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농경지에 발생하는 잡초 현황

        이인용,오영주,박중수,홍선희,최준근,허수정,김은정,이채영,박기웅,조승현,권오도,임일빈,김상국,성덕경,정영재,김창석,이정란,서현아,장형목,김진원,Lee, In-Yong,Oh, Young-Ju,Park, Jung-Soo,Hong, Sun-Hee,Choi, Jun-Keun,Heo, Su-Jeoung,Kim, Eun Jeong,Lee, Chae-Young,Park 한국잡초학회 한국잔디학회 2017 Weed & Turfgrass Science Vol.6 No.2

        2013년부터 3년동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과 도 농업기술원, 농과대학, 연구기관 등 11개 기관이 전국 규모로 논, 밭, 과원 그리고 목초지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농경지에 발생하는 잡초는 81과 619종이다. 이들 잡초는 논에는 28과 90종, 밭에는 50과 375종, 과수원에는 63과 492종, 목초지에는 52과 275종이다. 이들 잡초를 과별로 분류하면, 국화과 96종(15.5%), 화본과 81종(13.1%), 마디풀과 39종(6.3%), 두과 34종(5.5%), 사초과 32종(5.2%), 십자화과 27종(4.3%), 꿀풀과 24종(3.9%), 장미과 21종(3.4%), 현삼과 19종(3.1%), 메꽃과 15종(2.4%)으로 상위 10과가 388종으로 전체의 62.7%를 점유하고 있다. 또 계절별에 구분하면, 동계잡초는 65과 477종, 하계잡초는 72과 526종이다. 주요 우점잡초는 바랭이, 쇠비름, 깨풀, 흰명아주, 돌피 순이었다. 생활형으로 구분하면, 다년생잡초가 308종으로 전체의 49.8%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일년생잡초가 209종(33.8%), 그리고 동계 일년생잡초가 102종(16.4%)이었다. 외래잡초는 28과 166종으로 흰명주, 망초, 개비름, 미국가막사리, 토끼풀 등이 우점하였다. 2000~2004년 농경지 잡초조사에서는 68과 433종으로 10여년만에 13과 186종이 증가하였다. 이는 잡초방제법 변화에 따른 제초제 저항성잡초 증가와 같은 발생잡초 변동과 조사방법 차이 등의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nationwide weed survey was conducted in arable land, paddy field, upland, orchard and pasture, over whole country of Korea during 3 years from 2013 to 2015. Also, these survey were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a change of weed community and to identify a major dominant weed species, and problem weeds. Weeds of arable land were composed of 619 species belonging to 81 families. Weeds occurred in paddy field were 90 species belonging to 28 families, upland weeds were 375 species of 50 families, orchard weeds were 492 species of 63 families and pasture weeds 275 species of 52 families. Among total 81 families, the Asteraceae (15.5%) was the biggest family, followed by Poaceae (13.1%), Fabaceae (5.5%), Cyperaceae (5.2%), Polygonaceae (6.3%), respectively. And these weed species were composed of annual weeds of 209 species (33.8%), winter annual of 102 species (16.4%) and perennial weeds of 308 species (49.8%). Exotic weeds naturalized in Korea were investigated as 166 species. Weed flora in Korean cultivation area have been increased as much as 13 families and 186 species for 10 years compared to 2000~2004 weed survey result of 68 families and 433 species. The increment could be resulted from the change of weed population such as increase of the herbicide-resistant and the difference of investigation method.

