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자동 채소 정식기 묘 취출장치 개발

        강태경 ( Kang Tk ),김성우 ( Kim Sw ),김영근 ( Kim Yk ),이상희 ( Lee Sh ),전현종 ( Jun Hj ),최일수 ( Choi Is ),김형곤 ( Kim Hg ),서태철 ( Seo Tc ),장길수 ( Jang Ks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농업현장에서는 각종 작물을 재배할 때 작물 성장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일정한 크기로 성정한묘를 밭으로 옮겨 심게 되는데, 이러한 묘 정식작업을 수행할 때 채소정식기가 사용된다. 묘 정식 작업은 호미나 괭이 등을 이용하여 모종이 심어지게 될 구멍을 파낸 후 묘를 심고 그 주위를 복토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허리와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을 연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는 작업자가 쉽게 몸에 피로를 느끼고 작업능률이 저하되며, 작업자마다 묘를 구멍 내에 파묻히는 정도가 달라서 불규칙하게 심어지거나, 충분한 깊이로 심어지지 못해 묘가 고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채소 정식작업의 기계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2조식의 전자동 채소정식기의 핵심기술인 육묘트레이를 공급하면서 자동으로 묘를 취출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포크타입의 묘 취출장치는 최근에 보급이 증가하고 있는 원통형 종이포트 묘를 적용하기 위하여 육묘트레이를 30° 경사로 이송되는 방식으로 설계하였다. 포크타입 육묘트레이 묘 취출장치는 4개의 살로 구성되어있고 끝부분은 촉으로 되어있어서 묘를 찍으면 떨어지지 않게 제작하였다. 또한 묘 취출률을 높이기 위해서 묘를 찍어내는 동시에 아래에서 대각 위로 묘를 밀어내는 장치가 트레이 이송장치에 장착되었다. 자동 채소 정식기 묘 취출방법은 육묘트레이가 체인에 의해 취출부로 하강하면, 취출부는 육묘트레이 이송에 맞춰 각 열 4주씩 취출한다. 취출 후 다시 상승 및 하강하면서 다음 열 4주의 묘를 취출한다. 묘 취출 시험방법은 40(4×10)공 플러그트레이에 파종 후 90일째 육묘한고추(강한1호)묘를 사용하였으며 총 200주의 묘를 시험하였다. 분류는 취출 및 미취출로 표기하였으며, 미취출된 묘는 원인을 표기하였다. 자동 채소 정식기 포크타입 묘 취출 시험결과 총 200주의 묘에서 취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8주로 결주율 4%로 나타났다. 결주 원인으로는 이송중 묘를 떨어뜨리는 경우가 6주, 취출 후 식부부에 정확하게 떨어뜨리지 못한 묘가 2주로 나타났으며, 미 취출, 상토 부서짐 및 트레이 내부 뿌리엉김으로 인한 인접 묘 취출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원통형 종이포트 가장자리에 종이를 씌워 상토가 부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고, 기존 128공 육묘트레이 보다 40공 육묘트레이의 재식간격이 넓어 취출시 묘의 간섭을 줄일 수 있었다. 하지만 포크타입의 묘 취출방식은 기계적 제어방식으로 취출된 묘를 정확하게 이송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보완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 트랙터 부착 붐 방제기 노즐 분무특성

