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기술개발 현황

        이영엽,Lee, Young-Up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95 자원환경지질 Vol.28 No.3

        The amount of the high level radioactive wastes in Korea will be increased up to 14,297 MTU about 2010 year. Most of countries adopt the concept of deep burial repository in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Because the high level radioactive wastes are very toxic in biosphere and to human, the data verifing its never return to the biosphere are requisite for the disposal. Presently, the evaluating techniques for the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are not fully developed. Therefore, in order to dispose the high level radioactive wastes in proper time the R & D of it is urged in our country. The R & D and/or the international joint research programme for the disposal of high level wastes have already been proceeded. In our country no plan for its disposal has been prepared. It is the time that the direction of the R & D is to be discused seriously. The R & D for the disposal of high level radioactive wastes in Korea is believed to be focused on developing the pecular techniques such as in situ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flowage, and change of properties of in situ rock mass at thermal effects.

      • 진안분지 서변 중앙부 신리지역의 준퇴적동시성 변형구조

        이영엽,Lee Young-Up 한국석유지질학회 1998 한국석유지질학회지 Vol.6 No.1

        진안분지 서변 중앙부에 위치한 신리 지역에서는 주로 셰일 협재 조립질 사암과 사암/셰일이 호층을 이루는 만덕산층과 셰일이 우세한 달길층이 분포한다. 이 층들에서는 조립질 사암상, 사암/셰일 호층상, 셰일상 및 화산암상 등의 네 가지 암상이 관찰된다. 조립질 사암과 사암은 저탁암의 특성을 보이며, 셰일은 호수 이암의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이 퇴적암상은 호수 퇴적물 기원으로 해석된다. 이 퇴적암 내에는 비교적 큰 규모의 습곡 및 스러스트 단층 등이 변형되지 않은 상하부의 퇴적층준 내에 한정되어 발달한다. 습곡 및 스러스트 단층 내에는 팽창(swelling)구조, 부우딘(boudin)구조, 소습곡 및 소규모 역단층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곳에 발달하는 두 조의 습곡은 동형 습곡에 해당되며, 하부의 습곡은 습곡의 정도가 층의 상부를 따라 점점 감소하면서 동심(concentric)습곡을 이룬다. 습곡 내 팽창 구조는 습곡의 축면에서, 부댕 구조는 날개부에서 각각 관찰되며 연성 퇴적물이 이동하여 형성되었다. 스러스트 단층에서는 미끌린 면을 따른 연질 퇴적물의 변형과 소규모 습곡 및 이동 사암체 전면부의 로브형(lobe type) 변형이 관찰되며, 계속된 구조 운동으로 인한 듀플렉스(duplex)구조로 발달하였다. 분리된 사암체 전면 상하부 계일 내에는 비대칭성과 킹크(kink)습곡이 각각 관찰된다. 스러스트 단층에서의 팽창 구조, 부우딘 구조, 로브형 변형 및 소습곡 구조들도 퇴적물의 미고화 상태에서의 유동성과 변형을 지시한다. 습곡과 스러스트 단층 모두는 또한 구조의 규모나 퇴적층의 특성에 비해 열극의 발달이 적어, 변형 당시 퇴적물의 가소성을 보여준다. 스러스트 단층의 측면을 따라서는 동시 발달로 추정되는 정단층이 있다. 작은 규모의 변형구조로는 슬럼프, 말린층리, 횡와습곡과 티그마틱 습곡, 불꽃구조 및 짐구조등이 관찰된다. 이는 퇴적동시성에서 준퇴적동시성의 변형구조들로서 분지 퇴적물이 퇴적된 이른 시기부터 조구조 운동이 영향을 미쳤음을 지시한다 이런 여러 가지 특징들은 퇴적물이 퇴적된 시기부터 고화되기까지 분지 지역에 조구조운동이 계속되었음을 지시한다. In the Sinri area located at the mid western boundary of the Jinan basin, the Manduksan Formation which mainly consists of coarse sandstone narrowly intercalated with shale and the alternation of sand and shale and the Dalgil Formation mainly of shale are distributed. It consists of four lithofacies, such as coarse sandstone, interbedded sandstone/shale, shale and volcanic rock lithofacies. All sediments are interpreted to be deposited by turbidity currents and free fallouts in a lacustrine basin. In these rocks many penecontemporaneous defomation structures are observed such as fold and thrust fault at large scale, and swelling, boudin structure, flame structure, load structure, ptygmatic fold and convolute bedding at small scale. All these structures are developed between upper and lower undisturbed sedimentary strata. Two large folds are similar folds, but lower one gradually developed into concentric shape. The swelling structures by convergence of the sediments are observed in the hinge area and the boudin structures are developed in the limb. The thrust faults including minor folds and sandstone lobes show duplex structure with asymmetric and kink fold on and below in front of the detached sandstone layer. Development of the swellings, boudins and lobes indicates the flexbility of the sediments during deformational episodes. The folds and thrust faults rarely contain fractures relative their scales and lithologies. This feature also indicates the retrievability of sediments during deformation. At the flanks of the thrust faults the normal faults are formed contemporaneously. The deformation structures at small scale such as flame structures, load structures, ptygmatic folds and convolute beddings are syndepositional and penecontemporaneous, which show the effects of tectonic movements. All these deformed sedimentary structures of the Sinri area suggest the continuing tectonic movements during and/or after deposi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Studies on the Geology and Geochemistry in the Beonam Mine, Korea