      • KCI등재

        우리나라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 현황과 군락 변화

        이인용(In-Yong Lee),오영주(Young-Ju Oh),홍선희(Sun-Hee Hong),허수정(Su-Jeoung Heo),이채영(Chae-Young Lee),박기웅(Kee Woong Park),조승현(Seng-Hyun Cho),권오도(Oh-Do Kwon),임일빈(Il-Bin Im),김상국(Sang-Kuk Kim),성덕경(Deok-Gyeong Seong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17 Weed & Turfgrass Science Vol.6 No.1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등을 재배하는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를 조사하여 과수원 문제잡초의 현황을 파악하고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5년에 전국을 11개 권역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는 63과 492종으로 국화과 86종, 화본과 63종, 두과 29종, 사초과 23종, 마디풀과 22종 등의 순이었다. 이들 잡초를 생활형으로 구분하면, 일년생 159종, 동계 일년생 97종, 다년생 236종이었다. 과수원별 발생잡초를 보면, 사과밭에는 50과 306종, 배밭에는 50과 304종, 포도밭에는 50과 286종, 복숭아밭에는 48과 288종이 발생되었다. 우점잡초로는 바랭이, 쑥, 쇠별꽃, 닭의장풀, 깨풀 등이었다. 외래잡초는 127종으로 전체의 25.8%이었고, 토끼풀, 망초, 흰명아주, 서양민들레, 소리쟁이 순으로 발생이 많았다. 30년간의 잡초군락 변화를 보면, 1990년에는 바랭이, 여뀌, 쇠비름 등이 우점하였으나, 2003년에는 바랭이, 깨풀, 쑥 등으로 변하였다. 2015년에는 바랭이, 쑥, 쇠별꽃 등으로 크게 변하지는 않았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occurrence of weed flora in orchard (apple, grape, peach, pear etc.) fields and to the establishment of weed control basic data in these weeds. And this study was survey on 2015. As a result of the study on orchard weeds, there were total of 492 weeds including 63 families. Among all the weeds, 159 species were annual, 97 species were winter annual and 236 were perennial. Each fruit tree patterns of occurrence weeds, 306 species 50 families in apple orchard, 304 species 50 families in pear orchard, 286 species 50 families in grape orchard, and 288 species 48 families in peach orchard. Dominance was the highest with Digitaria ciliaris followed by Artemisia princeps, Stellaria aquatica, Commelina communis, Acalypha australis etc. in order. And exotics weeds occurred 127 species. Trifolium repens was the highest in importance analysis and the followings were in order of Conyza canadensis, Chenopodium album, Taraxacum offcinale, Rumex crispus etc. Changes in weed vegetation in orchard during 30 years, did not very many changed. In 1990, D. ciliaris, Persicaria hydropiper, Portulaca loeracea were dominant. In 2003, D. ciliaris was the most abundant species, followed by A. australis, A. princeps species. And in 2015, also D. ciliaris was the most dominant, followed by A. princeps, S. aquatica.

      • 주요 광엽잡초 유묘의 형태적 특성을 기초로 한 간이 식별법

        김창석,정영재,이인용,조정래,오세문,박재읍,Kim, Chang-Seok,Chung, Young-Jae,Lee, In-Yong,Cho, Jung-Lai,Oh, Se-Mun,Park, Jae-Eup 한국잡초학회 한국잔디학회 2010 Weed&Turfgrass Science Vol.31 No.4

        농경지에 발생하는 주요 잡초에 대한 유묘기 검색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주요 잡초 60종에 대한 양적, 질적형질을 조사하였다. 잡초 유묘를 동정하는 형질로는 질적형질이 양적형질에 비해 보다 더 유용하였다. 자엽의 형태는 타원형과 광타원형이 가장 많았다. 차풀과 큰메꽃은 자엽의 형태가 넓은 직사각형이었다. 자엽의 형태가 횡광타원형인 초종은 4종이었다. 취명아주 등 22종의 잡초는 자엽의 형태가 1개 이상이었다. 이 중 자엽의 형태가 3가지 이상인 초종은 4종으로서 마디풀과의 참소리쟁이와 여뀌 그리고 대극과의 애기땅빈대와 깨풀이었다. 새팥은 자엽이 지면아래의 종자 속에 남아 있었다. 자엽의 엽두는 원두가 가장 많았다. 자엽의 엽저는 쐐기저가 가장 많았다. 환삼덩굴과 마디풀은 자엽의 엽저가 무엽병저였다. 일부 초종은 제 1본엽기와 제 2본엽기때 본엽의 형태가 각각 상이한 경우도 있었다. 돌콩, 새팥 및 매듭풀은 제 1본엽이 각각 광란형, 심장형, 원형 또는 광도란형이었나 제 2본엽에서는 3초종 모두 3출엽으로 전개되었다. 그리고 자귀풀과 차풀은 제 1, 2본엽의 형태가 우수우상복엽이었다. 본엽의 가장자리는 주로 전연이었으나, 큰도꼬마리를 포함한 6종은 제 1, 2본엽의 엽연이 치상거치였다. 애기땅빈대는 제 1본엽의 엽연이 전연, 제 2본엽의 엽연이 치상거치였다. 명아주과의 흰명아주와 좀명아주의 엽연은 제 1본엽기에는 전연, 제 2본엽기에는 불규칙거치였다. 잡초 유묘 자엽의 양적형질은 질적형질에 비해 종 동정 시 활용도는 떨어지나 초종에 따라서는 매우 유용한 경우도 있었다. 농경지 주요 광엽잡초 유묘에 대한 자엽 및 본엽의 질적 형질을 이용하여 간이 식별법을 제시하였다. 식법법 작성 시 자엽의 형태가 1개 이상인 잡초종에 대해서는 각각의 자엽 형태를 이용하여 종 동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e identification method with major broad leaved weed seedlings. Characteristics of weed seedlings were investigated at two to four true leaf stag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were more useful to identification of weed species than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at the seedling stage. Many species were elliptic and broadly elliptic type in their cotyledon shape. Cotyledon shape of Cassia nomame and Calystegia sepium were broadly oblong. Four species were transverse broadly elliptic in their cotyledon shape. Rumex japonicus, Persicaria hydropiper, Euphorbia supina and Acalypha australis have three or more types in their cotyledon shape. Cotyledons of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remained below ground after its germination. Many species were round in apex and were cuneate in base of cotyledon. Humulus japonicus and Polygonum aviculare were sessile in cotyledon base. The second true leaf shape of some species changed after first leaf stages. Glycine soja, V. angularis var. nipponensis and Kummerowia striata were broadly ovate, heart-shaped, orbicular or broadly obovate in their first true leaf, respectively, but the second true leaf shape of them were tripalmately compound. Aeschynomene indica and Cassia nomame were paripinnately compound leaf in their first and second true leaves. Margin of true leaves were entire in many species but six species including Xanthium occidentale were dentate in their true leaf margins. Margin of Euphorbia supina was entire in first true leaf and dentate in second true leaf. Margin of Chenopodium album and C. serotinum were entire in their first true leaf stage and erose in their second true leaf stage. The key for weed seedling identification of major weed species were made based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 서울 지역의 집먼지진드기의 계절별 서식현황 및 거주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준형 ( Joon Hyung Kim ),최수영 ( Soo Young Choi ),이인용 ( In Young Lee ),이용원 ( Yong Won Lee ),용태순 ( Tai Soon Yong ),김철우 ( Cheol Woo Kim ),송영신 ( Young Sin Song ),박지원 ( Jee Won Park ),김용순 ( Yong Soon Kim ),박중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06 천식 및 알레르기 Vol.26 No.1

