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집논문 : 의례로 읽는 화계사 안팎의 문화

        이성운 ( Sung Woon Lee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4 한국불교사연구 Vol.4 No.-

        이 글은 ‘의례’라는 키워드로 화계사 안팎의 역사와 문화를 읽어낸, 약간의 문학성을 띤 논문이라고 할 수 있다. 제일 먼저 ‘등촉(燈燭)’이라는 단어를 통해 화계사의 역사를 읽어보았다. 첫째, 1522년 서평군 이공(李公)의 제의로 신월 화상이 부허동에 있던 보덕암을 옮겨 현재의 화계사 자리로 옮겨 건립하여 화계사라 하였고, 1618년 화재로 전각이 소실되자 덕흥대원군 가문의 보시에 의해 1619년 초 중창되었으며, 1866년 흥선대원군(1820~1898)의 시주로 삼창된, 화계사의 역사에 대해, 등과 촛불을 밝히는, 의례의 행위에 빗대 풀어보았다. 희미하게나마 전승돼온 역사를 ‘희미한 등촉’이라고 하였고,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 법등을 이어온 사실을 ‘풍전의 법등’이라고 하였으며, 그래도 법맥이 꺼지지 않고 이어온 사실을 ‘상승의 법등’이라 하며 화계사 안팎의 역사와 의례 문화를 살펴보았다. 둘째, 불전(佛殿)에 공양하고 승려에게 재(齋)를 올리는 행위는, 부처님 재세 때부터 있어온 출가와 재가의 관계를 이어주는, 보시 행위이다. 부처님이나 수행자들은 신도들에게 법의 보시와 두려움 없음을 베풀고, 신도들은 공양물을 베풀어 승려들이 수행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한다. 초기불교시기에는 탁발에 의지하였으나 이후 사원에 기진(寄進)된 장원에서 생산된 생산물에 의해 승단이 유지되었는데, ‘궁절’이라고 불린 화계사에는 궁인들의 공불행위가 이어졌다. 화계사 관음전에 자수관세음보살을 모신원주(願主) 조대비(1808~1890)는 1880년 불전의 양식을 마련하기 위해 재산을 출연하여 농토로 바꿔 매년 공양 올리는 양식으로 삼도록 하였고, 또 관음전에 양식을 헌공하였다. 아울러 사중(寺中)의 스님들도 1905년 성도계를 조직하여, 자타의 성도를 위해 공양을 마련하는 등 사부대중이 공불에 흔연히 동참하고 있다. 셋째, 염불(念佛)은 부처님의 명호를 염송하는 수행인데, 난행도(難行道)로 알려진 참선과 달리, 염불은 ‘이행도(易行道)’로서 재가불자들도 쉽게 동참할 수 있는 수행이다. 화계사 대방은 염불방으로 궁인들이 상사(上寺)하여 염불을 수행하였다고 보인다. 만일 동안 염불을 수행하는 ‘만일염불회’가화계사에 결성된 것은 1910년이었으며, 입적을 앞 둔 염불행자 월명 화상이 평생 이룬 전답을 출연함으로써 가능하였다. 간경(看經)·참선(參禪)과 더불어 삼문(三門)수행으로 널리 행해진 염불은, 조선 중기 이후 한국불교의 주요한 수행이었으며, 그 공덕은 지대하다. 화계사 만일 염불이 회향되었다고 보이는 1930년대 후반 이후 20여 년이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 화계사에 고봉·숭산 등 눈 밝은 선지식들이 바랑을 내리게 된 것도 염불의 득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화계사의 선사 숭산 스님이 국제포교 나서 큰 성과를 이룬 것도, 꽃이 아름답고 계곡이 아름답고 절이 아름다운 화계사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화계사에는 국제선원이 개원되어 세계불교의 한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국내외에서 화계사를 찾아 선대 덕 높은 수행자들의 수행과 의례를 따라, 불전에 공양하고, 염불하고, 참선하며 세계일화를 실천하는 이들이야말로, 꽃·계곡·절과[三美] 더불어 화계사의 사미(四美)라고 하겠다. This essay is a bit of literary writing on the history and the culture around Hwagye Temple in veiw of the keyword, ‘Euirye(儀禮, ritual)’. Above all, the history of Hwagye Temple is considered with the word, ‘a lamplight and a candlelight(燈燭)’. Firstly, Sinwol Hwasang(virtuous monk) moved Bodeok Hermitage located in Buheodong to the current site of Hwagye Temple, built it and named as Hwagye Temple with accepting Seopyonggun Mr. Lee`s suggestion in 1522, and it was reconstructed thanks to the donation(Dana) of Deokheung Daewongun`s family in the early 1619 after its sanctum was burned down by a fire in 1618, and then rebuilt again with Heungseon Daewongun(1820~1898) offering in 1866. This history of Hwagye Temple is illustrated compared to the practice of the protocol lightening a lamp and a candle. The history and the ritual culture around Hwagye Temple is considered in that the history passed down even faintly is described as ``dim light of a lampe and a candle``, the fact of having inherited Beopdeung(法燈, the lamp of Dharma) in the historical maelstrom as ``Beopdeung(the lamp of Dharma) in the wind``, and the case of Beopmaek(法 脈, the Dharma lineage) handed down without disconnection as ‘the inter-successissive lamp of Dharma`` Secondly, the practice of offering to Buljeon(佛殿, Buddha sanctum) and holding Jae(齋, offering ritual) to monks and nuns is