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천시의 방재형 도시 근린공원 조성 계획

        이애란,Lee, Ai-Ran 응용생태공학회 2015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2 No.4

        급속한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의 증가와 재해 규모의 대형화 및 다양화는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도시 공간은 도시 인구의 증가 현상과 불투수층의 기반시설에 기초하여 재해의 피해와 대응에 대한 복합적 대책을 수립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에 공공 공간인 도시의 녹색공간을 활용하여 방재공간을 확보하고, 재해저감형 공원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토지 매입의 경제적 문제와 방재시스템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각 지자체는 최근 발표된 국토교통부의 가이드라인을 통해 재해저감 유형별 시스템과 선도 사업을 선정하여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민의 생활 건강과 행복의 녹색 공간인 도보권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도시의 물 관리와 소생태계 보전을 함께 갖추는 도시 녹지 공간을 방재형 근린공원의 조성 모델로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추후 기존 도시 구조 내 생활권 근린공원의 기후변화 적응 모델로 활용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climate disasters combined with the scale of change and the diversification of natural disasters require a radical solution. In particular, the urban space is more complex, therefore we need to establish measures for disaster response and how to react to damaged infrastructure based on the phenomenon of an increase in the urban population and the impermeable layer being extended. The social problems related to the economic burden of land purchase and the securing of a disaster prevention system can be solved simultaneously by introducing the park system for disaster reduction into the public land of the green space in the city. The local government has recently adapted diverse systems of disaster mitigation and carried out pioneer projects according to the guidelin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urban park for disaster prevention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mposition model for neighborhood parks to prevent disaster through urban green spaces which has the functions of water management and biotope conserv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utilize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model for living area neighborhood parks in the existing urban structure.

      • 경관생태학적 관점에서의 세종시 중심행정타운 조성계획

        이애란,Lee, Ai-Ran 응용생태공학회 2014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1 No.2

        This is the urban design master plan for the Public Administration Town. The project proposes a newly configured city, where environmental and democratic principles are expressed in the shape of the urban fabric. To achieve the goal, the concepts of 'Flat City, Link City, and Zero City' were introduced. These concept show "Space fabric arrange, connection and material circulation and flow from ecological landscape". 'Flat City' shaped the government buildings into an iconic plane, and democratic society. The iconic plane's surface extends across the whole city, creating an expansive public park, which is easily accessible, and open to nature. 'Link City' connects governmental agencies to enhance their function and interactions. Government facilities, parks and green spaces, cultural facilities, commercial zones, and residential districts areas create an interconnecting network. 'Zero City' has integrated infrastructure systems to reuse waste, reduce pollution, and provide essential city functions. It creates a new wildlife habitat, making 'Zero City' a good neighborhood. This proposal was made to integrate historical, regional, nature experiences with various approaches in architecture, city, and landscape architecture. 본 계획은 중심행정타운의 마스터플랜으로 새로운 도시환경을 설정함으로서 도시조직의 형성에 있어 환경적이고 민주적인 원리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Flat city, Link City, Zero City'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는 경관생태학의 관점에서 나타나는 공간구조의 배열, 연결 그리고 물질순환과 흐름을 나타낸다. 'Flat City'는 iconic plane으로 나타나는 정부청사의 형태로 공공을 위한 공원으로 확장되며 접근의 용이성과 함께 자연 속에서 모두에게 열려있다. 'Link City'는 보다 효율적인 기능과 소통을 위한 전략으로 연결된다. 정부기관과 공원, 녹지공간, 문화시설, 상업과 주거지역들이 상호연결의 네트워크를 만들어낸다. 'Zero City'는 도시기반시스템을 통합하여 쓰레기재활용, 오염저감 그리고 도시기초기능을 공급함과 동시에 새로운 야생서식처를 창조하여 도시의 이웃을 만든다. 이 제안은 건축, 도시, 조경에 의해 역사, 지역, 자연의 경험을 하나로 결합한 계획이다.

