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성화고 학생의 차별 경험과 학교만족도 관계에서 교사관계와 정신건강의 이중매개효과

        이자형(Jahyeong Lee),임혜정(Hyejung Lim)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2

        본 연구에서는 부산교육종단연구 3차년도(2018) 자료를 이용하여 특성화고 재학생들의 차별 경험이 교사관계, 정신건강 문제를 매개로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차별 경험은 교사관계와 학교만족도 각각에 대해 부적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교내에서 차별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일수록 우호적인 교사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학교만족도 수준도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차별 경험은 교사관계를 매개로 학교만족도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드러냈다. 즉 차별 경험을 많이 한 학생일수록 교사관계가 양호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학교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차별 경험이 교사관계 및 정신건강을 매개로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여주는 이중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학생들이 차별 경험이 많을수록 교사와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형성하게 하며 이러한 긍정적이지 못한 교사관계가 학생들의 정신건강 문제를 심화시켜 결과적으로 학교만족도도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존중 학교 문화 조성 및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차별 경험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Drawing on the 3rd wave data from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in 2018,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on school satisfaction through teacher relationships and mental health.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both teacher relations and school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students who experienced discrimination at school are not only unable to form friendly teacher relationships, but also are less satisfied with school. Secondly,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hav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school satisfaction through teacher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the more students who experienced discrimination, the worse the teacher relationship and the lower school satisfaction may be. Thirdly, as a result of dual mediation effect analysis, teacher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nd school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more students experience discrimination, the more negatively they form their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and these undesirable teacher relationships weaken the mental health of the students, which reduces schoo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student discrimination issues are discussed, focusing on the creation of a school culture that respects students and the role of teachers.

      • KCI등재

        고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영향요인 분석-부산지역 다문화교육 및 관련 정책학교 효과를 중심으로-

        이자형 ( Lee Jahyeong ),이기혜 ( Yi Kihy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66 No.2

        본 연구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제1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해 보았다.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생 수준에서는 여학생인 경우에, 비양친 가정인 경우에 다문화 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독서시간이 많을수록, 자존감이 높을수록, 공감 및 배려성향이 강할수록 다문화 수용성도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무엇보다도 교내 다문화교육 경험은 고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도 판명 되었다. 한편 학교 수준에서는 학교평균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학교일수록 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이 높아질 개연성이 확인되었으며 다문화교육 관련 정책사업 학교에 재학하는 것도 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학교 차원에서 다문화교육이 내실 있게 진행될 수 있는 제반 여건을 조성하고 효과적인 다문화교육 정책학교의 프로그램을 공유하고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Drawing from the first wave data collected in 2016 by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is study investigates determinant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in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analysis show that for high school students, girls show a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an boys, while students from single-parent family display a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an those from two-parent families. In addition, students with active participation in reading, a higher level of self-esteem and empathy exhibit a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bove all, students’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positively related with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mong school-level factors, schools with higher mean academic achievement show a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schools also demonstrate that they are effective in increasing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ased on the abov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are discussed.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고등학교 교사의 학습공동체 활동, ICT활용능력, 교사소진 및 교직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부산지역 고교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이자형(Jahyeong Lee) 한국직업교육학회 2022 職業 敎育 硏究 Vol.41 No.5

        본 연구에서는 부산교육종단연구 5차년도(2020) 교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코로나19 이후 교사들의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ICT 활용 능력, 교사소진 요인들을 중심으로 교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재직하고 있는 고교 유형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에 따른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시기에 교내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정도가 강할수록, 교사소진이 적을수록, ICT활용능력이 높을수록 교직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교사학습 공동체 활동 정도가 강할수록 교사들의 ICT활용능력이 더 높아지는 반면 교사소진은 낮아지는 것으로도 확인되었으며 ICT활용능력은 교사소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정도는 ICT활용능력 및 교사소진을 매개로 교직만족도에 간접효과도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정도가 강할수록 ICT활용능력이 좋아지고 이를 통해 교직만족도가 향상되는 한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정도가 강할수록 교사소진은 낮아져 이를 매개로 교직만족도가 올라가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셋째, 재직하고 있는 고교 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특성화고등학교에 재직하는 교사 집단에서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정도가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일반고등학교에 재직하는 교사 집단에서보다도 더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코로나19와 같은 교육 대혼란의 시기에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교직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Drawing on the fifth wave teacher data from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in 2020,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high school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ICT utilization ability, teacher burnout,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the period of COVID-19. It also finds out how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vary by types of high schoo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onger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y in the school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 less the teacher burnout and the higher the ICT use ability, the higher teachers’ job satisfaction as well. In addition,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stronger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y, the higher the teachers’ ICT use ability, while the teacher burnout decrease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y exerts an indirect effect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via ICT utilization ability and teacher burnout. Third,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high school type,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y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greater in the teacher group at vocational high schools than in the group of teachers at general high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abov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ers’ job satisfaction were suggested, highlighting the role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in the era of educational crisis such as COVID-19.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평준화지역 일반고 학생 배정방식 및 관련 쟁점 탐구