that of donation(dana) which has been carried out since Buddha`s lifetime and liaises between Sangha and the laity. Buddha and practitioners give lay people Dharma-offering and fearlessness and lay people give offerings so that monks and nuns may devote themselves to the discipline. Sangha depended on Takbal(托鉢, mendicancy) during the Early Buddhism period but it was maintained with the produce from the manor contributed to the temple since then, and Hwagye Temple called as Palace Temple was supported by court ladies who kept Gongbul(供佛, offering to Buddha). Her highness, Cho(1808~1890), the devote patron who enshrined an embroidered image of Gwanseumbosal(觀世音菩薩, Avalokite.vara) at Gwaneumjeon(觀音 殿, Avalokite.vara sanctum) in Hwagye Temple, exchanged her contributed property into farm land in order to provide food to Buljeon(Buddha sanctum) and made it food for Gongyang (供養, offering) to dedicate every year and consecrated food to Gwaneumjeon( Avalokite.vara sanctum) again. Also, monks and nuns in the temple organized Seongdogye(成道., traditional private fund for attaining enlightenment) in 1905 so that they arranged offering for the sake of their own and others` Seongdo(成道, attaining enlightenment). Like this, Sabudaejung(四部大衆, the fourfold community) participate in offering to Buddha all together. Thirdly, Yeombul(念佛, chanting Buddha), which is to chant Buddha`s name, is the practice for the laity to take part in with ease as Ihaengdo(易行 道, easy path to enlightnement), contrary to Chamseon(參禪, meditation practice) known as Nanhangdo(難行道, difficult path to enlightenment). A large room in Hwagye Temple is a room for Yeombul(chnating Buddha) so that court ladies might visit it and practice it. ``Manil Yeombulhoe(ten thousand days Chanting Buddha assembly), which is to practice Yeombul(chnating Buddha) for ten thousand days, was organized in 1910 with Yeombul practioner, Wolmyong Hwasang(virtuous monk) contributing his lifelong farm land when he was about to do Ipjeok(入寂, Parinirvana). Yeombul(chnating Buddha) practiced widely as Sammun(三門, three gates) practice along with Gangyeong(看經, ardent reading of a sutra) and Chamseon(參禪, meditation practice), is the main practice of Koren Buddhism since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and its Virtue(Guna) is great. It can be the gains and the fruit(得果) for Seonjisik(善知識, learned and virtuous masters) such as Gobong, Sungsan, etc to take their Barang(a Buddhist sack) off at Hwagye Temple at the point of time when it hasn`t passed about 20 years after the late 1930s and when Hoihyang(廻向, Merit-transference) of ``Manil Yeombul(ten thousand days Chanting Buddha) was made. Sungsan Seonsa(禪師, Zen master) at Hwagye Temple has greatly accomplished international dissemination, which began at Hwagye Temple where flowers, the valley and the temple are beautiful. Since then, the interantional Seonwoen(禪院, Seon monastery) opens here and settles down as a center of World Buddhism. Those who visit Hwagye Temple at home and abroad, and give offerings to Buljeon(Buddha sanctum), practice Yeombul(chnating Buddha), meditation and Segye Ilhwa(世界一花, The whole world is a single flower), following the discipline and the rites of virtuous foregoers, are one of four beauties(四美) along with flowers, the valley, and the temple[三美, three beauties] of Hwagye Temple.

