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악 공연 관람자의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만족도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관여도의 조절적 역할-

        이용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약 음악 공연 관람자의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만족도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관여도의 조절적 역할 본 연구는 음악 공연 관람자를 이해하기 위해 자아이미지 일치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관람자의 심리적 작용과 만족의 관계를 실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음악 공연의 이미지와 관람자의 자아이미지의 일치성, 음악 공연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재관람의도의 영향관계와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의 관여도의 조절적 역할을 구명함으로써 음악 공연 관람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조사대상 음악 공연은 음악 공연인 사라 브라이트만 내한 공연을 선정하여 사라 브라이트만 내한 공연의 관람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표본 수는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응답 자료는 125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 및 미완성 응답이 포함된 21부를 제외하고 104부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자료에 대한 분석 방법으로는 SPSS for Window 14.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요인 분석, 그리고 신뢰도 분석을 실행하였다. 또한 자아이미지 일치성과 만족도, 만족도와 재관람의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고, 관여도의 조절적 역할을 검증하기 위하여 조절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자아이미지 일치성과 만족도, 재관람의도, 그리고 관여도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실제적 자아이미지 일치의 정도와 이상적 자아이미지 일치의 정도는 모두 음악 공연에 대한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음악 공연에 대한 만족의 정도가 높을수록 재관람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음악 공연에 대한 만족도와 재관람의도는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자아이미지 일치성과 만족도의 관계에 있어서 관여도의 조절적 역할을 부분적으로 측정되었다. 즉, 실제적 자아이미지 일치성과 만족도의 관계에서 관여도는 조절적 역할이 관찰되지 않아 이들의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상적 자아이미지 일치성과 만족도의 관계에서는 관여도가 조절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음악 공연 관람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심리적 기제를 통해 음악 공연 관람자를 이해하려는 시도를 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본 연구는 표본의 신뢰도와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를 통해 음악 공연 관람자를 파악하고 궁극적으로는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재관람을 유인할 수 있는 동기와 요소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고속 메모리 테스트를 위한 ALPG 및 마치 알고리즘

        이용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고속 메모리 테스트에 적합한 ALPG(Algorithmic Pattern Generator)를 제안하고 고속 메모리 중에서도 워드 지향 메모리 테스트에 효율적인 알고리즘에 대한 것이다. 반도체의 미세 공정 발달로 회로의 복잡도가 증가하고 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고장을 잡아낼 수 있는 알고리즘이 요구되고 있다. ALPG는 VLIW(Very Long Instruction Word)명령어 메모리 구조를 기반으로 구현되었으며 VLIW는 병렬 연산에 있어 하드웨어 복잡도가 낮아 구조가 간단하고 높은 성능을 낼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최종 출력단에서 병렬로 처리된 데이터를 병렬-직렬 변환장치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동작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보드에서 동작을 검증하였다. 워드 지향 메모리는 데이터 전송률을 높이기 위해 버스트 모드를 사용한다. 하지만 워드 지향 메모리에서의 고장 검출율이 비트 지향 메모리 보다 좋지 않은 성능을 보여주기 때문에 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필요로 한다. 고정 고장, 전송 고장 등의 모델은 비트 지향 메모리와 워드 지향 메모리에서 큰 차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커플링 고장과 주소 디코드 고장 모델을 중점으로 다루었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한 워드 단위에 접근하는 테스트 패턴을 추가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결과를 확인하였고 제안한 알고리즘과 기존에 존재하는 알고리즘의 고장 검출율을 비교분석 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ALPG(Algorithmic Pattern Generator) suitable for High-Speed Memory Testing and discuss an efficient algorithm on Word-Oriented Memor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emiconductor circuit, which has been increased circuit complexity and capacity, we need algorithms that can detect various and complex faults. The proposed Algorithmic Pattern Generator is implemented based on VLIW(Very Long Instruction Word) architecture. VLIW shows high performance because of parallel execution of arithmetic units. The proposed ALPG is implemented on a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or cost effective implementation. On FPGA, for high speed data transfer, data is converted by parallel-to-serial converter at I/O boundary. Word-Oriented Memory is used for burst mode for improving data rate. However, we need more accuracy algorithms because it shows worse performance in fault detection performance compared to Bit-Oriented Memory, Fault models such as Stuck-At Fault and Transition Fault have no difference in Bit-Oriented Memory and Word-Oriented Memory, so this paper will cover fault model like Coupling Fault, Address-decode Fault. The proposed algorithm uses test patterns accessing memory by word unit and we test it by simulating this pattern. We will show the improvement of fault detection performance than the original march algorithm.