      • KCI등재후보

        주민참여형 마을녹화사업의 사회적 자본 형성 모형

        이애란(Ai-Ran Lee),조세환(Se-Hwan Cho) 응용생태공학회 2018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5 No.1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사회, 경제 그리고 환경적 문제들이 최근 다양한 시민 참여형사업으로 극복되고 있다. 이는 도시재생에서 마을 사업에 이르기까지 현장중심의 협력적 운영체계를 통한 지역 거버넌스와 주민주도의 파트너십이 성공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이 중 거주민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자발성이 필요한 마을녹화사업은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의 공유로 인해 다양한 참여주체들의 역할과 협력이 요구된다. 사회적 자본은 신뢰와 참여, 네트워크와 규범 등을 중심으로 한 관계자본으로 위 사업의 지속가능성과 참여의 활성화에 핵심역할을 담당함에 따라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녹지 체계를 생활권까지 확대하는 참여형 녹화사업에 있어 사회적 자본의 형성 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참여의 주체 유형과 사업 진행의 구성요소, 사회자본 형성의 분석 요소를 문헌조사와 참여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추출하고 검증하였다. 이는 추후 도시의 참여형 생활권녹화확산에 지속가능성과 활성화전략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사회적 자본 형성 모형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rapid urbanization have been recently overcome by various civic participation projects. Local governance and resident - led partnership through field - based cooperative operating systems from urban regeneration to village projects are considered success factors. Among these, the village greening project which directly affects the residents and requires spontaneity requires the role and cooperation of the various participating actors due to the sharing of public space and private space. Social capital plays a key role in the sustainability and participation of the above - mentioned business as a relational capital centered on trust and participation, network and norms. Therefore, empirical research is needed. In this study, basic research was carried out to build a formation model of social capital in participation - type greening project expanding urban green space system to living area. We analyzed the elements of participation, the components of business progress, and the factor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 - 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ting expe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f social capital formation model for analyzing sustainability and activation strategies in the future.

      • KCI등재

        도시하천의 보전 및 이용에 관한 주민과 전문가 인식 분석

        이애란(Ai Ran Lee) 응용생태공학회 2022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9 No.2

        도시하천은 이치수의 기능과 함께 생태적으로 건강한 도시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시민의 삶에 핵심축이 되어오고 있다. 반면 도시 고밀화에 의한 기반시설 확장 등과 더불어 지역의 하천에 대한 보전과 이용 측면에서 상충이 발생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하천을 위해서는 적절한 합의와 조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주민참여 협치예산을 통한 주민 제안 공론화의 장에서 나타난 다양한 의견을 분석하고자 한다. 은평구의 6개 하천을 대상으로 이용자 인식 조사와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생활권 지방하천과 소하천의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보전과 적절하고 균형 있는 이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Urban river have been a key pillar in citizens’ lives through the healthy urban environment of ecological nature along with the function of this dimension. On the other hand, conflicts are occurring in terms of conservation and use of rivers in the region along with the expansion of infrastructure due to urban densification. Appropriate agreement and coordination are needed for sustainable streams. This study aims to analyze various opinions through public discussion of residents’ proposals through the resident participation cooperation budget. User awareness surveys and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ix rivers in Eunpyeong-gu. Through this, stable and sustainable preservation of local and small rivers and appropriate and balanced use measures were proposed.

