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크리스 마르케의 <태양 없이 Sans Soleil>에 나타난 시간의 재현 방식 연구

        이자혜 한국프랑스학회 2010 한국프랑스학논집 Vol.72 No.-

        영화를 비롯한 동영상은 편집에 의한 공간적 이동 및 시간의 생략 등을 통하여 시 간에 대한 인식을 수반하기 때문에 영화에서의 시간은 항상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다루어져 왔으며, 195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고전영화와 현대영화의 구분 짓는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이 바로 시간의 재현 방식의 차이라는 것 역시 그러한 이유에서일 것이다. 고전영화든 현대영화든 서사가 존재하며, 서사란 기본적으로 시간, 공간, 인과율간 의 상관관계에 의해 형성되는데, 고전영화의 경우 시공간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원인과 결과의 연대기적 배열이 서사의 중심 요소가 된다. 이러한 고전영화의 연대기적 시간의 재현 방식은 현재까지 대부분의 주류 영화 및 드라마, 다큐멘터리에서 일반화 되어있다. 그러나 들뢰즈가 고전영화와 구분하여 새로운 이미지라 일컫는 현대영화의 경우, 시간은 더 이상 연속성의 고리에만 머물지 않는다. 현대영화의 등장은 곧 다양한 방식으로 시간의 재현을 시도한 영화들의 등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현대영화의 효시라 불리는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Néo-réalisme과 프랑스 누벨바그Nouvelle Vague 감독의 작품들은 끊임없이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으며 시간의 재현 방식에 대한 이론적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크리스 마르케Chris Marker는 1950년대부터 현재까지 세계 각지로의 탐사를 통해 우리가 몸담고 있는 세계의 진실을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와의 관계 속에서 밝혀내려는 시도들을 보여준다. 사진, 소설, 멀티 미디어, CD-Rom 작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청각 분야의 모든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그는 연속성을 거부하는 편집 방식과 철학적 시성poésie을 드러내는 나레이션 등을 통해 그만의 독특한 다큐멘터리 형식을 창조하며 “시네 에세이스트ciné-essayiste”라 불리우기도 한다. 1952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그의 수많은 작품들의 주제의식은 일관되게 ‘기억’에 관한 것이다. 초기 작품들에서 그는 전쟁과 테러, 혁명이 지나간 세계 각지를 여행하며, 끊임없는 분쟁과 죽음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이를 망각하고 있는 이 세계의 집단적 기억상실증에 대해 토로한다. 그리고 점차 이러한 망각을 유발하는 기억의 작용에 대한 탐구를 통해 1962년 <환송대La Jetée>를 기점으로 보다 직접적인 시간의 재현을 시도해왔다. 시간과 기억을 이미지를 통해 재현하고자 한 그의 일관된 주제의식과 그만의 독특한 작품 세계로 인하여 1962년부터 『이마쥬 에 송Image et Son』, 『트라픽Trafic』, 『포지티프Positif』 등 프랑스의 영향력 있는 영화 관련 학술지들이 크리스 마르케 특집을 발간한 바 있으며, 최근에는 2007년 『에끌립스Eclipses』의 단행본 발간에 이어 2010년 4월, 영상 서사학 전문 온라인저널 『이미지와 내러티브Image & Narrative』에서 크리스 마르케 특집을 기획할 만큼 전 세계적 영향력을 가진 영화감독이기도 하다. 특히 2008년 EBS 다큐멘터리영화제에 초청 상영된 바 있는 <태양 없이Sans Soleil(1982)>의 경우, 프루스트Proust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A la recherche du temps perdu를 연상시키는 방대한 기억의 보고(寶庫)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시간의 재현방식의 변화는 단지 시간의 재현 그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사유의 문제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크리스 마르케가 <태양 없이>를 통해 어떠한 방식으로 기억-시간을 재현해 냄으로써 사유의 영화를 제시하는가를 ... “Le temps”, au cinéma, est considéré comme un des aspects majeurs pour l’étude de ce dernier, puisque le cinéma est un moyen d’expression qui est inévitablement confronté à la problématique du temps. Il existe à son propos toute une recherche des grands théoriciens du cinéma et de philosophes et naturellement, des cinéastes marqués par cette problématique. Il nous semble que Chris Marker est profondément un cinéaste du temps, suivant le concept deleuzien de “l'image-temps”. Il interroge obstinément notre monde en le confrontant à son passé et en interrogeant son avenir dans un contexte marque par la mémoire