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시각화기법을 통한 치유정원의 연구추이 분석

        황지루이,이애란,장푸천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3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terature on healing gardens published in the last 20 years and visu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ture to identify research trends, research issues, and topics in healing gardens using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gram from a broad term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we used CiteSpace,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software, to classify articles on healing gardens listed in the Korean Citation Index (KCI) and the Science Citation Index (SCI) through scientific knowledge graph analysis.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from three perspectives: publication time, publication quantity, and keyword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until 2010, about 30 articles were published, and after 2010, the number of publications increased tenfold, indicating that the research field of healing gardens is currently a hot topic. In terms of the citation relationship between countries, the number of nodes associated with Korea is 3, and only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aiwan cooperate. Second, the keyword association analysis summarizes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healing gardens at home and abroad, and shows that recent research is centered on the keyword of garden activities at home and abroad, and the related words are ‘rehabilitation’, ‘program’, and ‘intervention’ abroad, and ‘gardening activities’ and ‘forest healing’ in Korea. Third, through keyword cluster analysis, overseas studies were divided into eight long-term utilization topics, including ‘healing garden’, ‘original therapy’, ‘energy consumption’, ‘evidence-based health design’, ‘food attitudes’, ‘community garden’, ‘therapeutic landscape’, an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while ‘natural therapy’ was an emerging topic, The domestic research was summarized into three long-term use topics: ‘One therapy’, ‘Healing environment’, and ‘Healing garden’; two short-term topics: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Elderly with dementia’; and three emerging topics: ‘Healing program’, ‘Urban agriculture’, and ‘Topic modeling’. Using CiteSpace, a visualization tool, the papers on healing gardens can be used as meaningful research in terms of classification, research trends, development direction, and expansion of research issues.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20년간 발간된 치유정원 관련 문헌을 분석한 것으로 넓은 범위의 용어 관점에서 정보 시각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치유정원의 연구동향, 연구이슈, 주제 등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 간의 관계를 시각화하였다. 이를 위해 정보 시각화 소프트웨어인 CiteSpace를 활용하여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과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에 등재된 치유정원 관련 논문을 과학 지식 그래프 분석으로 분류하였다. 발행 시기, 발행 수량, 키워드의 3가지 관점에서 국내와 국제적 연구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계량 분석 결과는 2010년까지 30편 내외로 발행되었으며, 2010년 이후는 발행량이 10배로 급증하는 추세를 보여 치유정원의 연구 분야가 현재 이슈가 됨을 알 수 있었다. 국가 간의 인용 관계에서는 한국과 연관 노드수가 3이며, 협력하는 지역은 미국, 일본과 대만뿐이다. 둘째, 키워드 연관 분석 결과, 최근 국내외 ‘정원활동’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으며, 관련 단어는 국외가 ‘재활’, ‘프로그램’, ‘개입’, 국내는 ‘정원 가꾸기 활동’과 ‘산림치유’이다. 셋째, 키워드 클러스터 분석을 통해 해외 연구는 ‘치유정원’, ‘원예요법’, ‘에너지소비’, ‘증거기반 건강 설계’, ‘음식태도’, ‘공동체정원’, ‘치료용 풍경’, ‘보완대체의학’ 등 8개의 장기 활용 주제, ‘자연 요법’은 신흥주제로 나뉘었고, 국내 연구는 ‘원예요법’, ‘치유환경’, ‘치유정원’, 3개의 장기 활용주제, ‘정신지체 학생’, ‘치매 노인’ 등 2개의 단기주제, ‘치유프로그램’, ‘도시농업’, ‘토픽 모델링’ 등 3개의 신흥주제로 나누어 요약하였다. 결론적으로 치유정원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는 국가와 학제 간의 협력관계를 더욱 강화해야 하며, 중요한 조치 중 하나는 본 분야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 치유 정원의 기본 개념과 이론적 연구를 강화하여야 한다. 동시에 의료기관, 지역사회 및 학교를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대상의 치유 정원 활동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어야 한다. 치유정원 연구에 대한 국내의 강점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협력과 참여를 강화해야 한다. 또한 선진적인 연구 방법과 실천 결과를 벤치마킹하여 치유 정원 분야에서 국제적 역량과 경험을 습득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빅데이터를 활용한 생활밀착형 치유정원 연관키워드 분석

        황지루이,이애란,Huang, Zhirui,Lee, Ai-Ra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22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13 No.2

