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弘窩 李斗勳의 삶과 학문

        이세동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3 No.-

        Hongwa, Lee Doohun is a Confucian scholar from Koryung county, Kyungsang province who was born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passed away in the early age of Japanese imperialism. Learning from Hanju, Lee Jinsang, the greatest Confucianist those days and reaching academic attainment, he gained recognition as one of eight brilliant disciples. He stuck with teacher's theory in favor of it even when Hanju's academic statement was severely criticized as heterodoxy, and was supported by the class of Confucians due to his positive elucidation for Lee's opinion. He kept his way even in bad times when many colleagues turned into timeservers and left master. Hongwa established a quite level of achievement in every area of learning. Especially he showed excellence in 'Yehak' and left behind a number of letters related to 'Yeseul', of which writings are self- consistent and lucid. His literary attainment let him create more than 400 poems and among these are many works just aimed to mourn death or communicate personally. In accordance to the tradition that confucianists weren't usually absorbed in writing poems, he also didn't produce works with unique inspiration but some outstanding ones can be found now. Observing the downfall of Chosun dynasty and organizing our history, he endured those humiliated days. His historical record, 'Donghwasegi' describing the historical facts from ancient Chosun to the 2nd year of King Joongjong, Chosun dynasty, indicates his appreciation and culture toward history. This book wasn't yet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and so requires more research. Hongwa showed a deep understanding to ‘Zhongyong’ as an advocate of Sung Confucianism. Beyond simple understanding of theory itself, he extensively comprehended ‘Zhongyong’ in various aspects such as theoretic structure and the viewpoint of Sung Confucianism. 홍와 이두훈은 조선말에 태어나 일제 초기에 세상을 떠난 경상도 고령 출신의 유학자이다. 당대의 거유였던 한주 이진상에게 배워 학문적 소양을 쌓아 그의 8대 제자 가운데 한 사람이 되었다. 그는 학문과 대내외적인 활동을 통해 당시 고령 유림의 중심인물이었을 뿐만 아니라 영남에서 명망이 높던 선비였다. ‘心卽理’로 대표되는 한주의 학설이 이단으로 비판받을 때 스승의 학설을 고수하며 적극적으로 해명하여 유림의 지지를 받았으며, 동문들이 시류에 편승하여 스승의 문하를 떠나갈 때도 흔들림 없이 지조를 지켰다. 홍와는 모든 방면의 학술에 일정정도의 성취를 이루고 있지만 특히 예학에 뛰어나 예설과 관계된 서간문을 많이 남기고 있는데, 조리가 정연하고 명쾌하다. 400여 수의 시를 남길 만큼 문학적인 소양도 갖추었으나 輓詩나 贈答詩 등 필요에 의한 목적성의 작품들이 많다. 성리학자들이 詩作에 전념하지 않던 전통을 따라 개성적인 감흥을 기탁한 작품을 별로 남기지 않았지만 빼어난 意境의 작품들이 더러 보인다. 조선이 망하고 난 뒤 홍와는 우리역사를 정리하면서 치욕의 세월을 보냈다. 고조선부터 조선 중종 2년까지 역사적인 사실을 편년체로 정리한 『東華世紀』는 그의 역사가적 안목과 소양을 웅변하고 있다. 아직 역사학계에 소개되지 않았는데 연구가 필요하다. 홍와는 성리학자답게 『중용』에 대한 이해가 깊었다. 중용의 자체 논리에 대한 깊은 이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중용』의 논리구조와 성리학적인 이해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용』을 이해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논문(論文) : 협서율(挾書律) 폐지에 대한 회의(懷疑)

        이세동 영남중국어문학회 2012 중국어문학 Vol.0 No.60

        西漢惠帝四年(公元前191年), 西漢政府宣布廢除秦始皇焚書時頒布的“挾書律”。然而對于這項法令在漢高祖劉邦執政期間的推行與否、以及惠帝宣布廢除“挾書律”的動機及效果等問題,仍有疑義。本文依據相關史料及先行硏究,對以上問題進行檢討,得到如下結論:第一,“挾書律”存在時間爲秦始皇三十四年(公元前213年)到漢惠帝四年(公元前191年),共二十三年,但實際上從高祖元年(公元前206年)開始,這項法令就已成爲形同虛設的“死法”。理由在于,(1)高祖定鼎天下之前厭惡儒學,但從他執政元年十一月向百姓提出的“約法三章“看,當時他已經認識到“挾書律“是一項“惡法”,表明他對儒學的態度有所轉變。到他被封爲漢王以後,逐漸認識到儒學對于維護其統治的作用,從而認同了儒學的價値。(2)從高祖執政後頒布的法令-“九章律“來看,這項法令,無論從內容上還是從結構上全然조不到“挾書律”的痕迹。由此可以推知,當時“挾書律“的存在形同虛設,是一項毫無約束力的法規。第二,惠帝宣布廢除一部沒有實際效力的“死法”,其眞實意圖値得關注。考察他廢除“挾書律”的時間,與他的冠禮相吻合,由此推斷其廢除“挾書律“的事件與紀念他的冠禮相關,只有象征性的意義。其實,實際效果也沒有。第三,司馬遷的≪史記≫中幷未提及惠帝廢除“挾書律”之事件,其原因是値得探討。從司馬遷本人來看,可能他認爲該事件沒有實質性意義,從其動機、過程、內容以及效果上看都不値得記錄。

