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중심 유아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정미라(Chung Mi-R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3

        본 연구는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중심 유아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부모들의 양성평등교육에 관한 인식은 어떠한지, 그리고 가정-유치원간 상호 협력을 위한 양성평등교육 방안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중심 양성평등교육 방안에 대한 부모의 인식으로 구성된 질문지 280부를 배부한 후 회수된 224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들은 양성평등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관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실천 정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들은 가정-유치원 간 상호 협력에 기초한 양성평등교육을 위해 부모참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그 방법으로 적극적 개입을 강조한 양성평등교육 실천보다는 소극적 측면의 양성평등교육 실천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at offering basic data to develope gender equity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home-kindergarten partnership model for young children. The study questions were given as follows. First, what are parents' awareness and practices of children's gender equity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parent's awareness about methods of home-kindergarten partnership? The subjects were used in this study were 224 5-year-old children's parents who sent their children to kindergart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awareness of gender equity education was high, but parents' practice for gender equity education was relatively low. Second, parents believed gender equity education based on family-kindergarten partnership was necessary. Also, parents preferred to do parenting, communicating with teachers, and learning at home rather than volunteering, decision making, and collaborating with community.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developments of various gender equity education programs based on home-kindergarten partnership model.

      • KCI등재

        유아의 생명존중 소양 증진을 위한 자연친화적 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미라 ( Mi Ra Ch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생명존중 소양 증진을 위해 자연친화적 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외 관련 문헌 고찰과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생명존중교육의 실태, 그리고 자연친화형 모델을 위한 기초 요구 조사 결과를 토대로 자연과의 직접적 만남을 고려한 30개 활동으로 구성된 자연친화적 유아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자연친화적 유아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생명존중 소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자연친화적 유아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전체 생명존중 소양과 하위영역인 생명존중 태도, 생명존중 지식, 생명존중 행동 모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유아와 자연 간 직접적 만남을 중시하여 구성된 자연친화형 모델이 유아의 생명존중 소양 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현장 적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ife-esteemed education based on nature friendly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life-esteemed literacy and to ascertain the effects this program has on the young children`s life-esteemed literacy. To this end, firstly, I developed program`s theoretical criteria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s preceding research related to children`s life-esteemed education and the nature friendly model. The program`s practical criteria was developed through research on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life-esteemed education based on nature friendly model. The developed life-esteemed education program based on nature friendly model comprises 30 activities. An analusis of the applied program shows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entire life-esteemed literacy and it`s sub-divisions which include life-esteemed attitude, life-esteemed knowledge and life-esteemed behavior.

      • KCI등재

        참여적 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행을 통한 연구자와 참여자의 교량 만들기

        정미라(Chung, Mi-Ra),강수경(Kang, Su-Kyung),이순행(Lee, Soon-H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적 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연구자와 참여자가 협력하여 실천하고 성찰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부모교육에 참여한 유아의 아버지 4명, 어머니 9명을 목적 표집하였다. 부모교육은 경기지역 공립유치원에서 2017년 3월부터 8월까지 격주로 총 9회기에 걸쳐 이루어졌다. 자료수집은 면담, 부모토론자료, 연구자 저널, 현장일지, 기타 자료 등이다. 자료분석은에 믹코딩과 구조코딩의 순환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참여적 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행을 통한 연구자와 참여자의 협력과정은 ‘부모의 관점에서 경청하기’, ‘부모의 관심에 다가가기’, ‘부모와 친해지기’, ‘부모와 함께 실천하기’로 주제화되었다. 연구자와 참여자의 교량을 만들어가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실행 및 성찰과정에서 새롭게 이해하게 된 주제들을 논의하고, 참여적 유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is an action research o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to make a bridge of theory and practice. This qualitative study asks how it is the proces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to make bridges of theory and practice. This program was held in the public kindergarten hall from March to August 2017 and was held every other week for a total of nine sessions. A total of 28 participants were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and 13 of key informants were analyzed. The action research was proceed to planning - execution and observation - reflection process, and each cycle was repeated in three steps. The data source is the field journal, observation data, interview data, researcher meeting data, research journa and other field docu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process of the action research was listening from the parents , approaching the parents , getting intimate with the parents , and practicing with the parents . This results showed that parent education to make bridges of theory and practice was a forum for parents and researchers to join a conversation an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it was a process of renewed understanding of one s experiences and adding practical knowledge