      • KCI우수등재

        주거지골목길 경관개선사업에서 참여 이해관계자의 의사소통 특성

        김연금,이애란,Kim, Yun-Geum,Lee, Ai-Ra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2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 of communication among participating stakeholders in the Improving Alley Landscapes in Residential Neighborhoods project. The participation of diverse stakeholders in conventional urban redevelopment is considered to delay and complicate the progress of a project. However, in urban regeneration, a field-oriented operating system and collaboration between diverse stakeholders is considered critical to building a sustainable community. A stakeholder is defined as "a person or organization that can influence decision-making or be influenced by it." This paper uses a case study to examine what types of stakeholders participate and what communicative processes and ideas are shared among them. Six neighborhoods were selected out of a total of 26 of Seoul's 2014 Improving Alley Landscapes project. This research was developed through interview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character of communication among stakeholders in the case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administration initiated the project but did not show leadership. This was caused by a gap in understanding about the project between city and borough administrations, Further, the city administration lacked experience with projects that placed an emphasis on fieldwork. Tongjand and Banjang, at ancillary institutions, acted as spokespersons and helped people in the community to understand the administrative process. However, because they led communication and used personal relationships to ensure they communicated effectively, the communication process had limits from the perspective of democratic process. Diverse stakeholders expressed their opinions in the public sphere and communicated about them using diverse media. Finally, experts produced the output, facilitated communication, and mediated in conflicts. Because new experts acted as facilitators and mediators, there was a great deal of trial and error. This project has particular significance: Seoul's city government deals with urban space rather than parks and green space, which are limited by boundaries; and whether "green" can be used for urban renovation was tested by several landscape architects, who sought to identify a new role in urban renovation, namely, the role of landscape and landscape architecture. However, the project has some limitations, including an insufficiently detailed project plan, a lack of common understanding among stakeholders, and a short timeframe. A number of stakeholders overcame these limitations to a certain degree. Officials of the Borough and the Dong managed the project and resolved civil complaints. Experts provided special information, and contributed to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improvements. 과거 전면재개발 방식과는 달리 최근 도시재생에서는 현장중심의 협력적 운영체계 및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파트너십이 성공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도시재생 실행 수단의 하나인 경관개선사업에 있어서도 개선 과정 중의 이해관계자간 의사소통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의사소통의 과정은 내용(경관의 변화)과 분리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서울시 주거지 경관개선사업에 어떠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했고 어떠한 의사소통 과정을 가졌는지를 살펴보았다. 구체적 사례로는 2013년 서울시에서 진행한 '서울 꽃으로 피다' 사업 중 '주민 스스로 가꾸는 골목길'을 다루었다. 사례 연구에서 검토된 이해관계자의 의사소통적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행정의 경우, 사업의 이니셔티브를 가졌지만 리더십을 발휘하지는 못했다. 이는 서울시와 각 구청간의 사업에 대한 이해의 차이, 현장 중심적 사업에서의 행정 역할에 대한 경험 부족 등에서 비롯되었다. 반면, 행정의 보조기관인 지역의 통 반장은 주민들의 대변인으로서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주민들에게 행정적 절차의 특성을 알리고 대응하도록 도와주었다. 그러나 이들 중심으로 그리고 이들과 주민간의 개인적 관계 속에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이 외부화되고,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논의하는 의사소통의 민주성에는 오히려 한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전문가는 골목길 경관 개선이라는 결과물 산출자의 역할뿐만 아니라 단계별 이해관계자들의 소통의 촉진과 갈등 해결 등 의사소통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역할을 새롭게 받아들였다. 대상지별 의사소통의 특성을 살펴보면 주택의 형태, 거주기간, 주택 소유 여부와 세입 방식에 따라 의사소통의 적극성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바를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 주거지의 특성과 인적 구성이 의사소통 과정에 영향을 주고, 이는 궁극적으로 결과물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두 번째는 사업의 구조와 이해관계자들의 역할과의 관계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룬 사업은 일상공간을 대상으로 함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의 필요에 따라 시작하기 보다는 사업의 기획과 진행 등 이니셔티브를 행정이 가졌다. 세 번째, 다수의 조경설계가들이 하나의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전문가의 새로운 역할을 시도해 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빅데이터를 활용한 생활밀착형 치유정원 연관키워드 분석

        황지루이,이애란,Huang, Zhirui,Lee, Ai-Ra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22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13 No.2