et par l’oubli. Chez Chris Marker, la temporalité semble fonctionner d’une façon très singulière. Le présent ne se réfère pas au présent de narration, mais oscille entre passé et futur, pour abolir les strates temporelles conventionnelles du récit. Le temps, chez Chris Marker, apparaît lui-même comme le thème principal de son œuvre. Dans Sans Soleil, Marker construit l'image de la mémoire, en relation avec ses problématiques de l'image même, c'est-à-dire, ‘la production du visible' et la ‘fixation de l'instant fugitif'. Il est vrai que le monde ne peut qu’être filmé et montré sous forme d’image, même si l’image elle- même n’est pas réelle ; elle n’est pas le reflet véridique du monde. Marker voit le monde déjà contaminé par “l’illusion réaliste” de l’image, ce genre d’image étant modelée par le pouvoir, la dictature fait tout pour enseigner l’histoire falsifiée aux hommes pour effacer leur mémoire. Les hommes de ce monde rompus avec leur mémoire sont devenus incapables d’inventer l’avenir. Donc, il fallait charger l’image, c’est-à- dire créer la nouvelle image qui est libérée de “l’illusion réaliste”, et qui peut reconstruire la mémoire du monde. C’est la problématique fondamentale sur l’image même de Marker. Sans Soleil est un film documentaire dans lequel Marker retrace son grand voyage à travers le monde, de l'Afrique au Japon. Dans ce film, pour ressusciter la réalité non–visible aux images qu’il a filmé, Marker propose une façon très singulière de la représentation; le temps non- cronologique, l'espace mêlé par le montage alterné, ou bien latéral et les commentaires implicites. Les images du Japon et celles de l'Afrique qui se croisent sans arrêt par une série de juxtapositions de différentes images, et des mots parlés sont représentées comme des fragments. C'est une création de l'image qui expose le fonctionnement de sa propre mémoire, de l'image qui relève à la fois le présent-actuel et passé -virtuel du temps, comme un concept proprement deleuzien de “l'image- temps”. Enfin, Mafker a créé cette représentation fragmentée qui indique des fragments de son souvenir afin de montrer aux spectateurs pour leur faire retrouver le fonctionnement de la mémoire à leur tour. D'ailleur, il reste encore une questionment à résoudre à Marker. Les moments que Marker a vécus se sont déjà envolés aussitôt qu’ils sont apparus, tout ce qu’il lui reste est sa mémoire de ces instants fugitifs et les images enregistrées. Mais ces images déjà déformées de la vie et du réel, elles-mêmes ne peuvent pas faire revivre cette mémoire en elle. Donc, la question apparaît; comment rendre les images capables de ressusciter enfin pour éterniser ‘les instants fugitifs’, un moment deleuzien de “l'actuel présent qui passe”?Marker trouve la réponse dans Sans Soleil grâce à son copain Hayao, d’une certaine façon, Marker lui-même. Il crée un monde qu’il appelle la “Zone” est d'abord celle à remonter le temps qui peut transformer les images du passé pour les rendre à leur présent. Dans la Zone, le temps devient impuissant, l’importance n’est pas la durée mais l’existence. Donc, l’image peut durer infiniment, même l’image de l’instant ...

