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 전망과 과제

        이신욱 ( Lee Sin-uck )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09 No.1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2016년 3만명에 육박하는 북한이탈주민들의 급격한 증가는 한국사회에 법, 교육, 복지, 직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고 한국내(內) 사회통합이라는 사회문제를 대두시키고 있다. 본 논문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통합을 주제로 디아스포라와 다문화 논의를 중심으로 접근을 시도하고 하고자 한다. 기존 접근법은 북한이탈주민의 입장에서 한국의 정부, 지자체, 시민단체가 어떠한 정책을 수립, 시행할 것인가에 대해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은 사회통합의 대상이지만 국제이주라는 측면과 이주국의 이들에 대한 다문화적인 수용이라는 입장은 새로운 시각의 연구주제로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디아스포라와 다문화 논의들은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통합 문제를 접근하고 분석하는 새로운 접근법으로 시도함으로서 기존연구에서 벋어나 보다 객관적인 형태의 사회통합논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 study about North Korea defectors is under progress in various fields. Rapidly increasing defectors in 2016 - now totally about 30 thousands - lead to problem in varied fields like law, education, welfare, job etc. in Korean society and social problem of social integration. This paper tried to have approach focusing on discussion on Diaspora and multi-culture with the theme of social integration in regards to North Korea defectors. Existing approach was focused on what policy government, local government, civic organization should establish and execute from position of North Korea defectors. But North Korea defectors are objects of social integration. However aspect of international immigration and position of multicultural acceptance for North Korea defectors by Korea are suggested as a study theme with a new viewpoint in the paper. Discussion on Diaspora and multi-culture is tried as a new approach to analyze issue surrounding North Korea defectors. This would make it possible to do discussion on social integration in new more objective form, going beyond existing study.

      • KCI등재

        북핵문제와 한국의 대응

        이신욱(Lee, Sin-Uck)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6 국제정치연구 Vol.19 No.1

        The fourth nuclear testing of North Korea made on Jan. 6 is becoming large threat in peace and security in Korea as well as North and East Asia. Nuclear provocation of North Korea following the third nuclear testing in 2013 is becoming stronger and giving severe threat to neighboring countries in North and East Asia. Nuclear development of North Korea is based on a parallel line of nuclear and economy that North Korea in inferiority in conventional military for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ims to secure balance of power through nuclear weapon and then, accomplish economic growth through economic aid from North and East Asia, and the USA. International society resolved to restrain North Korea in UN against their nuclear development, But it is still questioned if such sanction is effective. Since the first nuclear testing in 2006, North Korea has developed nuclear technology and transportation means bluntly though international sanction. Although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is still in state of vertical proliferation, Korea directly thrilled, and neighboring Japan are facing severe security dilemma. Though Korea is protected by nuclear umbrella of the USA, advocates for having nuclear weapon are appearing in Korea for ‘balance in power’ against North Korea. Even in case North Korea does not intend, horizontal proliferation by North Korea was told recently. So it is expected that security order in North and East Asia would be considerably complex in the future. This is the time to give attention on if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would bring proliferation in South Korea and North and East Asia.

      • KCI등재

        일반논문 : 2000년 이후 러시아 주요선거 연구: 푸틴집권기를 중심으로

        이신욱 ( Sin Uck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1 글로벌정치연구 Vol.4 No.1

