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폐성장애 검사도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이순행(Lee, Soon Hang),김소윤(Kim, So Yoon),이영선(Lee, Youngsun),이효정(Lee, Hyo Jung) 한국자폐학회 2022 자폐성 장애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국내 검사도구들을 검색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발표된 자폐성장애 검사도구 연구들을 정리하고, 이들 평가도구들의 검사체계와 심리측정 및 문화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80년~2021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검색하여 선정기준에 따라 총 18편의 논문(16개의 도구)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 개발된 검사도구가 5개, 국외에서 개발되어 국내에서 타당화가 이루어진 검사도구는 11개였으며, 대부분 조기 선별을 목적으로 하는 검사로서 부모나 교사에 의한 체크리스트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DSM-IV 진단체계에서 제시된 것과 유사한 구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둘째, 본 리뷰에 포함된 연구들은 집단별 평균점수 차이 또는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또는 음성예측도, 내적신뢰도를 기반으로 검사도구의 적절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보고하였다. 셋째, 국외에서 개발된 도구를 국내에서 타당화한 연구 중 5개의 연구에서 국내 참여자를 대상으로 원본과는 다른 절단점을 산출하였고, 국내에서 개발된 도구 중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문항을 직접적으로 보고한 연구는 소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다양한 제안들이 논의되었다. This literature review study systematically identified and analyzed instruments used to diagnose or screen autism spectrum disorder in South Korea. This review synthesized the studies that developed, standardized, or validated autism assessment instruments for Koreans and examined their psychometr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fter searching for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80 and 2021, we identified 18 studies that met our inclusion criteria. First, five instruments were developed in South Korea, and 11 were developed abroad and validated in South Korea. Constructs of the majority of the instruments resembled those of DSM-IV, and instruments could be applied to a wide age range from young toddlers to adults. Second, studies demonstrated that the majority of the instruments have appropriate validity and reliability by reporting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and internal reliability. Third, among the instruments developed abroad and validated in South Korea, five studies newly calculated or examined the cut-off point, and very few examine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articipants.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 variou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utism assessment instruments in South Korea.

      • 자원봉사활동 참여가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순행(Lee Soon Hang) 한국인권사회복지학회 2015 인권복지연구 Vol.- No.17

        본 연구는 중년층 여성의 자원봉사활동이 그들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고자 함에 목적을 둔 것으로, 수도권 지역 거주중인 4 0~50대 여성 중년층 3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그 가운데 총 236부를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성별, 연령, 학력, 종교, 경제력 등의 일반적 사항에 따른 자원봉사참여 실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의 경제력, 배우자 유무에 따른 자아존중감, 그리고 응답자의 학력, 경제력, 배우자 유무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서 역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응답자의 자원봉사 참여 동기와 참여기간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응답자의 자원봉사 참여여부와 활동에 대한 가족들의 태도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응답자의 경제력, 배우자 유무, 자원봉사 활동기간이 자아존중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고, 응답자의 학력, 경제력, 자원봉사활동 유무가 삶의 만족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응답자의 배우자의 유무, 자원봉사활동 기간이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응답자의 학력, 경제력, 배우자의 유무,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가족들의 반응이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중년층 여성에게 있어 자원봉사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를 제고시켜 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 have distributed 300 questionnaires to women age of 40s and 50s who lives in capital area, and I have used 236 questionnaires of them as subjects of analysis. I used SPSS/Win ver. 18.0 for Statistical analysis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to appl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lso, each analysis has been verified in the p <.05, p <.01, p <.001 level of significance. I used SPSS/Win ver. 18.0 for Statistical analysis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to appl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lso, each analysis has been verified in the p <.05, p <.01, p <.001 level of significance, depends on respondent's sex, age, education, religion. Second, it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depends on respondent's financial status and marital status,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depends on respondent's education, financial status and marital status Third, it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depends on respondent's reason and duration of volunteer work,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depends on attitude of respondent's family about attending volunteer work. Fourth, it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depends on respondent's financial status, marital status, duration of volunteer work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depends on respondent's education, financial status and participation status. Fifth, it show that respondent's marital status, duration of volunteer work have good influence on self-esteem, and respondent's education, financial status, marital status, family's response to volunteer work have good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this result, I was able to see that volunteer work helps middle-aged women to improv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 KCI우수등재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소근육 운동척도 예비 연구