      • KCI등재후보

        재창조(re-invention)로서의 리메이크 : <현기증>의 계승과 변형으로서의 <환송대>

        이자혜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3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7 No.1

        This paper aimes to show the alternative approach of film remake through the analysi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itchcock’s <Vertigo> and its remake <La Jetée> by Chris Marker, by examining its distinction from a common way of film remakes, sharing of storyline. Marker interprets <Vertigo> as ‘the vertigo of time’-through his ingenious reading-and re-invents it as a new film with a whole other story structure. For this, Marker conjugates ‘the spiral image’, the visual motive of ‘the vertigo of time’ similarly, but differently. He also expands the temporality of <Vertiog> to the future and to the time undefinable and creates the revival of infinite scissions of time and characters who live in time. Marker accomplishes the core time-image, the Deleuzien notion of ‘the cinema of the brain’ by implementing crystalline, regime. Enfin, We can consider <La Jetée> as re-invention which changes the quality itself of image, from movement-image to time-image by reflecting upon the problematics of relation between memory and time in <Vertigo>. 이 논문은 히치콕 감독의 <현기증>과 이 영화의 리메이크인 크리스 마커 감독의 <환송대>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스토리라인을 공유하는 일반적인 리메이크와의 차별성을 고찰함으로써 영화에서의 리메이크의 대안적 방식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커는 <현기증>에 대한 독창적인 독해를 통해 이를 과거와 현재 사이의 ‘시간에 대한 현기증’이라 해석하고, 전혀 다른 이야기구조를 지닌 새로운 영화로 재창조 한다. 이를 위해 마커는 <현기증>의 시각적 모티브인 ‘나선형 이미지’를 유사한 의미로, 그러나 다르게 변주시키고, 과거와 현재로 이중화된 <현기증>의 시간을 미래로, 또 정의할 수 없는 ‘시간의 외부’로 확장시켜 시간과 그 시간 안에 내재되어 거주하는 인물의 무한한 분열을 창조해낸다. 또한 <현기증>이 아직 의존하고 있는 운동-이미지의 유기적 체계로부터 벗어나 결정체적 체계를 구현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시간-이미지, 사유의 영화를 완성하고 있다. 마커의 리메이크는 <현기증>의 인물들의 기억과 시간의 문제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스토리, 인물의 변화를 넘어서는 이미지의 속성 자체를 바꾸는 재창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쇼아(Shoah)>를 통해 고찰한 다큐멘터리에서의 은유의 활용

        이자혜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6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Since Aristotle defined the metaphor, the way in which metaphors are understood in cinema has traditionally been done in terms of rhetoric.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the production of metaphorical meaning in documentary, which has been located in the marginal part of the discussion of metaphor, based on the Deleuzian concept of metaphor, and analyzes Holocaust documentary <Shoah> as an example. The Holocaust has become a paradigm of modern tragedies as well as a means of cultural transmission in various forms as a giant metaphor. In the case of documentaries based on the Holocaust, they have been reproduced based on linguistic metaphors and metonymies. On the other hand, Landzman has a perception of the impossibility of representing the Holocaust, through <Shoah>, he avoids the existing representation - the way to convey a central story and theme using recorded images, interviews, and narration as evidence - and implements the Deuleuzian concept of metaphor as a style. 영화에서 은유를 이해하는 방식은 언어적 은유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져왔다. 본 연구는 들뢰즈의 은유의 개념을 바탕으로 영화에서의 은유의 논의에서 주변부에 위치해 온 다큐멘터리에서의 은유적 의미 생성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그 사례로서 홀로코스트 다큐멘터리 <쇼아>를 분석했다. 홀로코스트는 현대 비극의 패러다임으로서 뿐 아니라 하나의 거대한 은유로서 다양한 형태의 문화적 전달을 위한 수단이 되어 왔으며, 이를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들의 경우에도 언어적 은유와 환유를 기반으로 한 재현을 이어왔다. 반면, 란츠만은 홀로코스트를 재현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하고 <쇼아>를 통해 기존의 재현이 가진 문제점, 즉 증거로서의 기록 영상과 인터뷰, 나레이션을 사용하여 단일한 주제의식과 중심적인 이야기를 전달하는 방식을 지양하고 들뢰즈가 제시하는 ‘문체로서의 은유’를 구현하고 있다.