      • KCI등재

        영아기 부모를 위한 뇌기반 양육코칭 프로그램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효과

        정미라 ( Mi-ra Chung ),강수경 ( Su-kyoung Kang ),김민 ( Min-jeong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영아기 부모를 대상으로 한 뇌기반 양육코칭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영아와 어머니로 실험집단 52가정과 비교집단49가정이다. 뇌기반 양육코칭 프로그램은 3, 6, 9, 12개월 영아의 발달특성과 월령에 따른 뇌발달 원리에 기초한 양육지침과 놀이활동집을 기초로, 양육전문가가 각 가정을 방문하여 1:1코칭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χ2 과 t-test를 실시하였고, 사전. 사후검사에서 두 집단 간의 차이는 대응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뇌기반 양육코칭 프로그램의 사전 검사인 3개월 시점에는 영아발달 점수에 차이가 없었으나 9개월 시점에는 발달 총점과 의사소통, 소근육, 문제해결 영역의 점수가 실험집단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뇌기반 양육코칭 프로그램이 12개월 영아발달에 미치는 과는 영아발달 총점과 의사소통, 문제해결, 사회성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특히 9 월 시점에서 효과가 있었던 의사소통, 문제해결 영역은 12개월에도 그 효과가 지속됨으로 뇌기반 양육코칭이 갖는 효과가 영아의 의사소통과 문제해결 능력 등에 지속적으로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뇌기반 양육코칭 프로그램의 의의와 영아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brain-based parenting coaching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101 dyad mothers and infants(52 dya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9 dyad in the control group)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Brain-based parenting coaching program, is conducted based on parenting guidelines and play activity book. Its content is based on brain-based parenting principle of 3, 6, 9, 12 months infants. This program consisted of 1:1 parenting coaching through home visit for infants of 3, 6, 9, 12 month and their par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χ2, t-test, and paired sample t-test using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9-month-old infants in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score in communication, fine motor, problem solving domain and overall scores of development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Second, 12-month-old infants in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personal-social and overall scores of development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clusions were discussed toward meaning of brain-based parenting coaching program and promoting development of infant.

      • KCI등재

        뇌발달 이론에 기초한 걸음마기 영아-부모 프로그램이 영아발달 및 어머니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미라 ( Mi Ra Chung ),권정윤 ( Su Kyoung Park ),박수경 ( Jeong Yoon Kwon ),이방실 ( Bang Sil Y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6

        본 연구는 뇌발달 이론에 기초한 걸음마기 영아-부모 프로그램이 영아발달과 어머니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걸음마기 영아와 그들의 어머니 총 69쌍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34쌍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 35쌍이었다. 영아-부모 프로그램은 10개월에 걸쳐 실시되었고 프로그램 전후로 영아발달검사, 어머니 상호작용 관찰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뇌발달 이론에 기초한 걸음마기 영아-부모 프로그램에 참여한 영아는 인지발달 및 동작발달, 언어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머니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으로 향상되었고 셋째,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어머니들은 자녀 발달에 대한 이해와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뇌발달 이론에 기초한 영아-부모 프로그램이 갖는 영아 발달적 의미와 어머니 양육환경 개선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oddler-parent program based on the brain development theory`s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oddlers and their mothers interaction. This toddler-parent program has been studied last ten months and subjects were 69 dyads of two years old toddlers and their mothers. The test of scale of infant development, the observation of parents interaction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development, motor development and language development of the toddlers who participated in the toddler-parent program based on the brain development theory were improved very much. second, mothers who have been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show the improved play interaction. third, the toddler-parent program was evaluated good at parent coaching program.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the toddler-parent program based on the brain development theory has discussed on the meaning of toddler development and the future direction for mother`s home environment to improve.

