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산전진단된 전복벽결손증

        김광준 ( Kim Gwang Jun ),이순표 ( Lee Sun Pyo ),김석영 ( Kim Seog Yeong ),윤성준 ( Yun Seong Jun ),황병철 ( Hwang Byeong Cheol ),이의돈 ( Lee Ui Don ),최유덕 ( Choe Yu Deog ),박찬용 ( Park Chan Yo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10

        목적 : 전복벽 결손증 (anterior abdominal wall defect)은 배꼽탈출증 (omphalocele), 배벽갈림증 (gastroschisis), 몸줄기기형 (bodystalk anomaly)으로 분류되는데, 각각의 발생빈도나 예후에 있어 차이가 있다. 본원에서 경험한 전복벽 결손증을 분류하고 임상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6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가천의대 길병원 산부인과에서 초음파로 산전진단된 20 Objective : Anterior abdominal wall defects are classified into three basic types: omphalocele, gastroschisis and bodystalk anomaly. Its incidence and prognosis are different according to each type of anomaly. We aimed at investigating its demographic cha

      • KCI등재

        성장불일치를 초래하는 쌍태아에서 태반의 난막성, 태반무게, 제대부착부위에 따른 도플러혈류의 변화

        김석영 ( Kim Seog Yeong ),김광준 ( Kim Gwang Jun ),윤성준 ( Yun Seong Jun ),이순표 ( Lee Sun Pyo ),이지성 ( Lee Ji Seo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2

        목적 : 태반의 난막성, 태반무게 및 제대부착부위에 따라서 태아에서 혈류변화를 초래하여 쌍태아에서 성장불일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도플러 혈류검사를 이용하여 중뇌동맥/제대동맥 혈류 저항지수 (RI) 비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두 태아 사이에서 관찰되는 혈역학적인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이들 요 인에 의한 성장불일치의 발생기전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2000년 3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출생한 쌍태임신 118예를 대상으로 두 태아간 성장불일치가 20% 이상인 성장불일치군과 20% 이하인 대조군으로 나누었고 각 군에서 나타나는 난막성과 태반무게 및 제대 부착부위에 따른 혈류변화를 조사하였다. 난막성에 따라서 태반의 형태는 단일융모막태반과 이중융모막태반으로, 제대부착부위는 중심부착과 주변부착 및 난막부착으로 분류하였으며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모든 태반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중에서 산전 도플러 혈류검사가 가능했던 56쌍태 153 검사에서 태반의 난막성에 따라서 큰 태아와 작은 태아 사이의 중뇌동맥/제대동맥 혈류저항지수 비를 이용하여 관찰되는 혈류변화 및 혈류재분포를 살펴보았고 제대부착부위 및 태반의 무게에 따른 성장불일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결과 : 단일융모막태반 44예 (37.2%), 이중융모막태반 74예 (62.8%)였으며 이들에서 평균 성장불일치는 각각 14.1%, 12.1%로 각 군에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단일융모막 태반을 가진 태아의 평균 출생체중이 이중융모막 태반의 태아보다 약 200 gm 가벼웠다 (p<0.01). 단일융모막 태아에서 성장불일치군의 작은태아는 큰 태아 보다 낮은 중뇌동맥/제대동맥 혈류저항지수 비를 나타내었고 (1.09 vs. 1.28 p<0.05), 또한 성장불일치군의 작은태아는 대조군의 작은태아보다 낮은 중뇌동맥/제대동맥 혈류저항지수 비를 나타내었다 (1.09 vs. 1.27p<0.05). 이중융모막 쌍태에서 태반의 무게와 출생체중이 성장불일치군에서는 서로 비례하는 결과를 보였다. 단일융모막 쌍태아에서 성장불일치군은 제대부착이 주변부착이 많았고 (50.0% vs. 35.7% p<0.01) 두 태아간 성장불일치가 적은 이중융모막 쌍태는 중심부착 제대를 더 많이 나타내었다 (69.2 vs. 57.4 p<0.05). 결론 : 쌍태아에서 성장불일치를 보일 때 작은아이는 중뇌동맥의 혈류증가를 통한 혈류 재분포를 나타내면서 자궁내 환경에 적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단일융모막 쌍태에서만 관찰되었다. 따라서 난막성 자체보다는 제대부착부위나 태반의 무게를 포함하는 형태 등이 더 중요하게 두 태아의 성장에관여하는 요인으로 추측되었다. Objective : To evaluate hemodynamic change in growth discordant twins using a ratio of middle cerebral artery/umbilical artery resistance index an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Doppler hemodynamic and the influence of placental chorionisity and umbilical cord insertion. Methods : 118 live born twin pairs whose birthweight discordance below or above 20% between March 2000 and March 2002 were included in our study. And we divided the two groups in which above 20% of growth discordance (GD) group was GD and below 20% of GD group was control. Chorionisity and umbilical cord insertion in all study subjects within 24 hours after delivery were investigated. And then we classified to monochorionic (MONO), and dichorionic (DI) placenta and the type of insertion of umbilical cord were also classified central, marginal and velamentous type. 56 of twin pairs were performed 153 Doppler flow velocimetry between smaller and larger fetus prenatally. Resistance index (RI) of middle cerebral artery and umbilical artery in each fetus were measured and standardized as a ratio of middle cerebral artery/umbilical artery (MCA/UmA). ANOVA, Mann-Whitney U test, and chi-square test, were performed and p<0.05 was consider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 Mean birthweight in monochorionic twins had lighter than those of dichorionic twins (p<0.01). The mean growth discordant ratios were 14.1% in monochorionic twin and 12.1% in dichorionic twins. In monochorionic twin, the smaller fetus in GD group showed lower value of MCA/UmA RI ratio than those of the larger fetus, significantly (1.09 vs. 1.28 p<0.05). And in monochorionic twins, the smaller fetus in GD group showed lower value of MCA/UmA RI ratio than the smaller fetus in control group, significantly (1.09 vs. 1.27 p<0.05). The placental weight in dichorionic twin was correlated the birthweight in infants in GD group, positively. Monochorionic twins in GD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of peripheral cord insertion than those of dichorionic twins in GD group (50.0% vs. 35.7% p<0.01). But dichorionic twins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of central cord insertion than those of monochorionic twins in control group (69.2 vs. 57.4 p<0.05). Conclusion : The higher middle cerebral artery blood flows in smaller fetuses of monochorionic twins proved to be circulatory redistribution of the fetus in inadequate intrauterine condition. And these change of middle cerebral blood flow might be understood the part of mechanisms fetal growth and adaptation. Placental weight, number and umbilical cord insertion were also important factors which affected to develop the growth discordance of twin pregnancy.

