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남자 프로농구 팀의 플레이오프 진출과 승률의 영향 요인 분석

        이기봉 ( Gee Bong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4 체육과학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한국 남자 프로농구 팀들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팀 승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7-1998 시즌부터 2002-2003 시즌까지의 KBL 10개 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KBL 팀의 플레이오프 진출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단계적 판별분석을 실시하였고, 팀 승률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KBL 팀들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데 경기당리바운드, 자유투성공률, 경기당스틸 등이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파악되었으며, 팀 승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경기당리바운드, 자유투성공률, 경기당스틸, 경기당블록슛, 2점슛성공률, 3점슛성공률 등이었다. 아직 역사가 짧은 한국 프로농구에서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서 본 연구의 결과를 검증하고 보완해 나간다면, 각 팀들이 승률을 높이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얻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KBL team`s playoff pass and winning percent. The data of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10 team 1997-1998~2002-2003 KBL season.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exploration of the factor of KBL team`s playoff pass and winning percent. As a comprehensive conclusion, the factors of KBL team`s playoff pass were rebound per game, free throw %, steal per game, and the factors of KBL team`s winning percent were rebound per game, free throw %, steal per game, block shot per game, two point shot %, three point shot %.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체력운동 수업 방향탐색을 위한 청소년의 체력발달 경향분석

        이기봉(Gee Bong Le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남녀 청소년의 체력 발달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외국 자료와 비교하여 국내 청소년의 체력 수준을 평가하며, 향후 학생들의 체력 발달을 위한 체력운동 수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본 연구자가 임의로 표집한 S시의 1개 고등학교 3학년 309명이고, 분석 자료는 학생체력검사 6종목 중에서 50m달리기, 윗몸일으키기, 오래달리기-걷기, 제자리멀리뛰기 등 4종목의 측정치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국내 청소년의 체력 발달 경향은 고2와 고3에서 정체되거나 감퇴되며, 이러한 현상은 여학생에서 더욱 심각하게 나타났다. 국내 청소년의 체력 수준은 일본, 미국과 비교하여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체력운동 수업은 성장·발달 측면, 남녀의 차이, 종목간 차이를 고려하여 진행되어야 한다. 향후 체력운동 수업의 변화를 위해서는 지식 기능과 통합된 체력운동의 지도, 흥미로운 체력운동 프로그램의 개발, 예비 체육교사와 체육교사에 대한 체력운동의 교육 강화, 체육 시설 및 기구의 확충이 이루어져야 한다. 체력 향상을 위한 정책으로는 건강관련 체력검사의 개발과 고등학생의 체력 향상 방안의 마련 등이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a) to analyze developmental patterns of male and female youth`s fitness and (b) to evaluate Korean youth`s fitness comparing with the data from Japan and USA. Drawing from the results, several pedagogical and curricula strategies that might lead to qualify fitness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PE) were proposed. Latent Growth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scores of youth fitness tests for 4 years, from grades 9 to 12. The sample was composed of 309, 12th grade high school male and female students in Seoul city. The program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were LISREL and SPSS.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fitness of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getting lower or in a plateau in l1th, 12th grades and going down drastically for female. Comparisons of the data with those of USA and Japan revealed that fitness level for Korean youth is lower. The results suggest that instruction in fitness class should consider developmental and gender differences. This study concluded with several implications in terms of instructional and policy changes(e.g. development of fun-oriented fitness programs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tests) and school P.E. environment(e.g. gym, sport equipment).

