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자원기술의 획기적 증진을 위한 정책적 접근: 국내 자원개발산업

        이옥선,재욱,김성용,최선규,안은영,Lee, Ok-Sun,Lee, Jae-Wook,Kim, Seong-Yong,Choi, Seon-Gyu,Ahn, Eun-You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8 자원환경지질 Vol.41 No.5

        우리나라에서 자원기술의 선도적 역할 및 자원산업 육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현행 방식의 연구개발 투자 및 관리로는 빠른 시일 내로 선진국 수준에 근접하기 어렵다. 따라서 자원기술시스템 강화를 위하여 마스터플랜 또는 전략의 수립, 전문인력 및 인프라의 부족 해소, 민간기술개발의 투자 확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자원기술의 획기적 증진을 위하여 자원기술 및 자원개발산업의 개념 재설정, 연구개발 투자 확충 시스템의 구축, 전문인력의 확충, 인프라의 재구축이 필요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Though the demand of a leading role of resources technology and fosterage of the resources industry has increased in Korea, it is difficult for the existing investment and management of its R&D to lead to be the same level of those in more advanced countries within a short period. Therefore, in order to strengthen the resources technology system it needs to set up systematic plan or strategy, to resolve shortage of professional human forces, and to expand the investment of private technology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concept redefinition of resources technology and resources development industry, the establishment of expanded R&D investment system, to offer professional human forces and to reestablishment of the infrastructure for creatively improving resources technology.

      • KCI등재

        체육 전공 대학생들의 청소년기 스포츠 참여를 통한 생활기술(Life skills) 습득 경험과 요인 탐색

        이옥선(Ok Seon Le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2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전공 대학생들의 청소년기 스포츠 참여를 통한 생활기술 습득 경험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내 소재 대학의 체육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중에서 청소년기에 적어도 한 종목이상의 스포츠에 2년 이상 참여한 사람으로 학생 선수의 경력이 있는 20명 (남 15명, 여 5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연구 참여자가 작성한 개인 생애사 연대표, 개인 생애사, 심층면담을 통하여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인 방법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스포츠에 참여하여 자기관리와 자기성장을 위한 기본적 역량을 갖추는 데 필요한 기본기, 삶의 어려움과 도전을 다루는 데 필요한 대응기, 다른 사람과 사회에 건설적으로 기여하는 데 필요한 공헌기의 세 가지 대영역으로 범주화된 생활기술을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영역은 개인적 차원과 대인적 차원의 두 가지 차원을 포함하였다. 스포츠 참여를 통한 생활기술의 습득은 스포츠가 가진 내재적인 특성과 종목 특성, 코치의 철학 및 지도 방식, 스포츠 참가자의 반성 능력과 의미부여, 동료 및 환경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Sport and physical activity programs have strong potential to contribute to the education of well-rounded individuals by developing life skills which are required to deal and cope with daily challenges and demands successfully.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port-based life skills programs,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life skills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sport participa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ife skills development through youth sport participation among 20 physical education major students (15 male, 5 female) who participated competitive youth sports during their adolesc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participants` statement of their life histor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individual participants. Data were analyzed inductively and trustworthiness of the data was ensured with data source triangulation. Finding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acquired life skills through sport participation during their adolescent years. The acquired life skills were categorized as: (a) fundamental skills (e.g., effort, punctuality), (b) coping skills (e.g., accepting mistake, dealing with pressure) and (c) contributory skills (e.g., cooperation, maximizing team capacity, servant leadership). Participants perceived that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sport (e.g, team sport, individual sport, combative sport), the role of coach, teammate, and parent, and participants` reflective skills to find meanings of sport participation had facilitated their development of life skills during adolescent years. Meanwhile, performance-oriented coaching philosophy, undesirable peer pressure, a high level of academic stress appeared to wash-out life skills developed from sport participation.

