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과학교과교육 : 과학 관련 진로교육에 대한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

        박미희 ( Mi Hee Park ),조규성 ( Kyu Seong Cho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38 No.1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과학 교사 119명을 대상으로 과학 관련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과학 교과서의 진로교육 관련 내용은 과학 관련 직업과 경제 영역이 가장 많았다. 과학 교사들은 학생들의 진로 교육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지만 실제 진로교육을 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진로교육 관련 자료를 수집할 때는 인터넷 정보검색을 선호하였다. 또한 과학 교사들은 진로와 관련하여 학생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학과로 이공 계열과 공학 계열을 선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perception of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on science-related career education. 119 high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cience-related career and economy’ domain was showed up career education contents in high school textbook Second. teachers was realized the necessity of the science-related career education, but the extent to which it is carried out fell short of their recognition. They were preper information retrieval through the internet than any other source when gathering materials for the science-related career educa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teachers tent to recommend students field of engineering when they advise students which major they should choose.

      • 예비과학교사들의 유사과학에 대한 인식의 탐색: 개인적 경험 사례와 은유적 표상을 중심으로

        안문영 ( Moon-young ),이준기 ( An¸ Jun-ki Lee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3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48 No.1

        이 연구는 훗날 과학교사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학생들인 남부권 소재의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물리·화학·생물·지구과학교육전공의 예비 과학교사 119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개방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유사과학과 관련된 경험을 제시하도록 하여 경험의 유형과 경험의 맥락을 알아보고, 유사과학에 대한 메타포를 제시하도록 하여 유사과학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연구참여자들의 유사과학에 대한 개인적 경험과 은유적 표상을 알아보기 위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사과학과 관련된 경험의 유형은 성격, 제품, 오컬트, 종교, 건강, 무경험 및 무지함의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유사과학과 관련된 경험의 맥락은 인적 접촉, 불분명 및 망각, 미디어, 무경험 및 무지함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메타포 분석을 이용하여 알아본 유사과학에 대한 인식은 긍정, 부정, 혼재, 무심의 4가지 관점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긍정과 부정이 혼재하는 관점에 따르면 의미나 상황에 따라 유사과학에 대한 개념이 달라지면서 혼란스러워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교육적 함의를 가진다. 첫째, 유사과학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하고, 과학과 유사과학을 구분할 수 있는 완전한 과학적 지식과 비판적 사고 능력이 필요하다. 둘째,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유사과학이 새롭게 등장할 수 있으며, 실제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사과학과 관련된 경험의 맥락을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예비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한 적절한 교육과정이나 비교과 프로그램 등의 수업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실제 과학에 대한 개인적 소양을 함양할 수 있는 과학교육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19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Education at the Faculty of Science Education at the College of Education located in the southern region, who are students who are striving to become science teachers in the future. By using an open questionnaire, participants were asked to present experiences related to pseudoscience to find out the type and context of their experience, and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pseudoscience by suggesting a metaphor for pseudoscie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personal experiences and metaphorical representation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pseudosci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types of experience related to pseudoscience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personality, product, occult, religion, health, inexperience and ignorance. Second, the context of experience related to pseudoscience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personal contact, obscurity and forgetting, media, and inexperience and ignorance. Third, the perception of pseudoscience found out using metaphor analysis was classified into four perspectives: positive, negative, mixed, and indifferent. Fourth, according to the mixed view of positive and negative, confusion appeared as the concept of pseudoscience changed depending on the meaning or situation. Based on this research, it has the following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pseudoscience and have complete scientific knowledg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o distinguish between science and pseudoscience. Second, various types of pseudoscience may newly emerge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he context of experiences related to pseudoscience that may occur in the actual field should be studied and analyzed in more depth.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lass program such as an appropriate curriculum or extracurricular program for prospective science teachers, and through this, science education that can cultivate personal knowledge about science should be conducted.

      • 중등과학교사 전공심화연수를 통한 한국과학교육의 방향 제언

        박병두 ( Byeung-du Park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科學敎育論叢 Vol.44 No.1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반드시 갖춰야 할 것은 창의융합교육이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교육은 창의융합교육과 동떨어진 부분이 많이 보인다. 정책적으로 창의융합교육을 지원한다고 하지만 현장의 온도는 그리 녹록치 않다. 이에 대한민국보다 더 빨리 창의융합교육에 관심을 갖은 미국의 교육현장은 어떠한지 방문을 통해 확인 했으며, 창의융합교육에 대한 교수학습방법을 다양한 활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익힐 수 있었다. 그리고 짧은 경험을 통해 체득한 창의융합교육에 대해 한국과학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통해 마무리하고자 한다.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creative fusion education. However, the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eems to have a sense of distance from a creative fusion education. Although they support it politically, the temperature at the site is not so steady.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rough visitation about what kind of educational field in the United States was interested in a creative fusion education sooner than Korea,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a creative fusion education was indirectly learned through various activities. I would like to conclude by suggesting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science education about a creative fusion education acquired through short experience.