        이순행(Soon Hang Lee),안소현(So Hyun Ahn),이은지(Eun Ji Lee),방희정(Hee Jeong Bang) 한국아동학회 2014 아동학회지 Vol.35 No.5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nduct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a Korean version of the Fine Motor Scale of the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3rd Edition(Bayley-Ⅲ). The subjects for this study included 313 Korean infants and toddlers aged from 16 days to 42 months and 15 d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item difficulty indicated that the arrangement of the items corresponded with child development by age. Secondly, the analysis of the inter-item consistency, the test-retest reliability and the inter-rater reliability revealed a high degree of reliability of the scale. Thirdly, the Fine Motor Scale of K-Bayley-Ⅲ score showed a significant high correlation with the Motor composite score but a significant moderate correlation with the Language composite score, providing evidence of it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reliminary version of the K-Bayley-Ⅲ Fine Motor Scales can be applied to assess the development of fine motor skills of Korean infants and toddlers.

      • KCI등재

        A Preliminary Study on Standardizing the K-Bayley-III Expressive Communication Scale

        이지연(Ji Yun Lee),김영태(Young Tae Kim),방희정(Hee Jeong Bang),이순행(Soon Ha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Bayley-III 표현언어척도를 한국형으로 표준화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서, 한국어 발달 및 한국 문화 특성을 반영하는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제3판(K-Bayley-III) 표현언어척도 예비연구본을 제작하고, 문항분석 및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국내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Bayley-III 표현언어척도 원문항 48개 외에 보충문항 8개를 추가 제작하여 K-Bayley-III 표현언어척도 예비연구본을 제작하고 수도권에 거주하는 생후 16일~42개월 15일의 영유아 373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문항난이도 및 월령별 문항통과율을 통해 문항분석을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쉬운 문항부터 어려운 문항까지 적절히 구성되었으며, 난이도가 적절하지 않은 문항은 재배치, 수정, 또는 삭제되고 대체되었다. 월령단계별 기저선 문항도 90%의 통과율을 보여 전반적으로 적절하였다. 둘째, 문항내적일관성 및 재검사, 검사자간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문항내적일관성은 양호한 수준이었고 재검사 및 검사자 간 신뢰도 모두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셋째, 구인타당도 및 공인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표현언어척도는 언어척도 및 운동척도와 각각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보여 구인타당도를 입증하였고, 기존의 언어검사도구와도 높은 상관성을 보여 공인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논의 및 결론: K-Bayley-III 표현언어척도는 국내 영유아의 표현언어발달을 측정하기에 양호한 검사로 확인되었다. 다만, 한국의 언어발달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몇몇 문항들은 문항 재배치 및 내용 수정이 요구되어 K-Bayley-III 표현언어척도 표준화본 마련을 위한 제안을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is a preliminary study on develop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Expressive Communication Scale of Bayley-III (K-Bayley-III) by analyzing the components and difficulty of each item and examining whether the items are socio-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appropriate for assessing the expressive language skills of Korean young children. Methods: A total of 48 original items and 8 additional items were translated, reviewed, modified, removed, or added to the latest version of the K-Bayley-III expressive communication (EC) scale and were used to assess the expressive language skills of 373 Korean infants and toddlers between ages 16 days and 42 months, 15 days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Results: Overall, items were appropriately placed in the order of difficulty, and those with inadequate difficulty levels were replaced, modified, or removed. Most baseline items showed a 90% pass rate. Inter-item consistency showed acceptable levels and items were highly reliable in terms of 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Items from the EC scal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Language scale, RC scale, and motor scales, and also demonstrated high levels of conten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K-Bayley-III Expressive Communication scale could be used to assess the general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of Korean infants and toddlers. Items that did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development were suggested to be replaced or modified in order to develop a final version of the standardized K-Bayley-III expressive scale.