      • KCI등재
      • KCI등재

        책임감 모형의 실행 양상 파악 및 실행 제고를 위한 모형의 개선 방향 탐색

        이옥선(Ok Seon Le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책임감 모형의 실행 양상을 파악하고 모형의 실행 제고를 위한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데있다. 연구 참여자는 책임감 모형(TPSR)을 실행하여 학위 논문을 작성하였거나 국내 학술지에 실행의 결과를 게재한 교사, 교사 현장 연구대회에서 책임감 모형 실행으로 입상한 교사, 또는 현재 책임감 모형을 실행하고 있는 교사들 중에서 연구에 동의한 초등교사 6명(남 5명, 여 1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교사심층면담, 수업 반성일지, 수업 계획서를 통하여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의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책임감 모형 실행의 양상은 외형적인 체제에는 충실하지만 다양한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는 데는 미흡한 ``외적충실, 내적빈곤의 실행``, 기존에 진행하고 있는 수업의 틀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책임감 모형의 특징적인 것을 선택적으로 끼워 넣어 실행하는 ``카페테리아식의 실행``, 그리고 ``원형과 변용의 균형을 지향하는 실행``의 세 가지 모습으로 나타났다. 책임감 모형의 적합성을 제고하기 위한 개선 방향으로는 익숙하지만 오해의 소지를 가진 가치 및 용어의 명료화, 수업의 형식 및 가치체계의 재구조화, 신체활동 중심 통합을 통한 도덕수업과의 차별화의 세 가지가 도출되었다. Donald Hellison`s (2011) Teaching Pers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TPSR) has been widely accepted as an exemplary curriculum model to deal with youth problems and promote children`s character development through sport and physical activities. Although evaluations studies have examined the outcomes of TPSR implementation,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how the model has actually been implemented in the school settings. Based on this lack of research interests on program implement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features of TPSR implementation and sought directions for model adaptation to enhance implementation. Six teachers(5 males, 1 female) who had experience in TPSR implementation have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hich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teacher reflective journal entries, and lesson plans were analyzed inductively. Findings revealed the three features of TPSR implementation: (a) high external fidelity and low faithfulness to students, (b) selective implementation, and (c) balancing fidelity and adaptability. To enhance implementation of TPSR in Korean school context, three suggestions have emerged: (a) clarifying values and terms in TPSR, (b) providing lesson structure and structured progression of responsibility values, and (c) centralize the use of physical activity to avoid indoctrination of values.

      • KCI등재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로 살아가기: 한 여교사의 교육적 성장과 그 의미

        임혜림 ( Im Hye-rim ),이옥선 ( Lee Ok-seo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6 교육인류학연구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 여교사가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로 살아가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초등체육 교사교육과 교직문화 개선을 위한 교육적 의미를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자문화기술지 연구 방법을 차용하였으며, 자기회상자료, 교사반성일지, 현지문서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내용 분석과 구조 분석(Ellis, 2004)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여자 체육전담교사로서의 `삶`이라는 표현에 감춰진 이중적 지향성에 주목한 결과, 크게 `살아내기`와 `살아가기`라는 두 가지 주제를 발견하였다. 먼저, `살아내기`에서는 `어색한 운동전문가`, `여교사에서 마당쇠로`, `안전제일 레크리에이션 강사`라는 세 가지 주제를 통해 여자 체육전담교사가 마주하게 된 당위적 삶의 양태를 드러내었다. 다음으로, `살아가기`에서는 `체육수업을 향한 열정`, `동료와의 소통`, `내 자리의 이유 찾기`라는 세 가지 주제를 바탕으로 여자 체육전담교사의 교육적 삶의 양태를 드러내었다. 본 연구는 초등체육전담교사의 삶이 학교 구성원들의 당위적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살아내기`의 과정으로 그치지 않고 체육 가르치는 일을 통해 교사로서의 성장 가능성을 지향하는 `살아가기`의 과정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female teacher`s educational journey of becoming and living as a specialist PE teacher in an elementary school. By adopting an autoethnography research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memory, teacher`s reflective journal entries, and local documents. Data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and structural analysis (Ellis, 2004). Findings revealed that my life as an elementary PE specialist teacher was categorized into `surviving` and `thriving.` The `surviving` life was characterized by the struggle with competing demands and expectations of teaching PE within an elementary school. It included `becoming an awkward movement specialist,` `transforming myself to a butch,` and `being a safety first recreation instructor.` Meanwhile, the `thriving` life was characterized by becoming a growth-oriented learner in the school by confronting the misconceptions and prejudices of PE and PE teachers. It included `having passion for PE classes,` `achieving positive recognition from colleagues,` and `seeking the right reasons for my job.` The findings show that a PE specialist teacher`s educational journey can be best understood as continuous pursuit of thriving life despite the struggles with survival needs.