        강태경 ( Kang Tg ),김성우 ( Kim Sw ),김영근 ( Kim Yk ),이상희 ( Lee Sh ),전현종 ( Jun Hj ),최일수 ( Choi Is ),김형곤 ( Kim Hg ),이충근 ( Lee C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농산물 생산 작업 중 병해충 방제작업은 품질 및 생산량을 높이기 위한 필수 작업이지만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농약을 살포하므로 농약중독 우려가 커서 기피하는 작업이다. 현재 국내에서 실시된 방제의 대표적인 방법은 화학적 방제작업으로 동력경운기에 탑재하거나 트랙터로 견인되는 동력분무기를 주축으로 기계화 되어왔다. 이러한 동력분무기를 이용한 방제작업은 낮은 농도의 농약을 다량살포함으로써, 기부살포와 같은 방제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나 농약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농약의 낭비 및 환경오염에 주범이 되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붐을 이용한 방제작업 체계로 바뀌어 가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트랙터 부착용 붐 방제기의 방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선정된 노즐의 분무특성을 분석한 후 트랙터 부착 붐 방제기에 설치하여 방제함으로써 트랙터 부착 붐 방제기의 성능을 시험하고자 하였다. 트랙터 부착 붐 방제기 성능을 실험하고자 TeeJet Spraying System Co,의 3종(A, B, C)의 노즐을 선정하여 압력에 따른 살포폭, 분무량 및 분무입경을 측정하였다. 선정된 노즐성능은 A: Flat type, B,C: Twin flat type이며, 분무용량(L/min)은 A≒C>B순서이다. 노즐의 살포폭 및 분무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315×164×93cm의 패터네이터를 제작하였으며, 분무량 측정을 위해서 직경 6.5cm의 컵을 패터네이터 골 간격마다 한 개식 설치하였다. 측정은 분무압력 및 분무형상이 안정된 후부터 조사하였으며, 분무량은 1분간 수집된 컵에 담긴 물을 메스실린더로 측정하였다. 트랙터 부착 붐 방제기는 노즐 살포폭을 고려한 노즐 부착간격 52, 58.5cm로 설정하여 총 20개의 노즐을 장착하였다. 노즐 살포균일도 시험은 선정된 3개 노즐을 트랙터 주행속도 2m/s, 기온 32℃, 습도 28% 및 풍속 1.2m/s에서 압력별(10, 15, 20Kgf/cm2) 및 부착간격으로 수행하였으며, 측정은 방제기가 분사하는 구간에 3m의 구조물을 설치하고, 구조물 위에 감수지를 부착하여 시험하였다. 살포균일도 측정방법은 3m 감수지에서 약 17.5cm 간격으로 18곳을 측정하여, 영상처리장치(IMTcam3, I-solution Inc.,Canada)을 사용하여 측정된 감수지 전체면적에 대한 분무 입자면적을 %단위로 나타냈다. 압력에 따른 분무입경 시험결과 압력 증가는 분무입경을 미세하게하며, 동일한 압력시 Twin flat type(B,C)의 분무입경이 Flat type(A)보다 19.07~31.78% 미세하게 나타났으며, 패터네이터 분무량 측정결과 분무용량 특성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트랙터 부착 노즐 3종의 압력에 따른 살포균일도 시험결과 10Kgf/cm²에서는 약65~77%, 15Kgf/cm²에서는 약72~86%, 20Kgf/cm²에서는 약84~90%의 분무면적으로 압력이 증가할수록 분무면적이 증가하였지만, 노즐에 따라 증가폭은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압력증가할수록 살포균일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A노즐은 노즐간격 52cm, 10Kgf/cm² 압력에서 65%로 낮은 분무면적이 나타났고, B노즐은 10,15Kgf/cm2의 압력에서 A,C노즐 보다 살포균일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트랙터 부착 붐 방제기 적정노즐로 B노즐을 선정하였다.