      • KCI등재

        한국 도시 성인의 신체활동량 측정 질문지 개발

        박일혁 ( Il Hyeok Park ),이기봉 ( Gee Bong Lee ),조성일 ( Sung Il Cho ),김연수 ( Yeon Soo Kim ),이성운 ( Sung Woon Lee ),이우형 ( Woo Hyung Lee ),이문진 ( Mun Jin Lee ),민진영 ( Jin Young Min ),이온 ( On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9 체육과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도시 성인의 신체활동량 측정 질문지를 개발하는 것이다. 질문지 개발을 위하여 문헌고찰과 다양한 특성의 성인 32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질문 영역과 질문지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총 223명의 도시 거주 성인을 표집하여 가속도계, 심박수계, 일일기록지로 신체활동을 측정하고 질문지로 측정된 신체활동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구인타당도의 부분적 검증을 위하여 성별, 직업종류별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신뢰도는 27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재검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 신체활동의 영역을 직업활동, 가사활동, 여가활동, 계획적 운동, 이동 5개로 구분하였으며 이 영역들을 기준으로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질문지의 타당도는 남자의 경우 .59-. 74로 중간에서 비교적 높은 정도, 그리고 여자의 경우 0.34-. 75로 비교적 낮은 수준에서 높은 수준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질문지로 측정된 신체활동 총량 및 영역별 신체활동량의 집단별 비교에서는 성별, 직업유무별, 직업유형별로 대체로 기대한 차이를 나타내 질문지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검법에 의한 신뢰도는 .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질문지의 타당도는 타 연구에서 개발된 질문지와 비교하여 그 타당도가 유사하거나 더 높아 대규모 연구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that is valid for measuring physical activity level of Korean adults who reside in city area. The research team identified the physical activity domain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emi-structured qualitative interview, and developed the questions that measure the physical activity level of each domain. Developed questionnaire was revised based on the experts`s review and pilot test. A total of 223 adults (102 males and 121 females) participated in completing questionnaires along with 7-day recording of accelerometer, heart rate monitor and diary measurement.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to examine criterion validity. Gender and occupation variables were used to examine group-divergent validity. Five physical activity domains, occupation-, household-, leisure-, planned exercise-and transportation-related domains, were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The criterion validity coefficients of the questionnaire ranged from .59 to .74 for males and .34 to .75 for females. These values are regarded as low to relatively high. The calculated reliability coefficient was relatively high at .90. The developed questionnaire may be useful in a large scale physical activity study.

