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통제와 병용한 손 마사지가 말기 암환자의 암성통증 조절에 미치는 효과

        이윤미,윤호순,이성운,김영미,Lee, Yunmi,Yoon, Hosoon,Lee, Sungwoon,Kim, Young Mi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6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9 No.4

        목적: 호스피스 완화의료 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환자가 통증을 호소할 때 진통제만 투여한 경우와 손 마사지를 병행했을 경우 통증감소의 효과를 비교한다. 방법: 단일군 시계열 설계 유사실험 연구로서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에 입원한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통증을 호소할 때 진통제를 투여하고 5분, 10분, 20분, 2시간 후에 각각 통증 점수를 측정하였고, 동일한 대상자가 다시 통증을 호소할 때, 진통제를 투여한 후 손 마사지를 병행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통증점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진통제만 투여한 군과 진통제를 투여한 후 손 마사지를 병행한 군간의 통증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두군 모두 시간이 흐름에 따라 통증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손 마사지를 시행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통증정도가 낮은 경향이 있으므로 말기 암환자에게 손 마사지의 보완적 활용가치를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며, 진통제 사용량에 따른 통증의 차이도 확인 되었으므로 간호사들은 말기 암환자를 위한 진통제 약물요법에 대하여 더 많은 교육과 연구가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 hand massage combined with analgesics on pain control in hospice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Methods: This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single group time series design. The study included 25 terminal cancer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a hospice ward. Each patient's pain level was measured after analgesics use only (control group). When patients complained of pain again, the pain level was assessed after administering a combination of hand massage and analgesics (experimental group). As for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oil hand massage on each hand for 5 minute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s of pain score (F=0.74, P=0.3939). Conclusion: Although the pain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significantly improv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ir pain levels tended to be low to begin with. Thus, a complementary utility value of hand massage cannot be completely excluded in terminal cancer patients. Since the pain level significantly changed according to the dosage of analgesic, nurses need more education and research on analgesic drug therapy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 KCI등재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관한 사례연구

        이윤미 ( Lee¸ Yunmi ),박승배 ( Park¸ Seungbae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동학년 교사교육과정의 유형, 개발 및 실행 절차,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동학년 교사학습공동체 7개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동학년 교사교육과정은 협력의 ‘범위’와 ‘정도’를 기준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협력의 범위를 기준으로는 ‘전체 교육과정 협력형’과 ‘일부 교육과정 협력형’, 협력의 정도를 기준으로는 ‘공동 개발형’, ‘개별 개발, 공동 실행형’, ‘정보·자료 공유형’이 도출되었다. 둘째, 동학년 교사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은 ‘계획단계: 퍼즐 만들기’, ‘실행단계: 퍼즐 맞추기’, ‘정리단계: 퍼즐 정리하기’세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학년 교사교육과정은 확장성, 정교성, 체계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들이 협력적 관계에 바탕을 두고 공동으로 발휘하는 자율권인 ‘집합적 자율권’과 집단 수준의 전문성인 ‘협업적 전문성’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type, development proced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curriculum in the same grade of elementary school by analyzing the teacher curriculum in the same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seven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in the same grade of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teacher curriculum in the same grade could be categorized based on the ‘scope’ and ‘degree’ of cooperation. Based on the scope of cooperation, ‘total curriculum cooperation type’ and ‘some curriculum cooperation type’ were derived, and ‘joint development type’, ‘Individual development, co-execution type’, and ‘information and data sharing type’ were derived based on the degree of cooper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teacher curriculum in the same grade went through three stages: ‘Planning Step: Making Puzzle’, ‘Executive Step: Doing the Puzzle’, and ‘Organizing Step: Organizing Puzzl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curriculum of the same grade had scalability, sophistication, and systematic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eachers need to pay attention to ‘collegial autonomy’, which is autonomy that teachers exercise jointly based on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and ‘collaborative expertise’, which is professionalism at the group level.