      • KCI등재

        폐경기 여성에서 골다공증의 위험인자들에 관한 연구

        이찬,나중렬,신재철,이상희,이낙우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3

        본 연구는 1995년 8월부터 1996년 6월까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부속 안암병원 산부인과 외래에 내원한 폐경기 여성 88예를 대상으로, 골다공증의 조기진단과 치료 및 예방에 도움을 주고자 골다공증의 위험인자를 설문 조사와 골밀도 측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이 증가할수록, 폐경 기간이 길어질수록 골밀도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마른 체형을 가진 여성들에서 골밀도가 낮았다. 2. 갑상선 기능항진증이나 당뇨병, 골다공증의 가족력과 스테로이드나 이뇨제를 다량 복용한 기왕력이 있는 여성들에서 골밀도가 감소되어 있었다. 3. 흡연, 음주, 카페인, 운동 부족, 저칼슘 및 저 인섭취 등도 골밀도의 감소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폐경 연령, 초경 연령, 임신력, 폐경 원인 등은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연령 증가, 폐경 기간, 체중 등은 정상군에 비해서 골다공증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골다공증의 위험인자로서 분석되었다. 노령 인구 및 폐경 여성의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우리 나라에서도 골다공증의 예방에 힘 쏟아야 할 때라고 생각되며, 골다공증의 위험인자를 가진 폐경 여성들에게는 호르몬 대체요법을 권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steoporosis, one of the most common disorder of the human skeleton, is characterized by a decreased bone mineral density, inceased porosity of the bones, and a decreased resistance to fracture. The incidence of osteoporotic fractures in old postmenopausal women has increased enormously during the past decades, making a significant health and economic problem. Efforts to retard or prevent the development of osteoporosis have been performed in the developed countries. The main risk factors for osteoporosis are associated with the female sex, age and loss of ovarian function. Several other risk factors have also been described, including low physical activity, low body weight and low calcium intake. Also smoking, excessive use of alcohol and coffee as well as several diseases and drugs seem to affect bone mineral metabolism. These studie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in menopausal women and also protect from the osteoporosis. Dual photon X-ray absorptiometry[DPXA] was employed to measure bone mineral density in 88 menopausal women and the osteoporosis was defined when the bone mineral density of the patients was below -2 standard deviation of Z sco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Bone mineral density showed a linear reduction with age, duration of menopause, and decreased in thin women. 2] Bone mineral density decreased in women with hyperthyroidism and diabetes mellitus, family history of osteoporosis, and long term use of corticosteroid and diuretics. 3] Smoking, alcohol, caffeine, no regular exercise, low calcium and phsophorus diet, and lactose intolerance were related to lower bone mineral density. 4] There were no relationship between age at menopause, parity, cause of menopause and bone mineral density. 5] Age, duration of menopause and weight were defined as the risk factors for osteoporosis in menopausal women.

      • KCI등재

        자궁경부에 발생한 Adenoma Malignum (Minimal Deviation Adnocarcinoma) 의 1 예

        이규완,나중열,김탁,오민정,이상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6 No.10

        저자들은 본원 산부인과에서 1993년 자궁경부의 adenoma malignum(minimal deviation adenocar cinoma)으로 진단되어 자궁적출술 및 양측난소제거술 시행 후 방사선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1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quot; Adenoma Malignum$quot; (Minimal deviation adeno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is very rare and has been used for a cervical adenocarcinoma characterized by glands with a deceptively benign histological appearance. But the prognosis of this tumor is poor. We experienced one case of Adenoma malignum forund in 33-year-old house wife performing hysterectomy and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veveiw of literature.

      • KCI등재

        피부로 전이된 자궁경부 편평상피암 4 례

        이규완,김해중,이상희,민유선,이용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10

        Cutaneous metastasis from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is extremely rare, particularly in comparison with the incidence of metastasis to noncutaneous sites. Although carcinoma of the cervix is one of the most common gynecological malignancy, less than 30 cases of skin involvement have been clearly documented in the literature. We describe four cases of skin metastasis from carcinoma of uterine cervix to illustrate the importance of the diagnosis regarding the prognosis of the patients. These patients were all histologically diagnosed as squamous cell carcinoma. The clinical stages of these patients were stage II except one patient with stage IV. All the patients underwent a homogenous therapy consisting of total hysterectomy,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radiation treatment, and/or chemotherapy. The interval between the diagnosis of primary cancer and skin metastasis ranged from 4 to 20 months. The prognosis of these patients were very grave, the longest survival among the patients was only 11 months.