        Background: Exposure to aeroallergens is a critical factor for sensitization of allergens and provocation of respiratory allergic symptoms.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infestation of house dust mites in the domestic environment of Seoul and its vicinities and its influences on the health of inhabitants. Method: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April 2000 through January 2001, comprised 63 houses. The dus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bedclothes, bedroom, kitchen, and living room floors by vacuum cleaner in April, July, October, and January. Group 1 major allergen of D. farinae (Der f 1) was measured by two-site ELISA. Specific IgE of enrolled subjects was measured by ELISA. The status of health was evaluated by the questionnaire comprising 5 domains and 26 items. Result: House dust mite (HDM) was detected in 85% houses. Concentration of Der f 1 in the bedclothes dust was highest in October, followed by January, July, and April. The seasonal variation of Der f 1 was prominent in the floor dust. The prevalence of specific IgE to HDM is higher in subjects with high Der f 1 in bedclothes dust (>2μg/g du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eye and nasal symptoms between inhabitants with low (Der f 1<2μg/g dust) and high Der f 1 (Der f 1≥2μg/g dust) group in bedclothes dust. However, in the high Der f 1 group, inhabitants more frequently had complained of the difficulty in breathing at day and night during recent 1 year. Conclusion: Marked seasonal variation of HDM infestation is found in domestic environments of Seoul citizens and exposure to HDM can affect the health of the inhabitants.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6;26:27-34)

      • KCI등재

        주요 광엽잡초 유묘의 형태적 특성을 기초로 한 간이 식별법

        김창석(Chang Seok Kim),정영재(Young Jae Chung),이인용(In-Yong Lee),조정래(Jung-Lai Cho),오세문(Se-Mun Oh),박재읍(Jae-Eup Park) 韓國雜草學會 2010 Weed&Turfgrass Science Vol.30 No.1

