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90년대 장르 창작 - 유통 공간 변화에 따른 창작자 의식 변화 연구

        이융희 대중서사학회 2023 대중서사연구 Vol.29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rough spatial reasoning how the communication spaces of the 90s influenced the identity search of genre creators and further affected the genre conventional styles of Muhyeob-Fantasy. The Korean Muhyeob market, which began by importing and adapting Muhyeob novels from Hong Kong and Taiwan in the 60s, declined in the 80s as it was solely focused on making money in a situation where market order was not properly established. The resurgence of Muhyeob in the Korean market was due to the efforts of “New-Muhyeob” writers, and the ‘Muhyeob’ genre, which was transferred from comic book stores to bookstores, successfully modernized in the spatiotemporal realm of the genre by acquiring an independent meaning in combination with the machismo of the 90s men. The Korean Genre Fantasy that emerged at the same time in the 90s was a kitschy result of a hybrid imitation of fragmented overseas fantasies, not the context of Eastern Fantasy. In the online space where various creative discourses were placed, they replicated the sensibilities of games, comic books, and animations, and focused only on creating their own world in the digital space where there was no foundation. They were suddenly called into the market as authors due to the strides of young and enthusiastic editors, their works were framed as ‘Genre-Munhak’ along with Muhyeob and SF by the other called ‘Sun-Munhak(This is a term referring to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with light genre characteristics)’, and while the Muhyeob, which had been accumulating grammar for over 30 years, formed a primal order so that the figure of Fantasy could be manifested as a sudden ‘modernity’ without experiencing a medieval period, they become past and deconstructed as a result of Fantas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dentity of creators in the creation-distribution space of Fantasy and Muhyeob genres, which explosively transformed in line with the arrival of postmodern consumer society through the 80s,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changing media spaces on narrative and genre conventions. It is significant in paving the way for Webnovel research taking place in a similar structure. 본 연구는 90년대 통신 공간이 장르 창작자들의 정체성 모색과 나아가 무협-판타지라는 관습적 스타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공간적인 사유를 통해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60년대 홍콩・대만의 무협소설을 수입・번안하여 시작된 한국 무협의 시장은 시장 질서가 제대로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그저 돈을 버는 것에만 목적을 둔 나머지 80년대에 쇠락하였다. 한국 시장에서 다시금 무협이 성행하게 된 것은 신무협 작가들의 시도 때문이었고, 만화방이라는 유통 공간에서 서점으로 이양된 ‘무협’ 장르는 90년대 마초적인 남성들의 정념과 결합하며 독자적인 의미를 획득하며 장르의 시공간에서 근대화에 성공하였다. 90년대 동시기에 발흥한 한국 장르판타지는 동양적 환상의 맥락이 아니라 해외의 파편적인 환상을 혼성모방하여 만들어낸 키치의 결과물이었다. 그들은 온라인 공간에서 다양한 창작담론들이 놓여진 상황에서 게임과 만화책, 애니메이션 등의 감성을 복제한 뒤 아무런 기반이 없었던 디지털 공간에서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어내는 것에만 집중하였다. 그들은 젊고 의욕 있는 편집자들의 행보로 인해 갑작스럽게 시장에 작가로 호출되었고, 그들의 작품은 ‘순문학’이란 타자에 의해 무협과 SF 등과 함께 ‘장르문학’으로 틀 지워졌고, 30년 이상 문법을 쌓아온 무협은 판타지라는 형상이 중세의 시기를 겪지 않고 갑작스러운 ‘근대’로서 현현될 수 있도록 근원적 질서를 형성하는 동시에, 판타지라는 결과물로써 과거화되고 해체된다. 본 연구는 80년대를 거치며 포스트모던적 소비대중 사회가 도래할 시기에 맞춰 폭발적으로 변모하였던 판타지와 무협 장르의 창작-유통 공간에서 창작자들의 정체성을 모색하는 한편, 변화하는 매체적 공간이 서사와 장르의 관습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분석함으로써 비슷한 구조에서 이루어지는 웹소설 연구의 토대를 닦는 것에 의의를 둔다.