      • KCI등재

        치문현토와 번역의 연관성 연구

        이성운(Lee, Sung-woon) 불교학연구회 2010 불교학연구 Vol.27 No.-

        이 글은, 어순구조가 다른 한문에 '다는 토'[懸吐]가 불전 번역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여 바람직한 불전 번역의 방법을 찾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불전(佛典) 가운데 불교의 선참 승려들이 학습하는 치문경훈의 제 번역을 대상으로 심아 '범주와 분절', '형식과 비유'를 중심으로 현토와 번역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I장은 저본인 치문경훈과 간경도감 간행본에 나타나는 현토(懸吐) 조사나 활용어미를 제시하였다. II장은 현토가 동사의 지배 범주, 주술어의 호응, 통사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폈는데, 여러 본이 선행의 현토를 그대로 수용하여 의미와 동사의 지배범위 [閾]이 모호할 뿐만 아니라 문장이 길어져 가독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III장은 대구(對句)와 비유의 문체 등이 현토로 인해 어떤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살폈는데, 원문의 문체 미도 찾기 어렵고, 후치수식을 중문으로 번역하여 비경제적이라고 할 수 있었다. 현토는 한문을 쉽게 이해하게 하는 장점을 안고 있지만 그것을 사용함으로 인한 번역의 장애 요인이 적지 않았다. 선대의 업적인 현토를 참고하고 활용하는 것은 필요하겠지만 현토가 있는 원문을 참고할 때는 현토를 삭제한 후 (백문) 문장을 분석하여 대구와 후치(後置) 수식(修飾)이 잘 드러나는 표점(標點)을 한 후 번역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is paper establishes a desirable translation mechanism for Buddhist scriptures contemplating the action of Toe(in this paper Kukyol and Toe are used interchangeably as the meaning of the former is similar to the latter) on th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The correlation between Hyeonto and translation will be analyzed focusing on ‘Category and Segment' and ‘Format and Metaphor' in investigating my translation of Chimungyeonghun, amongst other Buddhist scriptures(of which learners are monks at the initial stage of training). Chapter I presents post position and conjugation ending words that appear in translated versions published of Chimungyeonghun and Gangyeongdogam. The implication of Hyeonto on the governing scope of the verb, complement structure, and concord of the main predicate is studied in Chapter II that discovers that not only the meaning and the role of verbs are ambiguous as many of the scriptures accommodate the precedent Hyeonto as it is; in addition, the lengthened sentences lower legibility. Chapter III investigates the impact of Hyeonto on an antithesis, the style of metaphor and this reveals that the style of original ones are distorted and it is uneconomical that post-modification were adequately translated into Chinese. Hyeonto helps in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exposes an obstacle for translation of itself. I may be better to translate the Buddhist scriptures after marking which well expresses post-modification and antithesis analyzing Baekmoon(白文; unpunctuated Chinese composition) after deleting Hyeonto although; however, the value of Hyeonto(a precedent achievement) cannot be neglected.

      • 불교 장례 의문에 밴 언어의 미학

        이성운 ( Lee Sung-woon ) 세계불학원 2023 세계불학 Vol.- No.3

        귀환의 몸짓인 불교의 화장을 뜻하는 다비와 풍장의 시다림 문화가 합해졌다고 보이는 한국의 불교 장례 의문인 다비문은, 대부분 16세기 중반 이후의 자료이다. 다비 절차 가운데 발인 이후의 의식을 떠남의 몸짓으로, 육신을 불태우고 산골하는 의식을 되돌림의 몸짓으로 분류하여 의문의 미학을 살펴보았다. 발인 이후 떠남의 몸짓은 극락세계로 나아가라는 데 초점이 있으며, 떠나는 출발지를 ‘만타청산(萬朶靑山)’ ‘일간홍일(一竿紅日)’으로 대비하는 등 문예 미학으로 깨달음의 법문을 잇고 있으며, “곳곳의 푸른 버들 말을 맬 만하고, 집집마다 문밖은 장안 가는 길”이라고 하는 데서 미학을 맛볼 수 있다. 화장하여 유골을 태우고 부숴 오방으로 뿌려 본래 자리로 돌려보내는 되돌림의 몸짓에도 아름다움은 널려 있다. “삼계의 혼미한 꿈 깨어나 몸 바꿔 법왕 성에 이르소서.”라거나, “번뇌의 고통을 벗고 쌍림 열반의 즐거움을 얻으라”, “오대산 허공 속에서 흰 구름으로 유유히 떠돈다”라고 하며 자유자재를 노래하는 데 아름다움이 넘실댄다. Most of the ritual orations for the Korean Buddhist funeral, Dabimun, which seems to be a combination of Sidarim(Requiem) culture of Dabi meaning cremation and its aerial burial, date from after the mid-16th century. This paper considers the aesthetics of its ritual oration, with the ritual after the departure of the funeral service classified as a gesture of leaving, and the ritual of burning the body and dispersion of ashes as one of returning. The ritual after departure of a funeral procession classified as a gesture of leaving focuses on going to the world of paradise, which shows the teachings of enlightenment through literary aesthetics, such as contrasting the departure point with 'a green mountain with numerous branches hanging down(萬朶靑山)' and 'red sun caught on a fishing rod(一竿紅日)'. The aesthetics can be seen in the sentences that “there are green willows here and there that can be used to tie horses, and that outside the door of every house is the road to Changan.” We can find beauty in the gesture of returning, such as cremation, burning and crushing the remains, scattering them to the five directions, and returning them to their original places. It is full of beauty in singing of perfect freedom, with the lyrics that “May you awaken from the delusive dream of the Three Realms, change your body into a new one, and reach the palace of Dharma-King”, that “get rid of the pain of suffering and gain the joy of entering parinirvana under the twin Sara tree,” and that “become a white cloud and wander leisurely in the air of Odae mountai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불교(佛敎) 의례의문(儀禮儀文)의 명칭(名稱)에 대한 고찰(考察)

