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불교 생전예수재의 특성 - 회편과 차서와 상례화를 중심으로 -

        이성운 한국정토학회 2015 정토학연구 Vol.23 No.-

        이 글은 사후추천재인 칠칠재를 생전에 본인이 직접 시왕에게 공양 올리고 전생의 빚을 갚으며 경전을 보는 한국불교 생전예수재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수재의문 회편의 특성과 차서의 재구조화, 예수재의 상례화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그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한국불교계에는 10세기경부터 시왕사상에 입각한 사후칠칠재나 명부 시왕에 권공하여 명복을 비는 신앙이 발달하였다. 현재 한국불교 예수재의문의 고형은 예수십왕생칠재의찬요 로 생몰을 알 수 없는 대우 스님에 의해 16세기 중반에 집술(集述)되었다. 자료를 모으고 저술하여 ‘찬요(纂要)’라고 이름을 붙였는데, 이는 수륙재 ‘찬요’의 편집 전통을 일정 따르고 있다. 같은 방식의 이름을 붙임으로써 같은 문장의 요소를 택하거나 편집에 있어서도 유사한 방식을 전승하고 있다. 또 가장 전통적인 수륙재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는 ‘촬요(撮要)’의 편제도 일정 부분 도입함으로써 한국불교 의례의문의 간행정신을 잇고 있음이 특이하다. 아울러 예수재에는 한국적 정서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거듭 거듭하는 공양 올리는 중층적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예수재는 집술 이후 역사를 거듭하면서 의례의 차서가 점차 재구조화되고 있다. 신중의 옹호를 발원하는 ‘창불(唱佛)’의식을 어느 위치에서 행하느냐 하는 데 대한 견해가 다양하지만 창불은 적어도 전(全)의식의 서두에 행해지는 것이 옳다고 할 수 있다. 또 예수재 본 의식에서, 관음보살을 청하여 걸수(乞水)하고 쇄수(灑水)하는 의식을 추가함으로써 엄정팔방(嚴淨八方)을 보완하거나 또 그곳에서 설법의식을 행하는 등 의례를 재구조화하고 있다. 영산․수륙재에서는 법화경이 염송되거나 설해지지만 예수재에서는 저승빚과 함께 바치는 간경(看經)은 금강경이 염송되었을 것이고, 그것은 금강경찬으로 대체되었다. 시왕재나 소번재(燒幡齋)로 불리다가 16세기 중반 예수재라고 명칭 되며 발달하였다고 보이는 생전예수재는, 초하루 보름의 불공이나 십재일의 헌공과 같이 상례화의 길을 걸었다. 또 봄가을의 수륙재 등에 예수재가 합설되면서 고유의미가 퇴색되었다. 특히 시왕권공의 십재일이 그 주(主)불보살에게 올리는 공양으로 인식되어 명부시왕과 관련된 재일은 지장재일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일상예수(日常預修)라는 의미로 생전예수재가 축소되었지만 거기서 행해지는 독특한 종합의례로서의 성격까지는 감소되지 않아 20세기에 들어오면서 영산재 수륙재 등과 함께 종합의례들이 정비되고 신앙되면서 그 본래적 기능을 되찾고 있다. 또 생전예수재는 윤달에 주로 행해지고 있었지만, 현재 도하 사찰에서 우란분재를 칠칠재로 봉행하는 등 생전예수의 본래적 의미에 따라 윤년에 구애되지 않고 수시로 행해지고 있다. This essay considers the characteristic of Saengjeonyesujae(生前預修齋, performing the rites during life in order to be reborn into Buddha’s land after death) in Korean Buddhism, where one performs Chilchiljae(七七齋, weekly ritual for the deceased for seven weeks) in advance while in life, a kind of Chucheonjae after death(死後追薦齋, the ceremony of praying for the repose of one's soul). It is performed through offerings to the ten kings of hell, repaying the debt of the earlier life and by reading the Buddhist scriptures. Here we discuss Saengjeonyesujae focusing upon the trait of compilation of ritual program in Yesujae, the reconstitution of its procedure, and its usual practice. In the 10thcentury the belief of praying for the repose of one’s soul developed in Korean Buddhism, where people perform Chilchiljae after death or made offering to the ten kings in the nether world based on the thought of the ten kings of hell(十王思想). The