        농경지에 발생하는 주요 잡초에 대한 유묘기 검색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주요 잡초 60종에 대한 양적, 질적형질을 조사하였다. 잡초 유묘를 동정하는 형질로는 질적형질이 양적형질에 비해 보다 더 유용하였다. 자엽의 형태는 타원형과 광타원형이 가장 많았다. 차풀과 큰메꽃은 자엽의 형태가 넓은 직사각형이었다. 자엽의 형태가 횡광타원형인 초종은 4종이었다. 취명아주 등 22종의 잡초는 자엽의 형태가 1개 이상이었다. 이 중 자엽의 형태가 3가지 이상인 초종은 4종으로서 마디풀과의 참소리쟁이와 여뀌 그리고 대극과의 애기땅빈대와 깨풀이었다. 새팥은 자엽이 지면아래의 종자 속에 남아 있었다. 자엽의 엽두는 원두가 가장 많았다. 자엽의 엽저는 쐐기저가 가장 많았다. 환삼덩굴과 마디풀은 자엽의 엽저가 무엽병저였다. 일부 초종은 제 1본엽기와 제 2본엽기때 본엽의 형태가 각각 상이한 경우도 있었다. 돌콩, 새팥 및 매듭풀은 제 1본엽이 각각 광란형, 심장형, 원형 또는 광도란형이었나 제 2본엽에서는 3초종 모두 3출엽으로 전개되었다. 그리고 자귀풀과 차풀은 제 1, 2본엽의 형태가 우수우상복엽이었다. 본엽의 가장자리는 주로 전연이었으나, 큰도꼬마리를 포함한 6종은 제 1, 2본엽의 엽연이 치상거치였다. 애기땅빈대는 제 1본엽의 엽연이 전연, 제 2본엽의 엽연이 치상거치였다. 명아주과의 흰명아주와 좀명아주의 엽연은 제 1본엽기에는 전연, 제 2본엽기에는 불규칙거치였다. 잡초 유묘 자엽의 양적형질은 질적형질에 비해 종 동정 시 활용도는 떨어지나 초종에 따라서는 매우 유용한 경우도 있었다. 농경지 주요 광엽잡초 유묘에 대한 자엽 및 본엽의 질적 형질을 이용하여 간이 식별법을 제시하였다. 식법법 작성 시 자엽의 형태가 1개 이상인 잡초종에 대해서는 각각의 자엽 형태를 이용하여 종 동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e identification method with major broad leaved weed seedlings. Characteristics of weed seedlings were investigated at two to four true leaf stag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were more useful to identification of weed species than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at the seedling stage. Many species were elliptic and broadly elliptic type in their cotyledon shape. Cotyledon shape of Cassia nomame and Calystegia sepium were broadly oblong. Four species were transverse broadly elliptic in their cotyledon shape. Rumex japonicus, Persicaria hydropiper, Euphorbia supina and Acalypha australis have three or more types in their cotyledon shape. Cotyledons of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remained below ground after its germination. Many species were round in apex and were cuneate in base of cotyledon. Humulus japonicus and Polygonum aviculare were sessile in cotyledon base. The second true leaf shape of some species changed after first leaf stages. Glycine soja, V. angularis var. nipponensis and Kummerowia striata were broadly ovate, heart-shaped, orbicular or broadly obovate in their first true leaf, respectively, but the second true leaf shape of them were tripalmately compound. Aeschynomene indica and Cassia nomame were paripinnately compound leaf in their first and second true leaves. Margin of true leaves were entire in many species but six species including Xanthium occidentale were dentate in their true leaf margins. Margin of Euphorbia supina was entire in first true leaf and dentate in second true leaf. Margin of Chenopodium album and C. serotinum were entire in their first true leaf stage and erose in their second true leaf stage. The key for weed seedling identification of major weed species were made based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 패치관리시스템의 효율적인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이인용(Lee In-Yong),이수영(Lee Su-Young),문종섭(Moon Jong-Sub),임종인(Lim Jong-In)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08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8 No.-

        컴퓨터가 대중화 되면서 다양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고, 많은 소프트웨어들이 단시간에 개발되어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많은 소프트웨어들에 대한 취약점들이 생겨나게 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 벤더들은 패치를 만들고 배포를 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시스템과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곳에서 일일이 패치를 벤더로부터 만아 대상시스템에 설치하고 관리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으며, 일괄적이고 통합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이런 문제와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패치관리시스템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상용제품들도 하나둘씩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많은 패치관련연구들이 안전한 패치관리시스템 설계나 구성에 관해서만 연구되고 진행되어 왔다. 안전한 패치관리시스템을 설계하거나 구성하기 전에 무엇보다도 우선시 되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인 패치관리시스템 구성요소들을 정의하는 것이며, 이와 관련된 표준이나 연구가 많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패치관리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적이면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을 고려하고 정의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본 패치관리시스템 프레임워크를 설계했다.

      • SCOPUSKCI등재

        한국깔대기거미에 의한 거미물림

        이은 ( Eun Lee ),이인용 ( In Yong Lee ),박현정 ( Hyun Jeong Park ),이준영 ( Jun Young Lee ),조백기 ( Baik Kee Cho ) 대한피부과학회 2008 대한피부과학회지 Vol.46 No.9

        In Korea, a total of 44 families, 217 genus, and 631 species of spiders are reported. However there are no spiders having noxious venom such as Latrodectus sp. or Loxoscles sp. Because of this, there have been no reported serious medical problems due to spider bites in Korea up to now. Paracoelotes spinivulva is a spider belonging to Family Amaurobiidae and Genus Paracoelotes. It is characteristically distributed in Korea and some regions of Japan, China, and Russia. A 46-year-old man presented with two painful, erythematous papules on the left index finger tip. He was bitten by a spider three days prior to the visit. Punch biopsy was done from the bite site. Although spider bites may be relatively common, there is only one official report of a spider bite in Korea. Herein, we report a case of a spider bite by a indigenous spider, Paracoelotes spinivulva. (Korean J Dermatol 2008;46(9):1266~126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