      • KCI등재

        초등 수학 영재 학생의 개방형 문제 생성 능력과 메타인지에 관한 연구

        이자혜,김민경 한국영재교육학회 2019 영재와 영재교육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문제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영재 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메타인지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영재 학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개방형 문제 생성 과정에서 메타인지 과정, 개방형 문제 생성 능력 수준에 따른 메타인지 과정의 사례, 개방형 문제 생성 능력 수준과 메타인지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2016년 A지역교육청 영재교육원 수학분야에 재학 중인 6학년 학생 19명이며, 자료의 수집은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이 생성한 문제를 분석하여 해결가능성, 개방성, 복잡성, 유의미성을 하위 항목으로 개방형 문제 생성 능력을 측정하고, 메타인지는 학생들의 행동 사례를 참고하여 코드를 진술하는 방식으로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개방형 문제 생성 과정에서 영재 학생들은 다양한 메타인지 과정을 나타냈고, 개방형 문제 생성 능력 수준에 따라 메타인지 경로가 한 가지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개방형 문제 생성 능력이 우수한 학생들은 인식(A), 평가(E), 조절(R)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 경우 시행착오가 적었다. 또한 문제 생성의 초기 단계에서는 인식(A)과 평가(E) 기능이, 후기 단계에서는 조절(R)과 평가(E) 기능이 주로 사용되어, 학생들이 문제를 착안할 때와 정교화 할 때 사용하는 메타인지에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개방형 문제 생성 능력 수준에 따른 메타인지 과정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문제 생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메타인지 기능의 역할을 확인한 결과 인식(A)이 활성화되는 시기와 이해의 깊이가 문제 생성에 영향을 끼쳤고, 평가(E) 기능의 출연 여부와 기준의 적합성에 따라 문제의 질(質)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조절(R) 기능이 너무 빈번하게 출연하는 경우 충분한 사고를 저해하여 문제의 질을 낮출 가능성이 있음이 파악되었다.

      • KCI등재

        A Korean boy with atypical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confirmed by an unpublished mutation of ABCD1

        자혜,이건수,김구환,유한욱,임한혁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4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7 No.9

        X-linked adrenoleukodystrophy (X-ALD) is a rare peroxisomal disorder, that is rapidly progressive,neurodegenerative, and recessive, and characteristically primary affects the central nervous systemwhite matter and the adrenal cortex. X-ALD is diagnosed basaed on clinical, radiological, andser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elevated plasma levels of very long chain fatty acids (VLCFA), suchas C24:0 and C26:0, and high C24:0/C22:0 and C26:0/C22:0 ratios. These tests are complementedwith genetic analyses. A 7.5-year-old boy was admitted to Department of Pediatrics, Chungnam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ith progressive weakness of the bilateral lower extremities. Brainmagnetic resonance imaging confirmed clinically suspected ALD. A low dose adrenocorticotropichormone stimulation test revealed parital adrenal insufficiency. His fasting plasma levels of VLCFAshowed that his C24:0/C22:0 and C26:0/C22:0 ratio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to 1.609 (normal,0–1.390) and 0.075 (normal, 0–0.023), respectively.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peripheralwhole blood samples collected from the patient and his family. All exons of ABCD1 gene were amplified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using specific primers. Amplified PCR products were sequencedusing the same primer pairs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We identified a missensemutation (p.Arg163Leu) in the ABCD1 gene of the proband caused by the nucleotide change 488G>Tin exon 1. His asymptomatic mother carried the same mutation. We have reported an unpublishedmutation in the ABCD1 gene in a patient with X-ALD, who showed increased ratio of C24:0/C22:0 andC26:0/C22:0, despite a normal VLCFA concentrations.