        이성운 ( Seong-woon Lee ) 한국기호학회 2016 기호학연구 Vol.47 No.-

        이 글은 불교 의례의문의 명칭이 어떤 준거에 의해 命名되며, 의례의문이 실제 指稱되는 略稱과 異稱에는 어떠한 원리가 들어 있는지를 살펴본 글이다. 2장의 고찰 결과, 첫째 근현대 이전의 命名은 예불·송주·수계·상례·수륙재 등 내용을 드러내는 핵심술어로 명명되고 있지만 예문(禮文) 등 몇 가지는 본문을 확인해야 의미가 드러나며, 근현대 이후에는 『석문의범』이나 『법요집』과 같이 내용이 명명의 준거라고 할 수 있으며, 둘째 『작법절차』, 『제반문』등은 의례 순서와 방법, < 대소예참 >과 ``중례문``은 의례 규모와 내부 형식, ``龜鑑``·``儀範``·``三和`` 등은 교훈적 의미등이 명명의 준거로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장의 고찰 결과, 첫째 ``중례문``과 ``대소예참``은 수량으로, ``結手文``, ``供養文``, ``排備文`` 등은 행위로, ``志磐文``과 ``仔夔文``은 撰者로, ``千手``와 ``雲水`` 등은 簡稱이라는 기준으로 略稱되고 있었으며, 둘째 ``眞鑑遺風``이나 ``堪忍敎``에는 당해 본이 龜鑑이며 正本의 敎法으로 이해하거나, 作法의 절차를 바로 알아 태말충이 되지 말자는 경책의 이미를 담아 ``太末蟲``이라고 하여 수행의 좌표로 삼고 있으며, ``焚修``와 ``無遮法會``, ``侍輦``등에는 敎化意志가 드러나는데, ``供佛齋僧`` 등 信行儀禮의 異稱에는 본래 의미가 퇴색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writing considers by what standard the title of the Buddhist ritual programs are named and what principle the short title and the nick name for them used actually include. The second chapter results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the naming prior to modern times indicated the core predicate which showed the contents of the ritual orations such as Yebul(禮佛; worship of the buddhas)ㆍSongju(誦呪; recitation of mantras)·ordination(受戒)ㆍfuneral rites(喪禮)ㆍSuryukjae (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although some require consideration of the content to understand the meaning. Meanwhile, in more modern times the standard for the naming has reflected the contents such as Seokmuneubeom(釋門儀範; The Standard manual of the Buddhist rituals) and The Collection of the Manuals of Rituals. Secondly, The Procedure for the Rules of conduct(作法節次), Jebanmoon(諸般文; the oration for the general rituals) were named after their order and way, Daesoyecham(大小禮懺; worship and repentance in large or small) and Jungryemun(中禮文; the ritual program in epitome) were after the scale of the rituals and the format of them. Paragon(龜鑑), the standard of the rituals(儀範) and three kinds of the edification(三化) were after the lessons they contained. The third chapter sums up as follows. To begin with, the short title of Jungryemun and Daesoyecham were named after the scale. Gyeolsumun(結手文, making mudras), offering(供養文) and the arrangement(排備文) were after the activity involved. The shorthand for Jibanmun(志磐文; the ritual program by Giban) and Jagimoon(仔夔文; the ritual program by Jagi) were after their compilers. The thousand hands(千手) and the cloud and water(雲水) are the abbreviation for the first two syllables of their full names. Besides, the names of Jingamyupoong(眞鑑遺風; the true example of the custom) and Kamingyo(堪忍敎; the teaching of endurance) mean that they are the paragons and the originals for the doctrinal teaching. Blowfly(太末蟲) was named in order to make it the strong warning for the discipline that we should know the correct procedure for the rules of conduct and not be like the blowfly. The extinction of hindrance of karma and the merit(焚修), Muchabeophoe(無遮法會; Buddhist ceremony without restriction) and Siryeon(侍輦, the rite of serving a sedan chair) have the meaning of the edification. The nickname of the ritual for the practice of faith(信行儀禮) like Gongbuljaeseung(供佛齋僧, offering to Buddha and donation to monks and nuns) has lost its original meaning.

