policies. MITSIM was not different from other existing traffic simulators in most of simulation functions. However, the difference is in the behavior of driver's route choice which was not considered in NETSIM. Because of this characteristic, MITSIM could analyse some transportation policies which affect on traveler's path choice. MITSIM does not include functions to analyse impact of the urban bus, parking and pedestrian yet. This may be a limitation of MITSIM to apply some specific urban transportation polices in Korea. This study is the first examination of MITSIM for application on Korean transportation environments.

      • 안구 운동 치료가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의 균형 및 대동작 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조영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는 안구 운동 치료가 균형 및 대동작에 어려움이 있는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J재활병원에 내원하여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 중 편마비 뇌성마비로 진단을 받고 교정시력 0.8이상으로 연구자가 지시하는 내용을 이해하고 수행이 가능하며 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약 3초 이상의 앉기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아동을 선정하였다.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7.4세로 남자 6명과 여자 4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연구는 주 3회 30분씩 4주간 안구운동치료를 적용하였다. 아동의 균형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아동 균형 척도(PBS)와 대동작 기능을 알아보기 위한 대동작 기능평가(GMFM)로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구운동 치료를 적용 후 아동 균형 검사상 점수가 적용전 보다 높아졌으므로 안구 운동 치료가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의 균형능력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안구운동 치료를 적용 후 대동작 기능평가 검사상 적용전 보다 점수가 높아졌으므로 안구 운동 치료가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기능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 검사 점수상 아동마다 개인 차이는 있었지만 안구 운동 치료가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의 균형 및 대동작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