        본 연구는 도심내 정신건강의 녹색치유공간의 사회적 필요성에 기인하여 생활밀착형 정원에 대한 현 시대의 사회적 인식요소 분석을 통해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빅데이터 툴 중 덱스톰을 활용하여 웹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텍스트마이닝을 진행하여 키워드 분석, 네트워크 분석과 담론분석을 통해 요소의 추출과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치유공간과 치유환경은 도시 내부인 생활밀착의 공간 안에 친화적 건강 환경을 구축하고 있었다. 둘째, 생활밀착은 시설뿐 아니라 생활문화와 도시환경을 연동하여 국가와 지방행정, 시민이 참여하는 사업과 활동을 담고 있으며 생활밀착형 정원은 녹색복지와 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해 내실화되고 있다. 결론으로 정신건강에 유익하고 친근한 생활권의 공익형 정원은 긍정적 자극을 줄 수 있는 치유 환경으로서의 녹색인프라이다.

      • KCI등재

        조선 왕릉의 경관관리를 위한 통합적 시각구조분석모델 모색방안

        홍윤순 ( Youn Soon Hong ),이애란 ( Ai Ran Lee ),백종철 ( Chong Chul Paek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조선 왕릉의 명확한 공간 및 시각구조특성을 활용하여 그 주변 경관관리를 위해 요청되는 시각구조분석의최적화 모델개발을 모색한 것으로, 이를 최근의 분석 장비와 기법으로 뒷받침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삼차원적 정보모델링인‘스케치업’의 간략화한 자료구축을 통해 이 자료상에서 주요지점과 통경축, 그리고 주변의 저해요소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연속적 시뮬레이션 기반구축의 선행 실시를 상정하였다. 이후 이들의 경로와 시선방향을 연장하는 좌표 값을 도출하고 이 구간을 헬리캠이 운행하면서 촬영한 실사이미지와 시뮬레이션을 상호 비교함으로서 경관분석과 관리의 효율성이 배가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그간 소수의 국한된 장소에서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분석되어온 고정적 지각구조 분석방식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으며, 시선차단요소들과의 관계성고찰이 용이한 장점을 보유한다. 아울러 제안된 방식은 주요 시선경로 상의 경관적 변화양상을 포착할 수 있으며, 헬리캠을 이용한 실사 이미지와 스케치업의 가상 이미지 간 호환을 통해 최적화된 장비운영을 가능케 함으로서 분석이후 시간적 변화에따른 정비계획의 시뮬레이션 자료로서도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다. 상기의 제안은 그간의 조망점, 통경축, 경관관리권역이라는점, 선, 면, 입체적 환경을 중층적, 연속적, 효율적으로 연계하는 자료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조선왕릉과 주변 경관구조 분석방법론 수립에 치중한 까닭에 실천적 점검이 결여된 상태이나 향후 현장에서의 실천과 점검을통해 기타 문화재의 경관관리에도 응용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visual landscape modelling on Josun royal tombs and surrounding. The visual landscape of traditional heritage is illustrated by the main view points of analysis. This analysis examines limited view points and cannot reflect a reality of environments. Nowadays various equipments and methodologies are developed for the visual landscape research. This study used new tools for analysis which are Sketch up (3D simulation) and mini helicopter (UAV). With those tools, this research examines not only view points of the analysis but also axis views and disincentive environments as a complex analysis.5) First of all, the research examined 3D modelling for the virtual simulation and drew coordinates and routes for the UAV operating. Secondly, UAV followed this routes and took linear and continuous views that are real scenes. As a result, it drew 3D simulation could illustrate and control the changing of environments such as the forest density and seasonal variations. Thus, comparing both of them shows efficiently landscape analysis. Thirdly, the study compared virtual and real landscape. Using this 3D modelling, this paper able to elaborate heritage environment and surrounding which omitted by veiw pont analysis. Although this study has limitation practice and exercise on the field, the results and suggestions contribute to the various historic heritage managements and conservations. Moreover, it helps to explain the complex and dimensional landscape analysis.