earlier version of ritual program in Yesujae, Yesusiwangsaengchiljaeuichanyo( 預修十王生七齋儀纂要 ) was compiled in the mid 16th century by Ven. Daewoo(大愚) unknown his birth and death date. He named his compilation as ‘Chanyo’(纂要, the compilation of the gist), which follows the editing tradition for the compilation of the gist. It succeeds the publication spirit of Korean Buddhist ritual program by adopting the organization of Chwalyo(撮要, the selection of the gist), another form of the traditional Suryukjae(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and shows a multi-layered structure of offering. The order of program in Yesujae has gradually been restructured since his compilation was published. There are a variety of different views on when the ceremony of chanting Buddha, the prayer for gods’ protection should be performed, however I think it should be performed at the opening of the rite. Also, the rite is restructured by the addition of the ceremony of inviting Avalokiteśvara and involves the sprinkling of holy water to purifies the eight directions, and a dharma talk. The Lotus Sutra(Saddharma Puṇḍarīka Sūtra) is read or taught in Yeongsan․Suryukjae(靈山․水陸齋, Vulture Peak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while The Diamond Sutra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was read along with the repayment of afterlife debt in Yesujae before being replaced by the compilation of the gist of The Diamond Sutra( 金剛經纂 ). Saengjeonyesujae was originally called Siwangjae(十王齋, the rite for the ten kings of hell) or Sobeonjae(燒幡齋, the ceremony of burning the papers) which were further developed in the mid 16th century to become Yesujae. It has become a common practice such rituals as making an offering to Buddha on the first day of every month, and every full moon day and dedication on Sipjaeil(十齋日, Ten precept days). It lost its inherent meaning as it has become combined with Suryukjae. This was especially the case for sipjaeil, which became an offering to the Buddha and bodhisattvas instead of the ten kings of hell while the offering for the ten kings in the nether world became part of Jijangjaeil(地藏齋日, the celebration for Kṣitigarbha, a bodhisattva of Earth Treasury). Saengjeonyesujae was reduced to the usual practice of Yesujae. But its composite feature is preserved and it has regained its inherent functionality as the composite rites including Yeongsanjae and Suryukjae after being reorganized in 20thcentury. Generally it is performed on leap months but may also often be performed at the temples in the capital when Chilchiljae is substitute for the Uranbunjae(the ceremony for dead ancestors).