        정재일,나춘기,이영엽,전서령,김선영,Chung, Jae-Il,Na, Choon-Ki,Lee, Young-Up,Jeon, Seo-Ryeong,Kim, Seon-Young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 1995 자원환경지질 Vol.28 No.6

        번암광산은 소백산 육괴의 남서부에 위치하며, 소백산은 편마암 복합체를 $N20{\sim}30^{\circ}E$ 방향으로 관입하여 나타난다. 주변 화강암들은 변성화강암류의 재용융 혹은 부분용융에 의해 생성된 calc-alkaline계열의 마그마로부터 분화 생성된 산화물로 추정된다. 광상을 배태시킨 광화용액을 화강암체를 형성한 마그마로부터 유래하였다해도 시기적으로 훨씬 후기에 생성되었을 것이다. 공생광물군에 대한 연구결과 광화작용은 크게 3시기로 I기: 기저 유화광물의 생성시기, II기: 후기 유화광물, 엘렉트럼 및 함은 유영 광물의 생성시기, III기: 소량의 함은 광물, 백색석영 및 탄산염광물의 생성시기로 나눌 수 있다. 번암광산의 생성온도, 염농도 및 압력은 광물공생과 화학성분, 유체포유물, 유황동위원소 지질온도계를 이용하여 측정되었으며 다음과 같다. I기: $200{\sim}315^{\circ}C$. 3.5~6.5 NaCl eq. wt.%. 0,28~0.61 Kbar. II기: $150{\sim}235^{\circ}C$, 4.5~7.4 NaCl eq. wt.%. 0.11~0.15 Kbar로 나타난다. 초기 광화작용동안산소와 유황분압은 각각, $10^{-35.1}{\sim}10^{-39.7}$ atm., $10^{-11.0}{\sim}10^{-13.4}$atm. 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번암광산은 polymetallic meso-epithermal type의 광상으로 생각된다. The Beonam deposits which is located in south-western part of Sobaeksan massif are emplaced along $N20{\sim}30^{\circ}E$ trending fissures in Precambrian Sobaeksan gneiss complex. Surrounding granites are inferred to be differentiated and formed from calc-alkaline magma which was generated from remelting or partial melting of the crustral material having igneous composition. The Sr isotope data of ore minerals showing significantly low initial Sr value relative to those of surrounding granite batholiths suggest that the ore-bearing fluid formed the Beonam Au-Ag mine are isotopically distinct from those of the wall rocks, and it indicates that there is no evidence of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ore-bearing fluids and surrounding granites, although further study should be needed. The results of paragenetic studies suggest three stages of hydrothermal mineralization; stage I: base-metal sulfides stage, stage II: late base-metal sulfides, electrum and silver-bearing sulfosalts stage, stage III: minor silverbearing minerals, barren quartz and carbonates stage. The temperature, salinity and pressure of the Beonam deposits estimated from mineral assemblage, chemical composition, fluid inclusion and sulfur isotope geothermometry are as follows; stage I: $200{\sim}315^{\circ}C$, 3.5~6.5 NaCl eq. wt%, 0.28~0.61 Kbar, stage II: $150{\sim}235^{\circ}C$, 4.5~7.4 NaCl eq. wt%, 0.11~0.15 Kbar. The estimated oxygen and sulfur fugacity during first stage mineralization, based on phase relation of associated minerals, range from $10^{35.1}{\sim}10^{-39.7}$ atm. and $10^{-11.0}{\sim}10^{-13.4}$ atm., respectively. All these evidences suggest that the Beonam deposits are polymetallic meso-epithermal ore deposits.

