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alidation of the Dementia Care Assessment Packet-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이석범,박정란,유정화,박준혁,이정재,윤종철,주진형,이동영,우종인,한지원,허윤석,김태희,김기웅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3 PSYCHIATRY INVESTIGATION Vol.10 No.3

        Objective We aimed to evalu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IADL measure included in the Dementia Care Assessment Packet (DCAP-IADL) in dementia patients. Methods The study involved 112 dementia patients and 546 controls. The DCAP-IADL was scored in two ways: observed score (OS) and predicted score (PS). The reliability of the DCAP-IADL was evaluated by testing its internal consistency, inter-rater reliabil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Discriminant validity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mean OS and PS between dementia patients and controls by ANCOVA. Pearson or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other instruments to assess concurrent validit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diagnostic accuracy. Results Chronbach's α coefficients of the DCAP-IADL were above 0.7. The values in dementia patients were much higher (OS=0.917, PS=0.927), indicating excellent degrees of internal consistency. Inter-rater reliabilities and test-retest reliabil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PS exhibited higher reliabilities than OS. The mean OS and PS of dementia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n-demented group after controlling for age, sex and education level. The DCAP-IAD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ther IADL instruments and MMSE-KC (p<0.001). Areas under the curves of the DCAP-IADL were above 0.9. Conclusion The DCAP-IADL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for evaluating instrumental ability of daily living for the elderly, and may also be useful for screening dementia. Moreover, administering PS may enable the DCAP-IADL to overcome the differences in gender, culture and life style that hinders accurate evaluation of the elderly in previous IADL instruments.

      • KCI등재
      • 磨製石鏃을 통한 嶺南地域住居址의 編年

        이석범 한국청동기학회 2012 한국청동기학보 Vol.10 No.-

        In Bronze Age, settlements in the Yeongnam region were divided into three zones, which include the inland Yeongnam zone around the middle of the Nakdong River, the southeastern Yeongnam zone around the Taehwa and Hyeongsan River valleys and the East Coast, and the southern Yeongnam zone around the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and the South Coast. The bronze culture of the zones gradually developed with the existing culture assimilating with the newly introduced Songgukri culture. In the Yeongnam region, polished stone arrowheads are classified into the ones with no necklace(Category I), the ones with a double necklace(Category II), and the ones with a single necklace(Category III) according to tangs. They are also further classified into more diverse forms according to a range of criteria including total length, total length/breadth of the arrowhead, the shape of the arrowhead, the sectional form of the tang, and the bottom form of the arrowhead.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polished stone arrowheads went through changes from no necklace through a double necklace to a single necklace in the Yeongnam region. Those formative changes vary among the zones,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assimilation and spread process of the existing culture and Songgukri culture. In Bronze Age, settlements in the Yeongnam region fell into one of the six stages including the Misari-type and Garakdong-type settlements(Stage I) and the ones during the period of large circular clay earthenware(Stage VI), which belong to the earlier periods excluded from analysis, according to the formative changes of polished stone arrowheads, the structure of settlement, and changes to deep bowl pottery. Based on the radiocarbon dating results, the stages can be chronologically arranged as follows: Stage 1 falls in the early part of the former period(B.C. 15th century ~ B.C. 13th century); Stage II in the middle part of the former period(B.C. 13th century ~ B.C. 10th century); Stage III in the late part of the former period(B.C. 10th century ~ B.C. 9th century); Stage IV in the early part of the middle period(B.C. 9th century ~ B.C. 8th century); Stage V in the late part of the middle period(B.C. 8th century ~ B.C. 4th century); and Stage VI in the latter period(B.C. 4th century). In Stage IV between the former period of Bronze Age and the middle period of Bronze Age, the Songgukri culture was introduced in the Yeongnam region, and the ⅢA1a-style stone arrowheads were replaced by the ⅢA1b- and ⅢA2b-style ones. The Songgukri culture introduced in Stage IV spread first in the inland Yeongnam and southern Yeongnam zones. In the southeastern Yeongnam zone, it created the very conservative Geomdanri style by inheriting the existing culture of Yeoksamdong and Heunamri from the former period. 영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취락은 크게 낙동강 중류를 중심으로 한 영남내륙지역, 태화강·형산강유역 및 동해안을 중심으로 한 영남동남부지역, 낙동강하류 및 남해안을 중심으로 한 영남남부지역으로 3개의 지역군으로 구분된다. 이들 지역군의 청동기문화는 재지문화와 새롭게 유입되는 송국리문화와 접변하면서 점진적으로 발전하게 된다. 영남지역의 마제석촉은 경부의 유무와 형태에 따라 크게 무경식(Ⅰ류), 이단경식(Ⅱ류), 일단경식(Ⅲ류)로 구분되며, 총길이, 총길이/촉신폭, 촉신부의 형태, 경부의 단면형태, 촉신하단부형태 등의제속성을 기준으로 여러 가지의 형식으로 나누어진다. 영남지역의 마제석촉은 무경식→이단경식→ 일단경식의 변화가 인정되며, 그 형식변화는 지역군별로 차이를 보인다. 이는 재지문화와 송국리문화의 접변과 확산과정으로 설명된다. 마제석촉의 형식변화와 주거지의 구조, 심발형토기의 변화 등의 조합을 통한 영남지역 청동기시대주거지는 분석대상에서 제외된 미사리유형과 가락동유형의 주거지(Ⅰ기)와 원형점토대토기단계의주거지(Ⅵ기)를 포함하여 모두 6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별 시기는 방사성탄소연대를 참고하면, Ⅰ기는 전기 전엽(B.C. 15세기~B.C. 13세기), Ⅱ기는전기 중엽(B.C. 13세기~B.C. 10세기), Ⅲ기는 전기 후엽(B.C. 10세기~B.C. 9세기), Ⅳ기는 중기 전반(B.C. 9세기~B.C. 8세기), Ⅴ기는 중기 후반(B.C. 8세기~B.C. 4세기), Ⅵ기는 후기(B.C. 4세기)으로편년할 수 있다. Ⅳ기는 청동기시대 전기에서 중기로 넘어가는 단계로 영남지역에 송국리문화가 유입되며, 석촉은 ⅢA1a식이 소멸되고 ⅢA1b식, ⅢA2b식이 출현하는 시점이다. Ⅳ기에 유입되는 송국리문화는 영남내륙지역과 영남남부지역부터 확산되는데, 영남동남부지역에는 전기의 재지문화 즉, 역삼동유형, 흔암리유형을 계승하여 보수성이 강한 검단리유형을 형성하게 된다.

