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전지용(MS<sub>2</sub>, M=Fe, Ni, Co)계 양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연구

        이정민,임채남,윤현기,해원,Lee, Jungmin,Im, Chae-Nam,Yoon, Hyun-Ki,Cheong, Hae-Wo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7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0 No.9

        Thermal batteries are used in military power sources that require robustness and long storage life for applications in missiles and torpedoes. $FeS_2$ powder is currently used as a cathode material because of its high specific energy density, environmental non-toxicity, and low cost. $MS_2$ (M = Fe, Ni, Co) cathodes have been explored as novel candidates for thermal batteries in many studies; however,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1, 2, 3 plateau) of single cells in thermal batteries with different cathodes have not been elucidated in detail. In this study, we independently analyzed the discharge voltage and calculated the total polarizations of single cells using $MS_2$ cathod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NiS_2$ as a potential cathode material for use in thermal batteries.

      • 팀기반학습 환경에서 협력적 지식창출을 위한 갈등관리유형 분석

        연지,이정민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팀기반학습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팀 내에서의 의사소통과 같은 사회적 기술(social skill)에 관련된 경험적 연구는 미미하다. 특히 팀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식인 갈등관리유형에 관련된 연구들은 대부분 기업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학교 맥락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팀기반학습환경에서 협력적 지식창출을 위한 갈등관 리유형을 분석하고, 협력적 지식창출을 촉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교수, 학습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팀기반학습의 협력적 지식창출과정에서 학생들은 어떠한 갈등관리유형을 사용하는지 탐색하고, 팀성 취도가 높은 팀과 낮은 팀의 구성원들은 갈등관리에 있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구 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A대학교의 사범대학 교육관련 과목에서 8주동안 교육설계모형 및 전략을 개발하는 팀과제를 수행한 12명의 학생이다. 갈등관리유형, 팀 성취도를 사전에 측정하였고, 동질집단표집을 활용하여 목적표집으로 성취도가 높은 팀의 구성원 6명과 낮은 팀의 구성원 6명을 면담 대상으로 선정했다. 면담은 일대일 개인별로 진행되었으며, 반구조화된 면담으로 진행되었다. 면담 내용 분석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과정을 거쳤다. 이후 질적연 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가 2인과 함께 삼각측정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협력학습 상황에서 의견개진, 역할분배에 대한 갈등 경험이 있으며, 상황에 따라 양보, 협력, 회피 등의 다양한 갈등관리유형으로 대처한다. 특히, 팀의 구성원에 따라 본인의 갈등관리 전략을 다르게 활용하며, 팀 구성원 간의 친밀성, 구성원들의 연령 및 위계질서의 정도, 협력학습 기간, 다른 팀원들의 적극성의 정도에 따라 갈등관리 전략에 차이가 있다고 응답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성취가 높은 팀의 구성원들에 비해 성취도가 낮은 팀의 경우 협력학습에 투자할 수 있는 시간과 협력기간의 제한성으로 인해 협력적 지식창출 과정 중 갈등을 경험하더라도 회피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해당 학생들은 갈등해소를 위해 충분한 의사소통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지만 해결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받지 못한 점이 아쉬웠다고 응답했다. 또한, 협력학습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 인의 부재로 인해 갈등 관리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했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 협력학습 환경에서 적절한 갈등관리 전략을 도출해내기 위해 구체적인 교수, 학습 전략을 탐색해보았다. 역할 분담의 공평성 제공, 분위기 형성을 위한 학습활동 제시, 갈등관리 교육 설계 등의 전략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갈등관리유형, 공유정신모형, 학습성과에 관한 후속 연구를 통해 이론적 토대가 강화될 필요성이 제시된다.