        이자형 ( Jahyeong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6 중등교육연구 Vol.64 No.3

        본 연구는 학교선택제 도입이후 교육계의 주요 현안으로 떠오른 평준화지역 일반고 학생 배정방식을 살펴보고 이를 둘러싼 쟁점 및 대안들을 점검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주요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7년 전국 17개 시·도별 평준화지역 일반고 배정방식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지원 학생의 학교선호도, 성적, 통학 시간 등의 고려 여부 등에 따라 대략 5가지로 유형화해 볼 수 있었다. 둘째, 고교배정방식을 둘러싼 주요 쟁점들로는 ‘쏠림현상 및 학교서열화 문제’, ‘교육격차 심화 및 계층편향적 선택권 발휘 문제’, ‘일반고 후기배정의 불공정성 및 일반고 슬럼화 문제’, ‘일반고 위기 속 교육력 저하 문제’ 등이 파악되었다. 셋째,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시·도교육청을 중심으로 성적균등배정제로의 개편, 고교 입학전형시기의 개편, 고교체제의 개편 등이 추진 또는 논의 중인 것으로 확인 되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중심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해 보았다. Especially focusing on educational issues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highschool choice policy since 2010,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general high school allocation systems in Educational Equalized Area(EEA) and their recent changes.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017 general high school allocation systems in EEA of 17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in South Korea were broadly categorized into 5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types with or without consideration of school preference, students`` academic records and commuting time. Secondly, key educational issues surrounding current school allocation systems were related to ``the gaps between more preferred schools and less preferred school``, ``school stratification``, ``lowering educational competitiveness of general highschool`` and so on. Finally,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recent changes in general high school allocation systems in Educational Equalized Area(EEA) and their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부산지역 혁신교육지구 사업 운영 경험에 관한 질적 탐색 : 2018년 지정 5개 다행복교육지구를 중심으로

        이자형 ( Lee Jahye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부산지역 5개 다행복교육지구 업무담당자 및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다행복교육지구 사업 운영 경험을 탐색하여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질적 면담분석을 통해 도출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행복교육지구 사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실마리와 걸림돌 차원에서 다음과 같이 유형화될 수 있었다. 먼저, 다행복교육지구 사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실마리 차원에서 면담참여자들은 다행복교육지구를 통해 ‘교과서에서 삶 속으로’, ‘교육 소외에서 교육 기회로’, ‘학교 밖 교육활동, 부담에서 보람으로’, ‘교사의 일터에서 아이들이 사는 곳으로’, ‘마을주민들이 관찰자에서 참여자로’, ‘교사공동체 활동이 학교 안에서 학교 밖까지’, ‘서로가 닫힌 문에서 열린 문으로’의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에, 다행복교육지구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할 수 있는 걸림돌은 “안돼도 뭐라는 사람 없고 잘돼도 뭐..”, “교육은 누가 해야하는 것인가”, “기존에 구청에서 하고 있던 교육사업들을 굳이...”, “굳이 같이 앉아있어도 서로가 불편하게..”, “교사들보다 훨씬 뛰어나다는 보장만 있다면..”, “논의하기보다는 내 학교, 내 기관의 이익을 위해서”, “다행복교육지구 사업 이외의 업무들이 있다 보니까” 등의 경험담 속에서 묘사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다행복교육지구 사업의 조직 및 지원체제 재정비 차원, 민관학 거버넌스 구축 차원 및 프로그램 운영 차원에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해 보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implications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the Dahaengbok Education Districts Project(DEDP) in Busan, targeting its supporting center staff and participants. Key findings of derived through qualitative interview analysi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in terms of ‘clues’ and ‘obstacles’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DEDP. First, in terms of ‘clues’ about the sustainability of the DEDP, the interviewees were found to have experienced the positive changes such as 'from textbooks to life', 'from education alienation to education opportunities', 'educational activities outside of school, from burdensome to rewarding', 'from a teacher's workplace to the place where children live', 'villagers from observers to participants', 'teacher community activities from inside school to outside school', 'from a closed door to an open door' and so on. Meanwhile, obstacles that could threaten the sustainability of DEDP were portrayed in these stories such as "no one says anything even if it's okay, or not..", "who should do the education?", “why together? the educational projects previously done in our district office by itself...”, “even if we sit together, we feel uncomfortable each other...”, “as long as there is a guarantee that they are far superior to school teachers…”, “for the benefit of my school and my institution rather than discussing.”, “because there are other tasks to do besides the DEDP” and so on.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hree aspects: reorganization of the DEDP organization and support system, establishment of public-private-school governance, and program operation.