      • KCI등재후보

        근현대 한국불교 예송의례의 아우라 ―전승과 변용의 변증법―

        이성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7 불교문예연구 Vol.0 No.9

        이 글은 근ㆍ현대 한국불교 예송의례의 아우라에 대해 전승과 변용을 변 증법적으로 고찰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의례서적의 편찬 방식 등을 기준으로, 대각교의식과 석문의범 등이 편찬된 20세기 초중반을 근대 로, 불교의식을 현대와 같은 방식으로 편찬하기 시작한 20세기 중후반을 현 대로 상정하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현행 조석의 7정례는 대웅전에 모신 존상과 큰 관련이 없는, 주전에서의 전통 예참의식 형태로서, 사찰의 전 대중이 참여하는 일상의례인데, 근대불 교시기에 유사한 양태로 성립되기 시작하여 점차 변형을 겪으며 현대불교시 기에 이르러 현행 양태로 변용되었다. 7정례가 한국불교사찰에 널리 보급된 것은 사실이라고 할 수 있지만 한국의 모든 사찰에서 동일하게 설행되는 의 식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사찰의 새벽을 알리는 도량석이 현재와 같 이 활용된 시기와 의미 등을 단정할 수는 없으나, 야간에 행해지는 시식(施 食) 의식의 결계(結界)에 대(對)되는 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우연의 일치 일지 모르지만 현재 법성게가 ‘도량석’에서 주로 염송되는데, 이는 시식의식 에 초대된 존재들이[諸法] 본래의 붓다[名爲佛]이고 그곳으로 돌아가라는 의미라고 할 수 있으므로, 그 의미와 역할이 묘하게 부합된다. 범종각의 사 물인 법기들은 식당에서 출가 승려들이 음식을 먹을 때 울리던 것으로, 사 찰에 재승(齋僧: 승려공양)이 들어왔을 때 야외에서 식당을 차리고 음식을 먹는 행위를 지휘하는 지휘소와 같은 역할을 하는 유나소인 종루(鐘樓)에서 활용되게 되어 종각에 모이게 되었다. 이 같은 역사 속에 예경과 송주의 도 량석이나 종각의 사물은 본래 의미를 잃어버렸으나 각 의식과 사물은 탄생 의 연기를 환기하여 깨달음을 되새기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인다. This writing considers the transmission and the transformation dialectically about the aura of the ritual for Yesong(禮誦, worshipful chanting)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To do this, I firstly divided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by means of the compilation of ritual-related books and the early and mid 20th century is postulated as modern times when Daegakgyouisik(大覺敎儀式, the rituals of the Maha-bodhi teaching) and Seokmuneubeom(釋門儀範, The Standard manual of the Buddhist rituals) were compiled and the mid and late 20th century is as contemporary. Current Chiljeongrye(七頂禮, the main devotional chant) conducting every morning and evening is not much related to the Buddha image in the main Buddha hall and is the daily ritual all the people in the temple attend. Its similar style came into existence in the modern times and got modified gradually and changed into its current style. It is true that Chiljeongrye has diffused widely in Korean temples but its identical style seems not to have been performed in all the Korean temples. It is not certain that when the current style of Doryangseok(道場 石, bell chant in the early morning) began to be practiced and what its meaning is but it is sure to serve as a counterpoint to Gyeolgye(結界, the restricted territory) of the rites of Sisik(施食, banquet) performed at night. Beopseongge(法性偈, the song of Dharma nature) is mainly chanted in Doryangseok at present, which means the ones invited to the rites of Sisik are called Buddhas and are to return to the Buddhas' world. Therefore, the meaning and the role of the rituals are in accord with each other, which may be a coincidence. Beopgi(法器, vessels of the Dharma) of Samul(四物, four Buddhist percussion instruments) in Beomjonggak(梵鐘閣, the bell pavilion) used to be played when the monk and nuns eat in the dining room. They seemed to be put togetherinJonggak(鐘閣, the bell pavilion), Yunaso(維那 所, the command post) where the monastery controller directed to set up the open dining room and to have a meal when food donation offered for monks and nuns. Yegyeong(禮敬, worship) and Songju(誦呪, recitation of mantras) in Doryangseok and Samul in Jonggak lost their original meaning passing through the times but each ritual and each of Samul plays a part in meditating enlightenment by calling one's attention to birth in dependent origination(緣起).