      • 학습클리닉 교사들의 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과학과 관련된 사례 중심으로

        손효남 ( Son Hyonam ),이준기 ( Jun-ki Lee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44 No.1

        이 연구는 정체성 갈등을 겪고 있는 학습클리닉 교사6명을 선정하여 그들이 학생을 지도하면서 겪었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관점으로 이해하고 알아보고자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심층면담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클리닉 교사들의 소속의 정체성과, 비정규직 교육자라는 편견과 처우, 진정한 과학교사 인가?, 교사와 공간의 정체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학습클리닉 교사들은 교육자로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들의 소속과 신분이 계약에 의해 유지되는 사회적 제약을 받고 있어서 그들의 정체성 측면에서 불안한 마음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으며, 과학교육에 있어 나는 진정 과학 교사 인가?에 대한 그들의 낮은 자아정체감, 심리적 소진, 낮은 직무만족도, 높은 스트레스 경향을 엿볼 수 있었으며, 교사와 공간의 관계성에 대한 정체성에서 그들의 공간이 없음에 회의적이고, 교사의 잠재적 역량이 현실과 타협하는 모습이 드러나 있어 교사로서의 정체성 혼란이 심화되고 있을 알 수 있었다. 그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교육적 제언을 제시 하였다. 첫째, 교사 재교육, 연수, 세미나를 통해 동기부여와 연대감을 높여 교사의 역량과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교육적 혜택의 기회를 주어야 한다. 둘째, 고용의 안정화와 장기적인 교수를 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과 교사 정체성의 재정립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한 사회제도의 마련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six teachers of learning clinics undergoing identity conflicts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through narrative inquiry to understand and understand the students' viewpoints based on the stories they had experienced while teaching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dentity of the teachers of the learning clinics, the prejudice and treatment of non - regular teachers, the real science teachers, and the identities of teachers and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eachers of learning clinics have a positive image as an educator, but their affiliation and status are subject to social constraints that are maintained by contracts, so their anxiety is strongly expressed in terms of their ident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ir low self-identity, psychological exhaustion, low job satisfaction, and high stress tendency toward teachers were skeptical of their lack of space in the identity of teacher-space relationship, I was able to find out that the identity confusion as a teacher is getting worse.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e following education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First, teacher retraining, training, and seminars should provide motivation and solidarity to give teachers the opportunity to increase their competence and self-esteem.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ppropriate social institutions to provide space for the stabilization of employment and long-term teaching, and to re-establish teacher identity.

      • 과학교과교육 : 과학영재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지프레임 특성

        최성미 ( Sung Mi Choi ),정덕호 ( Duk Ho Chung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지프레임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C대학 부절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중학교 과학영재 37명이 선정되었고, 이들에게 기후변화에 대한 개방형 설문지를 개발하여 투입하였다 과학영재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언어네트워크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학영재들은 지구 온난화를 기후 변화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개인별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과학영재들은 에너지, 온도, 날씨, 생활 패턴 등 기후 변화의 요소를 통합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gnitive frame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on the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A total of 37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he education center established for the science-gifted students by the C University, and were asked to answer an open-ended question on the climate change. The question responses of th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ents recognized global warming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climate change. The other important elements included changes in energy, temperature, weather and life patterns. The analysis also revealed that the gifted students perceived the elements of climate change by structurizing the concepts related to climate change in an integrated manner.

      • 과학교과교육 : 과학과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사용된 그래프의 유형과 활용분석 - 7학년을 중심으로-

        강지현 ( Ji Hyun Kang ),오상욱 ( Sang Wook Ok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39 No.1