      • KCI등재후보

        불교사학 입문서 간행의 현황과 분석 ― 관점(觀點)과 그 거리(距離)를 중심(中心)으로 ―

        이성운 ( Lee Seong-woon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9 한국불교사연구 Vol.16 No.-

        이 글은 근대 이후 현재까지 한국불교사학 관련 입문서에 대해 불교사료의 집성기, 불교사학의 정초기, 불교사화의 만발기로 분류하였고, 저자의 관점을 불교 내부자의 관점, 유행자적 관점, 외부인의 관점으로 분류하고 그것을 세 가지 측면으로 그 특징을 분석해본 글이다. 첫 번째 측면 사화 선정과 그 거리를 보면, 내부자 관점자들은 지나칠 정도로 역사 사료의 액면 그대로와 교학 사상과 고승들의 활동이 주라고 할 수 있고, 유행자의 유추가 설득력이 있었고 다양한 민중의 역사를 복원하려고 하는 편이었으며, 외부인의 관점은 유행자의 관점과 근사했다고 보인다. 내부자의 관점은 긍정적인 측면 위주이고 그림자의 역사는 다루지 않는 경향이다. 이에 비해 유행자의 관점 사서는 어용승려니 무위도식이니 하는 표현을 아끼지 않고 있고, 외부인의 관점을 견지하는 사서는 사실적인 서술로 일관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측면 주체 복원과 그 거리를 보면 내부자 관점의 사서는 지나칠 정도로 고승 위주여서 여성 불자나 민중의 문제는 눈 돌리지 않고 있고, 유행자의 관점은 전직 승려출신과 순수 유행자의 관점과 차이가 있다고 보였으며, 외부인은 비교적 균형감각을 가지고 배불을 바라보고 있다고 보인다. 세 번째 측면 통사 추구와 그 거리를 보면 사서들의 차례를 통해서 보면 사화라고 할 수 있는 이야기 한국불교사가 왕조를 뛰어넘어 관통하는 역사로 기술되고 있다고 보이며, 전체 사서들이 국가불교 호국불교로 해석하나 한국불교통사만이 민중불교로 서술하고 있을 뿐인데 대체로 진정한 불교의 유지는 일재와 같은 불교 신앙인들의 신앙행위라는 점이 간과되고 있다. 불교사 주체들의 역할을 복원하여 온전한 불교사를 기술하기 위해서는 고승 대덕의 학문과 선법활동과 같은 거시 담론에 갇혀 있어서는 어려울 것이다. 이 땅에서 불교 하는 이들의 삶-신앙의 방식이 다뤄져야 한국불교의 성격에 걸맞은 인식의 전환이 실제로 이뤄져야 온전한 불교통사는 기술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writing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roductions to the Buddhist history from modern times to the present. These writtings are classified into the agglomeration period of the Buddhist materials, the foundation period of the Buddhist historical studies and its full blossom period. The views of the authors are also further classified into those of the insider, the bystander and the outsider. Firstly, when it comes to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s of the Buddhist history and its distance, the viewpoint of the insider is positive, with the authors taking the materials at face value and mainly dealing with the activities of illustrious monks. The view of the bystander is persuasive. The bystander authors tend to restore a variety of histories of the public Buddhist, while criticizing government-patronized monks and their idle life. It seems that the viewpoint of the outsider is close to that of the bystander and consistent in the factual description. Secondly, in regarding to restoring its main agent and its distance, the insiders only focus on illustrious monks and are not interested in the female Buddhist and the issue of the public Buddhist. The viewpoint of the original bystander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ormer monks. The view of the outsiders are relatively objective to anti-Buddhism. Thirdly, as for Buddhist synoptic history and its distance, the historical story of Korean Buddhism has been narrated throughout history not just during the Joseon Dynasty. Korean Buddhism is characterized as Buddhism for national protection and the synoptic history of Korean Buddhism is as Korean public Buddhism. It passes unnoticed that the act of faith of Japanese Buddhists maintained authentic Buddhism under Japanese imperialism. The whole history of Korean Buddhism should not be restricted to the studies of illustrious monks and their activities but include the religious life of the public Buddhist in Korea.