      • KCI등재

        청소년의 정신건강 변화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 분석: 교육경험 및 학교 요인을 중심으로

        이자형(Lee, Jahyeong),이기혜(Yi, Kihye)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3

        본 연구는 부산교육종단연구 1~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우울과 불안을 중심으로 청소년의 정신건강이 어떤 양상으로 변화하고,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다층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소년의 정신건강수준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점차 낮아지는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중, 고등학생 정신건강 초기치와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확인되었다. 첫째, 중학교 1학년 시기와 고등학교 1학년 시기 모두 여학생인 경우, 수면시간이 부족할수록, 휴대전화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반소속감이 낮을수록, 교내 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시험 스트레스가 심할수록, 부모와의 관계가 덜 친밀할수록 정신건강점수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외에 중학교 1학년 시기에는 취미 및 여가시간이 적을수록, 학교만족도가 낮을수록, 학업성취수준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이 더 취약할 가능성이 커지며 고등학교 1학년 시기에는 친구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학교 및 학원 숙제 시간이 적을수록, 학교가 서부산에 소재하는 경우에 정신건강점수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이 경과하면서 중학생의 경우에는 서부산 소재 학교에 재학하는 경우, 반소속감이 적을수록, 교내 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시험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교사관계가 좋을수록 우울 및 불안이 심화되는 속도가 더 빨라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남학생인 경우에, 시험 스트레스가 심할수록 시간이 경과하면서 정신건강이 약화되는 속도가 더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교육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with a focus on depression and anxiety, using data from the first to third year of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BELS). The results of the multilevel growth model analysi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at their level of mental health gradually decreased as the grade increased. In addition, the following factors were identified as key factors influencing the initial and change rates of mental health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irstly, in both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mental health scores were lower when sleeping time was shorter, mobile phone usage time was longer, experience of school discrimination was higher, relationship with parents was weaker or in case of female students. Second, it was found in middle school students that the less sense of class belongings, the mor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school, the more test stress, and the better relationship with teachers, or attending schools in a disadvantaged area, the faster the rate of depression and anxiety was increased over time. Third, in the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the decrease in mental health over time was faster when the stress of the test was high or mal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ducational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romotion of mental health for adolesc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습자중심수업이 학습 동기, 학교행복감을 매개로 고등학생의 창의적 사고역량과 자기관리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분석

        신윤범(Yunbeom Shin),이자형(Jahyeong Lee),원효헌(Hyoheon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중심수업이 학습 동기, 학교행복감을 매개로 고등학생의 창의적 사고역량과 자기관리역량에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전후와 COVID-19 전후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 1차 2,307명, 4차 2,338명, 5차 2,344명의 고등학생 데이터를 대상으로 Amos 22.0을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및 SPSS 25.0을 활용한 기술통계, 차이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은 매개변수가 2개로 각 경로의 영향력 검증을 위해 팬텀변수를 활용한 매개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전후 차이 분석 결과, 개정 교육과정 적용 후 고1(2019) 학생들이 적용 이전 고1(2016) 학생들보다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을 보였다. COVID-19 전후 분석에서는 코로나 이전(2019년 고1)보다 코로나 이후(2020년 고2)에 자기관리역량은 상승, 학습자중심수업은 하락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변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연구모형의 매개경로를 검증한 결과 학습자중심수업과 창의적 사고역량에서 학습 동기와 학교행복감은 모든 연차에서 완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학습자중심수업과 자기관리역량에서는 4차년도는 완전매개효과, 1차와 5차년도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COVID-19 이후에는 모든 매개경로의 영향력이 COVID-19 이전보다 일괄적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 및 COVID-19의 영향력과 고교 현장에서의 학습 동기 및 학교행복감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learner-centered classes on creative thinking and self-management competencies through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happiness was compared and analyzed,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before and after COVID-19. Methods To this e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difference analysis were conducted on high school student data in the 1st, 4th, and 5th years of the BELS(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and mediating path analysis using phantom variable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two parameter paths, respectively.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igh school students (2019)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all variables 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 (2016) before the application. In the pre- and post-COVID-19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elf-management competency increased and learner-centered classes decreased after COVID (2020 high school 2) compared to before COVID (2019 high school 1),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emaining variables. Nex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path of the research model,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happiness in learner-centered classes and creative thinking competencies were found to have complete mediating effects in all years, an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learner-centered classes and self-management competencies. In particular, after COVID-19, the influence of all mediated route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before COVID-19.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COVID-19, the importance of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happiness in the high school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