        본 연구는 도심내 정신건강의 녹색치유공간의 사회적 필요성에 기인하여 생활밀착형 정원에 대한 현 시대의 사회적 인식요소 분석을 통해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빅데이터 툴 중 덱스톰을 활용하여 웹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텍스트마이닝을 진행하여 키워드 분석, 네트워크 분석과 담론분석을 통해 요소의 추출과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치유공간과 치유환경은 도시 내부인 생활밀착의 공간 안에 친화적 건강 환경을 구축하고 있었다. 둘째, 생활밀착은 시설뿐 아니라 생활문화와 도시환경을 연동하여 국가와 지방행정, 시민이 참여하는 사업과 활동을 담고 있으며 생활밀착형 정원은 녹색복지와 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해 내실화되고 있다. 결론으로 정신건강에 유익하고 친근한 생활권의 공익형 정원은 긍정적 자극을 줄 수 있는 치유 환경으로서의 녹색인프라이다.

      • KCI등재

        도시공원 방재기능 평가체계 개발 및 적용

        황지루이(Zhirui Huang),이애란(Ai Ran Lee) 응용생태공학회 2020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7 No.3

        전 세계적으로 홍수, 가뭄, 열파 등 기상재해가 빈발하는 환경에서 도시공원은 휴식, 문화, 생태적 기능뿐만 아니라 도시민의 안전을 위한 기능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는 도시 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녹색 공간인 생활권 공원에 복합기능을 확보하는 목적으로 도시인의 안전을 위한 도시방재공원의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문헌 조사를 통해 분석지표를 추출하고, 대상지 현장조사 및 관련자 인터뷰를 통해 분류체계를 검증하였다. 평가를 위한 대분류는 도시공원의 입지, 공간구성, 방재복합시설 3가지로 구분하고, 실증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Against the backdrop of frequent weather disasters such as floods, droughts, and heat waves worldwide, urban parks should provide functions for the safety of urban residents as well as rest, culture, and ecological functions. In this study, a classification system for urban disaster prevention parks is proposed for the safety of the urbanites with the aim of securing a complex function in a green space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s in the city. Analytical indicators were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was verified through on-site surveys of the target sites and interviews with those involved. The large class for evaluation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location, spatial composition, and disaster prevention complex facilities of urban park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was proposed for problems ident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 KCI등재

        중국 커뮤니티 가든 기능 평가지표 개발

        장푸천,이애란,황지루이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3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9 No.2

        Community gardens are a good way to optimize urban green space at home and abroad, integrating agricultural landscape and horticultural therapy in the community, and improving the landscape environment and human quality of the community. In recent years, community gardens of different forms have started to appear in many cities in China, but the evaluation system related to community gardens is still inadequat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literature on community gardens to build a mor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functional evaluation system for community gardens in China. Using the literature analysis method, the evaluation indexes of Chinese community gardens are initially constructed based on 15 typical papers on the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Chinese community gardens. And through the FGI approach, we discussed with experts from the parties of designers, activists and operators to further improve the functional evaluation indexes of community gardens. The final proposal is a functional evaluation system of Chinese community gardens consisting of 6 major categories, 23 medium categories and 63 sub-categories of indicators. It is expected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subsequent evaluation system research of Chinese community gardens, provide systematic and scientific guidance for community garden construction, operation and activities,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gardens to maturity. 커뮤니티 가든은 도시의 녹색 공간을 최적화하는 방법이며, 농업 경관과 원예 요법을 지역사회에 통합하고 커뮤니티 경관 환경과 인문학적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의 많은 도시에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티 가든이 등장하기 시작했지만, 현재 커뮤니티 가든에 대한 관련 평가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이 글은 커뮤니티 가든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중국에 적합한 완전하고 체계적인 기능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문헌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중국 커뮤니티 가든의 기능 분류에 대한 15편의 전형적인 논문을 기반으로 평가 지표를 초안을 구성한 후 FGI를 통해 설계자, 활동가 및 운영자의 전문가와 논의하여 커뮤니티 가든의 기능 평가 지표를 개선하였다. 최종안으로 6개 대 범주, 23개 중 범주 및 63개 소 범주로 구성된 중국 커뮤니티 가든 기능 평가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커뮤니티 가든의 후속 평가 시스템 연구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커뮤니티 가든의 조성, 운영 및 활동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커뮤니티 가든의 성장과 발전을 촉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