      • KCI등재

        교육과정 실행 관점 국내 연구에 대한 문제제기

        이윤미 ( Yunmi Lee ),조상연 ( Sangyean Jo ),정광순 ( Gwangsoon Ju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Fullan과 Pomfret(1977), Berman과 Pauley(1975), McLaughlin(1976), Snyder, Bolin, Zumwalt(1992)가 제시한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관점(fidelity, mutual adaptation, enactment)이 교육과정 실행 관점이 국내에서 어떻게 연구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고찰한 후 몇 가지 특징을 찾았다. 이 특징을 기초로 초등학교 교사의 관점에 비추어 교육과정 실행 관점 연구와 담론에 대해 문제를 제기해 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과정 실행 관점 연구에서 가리키는 ‘교육과정’이 ‘국가교육과정’인지 ‘교과서’인지 모호했다. 따라서 교육과정 실행 관점을 논의할 때 사용하는 용어인 ‘교육과정’의 실체가 국가교육과정인지 교과서인지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었다. 둘째, 국내 연구는 충실 관점은 벗어나야 할 관점으로, 상호조정 및 생성 관점은 나아가야 할방향으로 언급하고 있었다. 교육과정이 가리키는 것이 무언인지 모호한 상태에서 충실 관점을 가진 교사를 단순한 전달자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한지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셋째, 국내 연구는 상호조정 및 생성관점을 긍정적으로 언급하면서도, 교사의 교육과정 자율성은 국가교육과정 충실이라는 테두리 안에 한정하는 모순을 보이고 있었다. 국가교육과정 충실 관점만을 허용하는 현재 상황에서 벗어나 교사가 국가교육과정을 변형, 개발할 수 있는 자율권을 갖는 것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This study is for reviewing the domestic researches about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that applied the three perspectives(fidelity, mutual adaptation, enactment) of Fullan & Pomfret(1977),Berman & Pauley(1975), and McLaughlin(1976), Snyder, Bolin, & Zumwalt(1992) and searching some characteristics of them. Based on those characteristics, the question about researches and discourses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is raised with the perspective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the curriculum was ambiguous in the domestic researches.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meaning of the curriculum in researches whether the curriculum means the national curriculum or textbooks clearly. Second, most of the domestic researches refer that fidelity perspectives should be avoided but mutual adaptation and enactment perspectives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future. Therefore, it is recommendable to discuss more on the appropriateness of simply treating teachers who have fidelity perspectives as a curriculum deliver.Third, the domestic researches show contradiction by restricting teachers’ autonomy on curriculum in the boundary the fidelity of the national curriculum although they positively refer to the mutual adaptation and enactment perspectiv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on the need of getting out of the current situation only allowing teachers fidelity perspectives and research on approving teachers’ autonomy of developing and enacting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초등학교 학교교과목 실행을 위한 교과서 개발 사례 연구