      • KCI등재

        예수재의 의문 구성과 의례 설행의 특성 -의문 자료와 청련사 예수재를 중심으로-

        이성운(Lee Seong-woon)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9 동국사학 Vol.66 No.-

        불교에는 중생을 구제하는 다양한 방법이 방편으로 제시되어 있다. 그 중 예수재는 사후에 다른 이들이 망자를 위해 시설하는 칠칠재(사십구재)를 본인이 살아 있을 때 직접 닦는 의례이다. 이 글은 예수재 의문의 구성과 설행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쓰였다. 첫째 예수재의 의례가 성립된 것은 일반적인 시왕 신앙이나 예수 신앙의 측면이 아니라, 의문의 명칭에서 확인되듯이 수륙재 찬요(중례문)의 명부 시왕을 중심으로 한 수륙재의 형태로 16세기 초반 국내에서 성립되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둘째 예수재 의문은 천신의 공양이 중심이며, 소청과 예경의 차서와 위격의 변화가 일어나며, 의문과 달리 의식 설행은 현실적인 형편에 따라 설행되며, 화청으로 의례의 재설이 일어나고 있고, 금강경이 염송된다는 것이다. 셋째 의례 설행의 특성에 대해서는 양주 청련사 예수재 의문과 의례를 바탕으로 하였는데, 이는 다시 의문과 설행의 측면으로 나눠 분석하면, 의문의 측면으로는 어산 상진의 범패 계통이 드러나고, 현실적인 요소와 의문의 권위가 동시 반영되고 있고, 예의와 의례의 형식이 중시되고 있으며, 설행의 측면으로는 청련사라는 단일 사찰의 상주 승려들이 다 함께 의례에 참여한다는 것, 탁월한 능력을 가진 범패 어장 상진이 주도한다는 것, 사찰 당우와 중정(中庭)이 최대한 활용되고 있다는 특성을 찾을 수 있다. Buddhism has a variety of ways to relieve mankind, so-called expedient, one of which, Yesujae (預修齋) is a kind of Chilchiljae(七七齋, the weekly ritual for seven weeks). People perform Chilchiljae in order to pray for the deceased to be reborn in Buddha’s land while Yesujae is the ritual that one performs for oneself during life. This writing considers the characteristic of the ritual program and performance of Yesujae. Initially, It is demonstrated that Yesujae was established as the form of Suryukjae(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in the early 16th century, revolving around the ten kings of hell in Chanyo(纂要, the compilation of the gist) of Suryukjae, far from general belief of the ten kings or that of Yesu. Later the ritual oration(儀文) changes and becomes an offering to the aheavenly gods while Socheong(召請, invitation) and Yegyeong(禮敬, worship) undergo the change in their order and hierarchy. The ritual performance is practic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unlike the ritual oration and rebuild into Hwachung(和請, Buddhist gospel song). Also, The Diamond Sutra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 is recited. The ritual oration and performance of Yesujae at Cheongnyeonsa is mainly examined on their characteristic. As for the characteristic of the ritual oration, the line of Eosan (the monks or nuns singing a Buddhist ritual song) Sangjin’s Beompae(梵唄, the Buddhist music) is identified and both the element of reality and authentic ritual oration are reflected. Emphasis is placed upon the proprieties and formality. As a feature of its ritual performance, all monks resident in Cheongnyeonsa together take part in the ritual while the head Esan Sangjin of exceptional ability of Beompae is in control of the ritual. The ritual also takes full advantage of all the buildings and the courtyard at the temple.