        푸틴집권기 러시아는 2003년 총선과 대선을 통하여 안정적인 푸틴집권 2기로 이행했고 2007년과 2008년의 총선과 대선은 ``포스트-푸틴``시대를 열었다. 이러한 푸틴시대의 정치충원과 과정은 제도적 측면에서 보면 매우 발전된 민주주의로의 이행과정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푸틴과 러시아 정치의 특성을 보면 제도적 민주주의 이외 여러 가지 특징과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먼저 2003년도의 러시아 총선과정과 이어진 러시아 대선의 분석을 통하여 푸틴 집권 2기의 의회 내의 권력관계를 살펴보았다. 통합러시아당이라고 불리는 거대여당의 탄생과 함께 공산당, 자유민주당, 조국-인민/애국연합의 원내진출과 군소정당들의 몰락을 보았고, 러시아 최초의 여대야소 정국구도를 살펴보았다. 둘째, 2007년도의 러시아 총선과정을 살펴보았는데, 이 선거는 푸틴시대에서 ``포스트-푸틴``시대로 넘어가는 중요한 선거였다. 따라서 통합러시아당이 얼마나 승리하는가에 따라 후계자인 메드베데프의 당선여부도 결정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선거에서 통합러시아당이 다시금 강력함을 입증함으로써 ``푸틴의 인기``를 입증하였고, 이것은 2008년 러시아 대선에서 메드베데프 제1부총리의 당선으로 나타났다. 푸틴시대의 선거를 통하여 러시아 정치에서 몇 가지 주요한 점들을 발견하고 재확인 할 수 있었다. 첫째 제도적 민주주의의 실행, 둘째, 강력한 여당의 출현, 셋째, 정당구도의 획일화, 넷째, 권력승계와 양두체제가 그것이다. 이러한 푸틴시대 선거의 특징은 ``푸틴현상``을 기초로 한 것이었으며, 이것이 러시아 정치에 파급한 영향력은 실로 엄청난 것이었다. ``포스트-푸틴``시대에 있어 푸틴의 강력한 지배력은 여전히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러나 이것이 러시아를 민주주의 국가로 이행시킬 것인지, 아니면 러시아가 푸틴에 머무르는 관리형 국가가 될지는 기다려 볼 일이다. The Putin era in Russia was transferred into a stable second phase through the presidential and general elections of 2003. Furthermore, the presidential and general elections of 2007 and 2008 opened a ``Post-Putin`` era.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se reinforcements and processes in the politics of the Putin era must be in preparation for a society, headed for a greatly advanced democracy; however, in terms of Putin and attributes of Russian politics, a variety of features and problems were manifested as well as an institutional democracy. First,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of political authority within Russian Parliament in the second phase during Putin leadership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ussian presidential election process in 2003, followed by a general election. A major ruling party, called the United Russia, was created; the Communist Party,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and the Homeland-People/Patriotic Front have advanced into parliament; and the political situation was composed of a major ruling-party and a minor-party as Russia`s first. Second, the process of Russia`s presidential election in 2007 was investigated as it was an important one transferring from the Putin era to the ``Post-Putin`` era. Thus, successor Medvedev`s election win was a major factor in deciding whether United Russia succeeded in its election process. ``Putin`s Popularity`` was confirmed by proving how powerful United Russia was in the election again, which resulted in Medvedev`s election as deputy Prime Minister in 2008 Russian presidential election. Experiencing the election in the Putin era, critical features in Russian`s politics were explored and confirmed as follows: First of all, an institutional democracy was put in place. Second, a strong ruling party appeared. Third, the composition of the party was standardized. Finally, transfer of political authority and diarchial system were observ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ion process in the Putin era were based on ``Putin Phenomenon`` and its powerful impact on Russian politics was dramatic. Undoubtedly, the ``Post-Putin`` era is still under Putin`s powerful leadership. However, will this lead Russia in the direction of democracy or to an administrative country remaining under the powerful Putin system? Only time will tell.

      • KCI등재

        평창올림픽과 북한의 스포츠 외교

        이신욱 ( Lee Sin-uck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초등도덕교육 Vol.0 No.61