      • TV 홈쇼핑을 통한 이미용 제품 마케팅의 성공 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이용재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V홈쇼핑은 온라인 유통의 한 형태로서,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 케이블 텔레비전의 등장과 함께 미래의 새로운 유통(소비) 형태를 의미하는 말로 본격적으로 등장 하였다.1) 1996~2002년 기간 중 연평균 1백24%가 늘어나 지난해 시장규모가 약 4조3천억원에 달한 것으로 추정된다.2) 하지만 2003년에는 사회, 정치, 경제등의 어려운 내, 외부 요인으로 인해 그 성장세가 주춤 하고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수년간 성장은 지속 될 것으로 보여지며, 국내 소비 시장에서 차지하는 중요도는 훨씬 더 높아질 것으로 보여진다. 본 논문은 현재, 미래의 황금 소매 시장인 TV홈쇼핑에서 판매하고 있는 제품 카테고리의 하나인 이미용제품을 중심으로 그 성공사례를 조사하고, 그 결과물로서 TV 홈쇼핑 이미용제품의 성공을 위해 갖추어야 할 기본 요건에 대해 분석하고자한다. 이를 위한 성공 사례로서 피부미용기기의 뷰리, 건강미용보조기구인 세븐라이너, 색조 메이크업의 도도화장품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 업체는 각각의 분야에서 탁월한 제품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브랜드력이 우수 하였고 연예인등을 기용하여 스타마케팅을 통한 강력한 프로모션을 펼친점등의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이미용제품 전체를 대상으로 심도깊은 조사를 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는 TV홈쇼핑에서 진행중인 이미용 제품 전체를 다루기에는 그 영역이 매우 넓을 뿐만 아니라, 분석을 위한 자료가 부족하다는 이유이다. 이미용제품은 의식주와 같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은 아니다. 하지만 현대 여성에게 있어서 예뻐지고자하는 욕구는 의식주에 견주어 결코 뒤떨어지지 않은 소중한 라이프스타일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소비자의 욕구를 정확히 읽어내고 그바탕 위에 개발되어진 우수한 제품과 TV홈쇼핑이라는 황금 시장의 유통 채널로서 영상을 가미한 강력한 판매촉진을 통해 적정 가격에 판매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TV Home Shopping is one of the distribution channels, It was started with cable television in 1995, which meaning to have new distribution channel. It is estimated that last market volume is 4.3 trillion won, increase to average 124% from 1996 to 2002. but in 2003 it was so loosen to the increasing rate for the difficult social, political, economical inner & outer factor. Nevertheless is will estimating to increase after several years from now, In domestic retail market , it will be increase posessed increasy. So in this dissertation, I research succeeding example focusing cosmetics which is one of the product category sailing in TV Homeshopping with golden retailing market from now and future. As a result , I will analyze the basic equipment for success of the TV Homeshopping cosmetic products. With Example for Analysis, It was chosen Sevenliner with Health & Beauty Equipment, Beauly with skin care equipment, dodo with make-up. As a result these products have the excellent high product level in each division, with excellent brand, and based the star marketing. But it has the limitation not to in-depth study for whole cosmetic market. Reason to nothing have the analyzing materials for the whole cosmetic market of TV Home Shopping. Even if that reason, Skin care is more important things than eating in present women. Desiring to womens’s beauty, Promotions of TV Home Shopping is strong channel to purchasing activity.

      • OPR1000 중대사고 완화전략의 효용성 및 부작용에 대한 전산적 평가

        이용재 한양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후쿠시마 사고가 발생한 이후로, 중대사고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특히, 중대사고 지침서를 포함한 중대사고 안전규제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그러나 많은 시간과 비용의 한계로 인하여 중대사고 완화전략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표준형원전을 대상으로 독립적인 완화전략을 적용하여 전산해석을 수행하였고, 각각의 유효성과 부작용을 확인하였다. 전산해석은 중대사고 해석 코드인 MELCOR 1.8.6을 이용하여 중대사고 평가방법론에 따라 수행하였다. 수행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한국표준형원전을 참조원전으로 선정하였다. 두 번째, 안전주입이 없는 소형파단 냉각재상실사고, 전원상실사고, 완전급수상실사고를 중대사고 초기사건으로 가정하였다. 세 번째, 사고 상황에서 가용할 수 있는 완화전략의 조치사항을 선정하였다. 네 번째, 선정된 완화전략의 조치사항을 적용하였을 경우, 유효성과 부작용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완화전략의 효용성을 네 번째 단계에서 수행한 유효성과 부작용으로 평가하였다. 전산해석 결과 완화전략-01 증기발생기 냉각수 주입이 가장 효과적인 완화전략으로 평가되었다. 완화전략-02 원자로냉각재계통 감압은 1차 계통의 증기가 격납건물로 방출되어 핵분열생성물의 방출을 촉진시키는 부작용을 야기함을 확인하였다. 완화전략-07의 조치사항인 피동형수소재결합기를 통하여 수소 폭발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재결합 과정에서 발생한 증기와 발열로 인하여 격납건물의 압력이 증가하여 건전성에 위해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완화전략-04,05,06의 조치사항인 살수계통을 적용하면 격납건물의 압력이 감소하였지만, 격납건물 내 수소 농도가 증가하여 수소 폭발의 가능성이 증가하여 격납건물의 건전성을 위협하였다. 결론적으로, 사고에 따라 완화전략을 적용하였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확인하고 완화전략의 조치사항을 신중히 선택해야 함을 도출하였다. After severe accident happened in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s (NPPs), many studies for severe accident have been performed. Especially, nuclear safety laws which enforces development of Severe Accident Management Guidance (SAMG) is allowed in the assembly plenary session.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mitigation strategies for severe accident due to the considerable time and expenditures. The objective of research is to evaluate effectiveness and adverse effects on individual mitigation strategies of SAMG for OPR1000. The numer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MELCOR 1.8.6 cod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methodology for severe accident mitigation strategies. First, OPR1000 was selected for the reference NPP. Second, Small Break Loss of Coolant Accident without Safety Injection, Station Black Out, and Total Loss of Feed Water were selected as the postulated severe accident scenarios. Third, the feasible mitigation measures were chosen for the mitigation strategies. Fourth, the effectiveness and adverse effects on individual severe accident mitigation measure were analyzed in terms of reactor pressure vessel failure, oxidation heat generation, hydrogen concentration, and delay of fission products (FPs) leak into the environment. Fifth, the benefit of severe accident mitigation measure were evaluated using the effectiveness and adverse effects. The numerical evaluation shows that the first mitigation strategy, Mitigation 1, feeding water into the steam generators is the most effective among the other mitigations. In addition, Mitigation 2, reactor coolant system depressurization alone could not mitigate the severe accident sufficiently. Among four ex-vessel mitigation strategies, Mitigation 7, a reliable operation of Passive Autocatalytic Recombiners (PARs) was essential in reducing the hydrogen risk. Nonetheless, local heating and steam generation due to catalytic reaction could be an issue threating the containment integrity. It was also shown that use of spray to control the FPs and containment state may result in undesirable adverse effect of condensing steam and subsequent increase of partial pressure of hydrogen, which may contribute on raising the possibility of hydrogen combus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mitigation measure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and encountering measures should be prepared for the possible adverse effects.