      • KCI등재

        대동맥 압박을 이용한 급속 대량 분만후출혈의 처치

        김광준 ( Kim Gwang Jun ),김석영 ( Kim Seog Yeong ),윤성준 ( Yun Seong Jun ),이순표 ( Lee Sun Pyo ),최유덕 ( Choe Yu Deog ),이의돈 ( Lee Ui D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8

        Traditionally postpartum hemorrhage is a bleeding more than 500ml that occurs immediately after the placenta is delivered. It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maternal mortality. Morbid adhesion of the placenta is emerging as a major cause of mass

      • KCI등재

        임신 중기 양수검사후 태아손실과 관련된 인자

        김광준(Gwang Jun Kim),김용욱(Yong Yook Kim),김석영(Suk Young Kim),박찬용(Chan Yong Park),이향미(Hyang Mi Lee),황병철(Byung Chul Whang),이선(Sun Lee),김영진(Young Jin Kim),최승헌(Seung Hun Choi),이순표(Soon Pyo Lee),이종민(Jong Min L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6

        목적 : 임신 중기 진단적 양수검사후 태아손실과 관련있는 요인들을 알아 보고자하였다. 연구방법 : 1996년 12월부터 1998년 8월 까지 가천의대 부속 길병원 산부인과에서 임신 중기에 양수검사를 시행한 산모 503명중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던 단태임신 412예에서의 임신경과를 산모의 나이, 검사의 적응증, 제태연령, 검사시 천자침의 태반관통여부, 양수의 색, 천자침의 태아접촉등의 요인에 대하여 Student t-test, chi-square 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 산모 412명의 평균연령은 31.8세였고, 산모의 연령증가시 검사후 임신경과가 나빴다. 검사 적응증이 신경관결손인 산모군은 다른 적응증을 가진 산모군에 비해 임신경과가 나빴으며, 다갈색으로 변색된 양수를 추출한 경우 임신경과가 나빴다. 제태 연령, 천자 침의 태반통과여부, 천자 침의 태아 접촉등은 임신경과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 : 산모의 연령증가, 높은 신경관결손 위험도가 검사의 적응증일때와 다갈색으로 변색된 양수등은 임신중기 양수검사 후 태아손실과 관련있는 인자로 볼 수 있다. Objective: To evaluate factors associated with fetal losses following mid-trimester diagnostic amniocentesis.Methods: 412 pregnancy outcomes following amniocentesis were analyzed for each variables(maternal age, gestational age, indication for the amniocentesis, placental penetration by aspiration needle, needle touch by the fetus, color of amniotic fluid) with statistical methods(student t-test,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est).Results: Mean maternal age was 31.8±4.9 years, fetal loss rate was increased slightly with the age of the mother. If the indications were abnormally high maternal serum alpha-fetoprotein level, the pregnancy courses after the procedure were worse than other indication groups. In cases of discolored amniotic fluid, the dark brown discoloration made the pregnancy outcome poor. Gestational age at the time of the procedure, penetration of the placenta by the aspirating needle, needle touch during the procedure by the fetus, did not influence the outcomes after the procedure. Conclusion: Maternal age, indication as neural tube defect in triple test and dark brown discoloration of amniotic fluid are associated with fetal losses following mid-trimester diagnostic amniocentesis.