      • KCI등재

        용출액의 pH 변화가 토양내 중금속 용출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국내 토양 오염 공정시험방법의 문제점

        오창환(Chang Whan Oh),유연희(Youn Hee Yu),이평구(Pyeong Koo Lee),이영엽(Young Up Lee)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3 자원환경지질 Vol.36 No.3

        전주시 하천 퇴적물시료, 호남고속도로 주변의 토양과 퇴적물 시료, 광산주변 광미 및 토양시료를 대상으로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상의 용출법, 0.1N 유지용출법, Tessier et at.(1979)의 연속추출방법을 적용하여 중금속을 추출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공정시험방법상의 용출법 사용시 산에 대한 완충능력이 있는 시료는 용출액의 pH 1(0.1N HCl)이 유지되지 못했고 용출액의 pH가 최고 8.0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상의 용출법 사용시 중금속 추출량(HPE)/0.1N 유지용출법 사용시 중금속 추출량(HPEM) 값의 평균치와 범위는 Cd의 경우 0.479와 0.145-0.929, Zn의 경우 0.534와 0.078-0.928, Mn의 경우 0.432와 0.041-0.992, Cu의 경우 0.359와 0.011-0.874, Cr의 경우 0.150과 0.018-0.530, Pb의 경우 0.219와 0.003-0.853 그록 Fe의 경우 0.088과 1.73×10-5-0.303이다. 이는 두 전처리 방법에 의해 추출된 중금속량의 차이가 Fe>Cr>Pb>Cu>Mn>Cd>Zn 순임을 지시한다. HPE, HPEM과 연속추출법 비교시 Zn, Cd, Mn의 경우 추출량은 대체적으로 연속추출 3단계까지의 합≥0.1N 유지용출법>연속추출 2단계까지의 합≥용출법 순이었으며, Cr과 Fe의 경우 연속추출 3단계까지 합>>0.1N 유지용출법>용출법 순이었으며 연속추출 2단계 까지 합은 Cr의 경우 0.1N 유지용출법의 추출량보다 낮았고 용출법의 추출량보다 높았다. Cu의 경우 연속추출 4단계까지의 합≥0.1N 유지용출법>3단계까지의 합=용출법으로 나타났다. 0.1N 유지위해 첨가된 염산의 양이 증가할수록, 즉 시료내의 산에 대한 완충능력이 증가할수록 HPE/HPEM 값이 감소하며, 완충능력이 큰 시료의 경우 모든 원소에서 HPE/HPEM이 0.2보다 낮다. 완충능력이 낮은 시료의 경우 Zn, Cd, Mn, Cu는 연속추출 1, 2단계의 합과 연속추출 3단계의 중금속 추출함량간의 차이가 적고, 다른 원소에 비해서 상대적인 유동도가 높기 때문에 HPe/HPEM이 대체적으로 0.2보다 높으며 0.6이상의 값을 갖는 시료가 많다. 그러나, Fe, Cr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Zn, Cd, Mn, Cu에 비해 유동도가 낮고, 연속추출 3단계의 함량이 1+2단계의 한량과 차이가 커 완충능력이 낮은 시료의 HPE/HPEM 값도 전반적으로 0.2보다 낮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토양오염 공정시험방법상의 전처리 방법인 용출법이 장래에 장기적으로 산성비와 같은 환경피해에 노출되어 토양의 완충능력이 감소하거나 상실될 수 있는 지역의 오염평가에 적합치 않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Heavy metals are extracted from Chonju stream sediment, roadside soils and sediments along Honam express-way, soils and tailings from mining area using three different methods (partial extraction in Standard Method, par-tial extraction method with maintaining 0.1 N of extraction solution and Sequential Extraction Method). In samples having buffer capacity against acid, pH 1 (0.1 N HCl) of extraction solution can not be maintained and pH of extraction solution increases up to 8.0 when partial extraction in Standard Method is used. The averages and ranges of HPE(heavy metals extracted using partial extraction in Standard Method)/HPEM(heavy metals extracted using partial extraction method with maintaining 0.1 N of extraction solution) values are 0.479 and 0.145_0.929 for Cd, 0.534 and 0.078_0.928 for Zn, 0.432 and 0.041_0.992 for Mn, 0.359 and 0.011_0.874 for Cu, 0.150 and 0.018_0.530 for Cr, 0.219 and 0.003_0.853 for Pb, and 0.088 and 1.73×10-5_0.303 for Fe. These data indicate that the difference between HPE and HPEM is large in the order of Fe, Cr, Pb, Cu, Mn, Cd and Zn. The amounts of heavy metals extracted decreases in the follow order; Sum III (sum of fraction I, II, III in sequential extrac-tion)>HPEM>Sum III (sum of fraction I and II)>HPE for Zn, Cd and Mn and Sum III>HPEM>HPE for Cr and Fe. In the case Cr, Sum II is lower than HPEM and higher than HPE. In case of Cu, extracted heavy metals is large in the order Sum IV>HPEM>Sum III@HPE. HPE/HPEM value decreases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HCl used for maintaining 0.1 N of extraction solution. For samples with high buffer capacity, HPE/HPEM value in all elements is lower than 0.2. On the other hand, for samples with low buffer capacity, HPE/HPEM value are over 0.2 and many samples have values higher than 0.6 for Zn, Cd Mn and Cu due to the small difference between Sum II and Sum III, and relatively higher mobility. However, for Fe and Cr, HPE/HPEM value is below 0.2 even for samples with low buffer capacity due to their low mobility and big difference between Sum II and Sum III.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partial extraction method in Korean Standard Method of soil is not suitable for an assessment of soil contamination in area where buffer capacity of soil can be decreased or lost because of a long term exposure to environmental damage such as acidic rain.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백악기 진안분지 마이산 역암층의 고배수지 환경고찰