      • 우리나라 高層 共同住宅의 火災時 火災·避難安全性能 提高를 위한 建築的 硏究 : 실태분석에 의한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이용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층 공동주택의 화재시 인명안전이라는 궁극적인 목적을 위해 화재의 위험성과 화재 피난안전설계의 기초이론을 고찰하고, 화재 피난안전설계의 실태 및 화재사례의 분석을 통해 개선요소 및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다음 단계로 피난안전설계의 변수를 파악, 내 외부공간의 계획 등 화재 피난안전설계의 설계요소별로 피난안전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화재 피난안전설계가 법규정에 절대적으로 의존한다는 측면에서, 이의 실현을 위해 화재 피난과 관련된 국내 법규정 및 세계 주요국 법규정의 비교분석을 통해 법규정의 개선방안 및 피난관련 기준을 설정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거형태의 반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고층 공동주택 피난안전설계"의 실질적 향상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초적인 연구 단계로 공동주택의 화재발생 추이와 특성 및 화재 피난안전설계의 기초이론을 고찰하였다. 고층 공동주택은 그 수적 증가와 더불어 화재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타 용도의 건축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화재 건당 사망자의 발생빈도가 높다. 한편 사망자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은 피난의 실패에 의한 것이며, 사망자는 취침시간(23시에서 07)에 집중적으로 발생된다. (2) 화재 피난안전설계의 정의와 기본개념을 파악하였다. 화재안전설계는 건축물의 內裝材와 可燃物에 發火를 하기 어렵게 하는 것에서부터 감지, 정보의 전달, 피난, 소화활동 등의 전 과정을 의미한다. 한편 화재진행의 측면에서 『避難安全計劃』은 이런 과정의 한 부분으로서 화재의 감지에서 避難完了까지의 시간을 최소화하고 安全性, 效率性 및 信賴性의 확보를 목적으로 하고 이를 위한 모든 계획과 내용을 말하며, 『避難安全設計』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具體化하는 과정과 그 내용을 의미한다. 피난안전성의 제고를 위한 기본적인 방향은 Fail-Safe와 Fool Proof의 원칙, 손실함수의 원칙, 창의성 등을 전제로 수립되어야하며, 설비적인 "能動的 시스템(Active system)"과 공간적인 "受動的 시스템(Passive system)"에 대한 信賴性을 바탕으로 화재의 진행성상 따라 상호 보완적으로 計劃되어야한다. (3) 화재 피난안전설계의 실태와 화재사례분석을 통해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화재안전에 대한 고려가 허가 심의를 위한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법집행의 二元化, 건설주체의 협의부족 등의 문제가 있다. 도면분석의 결과 피난성능을 근거로한 법규정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2방향피난기준의 설정과 명확한 개념의 정의가 필요하다. 화재사례 분석결과, 화재감지설비와 초기소화설비의 성능발휘가 전체적으로 미흡하였으며, 2방향피난경로 체류공간 옥외 피난(구조)활동공간의 확보 및 상층연소확대방지가 인명의 안전성 확보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4) 피난안전설계의 개인적 변수와 환경적 변수를 분석하였다. 피난안전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개인적 변수 환경적 변수를 분석하여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였다. 개인적 변수로 거주자의 약 25%가 피난곤란자이며, 노약자의 보행속도는 정상인의 약 2/3값을 갖는다. 피난자 중 避難經路로 계단을 65.6%, 엘리베이터를 30.4% 고려하고 있으며, 避難場所로 1층을 75.9%, 옥상을 20.1% 고려하고 있다. 한편 화재에 대한 위험성의 인식과 화재 감지후의 피난행동은 명확한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환경적 변수로 거주밀도는 침실의 수가 많을수록 작다. 상층으로의 연소확대는 창문의 형태, 스펜드럴의 면적 등에 좌우되며, 기후환경 가연물의 量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략 화재발생 후 6∼7분 후에 상층으로 연소가 확대된다. (5) 피난안전성 提高를 위한 改善方案을 제안하였다. 내부공간계획의 요소로서 각종 구획의 설정 세대내 피난 발코니 계획 발코니의 연소확대 방지 복도의 피난 및 화염방지 계단의 배치 옥외피난계단 옥상광장 내장재의 불연화 등에 대해 피난안전설계의 변수를 고려한 개선방안을 제안했다. 외부공간계획의 요소로 지반의 내력은 최소 20Ton이상 최고 40Ton이 필요하며, 고가차량의 적정 활동공간으로 4.5m×12m, 회전반경(내부 5.5m, 외부10.7m), 단지 내 피난(구조)을 위한 적정공간, 단지 주변의 피난장해요소 등에 대한 선택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6) 피난안전설계의 개선방안의 실현을 위해 피난관련 법규정의 개선안과 기준을 설정 제안하였다. 피난안전설계는 법규정에 절대적으로 의존한다는 측면에서, 피난안전설계의 실현 및 현재의 법규정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韓 美 日 3국의 관련 법규정의 비교분석을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으로 비상용 엘리베이터 및 계단의 설치기준 피난경로의 수 피난경로의 최대 보행거리 막다른 복도에 관한 규정 등에 관해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결론을 종합하면 피난관련 기준은 피난의 안전성 확보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2방향피난의 與否", "스프링클러의 설치 與否", "피난경로의 개방성", "내장재료의 불연성" 등을 근거로 설치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끝으로 피난안전성능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는 2방향피난의 기준과 계단의 설치기준이 되는 갓복도식의 개념을 설정하였으며, 피난수단으로서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설치를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the improvements and problems of high-rise apartment were derived by observing the fire and refuge safety plan and by analysing actual condition and fire case of refuge safety case for the main goal of life safety. In the next stage, improvement plan for each factor of refuge safety plan, such as inner and exterior space plan was proposed by observing the variables of refuge safety plan. In addition, in the respect that refuge safety plan depends absolutely on regulations, the improvement of regulations and standard related to refuge was established and propos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regulations of main countries of the world to be come true refuge safety plan concerning apartment. This study intended to have the opportunity of actual improvement of refuge safety plan concerning high-rise apartment occupied over the half of residence pattern.