      • KCI등재

        자궁경부암에서 HPV 검색과 유세포측정법을 이용한 DNA 함량분석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규완,구병삼,이상희,김용민,민유선,이용호,김종오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11

        Cancer of the uterine cervix is the most prevalent cancer in Korean women. Although the etiology of the cervical cancer has not been elucidated, it has been suggested that HPV infec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ancer. The prevalence of HPV in cervical cancer was 15∼100%, and is supposed that introduction of HPV DNA into the cell is one of the mechanism in eliciting cervical cancer, And non-diploidy DNA is usually detected in HPV positive cancer, so introduction of HPV DNA into the cell may increase chromosomal instabiligy.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role of human papilomavirus(HPV) infection on DNA contednt of cervical cancer, 58 cases of cervicl cancer were studied with the method of flow cytometric analysis of DNA content and PCR for typing of HPV in combination with other clinical paramet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etection rate of HPV type 16 was 62.3%(33/58). 2. The proportion of HPV type 16 posi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clinical stage, whereas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HPV type 16 positivity and the other clinical and histological parameters. 3. In flow cytometric analysis, DNA non-diploidy was 67.3%(33.49), and no coorelation was found between DNA diploidy and clinical, histological parameters, but S phase fr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iploidy and non-diploidy group. 4. There was no correlatton between HPV type 16 and DNA diploidy. 5. The cumulative survival according to HPV type 16 positiv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6. The cumulative survival according to DNA diploidy and S phase fraction(15%) was not statisticall significant.

      • KCI등재

        상피성 난소암에 있어서 DNA Flow Cytometry의 임상적 의의

        이규완,김인선,구병삼,김해중,문준,이상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6

        저자들은 1992년 4월부터 1994년 3월까지 복부종괴를 주소로 본원 산부인과를 내원하여 시 험개복술을 시행한 환자중 병리조직검사에서 상피성 난소암을 진단된 27예를 대상으로 flow cytometry로 DNA를 분석하여 임상적 양상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피성 악성종양에서 aneuploidy 발현율은 45.0%, SFP 비율은 11.9+-5.7% 로 경계성 난 소종양의 14.3%, 6.6+-6.0%보다 높았으나, SFP비율에서만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lt;0.05). 2. 병기 3, 4기의 난소 진행암에서의 aneuploidy 발현율운 44.4%로 1, 2기의 22.2%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고 SPF 비율은 진행암의 경우에서 12.2+-5.1%로 1, 2기의 6.6+-3.1%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lt;0.05). 3. 난소암의 분화도가 grade III 인 미분화암에서 aneuploidy 발현율이 61.5%, SPF 비율이 14.5+-6.3%로 경계성 난소암의 12.5%나 5.6+-4.0%보다 유의하게 높아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lt;0.05). 4. 난소의 악성종양에서 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DNA flow cytometry 양상은 서로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gt;0.05). 5. 상피성 난소암의 flow cytometry 분석에서 aneuploidy 양상과 18% 이상의 높은 SPF 비율을 보인 전예에서 진행된 암의 소견과 grade III 의 미분화 양상을 보여 임상적 예후가 불량한 예들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미루어 상피성 난소암에서 DNA flow cytometry 측정은 그 임상적 양상이나 예후를 판정하는 주요 진단수단으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앞으로 더욱 많은 예들의 분석과 이들에서의 5년생존율에 대한 연구를 병행하여야 되리라고 본다.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DNA content and proliferative activity or tumor cell populations as flow cytometry analysis from twenty epithelial malignant turmor of the ovary and seven boderline malignant tumors of the ovary. The DNA aneuploidy was found in nine cases of twenty malignant epithelial tumors(45.0%) of the ovary and one case of seven boderline tumors of the ovary(14.3%). The S-phase fraction(SPF) of malignant ovarian tumor(11.9+-5.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boderline ovarian tumor (6.5+-6.0%). The DNA aneuploidy and S-phase frac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IGO stge and tumor grade. The DNA aneuploidy rate and S-phase fraction were higher in the advanced and poorly differentiated epithelial malignant ovarian tumors. Analyzing the result of flow cytometry, the malignant epithelial ovarain tumors were separated into the three groups, aneuploidy group with a SPF greater than 18% aneuploidy group with a SPF less than 18% and diploidy group. All cases of the aneuploidy group with a SPF greater than 18% showed advanced stage(stage III-IV) and poorly differentiated grade(grade III). From our results we suggested that the flow cytometric DNA pattern correlate with the aggresive potential of a malignant epithelial ovarian tumor and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umor prognosis.