        국제질서는 소프트파워의 등장으로 경제력, 군사력을 기반으로 하는 하드파워적 힘의 추구보다는 권위, 가치, 문화, 제도를 통해 형성된 보다 세련된 힘(power)을 기반으로 보다 세련되게 변화하고 있고 그 대표적인 분야가 스포츠라 할 수 있다. 오늘날 스포츠외교는 국제사회에서 소프트파워의 주요한 부분으로 등장하고 있고 공공외교의 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스포츠외교는 국가간 신뢰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문화부분의 가치를 창출하는 국가경쟁력의 핵심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스포츠외교는 국격(nationalprestige)을 높이고 국력신장에 도움이 되며, 국가이미지 개선, 외교관계 수립 등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북한도 예외는 아니며 대표적인 예가 평창올림픽이다. 본 논문은 김정은 정권의 스포츠외교를 고찰하고 북한의 대남, 대미 관계개선 정책을 비교분석하며 한류와 스포츠외교의 결합을 통해 변화하는 북한의 모습과 초중등 통일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북한의 스포츠외교정책은 한반도 긴장완화와 남북, 북미관계 개선에 크게 도움이 된 것은 분명하고 향후 남북관계를 전망해 본다. Due to appearance of soft power, international order shows sophisticated change based on much refined power formed through authority, value, culture and system rather than pursuit of hard power based on economic strength and military power; and, the representative field is sports field. Today, sports diplomacy appears as an important part of soft Power in international society and is considered as part of public diplomacy. Sports diplomac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rust formation between countries and is recognized as a core el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creating cultural value. Sports diplomacy raises national prestige and is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xtension of national power, improvement of national image, and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North Korea is no exception to this case and the representative example is PyeongChang Olympic. This thesis aims to study sports diplomacy of the Kim Jong-un regime,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n North Korea's policy of relationship improvement with South Korea and America, and to study North Korea's image being changed through combination of Korean Wave with sports diplomacy. It is clear that sports diplomacy of North Korea gave a great help to lessening of tension in the Korean Peninsula and relationship improv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s well as between North Korea and America, and the thesis intends to forecast futur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 KCI등재

        박근혜정부의 통일방안과 북핵문제

        이신욱 ( Sin Uck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초등도덕교육 Vol.0 No.51

        2013년 출범한 박근혜정부는 냉전이후 계속 유지되고있는 남북대결과 동북아 평화환경 조성을 위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통일정책으로 채택하였다. 지금까지의 대립적이고 소모적인 남북관계를 신뢰회복을 바탕으로 재구성하려는 획기적인 시도였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는 연이은 북한의 핵실험과 무력도발로 인해 조성된 한반도 긴장상태와 더불어 큰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비정상적인 북한의 도발은 박근혜정부 출범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전개되었고 특히 북한 김정은의 핵·경제 병진노선은 동북아 평화체재구축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그러나 박근혜정부가 제시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는 더욱더 구체화되고 있고 2013년 10월, 그 구체적인 실행방안으로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발표하면서 그 목표를 명확히 하였다. 동북아 평화체재 구축과 평화통일이라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박근혜정부의 노력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실현과 동북아 구성국들과 연계에 의해 점차 그 모습이 구체화하고 있다. 중국의 일대일로와 러시아 신동방정책과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연결사업은 그 중요한 사례로 평가될 것이다. 이러한 동북아의 연결성과 상호의존성 강화는 종국에는 동북아 평화체재 구축과 함께 남북통일에도 크게 이바지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박근혜정부의 통일정책과 북핵문제를 평가하고 교육적 측면에서 어떠한 특징들이 있는지를 분석, 정리하는 데 있다. 기존의 통일논의를 평가하고 확장하여 동북아 평화체재 구축과 함께 통일논의를 더욱 심도 있게 구성하고자 한다. Park Geun-hye government launched in 2013 selected Korean peninsula Trust process as unification policy to relieve confrontation between S. Korea and N. Korea that has been maintained since the Cold war and to form peaceful environment in North and East Asia. Korean peninsula trust process which is an epoch-making trial to reorganize oppositive and consuming relationship between S. Korea and N. Korea based on recovery of trust is facing large crisis with tension in Korean peninsula formed by repeated nuclear testing and military provocation by N. Korea. Abnormal provocation of N. Korea had been continuously developed from early times of Park Geun-hye government. Especially, parallel line of nuclear and economy by Kim Jeong-eun in N. Korea is a big obstacle. But Korean peninsula Trust process suggested by Park Geun-hye government is being more concrete. In Oct. 2013, Eurasia initiative as substantial methods for implementation was announced so that its goal became clear. Efforts of Park Geun-hye government to reach tasks such as construction of peace system in North and East Asia and peaceful unification are being concrete by realization of Eurasia initiative and connection with member countries in North and East Asia. Project to connect Chinese One Belt One Road, Russian New Eastern policy, and Eurasia initiative would be assessed as an important example. It is thought that such strengthening of connection and mutual dependance in North and East Asia would highly contribute to construction of peace system in North and East Asia as well as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e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ssess unification policy and nuclear problem of North Korea in Park Geun-hye government, furthermore, is to analyze and summarize characteristics in the educational aspect. The study evaluated existing discussion about unification and expanded it so that discussion on unification was organized more deeply together with construction of peace system in North and East Asia.