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was as follows. (1) Trans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outbreak of fire in the apartment were proposed. As the number of high-rise apartment was increased, the damage owing to fire was on the increase. And the occurrence frequency of a dead person was 2.2 times compared with buildings used differently. The main cause of occurrence of a dead person was the failure of refuge and a dead person was generated at from 23 to 07 O'clock (2) The definition and fundamental concept of the fire and refuge safety plan were proposed. Principle of Fail-Safe and Fool Proof, principle of loss function and originality should be set forth as a premise on the fundamental direction of refuge plan. Besides, four stages, such as plan, execution, maintenance and use, should be worked out a program as a mutual and organic stratum system. Mutual and complement plans on passive and active system are needed on the basis of comprehension of fire progress. (3) Improvements were understood through the analysis of fire case and the realities of fire and refuge safety plan. From the results of question investigation, consideration for the fire safety is formed at the level of permission and consultation. Moreover, duality of the law execution and deliberation of the main construction body are the problems. Regulations based on the refuge safety performance are required from the analysis of drawing and institution as well as clear definition of concept for alternate egress routes are needed. From the analyses of fire cases, the fire sensing equipment and the performance of early fire fighting equipment are unsatisfied on the whole. The way of alternate egress routes, area of egress, the insurance for rescue operation space of outdoor, and the prevention against the spread of a fire to upper flow are worked as important factors for life safety security. (4) Personal and surroundings variables of refuge safety plan were analysed. Personal and surroundings variables affecting the refuge safety plan were analysed and utilized as the fundamental data for refuge safety plan. As the personal variables, it is difficult for 25 % of resident to flee for safety. Their walking speed is two-thirds of normal person. Stairway(65.6 %) and elevator(30.4 %) are considered as the means of egress and the first floor(75.9 %) and rooftop(20.1 %) are also considered as the place of egress. Correlation between cognition of dangerousness for the fire and refuge movement indicate vague. As the surroundings variables, the more bedroom is the less occupant density(person per square meter) is. The spread of a fire to upper floor depends on the window form and Spandrel area. The spread of a fire to upper floor is judged to be expand to the upstair after 5∼7 minute fire though it is affected by a climate environment and combustible amount. (5) Improvement is proposed for uplift of egress safety performance. The alternative plan considered variables of the refuge safety plan concerning the variables of refuge safety plan for the setting of various compartment, egress in home, balcony plan, the prevention against the spread of a fire of balcony, refuge and flame prevention of corridor, arrangement of stairway, outside egress stair, rooftop square, and noncombustible of interior material was presented. The selective alternative plans are proposed for over 20 ton(maximum 40 ton) of the ground endurance power as a factor of exterior space plan, 4.5 m×12 m space as proper action of ladder & aerial platform, turning radius(interior: 5.5m, exterior: 10.7m) rescue for proper space in site, and refuge. (6) Regulations and standard related to refuge was proposed to actualize the improvement plan. In the respect that refuge safety plan depends absolutely on regulations,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through comparisons and analyses of related 3-Nation(Korea, America, Japan) regulations around the central problems of present regulations as well as realization of refuge safety plan. Improvement plan concerning emergency elevator, stairway institution criterion, means of egress number, travel distance limit of means of egress, and dead-end corridor was proposed. From conclusions, alternate egress routes acting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ecurity of refuge safety performance, whether or not sprinkler is installed, openness of way of egress, and noncombustible standard of interior material should be established as a standard related to refuge.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 of 2-direction refuge being important criterion which judges refuge safety performance and the installation of emergency elevator as the side corridor were proposed.