        이윤미(YunMi Lee),김순미(SoonMi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3

        이 연구는 학교교과목 실행을 위한 학교교과서 개발 절차를 도출하고 그 특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교과목 및 학교교과서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A초등학교를 연구 대상으로 정하고 탐색적 사례 연구 방법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A초등학교의 학교교과서는 예비 단계, 본 단계, 실행 단계를 거치며 2년에 걸쳐 개발되었고, 각각의 단계는 계속해서 순환하며 교사와 학생이 함께 만들어가는 교과서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A초등학교의 학교교과서 개발 절차의 고유한 특성은 원고 개발 순서, 개발 및 사용 주체, 학생의 참여, 개정 주기측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 구체적인 특성은 원고 개발 순서 측면에서 ‘선 실행, 후 개발’, 개발 및 사용 주체 측면에서 ‘개발 주체의 이원화, 개발자와 사용자의 일치’, 학생의 참여 측면에서 ‘학생의 직·간접적 참여’, 개정 주기 측면에서 해마다 ‘version up, 지속적인 순환·발전’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교과목 및 학교교과서 개발의 활성화 방안 마련, 교사들의 역량 강화 방안 마련, 교과서 선택의 자율성을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교과서 제도 마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school textbook development procedure for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curriculum and to find out its features. For this purpose, A elementary school, having developed and used school subjects and school-level textbooks, was selected as the case of this study, and a an exploratory case study method was adopted. As a result of the study, school-level textbooks at A Elementary School was developed over two years, going through the preliminary stage, the main stage, and the implementation stage. It was a process of continued circulation of the stages, in the form of developing a textbook with the teacher and the student together. The unique features of the school-level textbook development procedure at the elementary school were especially prominent in terms of manuscript development sequence, the party leading of development and use, student participation, and revision cycle. Looking into the features in more detail, it was found that the manuscript development sequence is characterized by ‘execution first, development later’; for the leading party of development and use, ‘dualization of development subjects and one party being both developers and users’; for student participation, ‘direct/indirect students’ participation’; and for revision cycle, ‘version-up every year and continued circulation and develop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proposed to make a plan for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school subjects and school-level textbooks, to take measures to improve teachers’ competence, and to prepare a new textbook system to guarantee teachers’ autonomy in textbook areas.

      • KCI등재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시 초등교사가 겪는 어려움 및 개선방안 탐색

        이윤미 ( Yunmi Lee ),김두겸 ( Dugyum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1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시 초등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이를 해소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범교과 학습 주제와 행사 활동의 배정으로 인해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자신이 자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순수 재량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둘째, 외부에서 요청되는 교육의 대부분이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고, 교사들은 창의적 체험활동 실행 여부를 증명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갖고 있었다. 셋째, 학교교육과정 문서와 실제 실행을 일치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들은 각종 인프라와 예산의 한계로 인해 창의적 체험활동을 내실 있게 운영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다섯째, 초등 단계에 적절하지 않은 영역이 편성됨으로써 의미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실행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CEA) curriculum is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s and what difficulties teachers have in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nd explore ways to improve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teachers felt that they lacked the discretionary time they could use autonomously in the CEA due to the schedule of cross-curriculum themes and school events activities. Secondly, the teachers had a burden of proving that the CEA curriculum had been faithfully implemented as most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requested from outside of schools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CEA. Thirdly, the teachers were struggling to correspond school curriculum documents with their classroom practices. Fourthly, the teachers found it difficult to manage the CEA fruitfully due to the limitations of schools' infrastructure and budget. Lastly,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CEA could not be meaningful for their students since some areas not appropriate a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improvement measures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CEA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교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원천에 관한 연구

        이윤미 ( Yunmi Lee ),박희진 ( Heejin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초등교사가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선택하는 '조직 중심체(Organizing Centers)'를 분석함으로써 통합교육과정 개발의 원천과 그 실제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실행하고 있는 전국의 초등교사 5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조직중심체는 ‘교과에서 다뤄지는 주제’이고, 이 주제는 성취기준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과 이외의 조직 중심체를 선택할 때에는 ‘학생들의 삶과 관심’이 개발의 기준이 되고 있었다. 셋째, 사회문제나 쟁점, 교사 본인의 관심이나 흥미를 조직 중심체로 사용할 때는 비교적 성취기준에서 자유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교사들은 사회문제나 쟁점, 학생의 관심이나 문제를 기반으로 한 통합교육과정 개발이 더 필요하고, 학생들의 의견 수렴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다섯째, 초등교사들이 개발ㆍ실행하고 있는 통합교육과정은 주로 해당 학년의 교과교육과정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고, 모든 학년에서 ‘공동체 및 협력’ 관련 통합교육과정을 가장 많이 개발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ource and reality of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by analyzing the 'Organizing Center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hoose when develop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546 elementary school teachers nationwide who developed and implemented an integrate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preferred organizational central bod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the topic covered in the subject', and this topic was found to be derived from the achievement standards. Second, in the case of choosing an Organizing Centers other than the subject, “student life and interest” became the standard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Third, When using social issues or problems and teachers' own attention or interests as the Organizing Centers, they were found to be relatively free of standards. Four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ought that they needed to choose more social issues or problems, students' interests or problems in developing their own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y needed to gather more opinions from students. Fif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mainly developing an integrated curriculum that is deeply related to the curriculum of the corresponding grade, and it was found that all grades developed the 'community and cooperation' integrated curriculum the mos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were presented.