      • 서울, 천안, 농촌지역 중 고교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비교 연구

        이석범,이경규,백기청,김현우,Lee, Seok-Bum,Lee, Kyung-Kyu,Paik, Ki-Chung,Kim, Hyun-Woo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4 정신신체의학 Vol.12 No.2

        연구목적: 인터넷 중독이란 '과도한 인터넷 사용에 의해 현실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 '인터넷에 과도한 시간을 사용하거나 현실세계에서의 진정한 인간관계가 가상공간에서의 표면적인 관계로 대치되는 것', '인터넷 사용에 대한 자기조절 능력이 현저히 약하고 사용을 금지할 경우 심리적 혼돈과 무기력에 빠지게 되는 상태' 등으로 정의되는 새로운 형태의 중독 현상을 지칭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문화적, 지리적 여건이 다른 서울, 천안, 농촌지역 중고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율, 인구학적 변수들, 컴퓨터 사용성향, 불안성향, 우울, 그리고 가상공간을 통한 자기 효능감이 각 지역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군은 서울, 천안, 천안근교 농촌 소재의 남녀 중고교생 171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에 대한 문항들, the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를 김정택이 번안한 한국판 상태-특성 불안척도, 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을 이중훈이 번안한 한국판 자기평가 우울척도, 인터넷 사용 성향을 묻는 문항들, Young, K. S.의 인터넷 중독 진단 척도를 윤재희가 번안하였고 본 연구자가 청소년에 맞게 수정한 인터넷 중독척도, J. W. Henry & R. W. Stone이 개발한 computer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scale과 Paulhus, Delroy가 개발한 Spheres-of-Control Battery Item을 송원영이 번안, 수정하여 사용한 가상공간 활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결과기대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해당학교장의 협조를 받아 교실 내에서 학생들이 작성하는 방식으로 연구가 시행되었다. 결과: 연구결과 전체 대상군의 인터넷 중독율은 2.9%였으며 세 지역간에 인터넷 중독율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전체 대상군의 경우 농촌이 서울이나 천안에 비하여 높은 불안, 우울정도를 보였고, 서울, 천안, 농촌 순으로 높은 가상공간활용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보였으며 천안, 서울, 농촌 순으로 여가생활을 혼자 지내는 비율이 높았으나 중독군 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이러한 차이가 없었다. 전체 대상군의 경우 인터넷에 접속하는 장소에 있어서 서울, 천안, 농촌 순으로 가정이 많았으며 인터넷 접속방법에 있어서도 서울, 천안, 농촌 순으로 초고속 인터넷의 사용율이 높았으나 중독군 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이러한 차이가 없었다.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전체 대상군의 경우 서울, 천안, 농촌의 순으로 인터넷에 중독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중독군 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이러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번 연구결과를 보면 인터넷 중독율은 세 지역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불안, 우울, 가상공간활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여가형태, 인터넷 접속장소, 인터넷 접속방법,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전체 대상군에서는 세 지역간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독군의 경우에는 이러한 차이가 없어 지역간 중 고교 학생들의 심리적 상태, 여가형태, 인터넷 환경,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으나 인터넷에 중독되면 이러한 차이가 없어지고 비슷한 형태의 중독군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 Internet addiction is a newly appeared addictive phenomenon that is defined as 'difficulty in real life due to internet over-use', 'excessive time spent on the internet or replacement of genuine real relationships with superficial virtual ones' or 'weakness in self-control about internet use and if discontinued, fallen in psychological confusion and anergic stat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internet addiction rate, demographic factors, computer using patterns, anxiety, depression, and internet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between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ree areas - Seoul, Cheonan, and Rural areas - that were different in economic, cultural, and geographic state. Methods : Subjects are consisted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Chunan, and Rural areas(N=1718). Self-rating questionnaire included demographic data, Korean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Korean Self-Rating Depression Scale(SDS), questions for internet-using pattern, Korean version of Internet Addiction Scale invented by K. S. Young, Internet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Scale. Results: In this study, prevalence of internet addiction was 2.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prevalence of internet addiction among three areas. In all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xiety, depression, internet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leisure style, places of internet use, internet connecting method, and insight on internee addiction. But, in addicted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area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ifference in economic, cultural, and geographic state was not related to prevalence of internet addiction. Al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xiety, depression, self-efficacy associated with internee use, leisure style, places of internet use, internet connecting method, insight on internet addiction among three a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cted group among three areas. So, we concluded that the difference in economic, cultural, and geographic state did not influence the prevalence of internet addiction, and despite the difference in economic, cultural, and geographic state, people in three areas were equally influenced by internet add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