      • 역대정부 행정엘리트 충원에 관한 연구 : 장·차관을 중심으로

        이용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논문은 정부 수립 이후 2000년 12월 31일까지의 우리나라 역대정부의 행정엘리트 충원기준으로서 어떠한 요인이 주로 작용하였는지를 중앙행정기관의 차관급 이상 정무직으로 재직하였거나 재직중인 1,714명을 분석대상으로 객관적인 지표와 분석 틀을 설정하여 분석해 보고, 역대정부의 행정엘리트 충원정책을 비교 평가하여 충원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시작하였다. 역대정부의 충원 유형 분석을 위하여 충원기준을 크게 능력요인과 정치적 요인으로 구분하였는데 능력요인과 관련해서는 학력, 전공, 전직 등의 관점에서 논의하였으며, 정치적 요인으로는 출신지역, 출신학교, 성별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러한 충원 요인을 중심으로 역대정부별로 정부의 성격, 주요 개각 사유, 요인별 충원형태를 분석하였으며, Baber의 이론과 같은 논리로 충원유형을 통합형, 전문가형, 정치가형으로 구분하여 연구분석의 틀을 설정하고 역대정부의 행정엘리트 인사 충원 정책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역대정부의 행정엘리트 충원 비교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대정부의 행정엘리트 충원은 전체적으로 전문가형 45.0%, 통합형 35.2%, 정치가형 129%, 유형을 특징지울 수 없는 기타가 6.9%를 차지하고 있다. 충원유형의 추세는 전문가형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통합형과 정치가형은 감소하는 추세이다. 둘째, 역대정부별 충원 유형 분석 결과 통합형과 전문가형으로 대별되며 정치가형으로 특징 지울만한 정부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정희 2기 정부, 전두환 정부, 노태우 정부는 통합형 행정엘리트 충원 유형을 가지고 있으며, 이승만 정부, 박정희 1기 정부, 김영삼 정부, 김대중 1기 정부는 전문가형 행정엘리트 유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대정부의 충원유형을 비교분석하여 보면 먼저, 개인적 능력요인과 사회적 배경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통합형 행정엘리트를 많이 충원한 역대정부는 ① 전두환 정부 ⇒ ② 노태우 정부 ⇒ ③ 박정희 2기 정부 ⇒ ④ 김영삼 정부 ⇒ ⑤ 박정희 1기 정부 ⇒ ⑥ 김대중 1기 정부 ⇒ ⑦ 이승만 정부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두환 정부의 경우 쿠데타에 의하여 집권함으로써 정통성에 치명적인 결함을 가진 정부였으며, 노태우 정부의 경우 국민들의 민주화 열망이 그 어느 정부보다 강한 시대적 상황에서 집권한 정부로서 이들 정부에서는 능력요인과 정치적 요인을 모두 고려한 합리적인 행정엘리트 충원정책을 하여 정통성을 확보하고 국민들의 민주화 열망을 수용할 필요성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개인적인 능력요인을 중시하여 행정엘리트를 충원한 정부는 ① 김대중 1기 정부 ⇒ ② 이승만 정부 ⇒ ③ 김영삼 정부 ⇒ ④ 박정희 2기 정부 ⇒ ⑤ 노태우 정부 ⇒ ⑥ 박정희 1기 정부 ⇒ ⑦ 전두환 정부의 순으로 나타났다. 김대중 1기 정부는 IMF구제금융의 국가경제의 위기상황 하에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하여 이승만 정부의 경우에도 광복이후 국가 재건을 위하여 개인적인 능력 요인을 보다 더 고려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적 배경요인을 중시하여 행정엘리트를 충원한 역대정부는 ① 박정희 1기 정부 ⇒ ② 이승만 정부 ⇒ ③ 전두환 정부 ⇒ ④ 박정희 2기 정부 ⇒ ⑤ 노태우 정부 ⇒ ⑥ 김대중 1기 정부 ⇒ ⑦ 김영삼 정부의 순으로 나타났다. 박정희 1기 정부는 정통성에 치명적인 결함을 가지고 탄생한 정부로서 정치적인 충성심을 행정엘리트 충원에 중점을 두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승만 정부의 경우에도 최초의 정부수립에 따른 인물난 등으로 개인적인 친분이나 정치적인 성향이 같은 인물들을 우선 고려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역대정부의 행정엘리트 충원을 요인별로 분석해 보면 능력요인과 관련해서는 전체적으로 학력의 수준은 점차적으로 향상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이는 전문성 측면에서 사회가 고학력을 점차 요구하고 있고 그에 대통령이 반응하고 있다는 증거라 할 수 있다. 전공별 분포는 법학전공자가 31.8%로 가장 많았으며, 최근에는 정치 · 행정학 전공자와 경제 · 경영학 전공자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직분포는 관료 출신이 가장 많았다. 이승만 정부에서 김대중 정부에 이르기까지 시간이 갈수록 고위직 행정엘리트 가운데 관료출신의 비율이 점차 커져 갔으며, 전직이 군인인 행정엘리트는 군사정부에 들어와서 대거 동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치적 요인과 관련하여 출신지역 분포는 경남 · 북과 서울 순이었으며, 출신학교는 서울대가 41.5%로 타 대학에 비하여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사관학교, 고려대, 연세대의 순으로 나타났다. 역대정부의 행정엘리트 충원과정에서 나타난 특정에 따라 정책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행정엘리트의 충원에 있어 정책수행능력, 도덕성, 자질 등에 관하여 사전 검증을 위한 인사 청문회 제도의 확대를 들 수 있다. 둘째, 일단 임명된 행정엘리트에게는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만큼의 재임기간이 허용(2년 이상) 되어야 한다. 셋째, 행정엘리트 인사의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출신지역, 출신학교의 균등배분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여성의 행정엘리트 충원비율을 제고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과 함께 현재 정부에서 계획하고 있는 1기관 1인 여성 국 · 과장제의 적극적인 추진과 여성 승진 할당제 도입을 통하여 여성의 공직 기회를 확대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행정엘리트의 인사 충원 기준은 시대 상황과 국가에 따라 항상 변화하고 있다. 또한, 아무리 정치적 판단력과 개인적인 능력이 우수한 인재가 다수 포진한 정부에서도 국정난맥상은 발생하였으며, 이는 행정엘리트 충 원의 일부 잘못도 원인이 될 수 있으나, 그 보다는 리더십 · 철학 · 국정 운영 에 대한 비전 등 대통령 자신의 역량이 부족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앞으로 무한경쟁의 세계화시대에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고, 선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자질과 능력을 갖춘 행정엘리트의 충원과 함께 대통령 후보자의 자질, 리더십. 철학 등을 충분히 검증하고 국민들이 올바른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끝으로, 본 논문은 일부 계량 가능한 측정지표를 통하여 역대정부의 행정엘리트 충원정책을 비교 분석하였으나, 체제환경 · 시대상황 · 대통령의 리더십 등 그 이외의 다양한 변수를 분석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변수에 대하여는 후속연구에 맡기고자 한다. The present thesis analyzes the factors that determined the recluitmenf standards of the successive Korean governments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government through Dec. 31, 2000. An objective index and frame of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1,714 officials who occupied or currently occupy the posts of vice-minister and above in the centr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The study was initiated with the goal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dministrative elite recruitment policies in the successive governments in order to identify problems in recruitment and to seek a plan for improvement The recruitment standards were divided broadly into capability factors and political factors. Academic achievement, fields of specialization and previous jobs were considered in the discussion of capability factor. The region of birth, schools attended and gender were considered in the political factor. The recruitment factors were used