      • 한국 장르판타지 수용자들의 장르 의식 연구

        이융희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2021 미래문화 Vol.0 No.1

        본 연구는 2021년 웹소설을 비롯한 다양한 서브컬처 문학군에서 호명되는 ‘장르문학Genre literature’이라는 명칭에서 ‘장르’란 고유명의 의미와 범주를 모색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특히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한국에서 약30년 정도의 역사를 지닌 ‘장르판타지’의 개념과 수용자층의 인식 변화이다. 기존 문학장에서 장르문학을 해석하는 방식은 기성 세대에 대한 청년 세대의 반발 또는 IMF를 기점으로 도피와 위안의 ‘사이버 문학’이라는 틀 안에서 이루어져왔고 이러한 해석은 창작과 소비의 주체들이 순수하게 느꼈을쾌락이나 그것을 향유하는 마니아 문화로서의 정체성을 제거해왔다. 그러나 90년대의 장르문학 소비층은 아직 ‘장르’화 되어있지 않은 환상성의 파편들을 직소퍼즐을 수집하는 것처럼 접붙이는 놀이꾼들이었고, 그들이 만들어낸 작품들의 맥락은 서구나 일본의 ‘환상성’들이 가지고 있었던 근현대적 맥락에서 탈락해 오로지 유희를 위한 목적으로 전유된 것이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장르판타지’의 요소들은 현실의 질서에서 벗어난 가상 세계인‘2차 세계Secondary World’ 속 영웅의 모험서사부터 시작하여 2010년대 후반부터 출간된 웹소설에서는 혼합현실Mixed Reality, 또는 현실 그 자체에서 이루어지는 비모험 서사까지를 포괄하는 넓은 테두리를 갖게 되었고, 이것을 하나의 서사적 특질로 정의하기란 무척이나 난해한 작업이 되었다. 특히 장르판타지를 특정 젠더, 즉 남성의 욕망을 대변한 서사로 통칭하는경우까지 나타나고 있는 만큼 ‘장르판타지’의 ‘장르’라는 기호가 과거 문학에서 호명하던 ‘장르’와 동일한 기호인지,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다시금 되새겨보아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까지 ‘장르문학’ 또는 ‘장르 소설’ 등으로 부여된 작품군의 칭호가 왜 생겨났는지, 그를 둘러싼 담론이 무엇인지를 점검하고, 현대에 사용되는 ‘장르’의 의미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수용자층의 인식 변화를 추적하고 향후 장르 개념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전망했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meaning and category of the proper name of 'Genre' in the name of 'Genre-Literature', which is called in various subculture literature groups including web-novels in 2021.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d on the concept of 'Genre-Fantasy', which has a history of about 30 years in Korea, and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audience. The method of interpreting genre-literature in the existing literary field has been made within the framework of 'Cyber-Literature' of escape and comfort from the IMF or the resistance of the younger generation against the older generation, and this interpretation is the pure pleasure that the subjects of creation and consumption would feel. However, it has removed its identity as a culture of maniacs who enjoy it. However, the Genre-literature consumers in the 90s were players who grafted fragments of fantasy that had not yet been 'Genre' as if they were collecting jigsaw puzzles, and the context of the works they created was the modern and contemporary that Western and Japanese 'fantasy' had. It was dropped out of the enemy context and was appropriated solely for the purpose of entertainment. The elements of the 'Genre-fantasy' created in this way, starting with the adventure narrative of the hero in the 'Secondary World', a virtual world that is out of the order of reality, web novels published since the late 2010s, ‘Mixed reality’, or reality itself. It has a wide border that encompasses even non-adventure narratives, and it is very difficult to define it as a narrative characteristic. In particular, as there are cases where genre fantasy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narrative that represents the desires of a specific gender, that is, men, the meaning of the sign of 'Genre' in 'Genre-Fantasy' is the same as that of 'Genre' in the past literature. We need to reconsider what in this study, we examine why the titles of works previously given as 'Genre-Literature' or 'Genre fiction' were created, what the discourse surrounding them was, and how the meaning of 'Genre' used in modern times was formed. Changes in perceptions of the audience were tracked and how the genre concept would change in the future was predicted.

      • 2P-675 마그네슘알루미네이트의 메조 포어 크기 제어

        이융희,최명길,이홍진,서정철,김우현,이규복 한국공업화학회 2017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7 No.1

        마그네슘알루미네이트는 높은 염기도, 화학적 내성, 기계적 강도, 높은 비표면적 등의 특징을 갖는 물질이며 촉매와 촉매 지지체로 사용되고 있다. 주로 마그네슘알루미네이트를 사용하는 촉매 반응으론 리포밍 계열의 촉매 반응이 있으며, 촉매로는 니켈이 자주 사용된다. 니켈은 널리 쓰이는 촉매중 하나이나 고온에서의 sintering, coke formation과 같은 문제를 동반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 중에서도, 메조포러스한 물질을 이용한 nanoconfinement 방법으로 sintering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때 메조 기공의 크기에 따라 니켈의 sintering을 조절 할 수 있으므로 기공 크기 조절이 가능한 지지체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메조포러스 지지체는 고온에서 비표면적이 줄어드는 sintering 문제가 있어 nanoconfinement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촉매 활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고온에서도 안정한 메조포러스 지지체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선 Mg/Al 몰비를 조절하여 고온에서의 마그네슘알루미네이트의 sintering을 제어함으로써 기공크기를 조절하였다.