      • KCI등재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교사와의 관계가 유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정미라(Chung, Mi-R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자아탄력성과 교사와의 관계가 유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담임교사가 평소 유아교육기관 활동 속에서 관찰한 유아의 행동특성을 바탕으로 평정한만 세 유아 명의 자아탄력성 교사와의 관계 및 행복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별에 따른 차이에 있어서 교사와의 관계 하위요인 중 갈등은 남아가 여아보다 더 높은 반면 자아탄력성 하위요인인 애착 주도성 자아통제와 교사와의 관계 하위요인 중 친밀 의존 그리고 행복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았다 연령에 따른 차이에 있어서는 갈등과 행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애착과 친밀은 세가 세보다 주도성과 자기통제는 세 세가 세보다 그리고 의존은 세 세가 세보다 높았다 둘째 유아의 자아탄력성 하위요인인 애착 주도성 자아통제와 교사와의 관계 하위요인인 친밀 갈등 의존 그리고 행복 간에 전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성별에 있어서 남아는 주도성 애착 친밀 의존 순으로 여아는 주도성 애착 의존 친밀 순으로 행복에 영향을 미치고 영향력은 남아 여아 였다 연령에 있어서는 만 세 유아는 주도성 친밀 갈등 순으로 만 세 유아는 주도성 애착 의존 순으로 만 세 유아는 주도성 애착 순으로 행복에 영향을 미치며 영향력은 만 세유아 만 세 유아 만 세 유아 였다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교사와의 관계가 유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력이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유아의 행복 증진을 위한 교육정책이나 교육활동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study aimed to analyze influences of ego-resilienc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upon happiness of young children. To this end, the author evaluated ego-resilienc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happiness based 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in the kindergarten observed by teachers in charge. The study subjects were 619 children in 3-5 years old. The data assessed by teachers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rogram. As a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 there were differences in ego-resilienc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happiness according to sex and age. Second, there wer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happiness. Third, it was found that initiative, attachment, intimacy and dependence of boys and girls gave significant influence on happiness. And initiative, intimacy and conflict of 3-years old children, initiative, attachment and dependence of 4-years old children, and initiative and attachment of 5-years old children gave significant influence on happiness.

      • KCI등재

        음악교육에서의 반주매체가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미라(Chung Mi-R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6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음악교육에서 반주매체가 유아의 음악적 흥미 및 능력의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5세 유아 25명씩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배치하고, 실험집단에는 생음 반주매체를 적용한 음악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녹음 반주매체를 적용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각각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종 15회로 이루어졌으며, 실험처치를 실시하기 전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각각 음악적 흥미 검사와 음악적 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처치가 끝난 다음 동일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생음 반주매체는 녹음 반주매체에 비하여 유아들의 음악적 흥미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음악적 능력에 대해서는 하위영역에 따라 그 효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음 반주매체는 녹음 반주매체에 비하여 음악적 능력의 하위영역 중 듣기, 노래 부르기, 악기 다루기, 음악 만들기 등의 영역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리듬표현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반주매체는 유아들의 음악적 흥미와 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생음 반주매체는 유아들에게 음악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흥미를 갖게 하고 음악적 능력을 증진시키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유의미한 반주매체로서 활용될 수 있음이 규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acoustic and digital music accompaniment on young children's musical interest and ability in music education. A total of 50 children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subjects participated 3 times weekly in the music education program for 5 weeks. There were 15 sessions, and each session lasted approximately 30-40 minut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coustic music accompaniment gave more positive effects to increase young children's musical interest and music abilities such as listening, singing, playing instruments and creating music than digital music accompaniment. It suggests that acoustic music accompaniment is more effective than digital as a way of introducing music to young children.