in analyzing the successive governments' characteristics, reasons for cabinet reshuffles, and recruitment patterns. Baber's theory was used in dividing the recruitment types to integrated type, specialist type and politician type. The administrative elite recruitment policies of successive governm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in that frame of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bureaucratic elite recruitment in successive governments were as follows: First, overall, specialist types made up 45 percent of the administrative elite recruits in the successive governments. The integrated type accounted for 35.2percent and the politician type accounted for 12.9 percent of the administrative elite recruifments while there was no clearly discemable type in 6.9 percent. The specialist type recruitment is on a gradual rise while the integrated type and the politician type recruitment are in a decline. Second, examining the recruitment types in the successive governments, the governments can be divided into integrated types and specialist types. No government can be characterized as a politician type. The second Park Chung-hee government, the Chun-hwan government and the Roh Tae-woo government had integrated type administrative elite recruitment. The Syngman Rhee government, the first Park Chung-hee government, the Kim Young-sam government and the first Kim Dae-jung government featured specialist type administrative elites. Third, governments that recruited large numbers of the integrated type administrative elite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both the personal capabilities and the social background factors are 1) Chun Doo-hwan government=>2) Roh Tae-woo government=>3) Second Park Chung-hee government=>4) Kim Young-sam government=>5) First Park Chung-hee government=>6) First Kim Dae-jung government=>7) Syngman Rhee government. The government of Chun Doo-hwan, having come to power through a military coup, had a fatal flow in its legitimacy. In the case of the government of Roh Tae-woo, the government ruled at the time when the people's desire for democratization was at its strongest ever. By employing a rational administrative elite recruitment policy that took into consideration both the individual's capabilities and political factors, the two governments sought to secure legitimacy and accommodate the people's desier for democratization . Governments that placed importance on the individual's capabilities were 1) First Kim Dae-jung government=>2) Syngman Rhee government=>3) Kim Young-sam government=>4) Second Park Chung-hee government=>5) Roh Tae-woo government=>6) First Park Chung-he goverment=>7) Chun Doo-hwdn government. The first Kim Dae-jung government, faced with the task of economic recovery following an economic crisis and an IMF bailout, needed to place more emphasis on individual capabilities. The government of Syngman Rhee that faced the task of rebuilding the nation after gaining independence also needed to consider individual capabilities. Successive governments that placed importance on social factors in recruiting administrative elites were 1) First Park Chung-hee government=>2) Syngman Rhee government=>3) Chun Doo-hwan government=>4) Second Park Chung-hee government=>5) Roh Tae-woo government=%) First Kim Daejung government=>7) Kim Young-sam government. The first Park Chung-hee government lacked legitimacy and thus placed importance on political loyalty in recruiting administrative elites. In the case of the government of Syngman Rhee, the scarcity of personnel in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government appears to have led it to consider people with close personal ties or those sharing similar political orientations. Fourth, an analysis of the factors of administrative elite recruitment reveals that, with regards to the capabilities factor, the academic standards are gradually getting higher. This is evidence that the public is demanding higher scholarship and the presidents are responding to the demands. Looking at the recruits’fields of specialty, law majors took up the largest share at 31.8 percent. Recently, people with degrees in political science, public administration,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are on the increase. An examination of the previous jobs of the administrative elite recruits shows that bureaucratic posts were the most common. Starting with the government of Syngman Rhee and through the Kim Dae-jung government the ratio of bureaucrats filling the high-ranking administrative elite posts has been increasing. During military regimes, a large number of former military officials were recruited into administrative elite posts. Of the political factors, the spread of birthplace showed large numbers hailing from the South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s and Seoul. Looking at academic institutions,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s made up 41.5 percent of the administrative elites. This was followed, in order, by the Military Academy, Korea University and Yonsei University. Looking at the peculiarities of the administrative elite recruitment processes of the successive