      • KCI등재

        문학과 체육 융합교육 내용 탐구

        고정희(Ko, Jeong- hee),이옥선(Lee, Ok-seon) 국어교육학회 2017 국어교육연구 Vol.64 No.-

        The purpose of th is study is to inquire a possibility of convergence between literature and physical education, by focusing on physical activity represented in Eobusasisa. Since two subjects are educated separately, students in literature class can not understand Heung (exuberance) caused by physical activity and students in physical class don ’t feel the joy and passion of physical activity. Given that both physical activity and literature commonly create the meaningful space through human movement, the convergence of both subjects is possible. The two subjects have the common goal which makes students feel the exuberance or flow while they are experiencing physical activity. To suggest contents of convergence education, we have analysed Heung (興, exuberance) in Eobusasisa. This exuberance is caused by physical activity of poetic self. It is irresistible and it makes poetic self forget every thing such as the reason of existence and space-time sense. To understand human being who aspires to transcend their own existence as represented in Eobusasisa, students should have physical literacy. Physical literacy is the competence to understand and empathies about the ability and limit of human who lives with body in this world. This is not developed only by physical activity but by the integration of physical activity in to diverse arts. In this paper we suggested educational contents for developing physical literacy, especially focusing on physical expression, by applying the aesthetic features of Eobusasisa and The old man and the sea. Education of the whole person can be implementable by the convergence of literature and physical education since this convergence makes students understand of human being who has body, physical limit, and passion to transcend this physical condition. Above all, students can retrieve their joy and flow of physical activity in this convergence.

      • KCI등재

        라이프스킬 함양을 위한 초등학교 운동부 운영 요인 탐색

        최규현(Choi Kyu-Hyun),이옥선(Lee Ok-Seon) 한국초등체육학회 2021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학교운동부의 교육적 운영에 대한 정책적, 실천적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이에 대한 실천적 방안의 하나로 라이프스킬을 함양할 수 있는 학교운동부의 운영 요인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라이프스킬 함양을 위한 학교운동부 운영을 실천하고 있는 서울 소재 J초등학교 축구부의 감독교사 1명, 운동부 지도자 2명, 담임교사 1명, 학생선수 3명, 학부모 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문헌분석, 현지문석 및 현장일지, 심층면담,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개방형 코딩, 축 코딩, 선택적 코딩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범주화하고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라이프스킬 함양을 위한 초등학교 운동부 운영 요인으로는 (a) 라이프스킬에대한 목표의식의 공유, (b) 라이프스킬에 친화적인 생활환경의 조성, (c) 학교운동부 핵심적 주체의 역할 재정립, (d) 라이프스킬 교수 전략의 활용이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라이프스킬 함양 프로그램의 효과 제고 및 발전을 위해학교운동부 관계자들이 협력적 전문성을 실천해 나가야 함을 논의하였다. There is an increasing attention on the educational implementation of school sport program both on the policy and practice standpoi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life skills-friendly school sport program in an elementary soccer team. Participants were athletic director(n=1), coaches (n=2), classroom teacher (n=1), student athletes (n=3), and parents (n=2) from a school implementing life skills-oriented school sport program. Data were collected from literature review, document analysis, fieldnotes from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Data were analyzed and systematically categorized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Findings revealed that life skills-friendly school sport program was influenced by (a) sharing a sense of purpose among stakeholders, (b) building life skills-friendly environment, (c) reconceptualizing the role of athletic director and coaches, and (d) application of specific life skills teaching strategies. Discussions were made on developing collaborative professionalism among school sport stakeholders for developing life skills for student athletes.