      • KCI등재

        도시공원 방재기능 평가체계 개발 및 적용

        황지루이(Zhirui Huang),이애란(Ai Ran Lee) 응용생태공학회 2020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7 No.3

        전 세계적으로 홍수, 가뭄, 열파 등 기상재해가 빈발하는 환경에서 도시공원은 휴식, 문화, 생태적 기능뿐만 아니라 도시민의 안전을 위한 기능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도시 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녹색 공간인 생활권 공원에 복합기능을 확보하는 목적으로 도시인의 안전을 위한 도시방재공원의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문헌 조사를 통해 분석지표를 추출하고, 대상지 현장조사 및 관련자 인터뷰를 통해 분류체계를 검증하였다. 평가를 위한 대분류는 도시공원의 입지, 공간구성, 방재복합시설 3가지로 구분하고, 실증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Against the backdrop of frequent weather disasters such as floods, droughts, and heat waves worldwide, urban parks should provide functions for the safety of urban residents as well as rest, culture, and ecological functions. In this study, a classification system for urban disaster prevention parks is proposed for the safety of the urbanites with the aim of securing a complex function in a green space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s in the city. Analytical indicators were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was verified through on-site surveys of the target sites and interviews with those involved. The large class for evaluation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location, spatial composition, and disaster prevention complex facilities of urban park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was proposed for problems ident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 우리나라 대학에서 응용생태공학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박제량,정진호,남경필,이애란,조강현,Park, Jeryang,Jung, Jinho,Nam, Kyoungphile,Lee, Ai-Ran,Cho, Kang-Hyun 응용생태공학회 2015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2 No.1

        국가 경제력이 성장함에 따라서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국토의 환경역량을 제고하려는 요구가 크게 증가하였고 이에 부응하여 생태공학 기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2013년에 응용생태공학회가 창립되어 생태공학 분야의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회적 수요에도 불구하고 생태공학 분야 인력양성 체계가 아직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생태학적 원리와 기능을 충족시킴과 동시에 생태계 서비스를 확보할 수 있는 생태계 보전, 복원, 창조 기술을 갖춘 유능한 인력을 배출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응용생태공학회에서는 "2015 응용생태공학 포럼 - 생태교육의 터잡기"를 개최하여 대학에서 생태공학 교육체계를 정립하기 위한 논의를 하였다. 본 고에서는 포럼에서 토론되고 제안된 내용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대학에서 토목과 건설, 생물과 환경 및 조경과 계획의 다양한 분야에서 생태공학 관련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국외의 우수한 교육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에서 생태공학 교육을 개선하여 정립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전반적으로 아직까지는 생태 및 각 응용분야 교과목들이 단편적인 교과목과 영역별 교육으로 한정되어 있어 향후 융합교육, 기후변화의 생태적 대응, 연구대상의 확대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교육전략과 체계적인 생태융합적 커리큘럼의 개발이 요구된다. Social demand for ecolog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has increased in tandem with national economic growth in order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capacity of civil infrastructures. To meet this demand, the Korean Society of Ecology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KSEIE) was established in January 2013 and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engineering technologies.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al system for human resources training in ecological engineering is still at an early stage, and it is imperative to develop a curriculum for producing the human resources that can understand and apply ecological principles and functions and that is equipped with the abilities required for ecological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creation. As part effort, the KSEIE held a forum, entitled Founding the Education for Ecological Engineering, to discuss the 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 system for ecological engineering in Korea. In this paper, based on th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made during the forum,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ecological engineering education in various disciplines - civil and construction engineering, biology and environment, and landscape planning - in domestic universities, and attempted to seek possible solutions based on the cases of foreign universities. Generally, ecology and other application curricula are taught as fragmented subjects and fields in domestic universities. The development of new education strategies and systematic curricula for multidisciplinary education, ecological response to climate change, and the expansion of research fields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