      • KCI등재
      • KCI등재

        체육 분야의 인과관계 연구에서 매개변인의 효과 검증

        이기봉 ( Gee Bong Lee ),김영숙 ( Young Sook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6 체육과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 분야의 인과관계 연구에서 매개변인과 매개효과의 의미를 설명하고, 매개변인의 효과를 검증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것이다. 매개변인은 두 변인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매개효과가 검증되어 왔다. 회귀분석은 비교적 적은 표본수에서 얻어진 자료에 적용할 수 있지만, 측정의 오차를 설명하지 못하고 독립변인이 매개변인을 통해 종속변인을 설명하는 간접효과의 표준오차를 제공하지 않아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복잡하다. 반면, 자료가 정규성 등의 가정만 만족한다면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회귀분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개효과 검증 방법으로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모두 소개하였고, 실제 연구에서 사용된 스포츠심리학 분야의 자료를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에 적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methods and procedure of examining mediation effect. A mediating variable is a variable which mediates the 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Regression model has been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mediating variable in social science. However, the regression model has limitations in that it does not take account the measurement error and does not provide the standard error for the indirect effect of an independent variable on the dependent variable. The applic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let us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 methods and procedure of applying regression model and SEM in examining mediation effect are described and compared in this paper along with examples.

      • KCI등재

        농구 코치의 리더십 유형별 타당성 검증: 개인수준 변인의 합을 통한 팀수준 변인 생성

        이기봉(Gee Bong Lee)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1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료 합산의 정당성 검증 방법들을 적용하여 성별과 교급별 농구 코치의 리더십 유형별로 개인수준에서 측정된 자료를 합산하여 집단수준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 체육분야에 자료 합산의 정당성 검증 방법을 소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연구 자료는 스포츠리더십측정검사지(LSS)를 이용하여 서울, 인천, 경기도 지역 소재 남·여 고등학교 19팀(남고 10팀, 여고 9팀)과 남·여 대학교 13개 팀(남대 8팀, 여대 5팀)의 농구 선수 376명에게 코치의 리더십을 측정하여 수집한 것이다. 자료합산의 정당성 검증을 위해 F-검증, η<sup>2</sup>, ICC(1), ICC(2) WABA의 E(15°)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개인수준에서 측정된 코치의 리더십 점수를 합산하여 해당 팀 코치의 리더십을 평가할 수 있는 성별과 교급별 리더십 유형은 여고 코치의 TI, DB, AB 유형, 여대 코치의 TI, DB, SS, PF 유형, 남고 코치의 SS와 PF 유형, 남대 코치의 TI, DB, SS 유형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자료는 과거 자료이며, 충분한 표본크기와 팀 수를 확보하지 못하여 현재의 국내 농구 코치의 리더십을 평가하는데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충분한 표본크기와 팀 수를 확보한 후속 연구를 통해 농구 코치의 리더십이 어느 수준에서 기능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체육 분야에서 개인에게 측정된 점수로 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려는 연구자들이 자료합산의 정당성을 검증하는데 도움을 받기를 바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using scores that were calculated by summing individual team members` scores as team scores tha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eams. In addition, the paper introduced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validity of using scores that were measured from individual members as team characteristic scores. Leadership Scale for Sports(LSS) was administered to 19 highschool and 13 college basketball teams, totalling 376 players. They were asked about their own coach. To examine the validity of summing individual players` score to represent team characteristics F statistic, η<sup>2</sup>, ICC(1), ICC(2) WABA`s E(15°) were calculated and examined. The results show that the valid dimensions that can be used to represent group characteristics from individual members` scores were TI, DB, AB dimensions of girl`s highschool teams, TI, DB, SS, PF dimensions of girl`s college teams, SS, PF dimensions of boy`s highschool teams, and TI, DB, SS dimensions of boy`s college teams. The interpretation of the analyses results needs a caution because the sample size was not enough in terms of the number of teams included in this study.