      • KCI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and Its Relevance for Infants’ Mental Ability: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of Fine Motor Development

        정미라(Mi Ra Chung),이순행(Soon Hang Lee),김종훈(Jong Hoon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영아기의 언어발달을 인지발달 및 소근육운동발달과의 관계에서 종단적으로 살펴보고, 이들 발달영역 간 관련성이 12개월의 영아기 지능(MDI)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114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6개월과 9개월에는 K-ASQ를 통해 영아의 언어, 인지, 소근육운동발달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12개월에는 한국형베일리영유아발달검사 제2판(K-BSID-II)을 통해 영아기 지능(MDI)을 측정하였다. 6개월과 9개월의 측정치들 간의 자기회귀와 교차지연 관련성을 살펴보았고, 이들 측정치로 12개월의 영아기 지능을 예측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통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검증하였다. 결과: 6개월의 언어와 인지발달은 각각 9개월의 언어와 인지발달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며 시간 경과에 따라 안정적인 특성을 보였다. 6개월의 인지발달은 9개월의 소근육운동발달을 매개로 하여 12개월의 영아기 지능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완전매개모형을 지지하였다. 6개월의 언어발달은 9개월의 소근육운동발달을 매개로 하여 12개월의 영아기 지능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매개모형을 지지하였다. 또한, 언어발달이 모형에 투입되자 9개월의 인지기술과 12개월의 영아기 지능 간의 관련성은 더 이상 유의미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12개월의 영아기 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영아기 언어의 역할을 논의하였으며, 특별히 소근육운동의 매개효과에 초점을 두어 체화된 인지 관점에서 언어와 소근육운동발달 간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Objectives: Based on both prior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this paper tested the proposition that fine motor development longitudinally mediates the effect of infants’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on later mental ability. Methods: Three data sets from 6 months to 12 months of 114 infants were analyzed with the cross-lagged panel model. The participants’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were assessed through K-ASQ at 6 months and 9 months, and their mental ability (MDI) was assessed by K-BSID-II at 12 months. Results: The cross-lagged panel model using PATH analysis indicated the development of language and cognitive ability was stable over 6 months. Fine motor development at 9 months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cognitive development at 6 months on MDI at 12 months. Fine motor development at 9 months had a partially mediated effect on language development at 6 months on MDI at 12 months. When language development was included in the predictor of MDI, cognition was no longer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ater MDI, suggesting that langua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gnition-MDI link. Conclusion: Because fine motor development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language development on MDI, early intervention efforts should target both language and fine motor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초기 인지능력과 유아기 지능 간의 관련성

        이슬아(Seul Ah Lee),이순행(Soon-Hang Lee),방희정(Hee-Jung Bang) 한국아동학회 2017 아동학회지 Vol.38 No.6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mental development and preschool intelligence. Methods: A total of 51 children were administered with the Cognitive scale and Language scal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3rd Edition (K-Bayley-III); after one year, K-WPPSI was used to measure preschool intelligence. Results: First, the K-Bayley-III Cognitive and Language scal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formance, Verbal, and Full-Scale IQ (PIQ, VIQ, and FSIQ) in the K-WPPSI. Second, the strongest predictive variable for VIQ was language development, followed by cognitive development in the K-Bayley-III . In addition, the predictive variable that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PIQ was the K-Bayley-III cognitive development index. Finally, the Cognitive and Language scales of the K-Bayley-III had an appropriate level of discrimination, and the cut-off composite scores of the K-Bayley-III were also adjusted 2-3 points below 85 for predicting at-risk delay, as defined by the K-WPPSI.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continuity of cognitive performance across early childhood. The K-Bayley-III , which includes the Cognitive and Language scales from the Mental scale of the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II (BSID-II ), is a useful and valid test for predicting intelligence in early childhood.

      • KCI등재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송향화(Hyang-Hwa, Song),서은희(Eun-Hee, Seo),이순행(Soon-Hang,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1