governments,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are made. First, in recruiting administrative elites, special hearings to examine capabilities, ethics and talents should be more widely used. Second, the appointed administrative elites should be allowed to serve more than two years for effective execution of tasks. Third, a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to evenly distribute the administrative elite posts among birth regions and schools. This would ensure that there is even representation among administrative elites. Fourth, a more concerted effort should be expanded to boost the ratio of female administrative elites. The government plan of "one female bureau/section chief per institution” should be followed through and a quota for female promotion should be adopted to expand opportunities for women at official posts. In conclusion, the standards of administrative elite recruitment are constantly changing depending on the times and state of the country. Chaos in managing state affairs arose even in governments with an abundance of personnel with outstanding political judgments and capabilities. Although some mistakes in the administrative elite recruitments can be cited as a reason, the lack of leadership, philosophy and a vision for the running of the country on the part of the president is a greater reason. Thafore, in order to improv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become an advanced country, it is important not only to recruit talented and capable administrative elites but for the people to make the right choice in choosing the president, carefully examining the presidential candidates’ talent, leadership and philosophy. Finally, the present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successive governments’ administrative elite recruitment policies using some quantifiable measurement indices. However, the study is limited in that it did not analyze the regim conditions, circumstances of the period, presidential leadership and other various variables. Such variables should be followed up in future studies.

      • 도시철도 정거장 내부시설의 효율적 규모 및 배치 조정에 관한 연구

        이용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제 목 : 도시철도 정거장 내부시설의 효율적 규모 및 배치 조정에 관한 연구 최근 도시철도의 계획 및 건설 시 이용자의 높은 요구수준과 ICT 기술, 자동화 같은 첨단기술의 도입 등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기술적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용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거장 공간의 효율적 규모 및 배치에 관한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도시철도 정거장의 내부시설을 살펴보면 이용객의 이동, 대기를 위한 공간 및 편의시설, 정거장의 운영과 유지 관리를 위한 공간으로써 상부 대합실 층과, 열차 운행과 승·하차를 위한 승강장 층 및 상·하 층간 연결을 위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층의 기능이 각기 다름에도 불구하고 지하정거장은 상·하 대칭형 정형화구체 공간의 내부시설은 효율적인 규모 및 배치 조정에 관한 장래 지향적인 사항을 고려하지 않으며, 내부의 매우 큰 기둥부재로 인해 개방감과 시인성을 훼손하고 이동 장애를 발생시킨다. 또한, 내부 개별공간의 칸막이 등이 사공간과 유휴공간을 발생시켜 정거장의 승객을 위한 공간, 역무 공간, 임대 공간의 비조화 등 공간 이용의 효율성을 떨어뜨린다. 이는, 서울도시철도가 1st subway의 Line 1에서 2nd subway를 거쳐 3rd subway인 Line 9를 단계별로 건설함에 따른 문제이며, 향후 사회의 발달과 기술의 진보에 따라 정거장의 내부시설을 보다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정거장 규모의 변천 과정의 조사·분석을 통한 내부시설의 효율적 규모 및 배치 조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하철 1st subway, 2nd subway 및 3rd subway의 301개 정거장을 대상으로 각 승객공간, 역무공간 및 임대공간과 각 기능공간을 조사·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기둥이 없는 비대칭형 비정형화구체 공간 구조의 Model을 설정하고, 정거장 공간의 LoS 이론에 의한 Simulation을 통해 편의성과 공간변형에 따른 효율성 검토를 하였다. LoS 이론에 의한 Simulation을 통해 정거장 공간의 편의성과 효율성 겸토 결과, 집·개표공간은 1st subway는 4-Gate System, 2nd subway는 2-Gate System 그리고 3rd subway Line 9는 1-Gate System을 비교한 결과 역무와 승객의 이동 동선이 복도형에서 홀형으로 발전되면서 집약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역무 공간은 1st subway의 소규모의 다양한 역무 기능에서 2nd subway를 거쳐 3rd subway에서는 그 기능이 통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임대 공간은 1st subway에서는 소규모의 여러 임대기능을 보였으며, 2nd subway에서는 중·대규모의 임대기능으로 변화하였고, 3rd subway에서는 매표소 대신 배치된 편의점으로 다기능화하여 집약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정거장 내부시설의 효율적 규모 및 배치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승강장 층과 연결계단부 조정, 대합실 층의 승객 공간을 홀형으로 집약화, 역무 공간의 통합화, 임대 공간의 다기능화 등을 위해 비대칭형 비정형화한 구체의 대합실 층의 기둥이 없는 공간 구성 예측 Model을 설정하여 LoS 이론 검증과 그 실현성에 대한 Simulation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Model이 정거장 내부시설의 효율적 규모 및 배치 조정을 위해 효율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LoS 이론의 Simulation을 통한 정거장 공간의 편의성 및 효율성 분석 결과에 따라, 광역·도시철도의 지하정거장 설치시 노선·선형의 변경 없이 대합실 층을 비대칭형 비정형화구체 구조로 주변 환경에 따라 조화롭게 선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정거장 규모 및 내부공간 배치 결정 시 편리한 이동 동선과 시인성 개선, 개방감 확보와 내부 역무 기능실 및 임대공간의 탄력적, 유동적인 배치 조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승객 증가 시 공간의 추가확보와 기둥 장애물로 인한 승객 이동 및 Waiting space 잠식의 해소 등에도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어, 광역·도시철도 지하정거장 내부시설의 효율적 규모 및 배치 조정에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Efficient Scale and Arrangement of Internal Facilities in Urban Railway Station Lee, Yong Jae (Supervisor Park, Yong Gul) Dept. of Global Railway System Graduate School of Railwa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study, Recently, in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urban railways, efforts are being made to respond to various changes socially, economically, and