      • KCI등재

        초등학교와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경쟁 활동영역의 연계성 탐색

        박미림 ( Mi Rim Park ),이옥선 ( Ok Seon Lee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4 초등교육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교육과정의 한 내용 영역인 경쟁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연계성 증진을 위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 각 4명씩 총 8명이었다. 문서적 수준에서의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육과정 관련 문서와 연구 참여 교사의 교과서 분석 문서를 수집하였다. 또한 실천적 수준에서의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업관찰 및 교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문서적 수준의 교육과정 연계성은 (1)교육 목표와 내용에서 연계성을 강조하는 교육과정 문서, (2)기본 움직임에서 스포츠로의 비약을 보이는 교과서, (3)워크북에서 백과사전으로의 격차를 나타내는 교과서로 나타났다. 실천적 수준의 교육과정 연계성은 (1)아동 중심에서 교과 중심으로의 급격한 이행, (2)외적 연계성을 고려하는 실천에서 내적 연계성 강조로의 이행, (3)안내하는 교사에서 전달하는 교사로의 격차로 초.중학교 상호간에 교육과정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교과서 검정 시 연계성을 주요한 검정사항으로 채택하고 초등학교에서의 내적 연계성 강화, 중학교에서의 외적 연계성 보완 노력 및 초.중학교 교사 교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icular continuity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PE invasion games in light of curriculum texts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Data collected from document analysis,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fieldnotes from class observations were analyzed inductively. Findings revealed that there were discontinuities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PE invasion games in contents and representation styles of PE textbooks despite explicit emphasis on curricular continuity in official curriculum documents. Findings also revealed that there were transition gaps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PE because elementary PE places child at the center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while secondary PE emphasizes PE subject and sport skills rather than individual students. To enhance curricular continuity, the National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should clarify meanings and criteria of curricular continuity and also seek active exchanges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PE teachers through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 KCI등재

        모형 기반 초등 체육 수업을 위한 교사 지식 탐색

        장경환(Kyung Hwan Jang),이옥선(Ok Seon Le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모형 기반 초등 체육 수업을 위한 교사 지식을 하나로 수업을 중심으로 탐색하고, 수업모형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지식이 체육 수업의 실천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교사지식의 분석을 위해서 Cochran-Smith와 Lytle(1999)의 ``지식-실천의 관계``를 이론적 틀로 채택하였다. 이를 위해 하나로 수업을 1년 이상 꾸준히 연구하며 적용해 온 초등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수업관찰을 실시하고, 문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귀납적 범주 분석의 결과, 형식적 지식으로는 하나로 수업의 목표를 인성교육을 위한 실천 모델로써 인식하고 있다는 점, 내용과 방법 측면에서 하나로 수업의 네 가지 구조를 이해하고 있다는 점, 운영의 측면에서 하나로 수업의 핵심 요소인 터와 패를 교육적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 실천적 지식의 주제는 초등교육의 특성을 반영하는 ``교실과 운동장을 하나로``, 하나로 수업 모형과 이외의 ``다양한 수업 모형과의 전략적 유대로``, 하나로 수업에 대한 기존의 ``오해와 비판을 이해와 긍정으로`` 등 크게 3가지로 범주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생성적 지식의 수준에서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실천 모델로써 하나로 수업을 발전시켜 적용할 수 있다는 점, 수업 모형을 넘어 하나의 수업 철학 및 새로운 렌즈로써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주요 주제로 드러났다. 아울러 수업 모형과 관련된 교사의 지식은 형식적 지식에서 출발하여 실천적 지식으로, 더 나아가 생성적 지식으로 연결되는 흐름 및 순환의 과정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교사의 역할이 ``수동적 지식 활용자``에서 ``능동적 지식 생성자``로 전환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odel-specific knowledge in Hanaro Teaching (HT)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knowledge on model and PE practice. Participants were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n=3, 3 males) who have over a year of HT model implementation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class observations, teachers` reflective journal entries, lesson plans and analyzed inductively. Findings revealed three domains of HT model-specific teacher knowledge based on the Conceptions of Teacher Learning Framework (Cochran-Smith & Lytle, 1999). The framework conceptualizes teacher knowledge in terms of knowledge for practice, knowledge in practice, and knowledge of practice. First, knowledge for practice dimension in HT model implementation included: (a) the purpose of HT as a character education model, (b) perception of 4 basic structures of HT as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nd (c) pedagogical understanding of Teo(i.e. learning station) and Pae(i.e. activity group) in terms of PE management. Second, knowledge in practice in HT implementation included: (a) classroom management as an extension of HT implementation, (b) building connection with other instructional models, and (c) transforming misconception on HT model into possibility. Lastly, knowledge of practice dimension included: (a) building connection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and (b) understanding HT model as teaching philosophy and fresh lens for re-searching and re-viewing the elementary PE. In conclusion, we identified that model-specific teacher knowledge was related to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knowledge was developed progressively from knowledge for practice to knowledge in practice, and eventually shifted toward knowledge of practice. Through this process, teacher`s role should be also shifted from passive knowledge user to active knowledge produ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