      • KCI등재

        Fe가 첨가된 과공정 Al-Si-Fe합금 압출재의 기계적특성 및 미세조직에 관한 연구

        이세동,김덕현,백아름,임수근 한국소성∙가공학회 2019 소성가공 : 한국소성가공학회지 Vol.28 No.3

        Hypereutectic Al-Si alloys have been widely utilized for wear-resistant components in the automotive industry. In order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Hypereutectic Al-Si alloys, the addition of alloying elements forming a stable precipitate at high temperature is required. Thermally stable inter metallic compounds can be formed through the addition of transition elements such as Fe, Ni to Al alloys. However, the amount of transition element to be added to Al alloys is limited due to their low solid solubility. Also, hypereutectic Al-Si-Fe alloys form coarse primary Si phases and needle-shaped intermetallic compounds during solidification in the general casting process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destruction of Intermetallic compound and Si phase are investigated via hot extrusion. Both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are discussed under different extrusion conditions.

      • KCI등재

        송대《주역》고본의 복원 편찬과 그 의의

        이세동 영남중국어문학회 1994 중국어문학 Vol.23 No.1

        現今的 《周易》, ,不是當初 《周易》 成書的篇第. 타襲用了王弼注本 《周易》的體制. 對於這個體制, 宋代儒者們斥之爲'變亂', 而試圖加以復原. 他們以爲古本 《周易》 中經文與傳文原來是分開的, 而西漢費直·東漢鄭玄·魏王弼等 三人把傳文揷進了經文, 卽所謂的雜傳入經. 對於這個問題, 我硏究發現費直根本沒有作雜傳入經的工作, 雜傳入經只是鄭玄·王弼兩人完成的. 宋代的儒者王洙·呂大防·晁說之·李燾·薛季宣·呂祖謙·吳仁傑等都參加了 《周易》 古本的復原工作. 後來, 因爲朱熹最肯定呂祖謙 《古易》的體制, 幷按這個體制寫出了自己的 《周易本義》, 所以呂祖謙的 《古易》 成爲宋代 《周易》 古本復原的完整本. 今天看來宋代儒者的們的這些工作不但有文獻學的價値, 也有易學史和思想史的意義. 實際上, 宋學就是經過科擧進入統治階層的士大夫們的新支配理念. 他們反對漢唐訓고注疏學中解釋文字的治學方法, 而强調經典的根本精神. 所以用這樣的觀點觀察經過雜傳入經的 《周易》 時, 就認爲經的精神和傳的精神完全混淆了, 因而必須加以糾正. 宋儒們正是根據這樣的精神作了古本 《周易》的復原工作. 所以說, 古本 《周易》 復原工作是宋代儒學家在發展儒學理念上的重要業績.

      • KCI등재
      • KCI등재

        惺窩 李基馨의 삶과 성취

        이세동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3 嶺南學 Vol.- No.87

        惺窩 李基馨은 조선 말기에 태어나 일제 식민지 시절을 온전히 겪었던 경상북도 성주 출신의 선비였다. 그는 가학을 바탕으로 張福樞, 李承熙 등 碩儒들의 문하에서 학문을 성취하였으며, 국망의 시절에는 은둔강학을 통해 일제에 소극적 저항을 하였다. 또한 1919년 파리에서 개최된 만국평화회의에 보내는 독립청원서에 서명하여 선비로서의 책무를 다하였고, 1934년에 일제가 儀禮準則 을 반포해 조선의 전통예법을 파괴하려 하자 조선총독에게 서신을 보내 강상의 죄를 꾸짖고 전국의 서원에 통문을 내어 이 일을 거부할 것을 독려하였다. 그는 性理學 心性論의 관점에서, 寒洲 李震相의 心卽理說이 退溪 李滉의 心合理氣說과 다르지 않음을 확신하고 당시 주류에서 소외된 한주의 학설을 견지하여 흔들림이 없었다. 그는 문장가로서도 명성이 있었는데, 대부분의 성리학자들이 문장의 가치를 부정하던 인식과 달리 韓愈와 柳宗元의 道文一致觀을 긍정적으로 수용한 결과였다. Lee Gi-hyung(李基馨) was a scholar from Seongju, Gyeongsangbuk -do who was bor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experienced the full Japanese colonial period. Based on the studies he learned from his family, he completed his studies under the tutelage of great scholars such as Jang Bok-chu(張福樞) and Lee Seung-hee(李承熙). During the period of the country's collapse, he went into seclusion to study and passively resisted Japan. In addition, he fulfilled his duty as an intellectual by signing the 'Independence petition sent to Paris(巴里長書)' in 1919, and in 1934, whe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ried to destroy Joseon's traditional riturals by promulgating ‘Ritual Standards(儀禮準則)’. He sent a letter to the Governor-General of Joseon, scolding him for destroying ethics, and sent letters to academies across the country to encourage them to reject this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Neo-Confucianism, he believes that Lee Jin-sang's ‘theory that human mind is Li(心卽理說)’ is not different from Lee Hwang's ‘theory of human mind as the integration of Li and Qi(心合理氣)’, he remained unwavering in his adherence to the doctrine of Hanju, which was alienated from the mainstream at the time. He also had a reputation as a writer, and contrary to the perception of most Neo-Confucian scholars who denied the value of sentences, he positively accepted the view that 'Tao and writing are one(道文一致) advocated by Han Yu(韓愈) and Liu Jong-won(柳宗元).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