technologically, such as the high level of demand from users and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technologies includ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n addition to automation technologies. Particular interest has increased regarding research on space-scale efficiency and the structural arrangement of stations in order to improve user convenience. Urban railway stations are designed to facilitate their operation and maintenance and to provide convenience for passengers. A station typically consists of a waiting area in the upper level floor, a platform area in which trains operate and are boarded in the lower level floor, and a connecting area between each floor. Despite the different functions of each floor, underground stations have gradually expanded and become more deeply installed in a top-bottom symmetrical structure, meaning that the layout of each floor is the same. Such a standardized interior structure does not take into account a future-oriented efficiency in space, scale, and arrangement. This standardized structure is generally designed with large pillars in each floor and these can often impair openness and visibility of space, in addition to causing obstacles to mobility. Aside from large pillars, partitions in facilities can reduce the usable space for passengers, station office areas, and leasing areas. These challenges that reduce space efficiency and usability due to the top-bottom symmetrical structure exist because the Seoul Metro was built over three generations; the first subway generation (Line 1) to the third subway generation (Line 9). In order to use the internal space of railway stations more efficiently in a cost effective wa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evelopment in space, size, and layout of the railway stations throughout each of the three subway generation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functions and efficiency of spaces for passengers, station office areas, and leasing areas of 301 different Seoul Metro stations built in each subway generation.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an asymmetrical and atypical space structure design model and features simulations conducted based on the LoS theory to examine structural safety and space efficiency as a result of spatial transformation. With this analysis,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From a comparison of the ticketing areas from each subway generation; the 4-Gate System of the first generation, the 2-Gate System of the second generation, and the 1-Gate System of the third generation, it was found that the footprint of ticketing areas has decreased dramatically as a result of development of the passenger/office area structure from that of a hallway to that of a main hall. The structure of the station office area was analyzed and its functions have become more integrated in the third generation since the first generation, which featured more offices spread out across the station. The use of areas for leasing has also simplified in the third generation as a result of having more multifunctional businesses such as convenience stores, whereas the leasing areas were primarily used for smaller businesses in the first generation and then developed for medium and large-scale businesses in the second generation. Modern developments have rendered such businesses obsolete. With that, this study proposes that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cale and layout of station facilities in a more efficient way in accordance with the evolution of technology and trends in the utilization of space. Based on the analysis of existing stations built in different subway generations, this study conducted simulations by designing a pillar-free main hall-type waiting room area, adjusting the platform floor and the connecting staircase, and integrating the station office and rental space. In these simulations, the study verified the LoS theory and the feasibility of an asymmetrical and atypical space structure design model. Additionally, the study learned that the asymmetrical and atypical space structure model appears to be more efficient in adjusting space structure and increasing usability than the top-bottom symmetrical structure model.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se simulations, this study finds that an asymmetrical and atypical space structure model will make it more feasible for the waiting room floor to be designed more harmoniousl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ithout changing railway routes and when installing underground stations for metropolitan and urban railways. When deciding on the scale of the station and the layout of its interior space, it is expected that this model will als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walking areas for passengers, space visibility and openness, and the flexibility and efficiency of arranging space for office use and leasing. Lastly, this model will also be useful for securing additional space in the event of an increase in future passengers and avoiding the encroachment in walking and waiting spaces due to pillar obstac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