      • KCI등재

        한국 도시 성인의 신체활동량 측정 질문지 개발

        박일혁 ( Il Hyeok Park ),이기봉 ( Gee Bong Lee ),조성일 ( Sung Il Cho ),김연수 ( Yeon Soo Kim ),이성운 ( Sung Woon Lee ),이우형 ( Woo Hyung Lee ),이문진 ( Mun Jin Lee ),민진영 ( Jin Young Min ),이온 ( On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9 체육과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도시 성인의 신체활동량 측정 질문지를 개발하는 것이다. 질문지 개발을 위하여 문헌고찰과 다양한 특성의 성인 32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질문 영역과 질문지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총 223명의 도시 거주 성인을 표집하여 가속도계, 심박수계, 일일기록지로 신체활동을 측정하고 질문지로 측정된 신체활동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구인타당도의 부분적 검증을 위하여 성별, 직업종류별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신뢰도는 27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재검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 신체활동의 영역을 직업활동, 가사활동, 여가활동, 계획적 운동, 이동 5개로 구분하였으며 이 영역들을 기준으로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질문지의 타당도는 남자의 경우 .59-. 74로 중간에서 비교적 높은 정도, 그리고 여자의 경우 0.34-. 75로 비교적 낮은 수준에서 높은 수준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질문지로 측정된 신체활동 총량 및 영역별 신체활동량의 집단별 비교에서는 성별, 직업유무별, 직업유형별로 대체로 기대한 차이를 나타내 질문지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검법에 의한 신뢰도는 .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질문지의 타당도는 타 연구에서 개발된 질문지와 비교하여 그 타당도가 유사하거나 더 높아 대규모 연구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that is valid for measuring physical activity level of Korean adults who reside in city area. The research team identified the physical activity domain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emi-structured qualitative interview, and developed the questions that measure the physical activity level of each domain. Developed questionnaire was revised based on the experts`s review and pilot test. A total of 223 adults (102 males and 121 females) participated in completing questionnaires along with 7-day recording of accelerometer, heart rate monitor and diary measurement.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to examine criterion validity. Gender and occupation variables were used to examine group-divergent validity. Five physical activity domains, occupation-, household-, leisure-, planned exercise-and transportation-related domains, were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The criterion validity coefficients of the questionnaire ranged from .59 to .74 for males and .34 to .75 for females. These values are regarded as low to relatively high. The calculated reliability coefficient was relatively high at .90. The developed questionnaire may be useful in a large scale physical activity study.

      • KCI등재

        체육학 연구를 위한 다층자료 회귀분석(위계선형모형)의 소개

        박일혁(Il Hyeok Park),이기봉(Gee Bong Lee),서성혁(Sung Hyeok Suh)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0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2 No.1

        본 tutorial은 다층자료의 회귀분석(위계선형모형)을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위계선형모형은 다층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대상자의 특성변인뿐 아니라 대상자가 속한 상위 집단의 특성변인으로 종속변인을 설명하는 통계모형이다. 이 통계모형은 개념적으로 일반적으로 실시되는 회귀분석 모형에서 나타나는 절편과 회귀계수를 상위집단의 특성변인, 즉 2층 자료의 변인으로 설명(예측)하는 회귀모형으로 1층과 2층 자료 또는 그 이상의 자료에 대한 여러 번의 회귀 모형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위계선형모형은 반복측정된 자료에 대한 변화의 분석에 적용하여 변화에 대한 설명변인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게 이용된다. 본 tutorial에서는 위계선형모형이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두 가지 경우에 대한 기본 개념 설명과 자료 분석 및 해석의 예를 제시하였다. This is a tutorial paper introduc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for the applied research in the area of exercise and sport science. The HLM was introduced more than 40 years ago, but has not been used often in research. The HLM can be viewed as two or more regression modelings for the analysis of multilevel data. This statistical technique is especially useful in educational and organizational research where the data is typically multilevel. Application of the HLM in analyzing repeated measures data for the analysis of change is also very useful. In the paper, the basic concepts of HLM is introduced using less technical terms, and the analyses examples are presented with simulated data and real data.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is statistical technique is also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의 타당화 연구

        김영덕(Young Deok Kim),이기봉(Gee Bong Lee),박일혁(Il Hyuk Park),이성운(Sung Woon Lee)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09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1 No.3