      • KCI등재

        시진핑 시대 중국의 대외전략과 동북아 국제관계 -북,중 관계를 중심으로-

        이신욱 ( Sin Uck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40

        2015년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 정세는 어느 때 보다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다. 미국은 동북아에서 자국의 패권을 확보, 유지하기 위해 아시아 재균형 정책과 TPP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고, 여기에 대응하여 중국은 신형대국관계와 일대일로, AIIB를 대외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다. 러시아는 극동에서 자국의 영향력 회복을 위해 신동방정책을 추진하고 북한과 협력을 통해 라진-하산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다. 북한의 김정은은 핵·경제 병진노선을 추진하고 있고, 핵개발로 인한 정치 경제적 고립에서 벗어나기 위해 러시아와의 새로운 협력을 진행 중이다. 이러한 동북아 정세의 미묘한 변화는 미일동맹과 한중 경제협력, 북러 에너지 협력 등 여러 측면에서 일어나고 있다. 한편 박근혜정부는 변화하는 동북아시대에 맞추어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구상, 발전시키고 있다. 특히 한중 관계의 발전은 동북아 지역발전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중국의 새로운 발전전략인 일대일로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신동방정책의 결합은 동북아에 새로운 성장동력이 됨과 동시에 한국에게는 새로운 통일의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동북아 정세분석을 통해, 시진핑 시대 중국의 대외전략을 분석한다. The Northeast Asian situation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complicated more than ever in 2015. The United States is pressing ahead with rebalancing policy and Trans-Pacific Partnership(TPP) to secure and maintain its hegemony in the Northeast Asia. In response, China is pushing ahead with promotion of 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AIIB) as external strategy based on new superpower relationship and ``One Belt, One Road`` policy. Russia is moving ahead with its New East Policy to regain its influence in the Far East and proceeding with Rajin-Hasan project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North Korea. In the meantime, Kim Jung-eun of the North Koreas is pursuing two-track route of nuclear weapons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Specifically, North Korea is building new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Russia to break out of political and economic isolation caused by its nuclear weapons development. Those subtle changes in Northeast Asian situation are unfolding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US-Japan alliance, South Korea-China economic cooperation, and North Korae-Russia energy cooperation, etc. President Park Geun-hye``s Administration has envisioned and developed the Korean Peninsula Trust Process and Eurasian Initiative to keep pace with changing situations in this Northeast Asian era. Particularly, development of South Korea-China relations has many implications for regional development of Northeast Asia. The ``One Belt, One Road`` policy, the new strategy of China, Eurasia Initiative, and New East Policy, if combined, may help inject fresh momentum into the growth of the Northeast Asia and create new opportunities for reunification of two Koreas. Thus, we analyzed the strategies of China currently led by Xi Jinping, President of China and Communist Party Chief, through analytical investigation of situations in the Northeast Asia and furthermore, explore countermeasures mapped out by South Korea.