      • KCI등재

        방송클립동영상 이용에 관한 연구 : 관계적 측면, 사회적시청동기, 능동적 시청행동을 통해

        이윤미(Lee, Yunmi),곽은아(Kwak, Eun-A) SBS 2021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9 No.3

        본 연구는 영상 콘텐츠 이용행위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전체방송에서 클립동영상으로 변화하는 시점에서, 이용자들의 방송클립동영상 이용행태, 만족도를 세분화하여 분석했다. 방송클립동영상 주시청층인 10~30대를 대상으로 관계적 측면, 사회적시청 동기, 능동적 시청행동을 통해 만족도와 이용행태를 탐색했다. 분석결과, 방송클립동영상 시청 장르는 예능이 가장 많았으며, 연령대가 낮을수록 사회적 시청의 3가지 분류에서 모두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전반적으로 사회적 시청 중 오프라인 확산 행위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그리고 관계적 측면에서는 외로움이, 사회적 시청 동기에서는 의견 주장 및 확인, 정서적 즐거움, 시청현장감 공유, 능동적 시청행동은 4가지 하위변인이 모두 방송클립동영상 시청만족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용형태(보완적/대체적)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방송클립동영상의 만족도와 이용행태를 살펴보기 위해 관계적 측면, 사회적시청 동기, 능동성 시청행동을 통해 설명함으로써 방송클립동영상에 관한 연구범위를 확장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today’s media environment, the form of watching TV shows is changing from offline to online and from broadcast clip video to broadcast clip video. For this reason,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urpose of analyzing users’ behavior of using broadcast clip videos, satisfaction, and viewing behavior by segmenting them. We explored the satisfaction and viewing behavior of users in their 10s to 30s who are the main audience of broadcast clip videos through relational aspects, social viewing motivation, and active view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analysis, entertainment shows were the most common genre of watching broadcast clips, the lower the age group, the higher the preference in all three categories of social viewing, offline diffusion was the most favored among Social Viewing. Loneliness, Argument & confirmation of opinions, emotional pleasure, sharing viewing experience, and active viewing behavior have influenced the satisfaction of watching broadcast clip videos. Also, we have identified different factors affecting viewing patterns(substitution/supplement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the scope of research on broadcast clip videos.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통합교과서 개발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윤미(YunMi Lee)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저자가 통합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경험한 갈등과 딜레마를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밝힘으로써 통합교과서가 추구하는 가치를 이해하고 나아가 교과서 개발과 관련한 개선점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 나는 다음의 다섯 가지 질문과 관련한 갈등과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첫째, 어느 정도 비울 것인가: 창조를 위한 비움 VS 안내를 위한 채움, 둘째, 성취기준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해석과 조정 VS 수용과 충실, 셋째, 내러티브를 얼마나 살릴 것인가: 맥락적 내러티브 VS 탈맥락적 내러티브, 넷째, 어느 정도의 통일성을 추구할 것인가: 다양한 포맷 VS 일관된 포맷, 다섯째, 외부의 의견을 어느 정도 수용할 것인가: 사적 창작품 VS 공적 합작품. 이 연구의 결과는 통합교과서 개발자의 내부적 관점에서 교과서 개발 관련 이슈를 조명함으로써 국가교육과정 개정 방향, 차기 통합교과서 개발 방향, 교과서 개발 체계 관련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values pursued by the integrated subjects textbooks by revealing conflicts and dilemmas the author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integrated subjects textbooks through an autoethnography approach, an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xtbooks.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 have experienced conflicts and dilemmas related to five questions. First, to what extent should I go empty?: emptying for creation vs. filling for guidance; second, how should I apply achievement standards?: interpretation & adjustment vs. acceptance & faithfulness; third, how much should I include the narrative?: contextual narrative vs. de-contextual narrative; fourth, to what degree of consistency should I pursue?: various formats vs. a consistent format; fifth, to what extent should I accept external opinions?: private creations vs. public collabor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insights to find the directions of revising the national curriculum and developing following integrated subjects textbooks and ways to improve the textbook development system by highlighting the issues on textbook development from the internal perspective of an integrated subjects textbook developer.