      • KCI등재

        한국불교 일상의례의 명칭 문제 -用例와 認識을 중심으로-

        이성운 보조사상연구원 2012 보조사상 Vol.3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example of name appointing the daily ceremony of Korean Buddhism and understand the problem of recognition projected there. It is because the consideration on name can define the category and meaning. Daily ceremony can be said as the one to devote oneself to training day by day. As the names of daily ceremonies of Korean Buddhism, there are Jomo-Songju(朝暮誦呪), Yebul(worship of the Buddha), Yekyung(worship), Bulgong(offering for Buddha) and Gwongong. The study considered the change of and the recognition over the names used for the daily ceremony of Korean Buddhism. Before the 20th century, it seems that Ilyong-jakbup, Jomo Songju and Yekyung(worship) were used comprehensively. Recently, Yebul(worship of the Buddha) has been used for Jomo-Songju and Yebul(worship of the Buddha) and Bulgong(offering for Buddha) has been used for offering ceremonies of all altars including Buddhist altar without the classification. Therefore, the study researched various causes for the recognition and asserted that they should be named as ◯◯(target)Yekyung and ◯◯(target)Hungong(獻供). 이 논문은 한국불교의 일상의례를 지칭하는 명칭의 용례와 거기에 투영된 인식에 대한 문제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명칭을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은 범주와 의미를 규정해 주기 때문이다. 일상의례라고 하면 나날이 정진 하는 의례라고 할 수 있는데, 한국불교의 일상의례 명칭으로는 조모송주, 예불, 예경, 불공, 권공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불교 일상의례에 쓰이고 있는 주요 명칭의 변용과 인식 등을 고찰하였는데, 20세기 이전 문헌에는 일용작법이라거나 조모송주와 예경 등이 포괄된 채 쓰였다고 보이지만 최근에는 조모송주와 예불에 해당되는 명칭으로는 ‘예불’이, 불단을 비롯한 모든 단의 공양의례로는 ‘불공’이 그 대상을 변별하지 않고 포괄적으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여 본고에서는 그 같은 인식을 하게 된 여러 가지 연유에 대해 살펴보고 그 대상에 따라 ◯◯(대상)예경, ◯◯(대상)헌공 등으로 명명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法密宗儀禮정비에 대한 제언1)