        과학적인 그래프는 과학지식을 분석하고 소통하는데 시용되는 좋은 도구이며 데이터를 해석하는 또 다른 방식의 하나이다. 그래프는 과학 뿐 만 아니라 우리 삶의 많은 부분에서도 사용되기 때문에 그래프를 구성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가지는 것은 오늘날 하는 일에서 뛰어남을 보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그러나 학생들은 데이터를 해석하고 작성하는데 일반적으로 어려움을 경험한다 이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배움 과정, 학습 도구, 교사의 능력, 다른 학문적인 분야와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여러 변으로부터의 연구가 필요 하게 된다. 학습도구로서의 그래프에 초점을 둔 이 연구는 2007년 개정판 검정 교과서로 최근에 출판된 17종류의 중학교 과학교과서를 선택하여 그래프의 형태, 구성 해석 활동과 해석 분포를 분석하였다. 과학 1 교과서에서 사용된 우위를 점하는 그래프는 선형으로 전체 그래프의 94%를 차지하였다 과학 단원 중 물질과 에너지 단원은 각각 43.5%와 36.7%로 가장 많은 그래프를 사용하였다. 그래프 활동 형태에 있어서는 작성활동이 22.4% 그리고 해석활동이 77.6%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래프를 작성활동에 축의 단위 안내, 축의 안내, 변인 안내 그리고 무안내로 분류했을 때 이들은 각각 41.6%, 39.6%, 12.3%, 그리고 6.5% 이었고, 해석활동의 정도에 따라 분류했을 때 하나의 그래프에 의한 해석이 89.1% 였고 두 개 이상의 그래프에 의한 해석이 10.9%로 나타났다. 교과서 상호간의 작성활동과 해석활동의 조사에서는 작성활동은 서로 일치하지 않았으며 해석활동의 수준은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하나의 그래프에 의존하고 있었다. Scientific graph is a very strong tool in analyzing and communicating scientific knowledge, and is another way of expressing and interpreting data. Having the ability of structuring and understanding graph becomes a crucial factor to be a globally talented professional since graph is not only used in science but also in many parts of our lives, However, students usually experience difficulties in composing and interpreting data. To resolve this problem, researches from different aspects, including learners` learning processes, teaching material, instructor`s capability, interactions with other academic fields, are needed. In this study focused on graph as teaching material, we have selected 17 kind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 books, which were recently published by the 2007 update of the government certified education guidelines, and analyzed the level of interpretation activities, typ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interpretation on graphs. The dominant type of graph used in middle school science I textbooks was the linear type, which were constituted 94% of the total graphs. Among the science sections covered, Matter and Energy sections were the ones that the most graphs were used with 43.5% and 36.7%, respectively. In patterns of graph activity, Composition activities were 22.4 % and interpretation activities took up 77.6%. When the graphs were categorized by the level of composition act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structions of the scales of the axis, the instruction of axis and variables, and no instruction were, respectively, composed of 41.6, 39.6, 12.3, and 6.5%. And when the graph were categorized by the different levels of interpretation activity, the interpretation of one single graph turned out 89.1 %, and the interpretation of more than two graphs were only 10.9%. Investigation of composition and interpretation activities from different textbooks showed that the composition activities were inconsistent among the textbooks and the level of interpretation activities was mostly interpreting one single graph only.

      • 科學의 社會的 側面에 關한 硏究 : Joseph Ben-David를 中心으로

        吳眞坤 全北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1984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9 No.-

        이상과 같은 Ben-David의 저서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과학에 대한 사회적 측면의 연구와 방법을 찾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그는 과학사회학의 방법을 첫째, 과학과 사회제도의 관계로 보는 제도론적 접근 둘째, 과학자 상호의 사회관계를 문제로 하는 관계론적 접근으로 분류한 다음, 또 한편으로는 그 사회적 조건의 영향이 과학자의 행동, 연구 활동에만 미치는가, 아니면 과학의 내용, 특히 그 기초개념이나 과학의 논리구조에까지 이르고 있는가라는 점에서 구별하고 있다. 제도론적인 접근은 국가에 따라서 서로 다른 과학자의 역할 연구조직의 구조, 경제·정치체제, 종교, 이데올로기 등 여러 측면 등의 변수가 문제가 되고 있다. 한편 관계론적 접근은 연구소 내의 책임분담, 협력, 문헌의 인용패턴 등 과학자의 상호관계를 문제로 삼고 있다. 특히 관계혼적인 접근에서 두드러지게 많이 연구되고 있는 영역은 과학자 집단의 관계론적 연구, 과학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망과 사회 관계의 분야이다. 결국 두 가지 방법과 두 개의 대상영역의 선택의 줄기를 조합시켜 보면 4개의 연구영역이 설정된다. 즉 관계론적 접근에서 ① 과학활동 ② 과학의 논리구조를 연구하는 영역, 제도론적 접근에서 ③ 과학활동 ④ 과학의 논리구조를 연구하는 영역이다. 여기서 Ben-David는 ①의 가능성을 들고 있지만 ②와 ④ 의 가능성은 제한하고 있다. 그리고 ③의 접근을 자신의 입장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그의 입장은 결국 관계론적 접근의 특수한 타입으로 볼 수 잇다. 말할 것 없이 이 접근은 1960년대와 70년대 초기의 머튼과 그 학파의 이론에 나타났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미래에 있어서 과학·기술의 발달과 사회의 상호관계는 더욱 긴밀하게 되고 서로 깊게 중격을 줄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과학·기술이 한 국가의 경제발전과 국가안전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생각한다면, 또 다른 측면에서도 과학의 사회적 측면을 분석하는 작업 역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소련의 과학사회학 연구자인 G.M.Dobrov의 논문에 의하면, 소련의 과학사회학은 과학정책의 연구로 시종일관하고 있다. 과학정책은 과학을 발전시킨다는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원칙과 메카니즘 및 실천 활동으로 성립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 사회학은 과학과 사회의 상호관계와 과학연구의 과정에 잇어서의 과학자의 사회관계를 연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과학사회학에 의해서 얻어지는 성과는 과학의 전략, 과학의 정책, 과학의 관릴ㄹ발전시키는데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학생들의 지구과학에 대한 인식 및 과목 선택 요인 분석