      • KCI등재

        한 연구자의 지역화 보완도서 집필 경험

        이윤미 ( Yunmi Lee ),조상연 ( Sangyean J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6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사회과 지역 보완도서인 ‘전라북도의 생활’ 집필에 참여하면서 겪었던 경험을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화 보완도서의 강점과 난제를 밝힘으로써 지역화 교재의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한 것이다.‘전라북도의 생활’은 해마다 이전 버전을 포함하면서 새로운 컨셉을 추가하는 형태로 3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개발되었다. 1년차 2.0버전은 ‘학생들의 발달단계와 흥미를 고려한 교과서’, 2년차 3.0버전은 ‘성취기준을 유연하게 반영한 교과서’, 3년차 4.0버전은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을 기르는 교과서’를 지향하였다. ‘전라북도의 생활’ 집필경험으로 본 지역화 보완도서의 강점은 우선, 집필 프로세스가 안정적이라는 점, 즉 순차적 개발로 충분한 연구와 의견 수렴이 가능하고 이런 과정에서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하기 쉽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교사들이 교육과정 실행 관점을 보다 유연하고 과감하게 적용해볼 수 있다는 면에서 교사교육의 기능을 갖는다는 점도 강점으로 볼 수 있다. 약점이자 난제로는 교과서의 지위를 갖지 못하다보니 학교교육용 교재로서 채택률이 낮은 점, 지역사회의 관심과 지원 및 예산이 부족하다는 점을 들 수 있었다.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화 보완도서 개발 방향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아래로부터 위로’의 교육과정 개발로 교육과정의 자치를 실현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정교과서를 보조하는 자료가 아니라 대안이 될 수 있는 형태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보완도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experience of researcher who has participated in writing localized complementary textbook, ‘The life of Jeollabukdo’. Furthermore, the study is to search of development courses for localized elementary textbooks by stating strong points and difficult problems of localized textbooks based on the writings of ‘The life of Jeollabukdo. ‘The life of Jeollabukdo’ has been developed in phases over the three years in the way to add a new writing direction including previous version. The 2.0 version developed in a first year was the textbook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stages and interests of children. The 3.0 version made in a second year was the textbook reflect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flexibly. The 4.0 version written in a third year is designated as the textbook that can be cultivated teachers’ curriculum professionalism. The strong points of localized textbooks based on writing experience are as follows: First, the writing process of textbook was stable. Therefore, public opinions including teachers’ can be possibly accepted through sufficient research by sequential development approach. In addition, teachers could apply implement perspectives of curriculum in flexible and strong ways. Lastly, the localized textbooks can help develop teachers’ curriculum professionalism and give teacher educa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whe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localized textbooks are not in the category of official textbooks, teachers rarely adopt localized ones and there are no interests and supports from local communities. Furthermore, expenses for developing textbooks and local community are not supported. Several implications can be presented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autonomy of curriculum need to be set up with bottom-up development of curriculum. Secondly, the textbooks need to be developed not as a complementary material of a government approved textbook but as an alternative of it. Lastly, localized textbook can give an opportunity to improve teachers’ curriculum professionalism if it provides teacher education system that teachers are not just an user of curriculum but establishing themselves as a developer of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