      • KCI등재

        청허 휴정의 수행관에 나타난 불성 인식

        김윤경(자혜),서왕모 한국불교학회 2020 韓國佛敎學 Vol.94 No.-

        In this paper, I reviewed Cheongheo Hyujeong’s views on ‘idealism’ and ‘the emptiness of prajñā’, which says ‘Mind is the Buddha (心卽佛)’. Cheongheo Hyujeong’s view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concepts that ‘the mind of sentient beings and the Buddha are One’ and ‘The middle path is the Buddha-nature (中道卽佛 性)’. I studied Cheongheo Hyujeong's views on Buddha-hood and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practice and his concept of Buddha-hood. His understanding of Buddha-nature can be grasped by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emptiness and the middle path.’ Cheongheo combined the One Mind (一心) concept in the Dàshèng qǐxìn lùn (大乘起信論) with his own concept of One Mind in order to interpret the dual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mind and the deluded mind in terms of equality and the concept that they are ‘neither the same nor different (不一不異)’ to form his understanding of Buddha-hood. Master Cheongheo uses the image of ‘one circle’ (一圓相) to represent the ‘one-thing’ (一物). It is Cheongheo’s view that we must grasp the character of Buddhahood as being ‘the middle path that incorporates discrimination and confrontation’. In addition, he considers the everyday aspect of mind to be buddha-nature and recognizes that the mind is inherently empty. As the dual and vain mind empty, it looks like a Buddha. So we are inclined to cling to the Buddha and discriminate that sentient being is empty. In order to transcend this discriminating and dichotomous thinking (buddha 佛=enlightenment 覺, sentient beings 衆⽣=delusion 妄), we emphasize the middle path of existence and nonexistence (中道佛性) which negates the neither empty nor not empty (⾮有⾮無). The core of Cheongheo’s meditation practice was to understand Buddha-nature and realize the middle path. The essence of his practice was to pursue and maintain the inconceivable wisdom of spiritual awareness (靈知之心), where everything has insight into emptiness. To do this he practiced the middle path of ‘cultivation and non-cultivation (⾮修⾮不修)’, which can only be done without the stain of delusion. Then the realization of buddha-nature appears as a result. In addition, the Juingong (主⼈公 oneʼs original nature) is a koan as a personification of Buddhahood. This is the Seon method to confirm the working of buddha-nature in the practice of walking, standing, sitting, and lying down (⾏住坐臥) in Seon(Zen). Therefore, he emphasized the practice of chanting Seon. Chanting Seon associates mind and speech which brings about the oneness of our mind and the buddha-mind.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practice is to experience the awareness that one’s relationship with the Buddha is one of unity; not duality. Cheongheo emphasized that the inconceivable wisdom of spiritual awareness (靈知之心), reflecting on one’s original nature (返照) and chanting Seon are a focal point for all of us to reclaim our inherent Buddha-nature. 본 논문에서는 ‘심즉불(心卽佛)’이라는 중생과 부처를 일심에 귀결시키는 유심론과 반야공성에 입각한 ‘중도즉불성(中道卽佛性)’이라는 입장에서 청허 휴정(淸虛休 靜, 1520~1604)의 불성에 대한 관점을 해석하고 그의 수행법과 불성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청허의 불성에 대한 이해는 공(空)과 중도에 의해 파악된다. 그는 『대승기신론』의 일심구조를 원용하여 본원심과 무명심의 이중관계를 평등성과 불일불이(不一不異)의 관계로 해석하면서 불성을 이해한다. 그리고 청허는 일물을 일원상(一 圓相)이라는 형상으로 나타내면서도 반대로 상(相)을 부정하여 공의 본질을 파악한다. 일물에 담긴 함의는 긍정과 부정, 유무 등 분별대립을 통합한 중도의 성격을띤 불성을 드러내고자 함이다. 그는 심즉불의 일상적인 측면을 중시하면서 마음은 허망하여 공한 것으로 인식한다. 이중적이고 허망한 그 마음은 공하여 부처와 같은데 우리는 부처에 집착하고 중생은 허망하다고 분별한다. 이에 청허는 부처=각(覺), 중생=망(妄)이라는 분별된 사고를 초월하기 위해 두 측면을 모두 부정하는 비유비무(非有非無)로서의 중도불성을 강조한다. 청허의 수행관의 핵심은 불성을 이해하고 자각하여 중도행(中道行)을 실천하는것이다. 그의 수행요체는 모든 것이 공함을 통찰하는 영지지심(靈知之心)을 지키는것이다. 이 영지지심의 수행은 자신의 본성이 번뇌에 물들지 않게만 하면 되는 것으로서 ‘비수비불수(非修非不修)’의 중도적 수행이다. 수행법에 있어서 화두공안인 주인공은 불성을 인격화한 것이며 행주좌와의 모든 수행에서 불성의 작용을 확인하기 위한 선법이다. 또한 청허는 부처와 자기의 마음을 일치시키는 심구상응(心口相 應)의 염불선을 주장한다. 영지지심, 주인공 반조, 심구상응의 염불선을 통해 본그의 주안점은 부처와 나의 관계가 둘이 아니라는 이치를 체험하고 우리 모두가돌아가야 할 귀의처를 불성으로 보고 있다는 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