        전선호 ( Sun-ho Jeon ),정덕호 ( Duk-ho Chung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2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4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지구과학Ⅰ 교과에 대한 인식과 고등학생들이 지구과학Ⅰ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준 요인을 찾고, 이를 바탕으로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되었을 때 지구과학 교과 선택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연구자들은 전라북도 소재 고등학생 5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지구과학Ⅰ에서 배우는 내용과 지구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해 구체적으로 인식하지는 못하고 있다. 둘째, 학생들은 지구과학Ⅰ을 학습 내용이 쉬운 과목, 암기가 중요한 과목, 실생활과 관련 있는 과목이라고 인식하였다. 특히 지구과학Ⅰ의 내용 중에서 미지의 신비로운 지구과학 현상에 관심도가 높았다. 셋째, 지구과학Ⅰ 과목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학생들은 진로 관련성에 가장 크게 반응하였다. 그러므로 학생들이 지구과학Ⅰ의 내용 체계에 대해 상세히 알 수 있도록 설명회와 같은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식 암기 위주의 수업보다는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수업과 학생들이 호기심을 가질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이 지구과학과 관련된 직업이 다양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진로 연계 지구과학 수업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른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on the Earth Science I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high school students' choice of Earth Science I. And based on this, it is to explore solution to increase the choice rate of Earth Science I whe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introduced. For this, we collected data from 54 high school students in Jeollabuk-do through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th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are not definitely aware of what they should learn in Earth Science I and jobs related to Earth Science. Second, students recognized that Earth Science I is a subject that is easy to learn, a subject that is important to memorize, and a subject related to real life. In particular, students were interested in unknown mysterious earth science phenomena among the contents of Earth Science I. Third, students responded the most to career relevance as a factor influencing the choice of Earth Science I sub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grams such as briefing sessions so that students can define about the syllabus of Earth Science I.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classes that can utilize knowledge rather than knowledge memorization-oriented classes, and a curriculum that students can be curious about earth scien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career-linked Earth Science I classes so that students can recognize that there are various jobs related to earth scienc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In-Service Training of Science Teachers in Korea

        Lee, Byung-Hoon,Yang, Dong-Ik 全北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1982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7 No.-

        한국에서의 과학교사 재교육은 주로 사범대학 부설 중동교원연수원과 교육대학의 초등교원연수원에서 시행된다. 연수기간은 대개 여름방학중으로 일반연수에는 60시간, 자격연수에는 240시간을 각각 약 10일 및 30일간에 걸쳐 실시한다. 수업은 대게 대학교수가 담당하나 외부로 부터 자원인사를 동원, 활용하기도 한다. 교수 내용은 국민윤리와 이데오르기 교육을 포함하는 일반영역과 교육방법과 기능을 다투는 교직 영역, 그리고 과학적 지식과 개념을 재교육하는 전공영역으로 이뤄지는데 전공영역이 전체의 약 70%를 차지한다. 여기에 부가해서 교육대학원 역시 본래의 기능은 3년의 학위과정이긴 하나 자격연수의 성격을 띄워 졸업과 동시 교사자격증을 수여 또는 갱신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재교육에는 교육내용, 연수 계획의 조직과 편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으므로 지역적인 필요와 현대 과학철학 및 교육사조에 입각한 혁신과 확장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