        본 연구는 학교 부적응 청소년 내담자의 학교적응 과정에서 상담 경험과 그 의미를 현상학적 관점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 부적응 문제로 상담을 받은 청소년 내담자 6명을 심층 면담하였고,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9개의 주제와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상담 경험은 ‘첫 만남’, ‘관계 맺기’, ‘마주하기’ ‘홀로서기’의 4단계로 구분되며, ‘첫 만남’ 단계의 주제는 ‘대화의 단절’로, ‘관계 맺기’ 단계의 주제는 ‘불신의 그림자’와 ‘대화의 문 열기’로 드러났다. ‘마주하기’ 단계의 주제는 ‘마음 쏟아내기’, ‘마음 놀이터’, ‘버텨보기’였고, ‘홀로서기’ 단계의 주제는 ‘의존과 독립의 두 얼굴’이었다. 또한 본 연구의 학교 부적응 청소년 내담자가 느끼는 상담의 의미는 ‘새로운 관계 경험’과 ‘새로운 목표 발견’으로 주제화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느끼며 등교를 거부하는 부적응문제로 상담을 받은 청소년 내담자들의 있는 그대로의 생생한 언어를 통해 그들이 경험한 주관적인 상담과정과 의미를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교 부적응 청소년들의 내면세계를 이해하고 그들에게 적합한 상담 개입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하기 위한 임상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ounseling experience and its meaning from the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adolescent clients who were consulted for school maladjustment problems, and the analysis of the data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yielded nine themes and five categories.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found in this study are divided into four stages: ‘first meeting’, ‘making a relationship’, ‘face to face’ and ‘alone’. The theme of the ‘building relationship’ phase was revealed as ‘shadow of unbelief’ and ‘opening of dialogue’. The theme of the ‘facing’ phase was ‘pour out the mind’, ‘the mind playground’, and ‘bush view’, and the theme of the ‘hologi’ phase was ‘two faces of dependence and independence’. In addition, the meaning of counseling among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 clients was the theme of ‘new relationship experience’ and ‘new goal discov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ubjective counseling process and meanings experienced through the live language of adolescent clients who had difficulty in adapting to school life and who had been consulted for the maladjustment problem of refusing to go to school. These findings may provide clinica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inner world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and for developing and applying appropriate counseling interventions.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 탐색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적용에 대한 실행연구

        박소희(So Hee Park),임나연(Na Yeon Lim),이순행(Soon-Hang Lee) 한국발달지원학회 2022 발달지원연구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 탐색을 위한 집단 미술치료의 실행과정은 어떠하며, 그 과정에서 대학생 참여자의 경험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교 3, 4학년 5명을 대상으로 2019년 3월부터 5월까지 주1회 90분씩, 총 10회기를 진행하였으며, 참여관찰, 심층면담, 현장자료(미술작품), 저널(연구자의 저널, 보조 연구자의 저널)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집단미술치료의 실행 과정은 시기와 변화의 흐름에 따라 크게 세 주기로 나누어서 ‘1차 실행: 자기 탐색 및 이해하기’, ‘2차 실행: 취업 스트레스와 마주하기’, ‘3차 실행: 진로의 장애물을 탐색하고 해결해 가기’로 이루어졌으며, 매 실행 주기마다 참여자와의 면담을 토대로 ‘문제 파악 및 계획’, ‘실행 및 관찰’, ‘반성적 평가’를 진행하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참여자들은 자신이 가고 있던 길에 대해 돌아보며 자신이 진짜로 하고 싶고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재탐색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진로 탐색이나 집단미술치료 임상 현장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해 나가는 과정을 드러냈으며, 형식과 내용 측면에서 연구자와 참여자가 함께 만들어간 집단미술치료의 실행과정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the effect that the collaborative art therapy research brings toward the college student who are currently preparing for employment. Through this execution of the case study we are seeking on what types of changes that collaborative art therapy brought toward the participants respectively.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019 to May 2019 to the 3th and 4th year of university students who is pursuing bachelor’s degree in University. In this case study researchers participated as a researcher and the facilitator of the program. The execution process of the research consists of three spiral linear structures (First Execution Plan - First Execution - First Execution Reflection - Second Execution Plan -, Second Execution - Second Execution Reflection - Third Execution Plan - Third Execution, Reflection on the third Execution Plan and overall execut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participant’s observation, in - depth interview, field data (art works), journals (journal of researcher, journal of auxiliary researcher). All data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by research problem.

      • KCI등재

        6개월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배우자 지지,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다집단 분석*

        정미라(Mi-Ra Chung),조혜영(Hye-Young Jo),이순행(Soon-Hang Lee) 한국보육지원학회 2018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4 No.2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lliance and parenting stres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indicators were the same for mothers and fathers. Methods: A sample of 228 parents (114 mothers and 114 fathers) of 6 month old infants in Gyeonggi Province completed measures of Perceived Parenting Competence, Parenting Alliance Inventory, and Parenting Stress Inventory—Short Form.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ing alliance produced its effect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stress. Using multiple group SEM analyses, it revealed that fathers parenting efficacy was mediated by parenting alliance and that the strength of the pathways was stronger for fathers than for mot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ing alliance can improve father s parenting efficacy. The differential predictors of mother and father efficacy as well as their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