      • KCI등재

        구소련지역 러시아 디아스포라의 특징 및 과제

        이신욱(Lee Sin-Uck)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7 디아스포라 연구 Vol.11 No.1

        이 논문은 구소련지역 러시아인 디아스포라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함께 그 특징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나타나는 러시아인 디아스포라의 특수성을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소련의 붕괴로 인해 나타난 구소련지역 디아스포라는 우크라이나에서 중앙아시아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기존 디아스포라 이론과 분류를 통해 러시아인 디아스포라를 고찰함에 있어 많은 상이점이 존재하였고, 도출된 상이점들을 도표화하여 정리하여 분석틀로 삼았다. 러시아인 디아스포라를 통해 러시아는 구소련지역에서 그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고 여기에 반발한 우크라이나는 탈러·친EU정책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의 친EU정책은 우크라이나 주류사회와 동부지역에 강력한 네트워크를 형성한 러시아인 디아스포라를 자극하였고 이들에게 새로운 길로 모색을 강요하였다. 크림공화국의 분리와 러시아로의 합병은 이레덴타와 이레덴티즘의 부활을 알렸고 동부우크라이나의 러시아인 디아스포라도 여기에 동참하여 우크라이나는 내전상태에 빠졌다. 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 나타나고 있는 우크라이나지역 러시아인 디아스포라에 대한 연구는 이레덴타(Irredenta)와 함께 심도 있게 진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uniqueness of Russian diaspora shown through theoretical approach about Russian diaspora in former Soviet Union, summarizing its characteristics. Diaspora in former Soviet Union formed by collapse of former Soviet Union shows variable forms in wider areas ranged from Ukraina to Central Asia. There were many differences in investigating Russian diaspora through existing diaspora theory and classification. The summarized differences in diagram became framework for analysis. Through Russian diaspora, Russia is strengthening its influences in former Soviet Union. Ukraina that opposed such influences is seeking a new possibility through post-Russia and EU friendly policy. But EU friendly policy of Ukraina stimulated Russian diaspora who formed strong network in main stream society of Ukraina and its Eastern areas. This forced them to seek a new way. Separation of Republic of Crimea and its annexation and integration to Russia meant revival of Irredenta and Irredentism. Russian diaspora of Eastern Ukraina attended the events of separation and annexation so that Ukraina fell in internal war. A study about Russian diaspora in Ukraina, written from perspective of diaspora should be deeply progressed together with Irredenta.

      • KCI등재

        중국과 러시아의 대한반도 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2010년 이후를 중심으로

        이신욱 ( Lee Sin Uck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7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5 No.4

        2017년 제3차 북핵위기 상황에서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 국제정세는 매우 복잡하게 형성되고 있다. 동북아 국제관계는 세력균형에 의해 움직이고 있고 자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다양한 대외정책을 통해 ‘이익의 균형’을 모색하고 있다. 본 논문은 냉전이후 중국과 러시아의 한반도정책을 살펴보고 북핵과 사드문제에 대한 대응을 고찰함으로서 이들 국가의 한반도에 대한 대외정책이 세력균형을 기반으로 결정됨을 증명하고자 한다. 중국과 러시아는 미국에 비해 다소 열세적인 군사, 경제력으로 인해 한반도의 현상유지와 세력균형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붕괴보다는 동북아의 일원으로 현상유지를 지지하고 6자회담을 통한 북핵문제 해결을 제시함으로서 동북아에서 미국과 이익균형을 유지하려고 한다. 중국과 러시아의 국가이익과 미국과의 세력균형, 이익균형을 위한 대외정책을 고찰함으로서 한반도 주변정세를 보다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한국의 신정부는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With the third threat of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in 2017, the international state of affairs in Northeast Asia around the Korean Peninsula has become very complicated.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Northeast Asia are shifted by the balance of powers, seeking the ‘balance of benefits’ through various international policies according to the interests of each count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Korean Peninsula policies of China and Russia since the Cold War and their responses to the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THAAD to prove that their international policies for the Korean Peninsula are determined by the balance of Powers. China and Russia seem to support the Korean Peninsula’s current condition and balance of powers due to the military forces and economic grounds somewhat inferior to those of the U.S. They intend to maintain balance of interests with the U.S. in Northeast Asia by supporting North Korea’s existence as a member of Northeast Asia and suggesting settlement of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through 6-party talks. Therefore, the new administration of Korea should examine China’s and Russia’s international policies for local benefits and balance of powers and benefits with the U.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ircumstanc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responses accordingly.