        이성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3 불교문예연구 Vol.2 No.-

        이 글은 법화와 밀교사상을 아우른‘법밀종’의 일상의례는 어떠해 야 하는가를 논의해 본 글이다. 불교사상의 정형화된 양태라고 할 수 있는 불교의 의례에는‘교조에 대한 예경의식’,‘ 목표하는 깨달음을 이루려는 수행 방법의 일종의 송주의식’,‘ 수행으로 얻은 성취로, 아 직 깨달음을 얻지 못한 이들에게 베푸는 보시의 시식(施食)의식’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 글에서는 법밀종 의례의 생성이라는 시론적 고찰이지만 한국불 교의 보편적 현상을 바탕으로 의견을 개진하였다. 왜냐하면 한국불 교 전반의 보편적인 정서를 감안하지 않으면 전법(傳法)에 장애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첫째, 예경의식은 신앙하는 대상의 조상(造像)에 맞는 소례(所禮)예 경의 등장이 필요하다. 가령 법밀종 본찰 구원사 법당에 모셔 놓은 존 상이 석가모니불·다보불·묘법연화경·본화보살이므로“일심경례 석가모니불, 일심경례 다보불, 일심경례 묘법연화경, 일심경례 본화 보살”등으로 생성되어야 하며, 물론 예경 실행에 적합하게‘불보살’ 에 대한 수식어휘를 삽입하여 유려한 문장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송주의식은, 법밀종이 법화와 밀교를 아우른 수행을 표방하 므로, 삼매를 닦는 현교(顯敎)와 다라니를 염송하는 밀교의 수행법이 쌍수(雙修)돼야 한다. 송주는 법화와 밀교를 거론하지 않더라도 동아 시아 불교권의 보편적인 수행 양상이므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밀교 수행의례에 걸맞은 수인(手印)·관상(觀想)·진언염송의 삼밀가 지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시식의식은 수행의 공덕으로 널리 회향하는 의례이므로 법화 밀교를 추구하는 종단에서는 수행의례가 여법하게 봉행될 필요가 있 다. 시식의식은 대승불교 6바라밀의 첫 번째 실천 덕목인 보시바라밀 을 실천하는 것으로, 동아시아 불교권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는 수륙 재, 몽산시식 등이 다 이에 해당한다. 특히 이 글에서는‘새벽에 사찰 경내를 돌며 경전을 외우는’한국불교의‘도량석(道場釋)’을 밀교의 시식의식인 도량을 푸는 의식으로 이해하고 소개하였다. 종교는 의례를 통해서 자신의 고요한 사상과 모습을 드러낸다. 의 례를 통해 수행자들은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고, 의례를 통해 함께하 는 구성원들의 자기동일성을 함양해 주므로, 사상과 신념에 부합하 는 의례를 생성해야 할 것이다. This essay is to consider what the daily protocol in Beopmiljong(法密宗) should be, which is a Buddhist sect combining the Lotus Flower and the thought of Esoteric Buddhism. Buddhist protocol, which can be said the formulaic manner of Buddhist thought, contains‘ Yegyeong(禮敬, worship) rites for the head of a religious sect’, Songju(誦呪, recitation of dharani) rites as a kind of religious practice in order to accomplish the aiming enlightenment, Sisik(施食, banguet) rites which is Bosi(布施, offering) the achievement by discipline to sentient beings who don’t attain enlightenment’, etc. Here, the view based on the universal phenomenon of Korean Buddhism is stated, though it is a preliminary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rites in Beopmiljong(法密宗). It is because Jeonbeop(傳法, Transmission of the Dharma) would be hindered, without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universal emotion of Korean Buddhism. First, Yegyeong(禮敬, worship) rites require the appearance of Sorye(所禮, the parties receiving worship) Yegyeong (worship) corresponding with the statues of the object whom to believe in. For instance, because Seokkamonibul(釋迦牟尼 佛, S´akya- muni Buddha), Abundant Treasures Buddha(多寶佛, Prabhu-taratna), the Lotus Sutra of the Wonderful Dharma(妙法蓮華經, Saddharma Pun.d. arl -ka Su-tra), Bonwha Bodhisattva(本化菩薩, Bodhisattva edified by original true Buddha) as sacred images are enshrined in the Dharma Hall in Guwonsa(Guwon temple), the headquarter of Beopmiljong, “worship with one mind Seokkamonibul(S´akya- muni Buddha), worship with one mind Abundant Treasures Buddha(Prabhu-taratna), worship with one mind the Lotus Sutra of the Wonderful Dharma(Saddharma Pun.d. arl -ka Sutra), worship with one mind Bonwha Bodhisattva(Bodhisattva edified by original true Buddha)”should be formed, and it makes sure that a flowing and elegant style need to utilize with applying the epithet to‘ the Buddha and Bodhisattvas’ suitable for practicing Yegyeong(worship). Songju(誦呪, chanting dharani) rites should be practiced balancing exoteric teaching(顯敎) that is to cultivate samadhi and esoteric teaching(密敎) that is to recite mystic phrase(dha-ran.l -) simultaneously, because Beopmiljong(法密宗) claims to stand for the discipline combining the Lotus Flower and Esoteric Buddhism. Songju(chanting dharani) is the universal method of meditation and thus it should be accepted, even if the Lotus Flower and Esoteric Buddhism are not mentioned. Especially, Three secrets Adhis.t. ha-na(三密 加持) of Mudra(手印, the hand seal), Contemplation(觀想) and Chanting Mantra(the true word) should be pursuit, suitable for the discipline protocol in Esoteric Buddhism. Third, Sisik(施食, banguet) rites is to transfer one’s merit(guna) of discipline to others widely and so one uphold and practice them in concord with the law. Sisik(banguet) rites is to practice the Perfection of Generosity (Dana Paramita) which is the first item of virtue among the Six Paramitas(Perfections) in Mahayana(Great vehicle) Buddhism and include Suryukjae(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and Mongsan Sisik(蒙山施食, the Manual for Sisik by Rev. Mongsan) which are abroad throughout East Asian Buddhism. In particular, Doryangseok(道場釋, the early morning bell chant) in Korean Buddhism which is performed by going round the Dharma Halls reciting Buddhist scriptures at dawn is understand and introduced as Sisik(banguet) rites of Esotric Buddhism, the rites wrapping up Bodhi-mandala(道場). Religion shows its own thought and identity through the rites. Practitioners attain their aim through the rites and the partakers promote communal spirit through the rites, and thus the protocol in accord with its thought and faith should be cre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