      • KCI등재

        웹소설 시장 변화에 따른 웹소설 창작자 의식 변화 연구: 웹소설 작법서를 중심으로

        이융희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2 한국문학연구 Vol.- No.70

        The Korean Web Novel market has expanded at a faster rate than any other market in the domestic publishing market, and now has a weight comparable to that of the book publishing market. Thanks to this expansion, research on Web Novel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academia as well, but most of the research on Web Novel has been carried out by transplanting the methodology of modern literature research as it is, and the limitations are also clear. This is because ‘Genre-Munhak’, the origin of Web Novel, has been rejected as a naive and bourgeois text based on fantasy in the research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the foundation for research has not been laid due to the failure to establish proper aesthetics in the process. Because. Web Novel are not a form that was born within the field of modern Korean literature, but have continued the genealogy of ‘Genre-Munhak’ that grew spontaneously in the Internet space with the development of PC communication. was appropriated and created according to a unique creative method. Then, when we look at these Web Novel writing methods, it is thought that we will be able to look into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what Web Novel creators and consumers think of Web Novel and what functions Web Novel writing can do.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is problem, this study syntactically analyzes the Web Novel Writing book published in Korea, and the mentality of how Web Novel creators and educators define Web Novel, and how they signify their work to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wanted to check. 한국 웹소설 시장은 국내 출판 시장에서 그 어떤 시장보다 빠른 속도로 확장되어 이제는 도서 문고본 출판 시장과도 견줄 수 있을 정도의 무게감으로 자리하였다. 이러한 확장에 힘입어 학계에서도 웹소설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는 있지만 대부분의 웹소설 연구는 근대문학 연구의 방법론을 그대로 이식하여 연구하는 경우가 많았고, 한계 역시 뚜렷하였다. 이는 웹소설의 원류인 장르문학은 근현대 한국문학의 연구사에서 환상성을 기반으로 한 나이브하고 부르주아적인 텍스트라며 배척받았고, 그 과정에서 제대로 된 미학을 정립하지 못 한 탓에 연구의 토대가 마련되지 못 했기 때문이다. 웹소설은 근현대 한국문학의 자장 안에서 탄생한 형식이 아니라 PC통신의 발달과 함께 인터넷 공간에서 자생한 장르문학의 계보를 이어온 존재로, 기존의 문학적인 방법론이 아니라 기존의 문학 방법론을 모조리 웹소설 방법론으로 전유해 고유한 창작법에 의거하여 창작되었다. 그렇다면 이러한 웹소설 작법을 톺아볼 때, 우리는 웹소설 창작자와 소비자들이 웹소설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웹소설 쓰기란 무슨 기능을 할 수 있는지 집단의식을 들여다 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국내에 출간된 웹소설 작법서를 통사적으로 분석하여 웹소설 창작자와 교육자는 웹소설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으며, 그들의 작업을 어떻게 의미화하여 스스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지 창작자의 의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 워치 보안 취약점 및 해결 기법에 대한 고찰

        이융희,김현성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JSE) 2015 보안공학연구논문지 Vol.12 No.3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워치에 대한 기술적 현황과 보안 취약점 및 해결책에 대한 연구 현황을 고 찰한다. 먼저 애플, 삼성, 소니 등의 다양한 회사에서 제작된 스마트 워치의 기술적 현황을 운영체제 와 기능 관점에서 분석한다. 특히, 이들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고, 각 취약 점에 대한 보안 해결책들에 대한 기존 연구의 현황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향후 스마트 워치 보안에 관한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remarks on the current technical status, security vulnerabilities, and security solutions on smart watch. First of all, we will review the current technical status on smart watch focused on the operating system and functionalities from various companies including Apple, Samsung, Sony, and so on. Especially, this paper will provide the previous research work analyses on security vulnerabilities by following the classification and security solutions on them. Finally, we will provide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on smart watch security.