      • KCI등재

        쌍태임신에서 태위에 따른 질식분만의 주산기 예후

        윤정혜 ( Jung Hye Yun ),서은정 ( Eun Jung Seo ),오혜영 ( Hye Young Oh ),변아롱 ( Ah Rong Byun ),이현이 ( Hyun Lee Lee ),이순표 ( Sun Pyo Lee ),김석영 ( Suk Young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2

        목적: 쌍태임신에서 태위에 따른 질식분만의 주산기 예후를 비교해 보았다. 연구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5년 2월까지 분만한 쌍태임신 301예에서 임신 28주 미만 출생 16예, 출생체중이 1000 g 미만 6예, 자궁내 태아사망 4예, 질식분만 후 제왕절개분만 1예 등 주산기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연구에 부합하는 최종 274 예를 대상으로 쌍태아 태위에 따라 두정위/두정위를 A군 (133예), 두정위/비두정위를 B군 (80예), 첫 번째 아이가 비두정위인 경우를 C군 (61예)으로 나누었다. 이를 다시 분만방법에 따라 질식분만과 제왕절개분만한 경우로 나눠 각 군별 분만방법에 따른 주산기 예후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ANOVA, T-test를 이용하여 p<0.05를 의미있는 것으로 하였다. 결과: A군에서 질식분만이 46예 (34.6%)로 B군, C군의 각각 5예 (6.3%), 5예 (8.2%)보다 높았고 (p<0.01), 질식분만의 임신 기간이 제왕절개분만보다 더 짧았다 (p<0.05). 제왕절개분만을 한 경우는 총 218 (79.6%)예로, A, B, C군 각각에서의 선택적 제왕절개분만 비율이 65.4%, 93.8%, 91.8%로 가장 높았다. 질식분만으로 출생한 경우 신생아 중환아실 입원비율은 A군에서 40.2%였고, 제왕절개분만을 한 경우 32.8%로 질식분만의 경우 더 높았으나 이는 대부분 저체중에 의한 경과 관찰로 평균 입원 기간은 A군의 질식분만시 17.0일, 제왕절개는 16.8일로 더 길었으나 이는 임신 기간이 더 짧았기 때문으로 5분 apgar 점수, 인공 호흡기 치료 등 주산기 예후에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쌍태아 질식분만은 태위가 관여함을 알 수 있었고, 두정위/두정위의 경우 분만방법에 따른 주산기 예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이 경우에서의 선택적 제왕절개분만 빈도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perinatal outcome of vaginal delivery in twin pregnancy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of the fetus. Methods: A total of 274 cases suitable to this objective were selected from the 301 cases of twin pregnancy delivered between March 2000 and February 2005. They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of the fetus; vertex/vertex as the group A (133 cases), vertex/nonvertex as the group B (80 cases), nonvertex in the first twin as the group C (61 cases). And then each group also was divided into 2 subgroups according to the mode of delivery; vaginal delivery and cesarean delivery.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bgroups in each group as to perinatal outcome was retrospectively compared and analyz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The incidence of vaginal delivery in group A (46/133, 34.6%)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group B (5/80, 6.3%) and C (5/61, 8.2%). A total of 218 (79.6%) cases were underwent the cesarean delivery and the most common indication of cesarean delivery was elective twin cesarean delivery in all 3 groups (65.4%, 93.8%, 91.8%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neonatal admission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was, however, higher in vaginal delivery (40.2%) than in cesarean delivery (32.8%) in group A. The most common cause for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was low birth weight for simple observation, and average admission dates of vaginal delivery was 17.0 days and cesarean delivery was 16.8 days. Conclusion: Vaginal delivery of twins depends on the presentation of the fetu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inatal outcome of group A were observed between the mode of delivery. Therefore attempt to decrease the incidence of elective twin cesarean delivery in group A is dema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