      • KCI등재

        대학 플립러닝 수업에서 학업적 정서조절과 집단응집성이 학습만족도와 학습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민,연지,박현경,조보람 한국정보교육학회 201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플립러닝 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업적 정서조절과 집단응집성이 학습만족도와 학습흥미 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제해결형 수업모형에 기반하여 플립러닝을 설계하고, 대학수 업에서 9주 동안 33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플립러닝을 실시하였다. 수업후 학업적 정서조절, 집단응집성, 학 습만족도 및 학습흥미도에 관한 설문을 수집하여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대학 플립러닝 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업적 정서조절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집단응집성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플립러닝 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업적 정서조절은 학습 흥미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집단응집성은 학습흥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 플립러닝 수업에서 학습자 특성을 개인적 측면과 집단적 측면으로 나누어 학습만족도와 학습흥미도에 대한 영향 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대학환경에서 성공적인 플립러닝 수업의 설계 및 적용을 위하여 고려해야 할 조건들 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nd group cohesiveness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interest in the flipped learning at the university. In order to examine the purpose, this study applied a problem-solving classroom model to the flipped learning. 33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flipped learning activities for 9 weeks, and the data from them were used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learners’ academic emotion regulation did not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and subjects’ group cohesiveness influenced on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learners’ academic emotion regulation did not affect learning interest, but their group cohesiveness had an impact on learning interest. This research has several implications with regard to suggesting the guidelines and condition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flipped classroom at the university.

      • KCI등재

        초등 SW교육에서 성별에 따른 컴퓨팅 사고력, 창의성, 학습흥미의 차이

        이정민,연지,박현경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초등 SW교육에서 성별에 따른 컴퓨팅 사고력, 창의성, 학습흥미의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효과적인 SW수업 설계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1년간 SW교육을 받은 A초등학교 5학년 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남학생 49명(57%) 및 여학생 37명(43%)으로 구성되었다. 성별에 따른 컴퓨팅 사고력, 창의성, 학습흥미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시행한 결과, 초등학교 SW교육에서 성별에 따라 창의성과 학습흥미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창의성 평균이 더 높았지만,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학습흥미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별에 따른 컴퓨팅 사고력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최근 확산되고 있는 SW교육에서 효과적인 수업의 설계 및 적용을 위하여 성별의 차이를 고려해야 함을 규명하고, 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instructional-learning strategies for designing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investigating gender differences in computational thinking, creativity and academic interest on elementary SW education. 86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d SW education for 4 months, consisting of 49 boys (57%) and 37 girls (43%),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y responded surveys regarding computational thinking, creativity, and academic interest. With the use of independent t-test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vity and academic interest between boys and girls at elementary SW education. The mean of creativity of girls was higher than that of boys. however, the mean of academic interest of males was higher than that of girl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mputational thinking between boys and girl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uccessful SW education class considering gender.