      • KCI등재

        자궁내 흉수천자로 산전 진단된 선천성 유미흉 1 예

        차경섭,이상희,이은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6

        선천성 유미흉이란 태아의 흉강내에 임파액이 선천적으로 유입되는 질환으로 약 10,000 내지 15,000 분만당 1예 정도로 발생되어진다. 드물게 이환된 태아가 자궁 내에서 저절로 흡수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태아수종과 동반되거나 출생시 호흡부전을 야기한다. 저자 등은 포천중문의과대학 산부인과에 임신 34주 2일에 개인병원에서 전원된 태아의 좌측 폐에서 자궁내 흉수천자술을 시행하여 선천성 유미흉을 진단함과 동시에 출생 후 신생아호흡부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치료적인 2차 자궁내 흉수천자술을 시행한 선천성 유미흉 1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ongenital chylothorax is defined as an effusion of lymphatic fluid in the pleural cavity. In neonate, most unilateral effusion reflects chylous fluid that collect owing to an underlying abnormality in lymphatic duct formation or integrity. This diagnosis is established by aspiration of pleural fluid and either demonstrating chylomicrons after initiating feeds or finding greater than 90% lymphocytes in the fluid. Underlying causes of congenital chylothorax are chromosomal abnormalities, viral infections and intrathoracic structural malformations. The major cause of death in congenital chylothorax is pulmonary hypoplasia as a result of undrained large pleural effusion. The aspiration of fetal hydrothoraxes facilitates neonatal resuscitation if performed immediately before delivery. We experienced one case of congenital chylothorax diagnosed by in utero thoracentesis and so present it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정상임신군에서의 프롤락틴치에 대한 연구

        나중열,이상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1

        본 연구는 한국여성의 정상임신군에서의 주수에 따른 프로락틴의 평균치를 구하기 위해 1993년 1월부터 1993년 9월까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을 방문한 임산부 413 명과 비임산부 62명을 대상으로하여 형광면역학적 분석법으로 프록락틴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상 임신군에서 임신주수가 증가함에 따라 프록락틴은 의미있는 증가를 보이며 만삭에 이르러서 최고치에 다다른다. 2. 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여성에 있어서 난포기때와 황체기때에 프록락틴치에 의미있는 차 이는 없었다. 3. 정상 남성의 경우, 정상여성에서 보다는 낮은 프록락틴치를 보인다. 4. 계류유산이 되었거나 자궁내 태아사망이 된 경우에는 동일 임신주수의 정상임신군보다 낮은 프록락틴치를 보였으며 쌍태아임신의 경우에 있어서는 동일 임신주수의 정상 임신군의 프록락틴치의 평균범위내에 속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표본수의 부족으로 인해 이들의 통계 학적 의미는 산출하지 못하였다. 5. 고프록락틴 혈증으로 인한 일차불임과 이차무월경증으로 본원에서 내용하여 Bromocryptine으로 약물치료후 임신된 경우 임신전보다 프록락틴치는 오히려 감소된 경향을 보였으며 임신후 Bromocryptine을 중단하여도 프록락틴의 급격한 증가는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임신자체가 고프로락틴 혈증의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앞으로 이들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상의 결과에서 저자는 임신주수에 따른 프롤락틴의 정상치를 제시하였으며 비정상임신군 의 경우에 나타나는 프롤락틴치와 정상 임신군에서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The prolactin is a protein hormone synthesized in the frontal lobe of the pituitary gland. In women,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prolactin is the initiation and maintenance of lactation. This study was attempted to analyse 396 women underwent antenatal care at the Department of Obsterics and Gynec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rom June 1993 to September 1993. Prolactin assay is a solid phase, two-site fluoroimmunometric assay based on the direct sandwich technique in which two monoclonal antibodies(derived from mice) are directed against two separate antigenic determinants on the hPRL molecule. This study reported the normal values of prolactin in human pregnancy and several values of prolactin of abnormal pregnancy and provided guideline the disease of the abnormal prolactin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