      • 주 메모리 DB와 디스크 기반 DB의 단문 전송 서비스 시스템 성능 평가

        이융희(Yoonghee Lee),최기린(Kirin Choi),권근주(Keunjoo Kwon),이주창(Juchang Lee),김기홍(Kihong Kim),차상균(Sang K. Cha)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Ⅰ

        현재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는 이동 통신 부가 서비스를 위해서 자체 개발한 주 메모리 자료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주 메모리 자료 구조는 많은 경우 회복 기능, 동시성 제어 기능 등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DBMS을 이용하여 구현한 것보다 안정성이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통신 부가 서비스의 하나인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주 메모리 DBMS와 디스크 기반 DBMS 위에서 각각 구현하고, 그 성능을 비교한다. 주 메모리 DBMS를 사용하여 구현한 SMS 시스템은 최대 초당 약 1700 메시지를 처리하였고, 디스크 기반 DBMS를 사용하여 구현한 SMS 시스템은 데이터가 완전히 cache된 상태에서 최대 초당 약 80 메시지를 처리하였다. 따라서 주 메모리 DBMS가 디스크 기반 DBMS보다 이동 통신 부가 서비스에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 메타 웹소설 『빅 라이프』, 『포텐 폭발, 김작가!』, 『기획에 산다』를 통해 살핀 웹소설

        이융희(Lee, Yunghee) 한국전자출판학회 2018 전자출판연구 Vol.- No.10

        2013년 1월, 포털사이트 네이버는 자사 포탈에 아마추어 소설 창작자들이 소설을 창작, 개재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 동시에 프로 장르 소설작가들을 섭외해서 연재를 시작한다. 이것이 네이버 웹소설, 나아가서 ‘웹소설’이라는 명칭의 시작이었다. 하지만 웹소설이라는 명칭이 이때 시작되었을 뿐, 웹소설이라는 형태가 탄생한 것은 아니다. 장르 소설의 창작은 약 20년 전부터 PC 통신상에서 이미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고, 이는 인터넷 소설, 통신 소설 등의 이름으로 불렸다. 이러한 장르문학 시장 현황이 변화되는 데에는 스마트폰 개발이 결정적이었다. 스마트폰은 게임, 웹툰 등의 놀이문화 를 흡수했고 웹소설 역시 제외될 리 없었다. 금방 막대한 자본의 시장이 형성되었다. 약 5년 사이, 웹소설은 이제 도서시장의 괴물이 되었다. 사람들은 이 웹소설이 도대체 무엇인지, 어떤 논리 구조와 욕망을 바탕으로 작동하는지 많은 관심을 가졌다. 도서시장, 또는 소설/문학 시장의 희망처럼 포장되거나, 또는 하급 대중문학이 문학의 영역을 망치는 것처럼 매도하기도 했다. 다양한 해석과 규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많은 분석과 비평이 시장 내부의 사람들에게 냉담한 반응만 받았다. 이것은 그저 웹소설을 소비의 대상으로만 바라보는 독자들의 무지나 무관심 때문이 아니었다. 오히려 분석들이 웹소설의 현상만을 훑는데 그쳐, 웹 소설에 대해서 너무 잘 아는 독자들에게 외면 받았기 때문이었다. 웹소설은 주된 서사인 ‘장르문학’과 스마트폰이 라는 매체성, 그리고 소비자들의 소비유형까지 섬세하게 나누어 살펴보아야 한다. 특히 중요한 것은 웹소설이 국내에서 2~3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장르문학의 연속성 안에서 작동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클리셰 코드는 웹소설의 마스터 플롯 구조와 형태에도 큰 영향을 끼치는 만큼 코드적 창작과 코드적 독해를 빼놓고는 웹소설을 이야기하기 어렵다. 본 발제에서는 과연 무엇이 웹소설인지에 대한 정의를 타자화된 시선이 아니라 내부의 목소리에서 찾고자 한다. 장르 소설 창작자가 특별한 능력을 얻게 되어 대작가가 되어 성공하는 서사인 『빅 라이프』와 이것의 웹소설 형태인 『포텐 폭발 김작가』. 그리고 2013년부터 플랫폼의 연재 전략과 연재 방식 등을 회귀를 통해 미리 알고 작업해나가는 웹소설 작가의 이야기 『기획에 산다』를 살펴볼 것이다. 이 세 메타 웹소설 작품에 대한 분석은 단순히 웹소설이라는 것이 어떤 방식으로 작업 되고 어떻게 인식되는가 하는 이해를 넘어서 웹소설 창작-소비 집단에게 웹소설이란 어떤 대상인지 이해하는 실마리가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우선 한국 장르문학 시장에서 판타지 소설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그 맥락을 짧게나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위의 세 작품의 하위분류는 ‘전문가물 판타지 소설’ 정도에 놓을 수 있는데, 이는 장르문학의 하위분류 중 판타지 소설의 클리셰 구조가 변화되어 도달한 분류이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