        본 연구는 Benson(1998)이 제시한 강력한 타당화 프로그램의 2단계 내적구조 검증단계와 3단계 외적구조 검증 단계를 적용하여 최선인 등(2005)의 청소년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의 타당도를 추정하고 발견된 문제점에 대한 수정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교의 학생 289명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측정되었다. 내적구조 검증 단계에는 확인적 요인분석(CFA), 일반화가능도 이론(G-theory)이 적용되었으며, 제안된 모형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한 지수로는 ?확률값, RMSEA, NNFI, CFI, SRMR이 사용되었다. 외적구조 검증단계에는 다중집단 분석(multi-group analysis)이 적용되었으며,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학생 295명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추가로 측정되었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제안된 이론적 구조에 충분히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잠재변인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문항들이 발견되었으며 충분히 개념화되지 않은 요인들이 이론 구조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화가능도 이론의 G 연구결과 응답자와 요인간의 상호작용 분산 (30.90%)과 잔차 분산(33.60%)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 연구결과 청소년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의 일반화 가능도 계수는. 73으로 나타났으며, 보다 신뢰롭고 효율적인 검사가 되기 위한 측정조건은 12요인-4문항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집단 분석 결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청소년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의 이론적 구조는 고등학생에게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제안된 이론 구조는 구성 문항과 요인 등에서 전반적인 문제가 발견되어 신체적 자기개념의 고유한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향후 문항의 수정, 추가, 삭제 그리고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모집단으로 한 요인의 재 개념화를 통해 새로운 검사지를 개발한 뒤 이를 다시 재 타당화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일반화가능도 이론의 연구결과는 향후 새로운 검사지를 개발하는데 있어 보다 신뢰롭고 타당한 이론 구조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validate the physical self-concept scale for adolescent developed by Choi, et al. (2005) using strong validation program suggested by Benson(1998), and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modific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Physical self-concept for adolescent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89 middle school student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G-theory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applied within structural stage and external stage. An additional physical self-concept of 295 highschool students were measured for multi-group analysis. In the results of CFA, the sample data of our study did not fitted well to the theoretical structure suggested by Choi, et al. (2005). In the G-study, the variance of interaction between the subjects and factors (30.90%) and residual variance (33.60%) were the highest. The most reliable and efficient measurement scale based on the G-theory is 12-factors, 4-item model. The finding from multi-group analysis suggested that the theoretical structure developed upon the sample from middle school students cannot be applied equally to the sample of highschool students. It is discussed that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physical self-concept for adolescent developed by Choi, et al. (2005) may not fully reflect the overall concept of physical self-concept since it contains some problematic items and factors. It is suggested that a new measurement scale should be developed under careful and systematic procedures. In addition, the results from D-study is expected to be a useful reference for future study in terms of enhanc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oretical structure of physical self-concept.

      • KCI등재

        청소년과 성인의 신체활동영역 설정

        박일혁(Il Hyeok Park),이기봉(Gee Bong Lee),김남수(Nam Soo Kim),이우형(Woo Hyung Lee),이문진(Mun Jin Lee),이성운(Sung Woon Lee)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09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과 성인의 신체활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신체활동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체활동의 종류와 분류에 관한 연구와 현재까지 개발된 신체활동 측정 도구 및 방법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고, 서울시 소재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남녀 48명과 30-60대의 성인 3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문헌고찰과 심층면접의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회의를 실시하였고, 청소년의 신체활동 측정 질문 영역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청소년의 신체활동 영역은 수업, 휴식, 여가, 계획적 운동, 이동 이었으며 성인의 신체활동 영역은 직업, 가사, 여가, 계획적 운동, 이동이었다. 신체활동량을 측정하는 질문지 구성시 이 영역들이 대상별로 포함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론내릴 수 있다. 규칙적인 생활 내에서 신체활동이 많이 나타날 수 있는 영역은 청소년의 경우 수업(체육수업), 휴식 및 여가였고 성인의 경우 계획적 운동이었다. 따라서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개입(intervention)을 위해서는 이 영역들에 대한 집중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청소년의 신체활동 질문지를 개발할 때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hysical activity domains of Korean youths and adults. The research team reviewed various reports on the life patterns of Korean population, and research papers on the development of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n addition, the research team interviewed 4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24 males and 24 females to obtain the information on the patterns of everyday life. Experts reviewed the identified physical activity domains. Five physical activity domains were identified for youths; class activity, resting activity, leisure activity, planned exercise and commuting. Five domains were identified for adults as well; working activity, housework, leisure activity, planned exercise and commuting. These domains are recommended to be included in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For youths, physical education class activity, resting activity and leisure activity were three major domains where physical activity can be promoted. For adults, planned exercise can be regarded as most important domain to consider in physical activity promo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in developing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for youths and ad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