      • 옐친 시대 러시아 주요 선거 연구 : 1995년과 1996년 총·대선을 중심으로

        이신욱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11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10 No.2

        In Russia, Yeltsin seized the power for the second time through the general election in 1995 and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1996. Yeltsin’s leadership that solved political crisis in 1993 with plebiscites and national parliamentary elections was proved in the general election in 1995 and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1996. The general election in 1995 was an experimental stage testing whether Russia would develop as a democratic nation. The result of the general election carried out with principles and systems of liberal democracy, the extreme left Communist Party became the ruling party and the extreme right Democratic Party became the second-place party. Yeltsin’s reformists were divided, so ‘Our Home Is Russia’, the ruling party, and Yabloko, the second-place party, were maintained. The general election in 1995 implied to be an interim evaluation of President Yeltsin and the reformists. Economic crisis and severe inflation due to the radical reform, the Chechen War and late disbursement of wages and pensions were critical in the Yeltsin administration. Also, there was a side effect shown in the early democracy –the big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In such circumstances, the Communist Party led by Zyuganov became very popular and the leading candidate for the next presidential election. Many experts were concerned about the Communist Party winn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1996 and therefore Russia returning to communist dictatorship as in the Soviet Union. However,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1996, President Yeltsin won again, and this proved that Russian voters wanted survival of democracy and rejected returning to the past. Also, the general election in 1995 and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1996 showed double-sidedness of Russian voters. In the general election, they supported the Conservative Communist Party and the extreme right Liberal Democratic Party to prevent radical reform, but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they voted for Yeltsin to pursue continued reform. To the leader Yeltsin who tried to change from socialism to capitalism and communist dictatorship to liberal democracy for the first time in human history, Russian voters demanded continuous and progressive reform. Even in political hardships such as division of reformists, rising extreme rightists and the Communist Party and the Chechen War, Yeltsin and the Russian government systematically settled the election system, the necessary condition for systematic democracy. Their contribution is great. 옐친집권기 러시아는 1995년 총선과 1996년 대선을 통하여 집권 제 2기로 이행하였다. 1993년의 정치적 충돌을 국민투표와 의회선거를 통해서 해소한 옐친의 지도력의 결실은 1995년 총선과 1996년 대선에서 나타났다. 1995년 총선은 러시아가 민주국가로서 발전할 것인가를 실험하는 실험무대였다. 자유민주주의의 원칙과 제도에 따라 실시된 총선결과, 극좌 공산당과 극우 민주당이 각각 원내 제 1당과 제 2당을 차지하였으며, 옐친의 개혁파들은 분열로 인하여 사실상 여당인 ‘우리집 러시아’와 야블로코당이 그 명맥을 유지하였다. 옐친 대통령과 개혁파에 대해서 1995년 총선은 중간평가에 해당되는 함의를 가지고 있었다. 급진개혁에 의해 일어난 경제위기와 초인플레이션, 체첸전쟁과 임금체불, 연금체불은 옐친정부의 큰 위기로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자본주의 초기 나타나는 극심한 빈부격차는 사회 곳곳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을 경험했다. 이러한 여건 하에 주가노프의 공산당은 높은 인기와 함께 차기대선의 가장 유력한 후보로 등장했다. 1996년 대선에서 공산당이 승리하여 다시 소련과 같은 공산독재로 돌아갈 것을 많은 전문가들은 우려했다. 그러나 1996년 대선정국에서 옐친 대통령은 다시금 승리를 거두게 되었고 이것은 러시아 민주주의의 생존과 과거로의 회귀에 대한 반대라는 러시아 유권자들의 선택이었다. 또한 1995년 총선과 1996년 대선에서의 러시아 유권자들의 투표행태는 양면성이라는 성격을 띠고 있었다. 총선에서는 보수 공산당과 극우 자유민주당을 지지하여 옐친의 급진적 개혁을 견제하였으며, 대선에서는 옐친을 지지하여 개혁의 계속을 추구하였다. 인류역사상 처음으로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로 공산독재에서 자유민주주의로 이행을 시도하는 지도자 옐친에게 러시아 유권자들은 지속적이고 점진적인 개혁의 추구를 요구하였다. 개혁파의 분열과 극우파와 공산당의 대두, 체첸전쟁과 같은 정치적 역경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민주주의의 필요충족요건인 선거를 제도적으로 정착시킨 옐친과 러시아 정부의 공적은 매우 크다 하겠다.