      • KCI우수등재

        유치원교사와 초등교사의 교사목표 프로파일에 따른 교사효능감, 직업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비교

        정미라(Mi Ra Chung),차기주(Ki Joo Cha),신종호(Jong Ho Shin),박수원(Soo Won Park),민지연(Ji Yeon Min),김민(Min Jeong Kim) 한국아동학회 2016 아동학회지 Vol.37 No.2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rofiles based o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goal orientations and to examin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ese profile group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teacher questionnaire. The teacher goal-orientation scale consisted of six sub-dimensions: growth, leisure, wealth, relationship, promotion, and social contribu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es. Results: Latent profile analyses revealed three distinct profile groups: one group characterized by higher scores across all six dimensions (balanced-goal-orientation group); another characterized by lower scores on all six dimensions, with a relatively higher score on the relationship dimension (relationship-goal-oriented group); another one characterized by lower scores on all dimensions except the leisure goal (leisure-goal-oriented group). MANOVA showed that the balanced-goalorient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otal years of teaching, educational attainment, and age, compared to the leisure-goal-oriented group. In regression analyses, when controlling for educational attainment, teacher types (kindergarten vs. elementary school)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each of the dummy-coded profile groups (0 = no, 1 = yes). When taking into account teachers’ 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 belonging to the balanced-goal-orientation group was consistent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the opposite pattern was observed in leisure-goal-oriented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it is crucial to help pre- and in-servic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ster a balance between different types of goals, which would ultimately strengthen and stabilize the supply of a teaching force and the provision of a better educa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과 양성평등의식에 관한 연구

        정미라(Chung Mi-R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과 양성평등의식을 검증하고, 성역할 정체감과 양성평등의식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G, M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43명이며, 설문지를 구성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과 양성평등의식은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은 성역할 관련 과목 수강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양성평등의식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은 가정생활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그 밖의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gender role identity and perceptions about gender equ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3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four different universities in G city and M cit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nder role ident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cademic grad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of gender role-related course. Second, perceptions about gender equ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cademic grade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f gender role-related course.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ir gender role identity and consciousness on gender equality.

      • KCI등재후보

        한국과 일본의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의 내용 비교

        정미라(Chung mi r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7 No.4

        역사적, 사회 문화적인 요인들에서 많은 관련성을 지니고 있는 한국과 일본의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의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양국의 유아인권교육의 특성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유아인권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자료는 1998년 6월에 개정된 한국의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과 1998년 12월에 개정된 일본의 제4차 유치원 교육과정이 사용되었다. 한국과 일본 모두 2000년부터 새 교육과정이 시행되어 오고 있다. 인권교육의 분석을 위해 기본적 권리, 평등의 권리, 자유의 권리, 경제적 권리, 정치적 권리, 사회적 권리 등 여섯 가지 요소로 구성되는 인권 개념 분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과 일본의 유아인권교육 내용의 비교에서는 양국이 인권에 관련되는 소양 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공통되게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 소양 내용의 선정을 각국의 처해있는 사회 문화적인 맥락에서 모색하는 경향 때문에 교육과정에 구현되어 나타나는 교육내용에는 유사점과 더불어 차이점이 현저하게 나타나 있음을 규명하였으며, 이러한 양국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비추어서 국내 유치원에서의 유아인권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been made human life more affluent and convenient. But comparatively poor cultivation of human rights consciousness has been threatened human life at the same time. And nowadays, bully or Wang-dda, violence, egoism, mutual indifference, etc became routinely observed behaviors in Korea and Japan' s kindergarten and schools. Therefore, They became prevailing problems in pre,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two nations. In this point, It is required human rights education to bring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This study aimed at contribute to at figuring out two nation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hildhood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n human rights education contents reflected in korea and japan' kindergarten national curriculum. Korea and Japan have not only a many points of similarities but also differences in educational system and structure in kindergarten from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correlation between two nations. Two nations have national curriculum. Recently, the new kindergarten national curricula were revised on June 1998 in Korea, and on December 1998 in Japan. In order to explore human rights education in kindergarten, the author tried to analyze those national curricula. The tool of analysis was constructed in basic, political, social, economic rights, rights to freedom, rights of equality.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hey were not well organized in a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