      • KCI등재

        대학환경에서의 소셜러닝 국내 연구 동향 고찰

        이정민,박현경,연지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omestic research trends of social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and find out educational implications with regard to the effectiveness of social learning. The 63 articles on social learning were finally analyzed, which were published in KCI journ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respect of research contents, the research area of utilization and the survey methods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those studies. Secondly, as to the use of SNS, the analyzed studies were centralized on Facebook and Formal Structured Learning. Thirdly, as for the effectiveness of SNS, the experimental studies showed that social learning has an effective impact on the learning outcomes, learning processes,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survey studies most frequently set the independent variables as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as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in terms of verify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ocial learning, and providing the preliminary data to facilitate the performance for the effective social learning. 본 연구는 국내 대학환경에서의 소셜러닝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소셜러닝의 효과성 및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최근 6년간 교육학 분야의 학술지에 게재된 소셜러닝 관련 논문 63편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내용적 측면에서는 2010년 이후 소셜러닝 연구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한 연구영역와 연구방법은 활용영역과 조사연구방법이었다. 둘째, SNS 활용적 측면과 관련하여 매체유형과 활용목적으로는 각각 페이스북과 형식적 소셜러닝(FSL)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SNS 활용 집단 크기의 경우 연구마다 목적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셜러닝의 효과성 측면에서 분석된 실험연구들은 소셜러닝이 학습성과·학습과정·학습자특성 변인에 있어 효과성을 향상시켰다고 밝혔으며, 조사연구들에서는 독립변인으로는 학습자 특성 관련 변인을, 종속변인으로는 만족도, 성취도, 참여도 변인을 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교육환경에서 소셜러닝의 교육적 가치를 확인하고, 효과적인 소셜러닝 수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학습자 중심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영란 ( Young Lan Chung ),이정민 ( Jung Min Lee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科學敎育硏究誌 Vol.34 No.2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 수업이 중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성취 수준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2학년 학생 208명으로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통제집단은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실험집단1은 전통적 강의식 수업과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반씩, 실험집단2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단원은「자극과 반응」단원으로 15차시 수업처치를 하였다. 학업성취도는 검사지를 개발하여 측정하였고, 과학에 대한 태도는 이경훈이 개발한 검사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SPSS 12.0을 이용한 공변량 분석(ANCOVA)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학업 성취도 검사 결과, 학습자 중심의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1).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어느 정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습자 중심 수업을 통한 학업성취도의 향상은 성별과 학업 성취 수준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p>.05).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 결과, 학습자 중심의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1). 수업의 반 정도만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실시해도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학습자 중심의 수업은 학업 성취 수준이 상위인 학생보다 중위와 하위인 학생들이 과학에 대한 태도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다(p<.0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student-centered instruction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and on their attitudes toward science. Participants included 208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e- and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employed. The control group was designed to have traditional instructions while experimental group 1 was applied both student-centered instructions and traditional instructions, and experimental group 2 was applied student-centered instructions only. The chaper of 「Stimulus and Response」was selected for this study, and students were treated for 15 hours. Data were analysed using ANOVA.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centered instru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p<.01). The improvement of achievement through student-centered lesson is neither depending on genders nor previou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Student-centered instruction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p<.01). Only half of the class if a student-centered lessons and improve attitudes toward science could be. The improvement of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through student-centered instruction is not depending on genders. But, student-centered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on the average student and the lower level students than the upper level students.

      • KCI등재

        지체장애 대학생의 운동제약과 해결과제

        이정민,재연 한국체육과학회 2022 한국체육과학회지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ing limiting factors on the necessity of exercise, participation restrictions, and resolution task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using qualitative case study design. Three university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from two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and the oral recordings of the participants were transcribed to the transcribe data. As a result, a total of 3 concepts and 12 subcategories were derived in relation to the necessity of exercise participation, exercise restrictions, and solution tasks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school support and consideration’ should be addressed as a key category due to various exercise restrictions due to ‘lack of exercise exper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to support exercise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 construc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KCI등재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의복 이미지별 선호도

        이정민 ( Jung Min Lee ),성지 ( Sung Jee Chung ),김동건 ( Kim Donggeon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3 패션 비즈니스 Vol.17 No.4

        The study aims to find differences in clothing image preferences according to gender-roleidentity.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was distributed to 533 men and women who aged between 20 and 59. Fourhundred eight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by ANOVA, and Tukey`s test using SPSS 18.0/Windows. As results, both male and female participant groups of the study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ir gender-role identity: masculinity, femininity, androgyny, and the undifferentiated. For men, the masculinity group showed a higher preference for flamboyant, sexy, expressive, cold, mature, hard, strong, weighty, heavy, sharp images, while the femininity group showed a stronger preference for flamboyant, bold, luxurious clothing images. The male androgyny group preferred masculine, sexy, cold, mature, hard, strong, weighty, luxurious, heavy, artificial images, whereas the undifferentiated group preferred flamboyant, sexy and mature images. On the other hand, for women, the masculinity group showed a higher preference for luxurious image, while the femininity group showed a stronger preference for sexy, urban, decorative, modern, complicated, luxurious images. The female androgyny group preferred expressive, modern, mature, complicated, and luxurious images, whereas the undifferentiated group preferred bold, decorative, rational, and complicated clothing imag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