      • 옐친시대 러시아 주요선거 연구(2) : 1999년 총선과 2000년 대선을 중심으로

        이신욱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11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10 No.3

        옐친집권기 러시아는 1993년 총선과 대선, 1995년 총선과 1996년 대선을 통하여 정치적으로는 공산독재 체제에서 민주주의 체제로, 경제적으로는 사회주의체제에서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로 이행해왔다. 93년 정치적 충돌을 선거를 통하여 해소하고 1995년 총선과 1996년 대선을 충실하게 이행함으로써 옐친정부는 러시아가 자유민주주의의 원칙과 제도에 따라 체재이행에 충실하였음을 보여주었다. 총선의 결과 극좌 공산당과 극우 자유민주당이 각각 원내 제 1당과 제 2당이 되는 여소야대의 정국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옐친은 개혁파들과 연합하여 정치, 경제적인 체제이행과 개혁을 지속하였으며, 1998년 경제위기로부터 촉발된 정치, 경제적 위기와 사회적 혼란, 체첸 문제 등을 극복하고 1999년 총선과 2000년 대선에서 승리하는 저력을 보였다. 또한 전혀 예상치 못한 사임과 후계자 지명은 러시아 정치의 불확실성을 불러일으켰음에도 불구하고, 푸틴으로의 착실한 권력이양준비에서 보듯 그의 정치력은 실로 대단한 것이었다. 개혁파의 분열과 공산당의 대두, 경제위기와 체첸전쟁과 같은 정치, 경제적 역경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민주주의의 필요충족요건인 선거를 제도적으로 정착시킨 옐친의 정치력은 후임 푸틴시대를 탄생시키는 데 큰 공헌을 한 것은 의심할 여지없는 것이며, 러시아 민주주의의 씨앗을 뿌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The general and presidential elections of 1993, the general election of 1995, and the presidential election of 1996 in Russia during the Yeltsin administration marked a political transition from a communist dictatorship to democracy and an economic transition from a socialist market system to capitalism. The political conflict of 1993 was resolved through that year’s election, and the faithful implementing of the 95 and 96 elections enabled the Yeltsin government to accomplish a faithful systemic shift to liberal democratic principles and institutions. Despite the fact that the elections produced a largely opposition-led political situation with a primary, far-left Communist Party and an ultra right-wing Liberal Democratic secondary party, Yeltsin allied with reformers and carried out the political and economic transition without hindrance. The economic crisis of 1998 sparked political and economic woes and social turmoil, as well as the problems in Chechnya, but these were overcome and he was able to win the general and presidential elections of 99 and 2000. Yeltsin’s totally unexpected resignation and appointing of his successor aroused political uncertainty, but as evidenced by steady power handover to Putin, his political power was indeed great. Despite political and economic adversities such as the fragmentation of the reformist parties and the rise of the Communist Party, the economic crisis, and the Chechnya war, Yeltsin’s political power which ensured systematic elections, a requirement for democracy, was undoubtedly a major contribution to the birth of the subsequent Putin era, and is regarded as the seed for democracy in Rus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