      • KCI등재후보

        한길로 법사의 한길사상

        이성운 ( Lee Seongwoon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6 한국불교사연구 Vol.10 No.-

        이 논문은 “진리를 찾아 한길로 나아가려는 구도자”였던 한길로 법사의 교화 사상을 살펴본 글이다. 한길로 법사는 1919년 충남 청양에서 태어나 1996년 경기도 남양주 봉인사 한길정진원에서 생애를 마감했다. 17세에 입산(入山)하여 수행하고 30대 초반 다시 출산(出山)하여 중생교화와 경전 번역에 평생을 바쳤다. 한길로 법사가 재가법사로서 평생을 교화와 역경의 한길로 정진할 수 있었던 것은 대승경전의 골자에 대한 탁월한 이해와 깨침으로 말미암았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것은 법신과 화신의 대한 불이(不二)관은 그로 하여금 출가와 재가의 차이조차 무화(無化)하여 평생을 재가법사의 길을 갈 수 있게 하였다. 그에 기초한 실천적 이념으로 불교의 `삼보`를 `밝게·바르게·착하게`라고 탁월하게 해석하여 `명정선(明正善)`의 가르침으로 제시하였다. `밝게·바르게·착하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우선 일어나 앉으라고 하고 있다. `앉아서 정신을 가다듬으면 곧 일어설 수 있을 것이다.`라며 평소의 끊임없는 실천을 강조한다. 이렇게 살아가는 것이 삼보로 살아가는 불자의 큰 길로서 누구나 같은 목적지에 도달할 것이라고 하는 실천적 삼보관을 보여주고 있다. `밝게·바르게·착하게` 넓고 큰 한길로 모든 중생들과 도반이 되라는 한길로 법사의 열반송으로 전하는 그의 부촉은 현재 봉인사와 한길로정진원을 통해 이어지고 있다. This writing considers the idea of the teachings of the Buddha-Dharma of the Dharma teacher, Hangilro which literally means he who has walked the path of a truth-seeker `on a main road`. He was born at Cheongyang, Chungcheognamdo Province in 1919 and passed away at Hangiljeongjinwon in Bongin temple, Namyangju in 1996. He joined a Buddhist monastery at the age of 17 and devoted his life to the instruction and deliverance of sentient beings and the translation of scriptures. we can say that his excellent understanding and realization of Mahayana Buddhism made it possible for him as a lay dharma teacher. His view of Non-duality(不二) for Dharma body and Transformed body makes no difference between the laity and the clergy, which led him to keep Dharma teacher as a laity for his lifetime. He explained the three jewels in Buddhism to `Bright·Right·Good(明正善)` and suggested it as a practical ideology. He claimed that in order to live a `bright·right·good` life, above all, we have to get up and sit up. He put emphasis on `daily practice` with saying `we can stand up as soon as we sit up and calm ourselves down`. This is the Buddhist great way we live a life as the tree jewels which leads anyone to the common destination. we can say that his idea shows the practical view of the tree jewels. His entrusting as the hymn of Nirvana, `be the bright·right·good companions of the Way with all sentient beings on a main road, broad and wide, continues through Bongin temple and Hangiljeongjinwon.

      • 시지각적 접근에 의한 Müller House의 경계구조 연구

        이성운(Lee Seong-Woon),김경연(Kim Kyoung-Yon),곽경숙(Kwak Kyoung-Suk),전병권(Jun Byung-Kweon)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31 No.2(계획계)

        Boundaries in architecture are the foundation for forming space. Physical boundaries are highly dependent on a spatial perception, and they generate both psychological and social boundar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al elements of a boundary structure by approaching Adolf Loss"s Muller House from the perspective of visual perceptions. It also analyzed boundary structures and derived the elements of psycho-social boundary elements from the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