        이영엽 全北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1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26 No.-

        According to an analysis of paleotopography in the circumference of the Cretaceous Maisan Conglomerate, Jinana Basin, the elevation was high in the east and low in the west, and the slope was dipping westward. The paleodrainage area for the Maisan Conglomerate is calculated to be about 734㎢. Analyzed by GUMBEL, IWAI and LOG-PEARSON TYPE Ⅲ, the PMP(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and the PMF(probable maximum flowage) per 24 hours from 1 to 500 return-year-period are calculated to be 82 - 316㎜ and 697 - 2685㎥/sec, respectively. Comparison with the Roaring alluvial fan(Blair, 1987), which serves as an modern analogue for the Maisan Conglomerate in terms of depositional conditions, reveals the at the flow velocity at variant PMF with 1 - 500 return-year-period is about 24 - 94 m/sec and the clast size transported by the flow might have reached at 25 - 380m. These values are not realistic in modern environments. Conversly using the maximum clast intermediate diameter about 1m in the Maisan Conglomerate, the return-year-period at the inferred velocity of 5m/sec and PMF of 148㎥/sec is calculated to be less than 1 year, which seems common even in terms of the usual time scale. The calculated values of cross sectional flowage area using variant paleoslopes show much wider and deeper than those of the recent Roaring alluvial fan with the gentlest slope of 0.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