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사대부(士大夫)의 산수유관(山水遊觀)과 구곡유람(九曲遊覽)

        이상균 ( Sang Kyun Lee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5 嶺南學 Vol.0 No.27

        본 논문은 조선시대에 활발히 경영되었던 구곡원림을 사대부들이 즐겨 유람한 현상에 주목하였다. 구곡은 유가적 사상을 근간으로 한 사대부들의 산수유관에 부합되는 유람명소였다는 점과 구곡의 중심인물이 속한 학파적 배경이 있는 후학들이 자주 유람하고 결속력을 공고히 하는 등의 유람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선의 구곡문화는 주자의「무이구곡」수용으로 시작되었고, 이황ㆍ이이를중심으로 성리학이 심화되는 16세기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정착된다. 사대부들은 구곡원림을 설정하고 경영하여 조선에서 주자의 「무이구곡」을 구현하고자 했다. 구곡의 중심인물은 이황·이이 등 조선 성리학자들이었다. 주로영남·기호학파의 중심무대였던 경북과 충북을 중심으로 구곡문화가 번성하였다. 사대부들의 산수유관은 유가적 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다. 유람은 공자와 주자를 본받아 산수에서 호연지기를 기르는 등 학문의 발전과 성취를 위해 일생에 한번쯤 행해야 하는 문화행위로 인식하였다. 구곡은 대부분 수려한 경승에 설정되었고, 특히 사대부들이 학문과 사상적 이념으로 삼았던 성리가구현되는 장소이자 선학의 자취가 배어 있는 곳이라는 장소적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구곡은 수려한 경승과 더불어 유가적 학문의 실천사상이 강하게 배어있다는 장소적 특수성으로 인해 사대부들의 산수유관에 적합한 유람명소로 부각되었다. 조선의 구곡에는 구곡의 최초 경영자, 또는 후학들이 구곡을 설정하게 되는 중심인물이 있었다. 그러므로 구곡은 그 중심인물이 주자의 학문을 계승하고 성리의 도를 실천했던 장소라는 상징성과 학파적 배경이 있는 장소가 되었다. 구곡의 유람객도 중심인물의 학맥을 계승한 후학들이 많았다. 사대부들은 구곡유람을 통해 선학의 자취를 기념하고, 門徒들과 교유하며 학파적 결속력을 공고히 하였다. 이는 금강산이나 팔경의 유람에서는 볼 수 없고, 학문적 宗祖의 강학처·은거지 등이나 구곡유람에 나타나는 특징이다. The culture of Gugok(九曲) accepted Mui-Gugok at first and it was developed in the 16C when the Confucianism was developed by Lee, Hwang(李滉) and Lee, I(李珥). Sadaebu establish Gugok forest garden and managed it In order to realize Mui-Gugok made by Chu, His(朱熹). The main character of Gugok was neo-Confucianism scholar such as Lee-Hwang, Lee-I. The culture of Gugok had mainly flourished in the Gyengsangbuk-do and Chuncheongbuk-do which was the center stage of Kiho Scholastic Cycle(畿湖學派) and Yeongnam Scholastic Cyclel(嶺 南學派). Travel perception in the nature(山水遊觀) of Sadaebu based on Confucianism. Travel was recognized as the cultural activity which had to do in the life in order to accomplish their studies. Gugok was located in scenic beauty and the place of accomplish Neo-Confucianism. Also the place has the special meaning of having practical Neo-Confucianism. That is why Sadaebu prefer to it as Travel perception in the nature. There was the teacher and students who studied Confucianism in the Gugok. Gugok was the place of practicing truth of Neo-Confucianism. Travelers in the Gugok were younger students who succeed to their teacher. Sadaebu celebrated the trace of ancestors and had a social intercourse with classmates. These are the special things in the Gugok travel and were not seen in the Geumgangsan(金剛山) and Palkyoung(八景). This is because the travel of Gugok showed the progenitor’s pursuit of study and the place of retirement.

      • KCI우수등재

        현대유럽정치에 있어 주권과 통합

        이상균(Lee Sahng-Gyoun) 한국정치학회 1999 한국정치학회보 Vol.33 No.3

        현대유럽정치에 있어 통합과 주권의 관계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유럽에서의 초국가적 협력과 상호의존성 증대는 국가의 역할과 주권의 개념에 큰 변화를 가져왔는데, 변화의 가장 큰 특징은 유럽통합이 심화됨에 따라 국가의 역할이 분화(fragmentation)되고 주권의 개념이 기능화 되었다는 점이다. 즉, 이는 통합의 발전이 국가의 기능과 주권에 원심력적 영향을 미쳐 권력이 국가에게만 독점되지 않고 유럽차원의 기능적 네트워크의 구축을 통해 초국가적으로 재분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통합의 진전에 따른 국가의 분화나 주권의 기능화가 반드시 국가권력의 축소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시대와 상황의 변화에 따라 주권의 개념도 함께 변화한다는 점에서 통합과 주권이 필연적으로 영합적(zero-sum)인 관계가 아니라 정합적(positive-sum)인 관계로 발전할 수 있다는 사실은 유럽통합을 통해 증명되고 있다. 통합과정을 통해 유럽연합의 초국가성과 개별국가의 권한은 모두 강화되고 있다. 따라서 유럽 통합으로 상징되는 현대유럽정치에 있어 주권과 통합의 관계는 상호보완적이라 할 수 있다. 유럽연합은 전통적 의미에서의 국가나 국제기구가 아니라 공동의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한 초국가적 관리체제의 한 형태이다. 회원국들은 국가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통합에 참여하고 있으며 주권의 일부를 양도하고 있다. 유럽통합이 지금까지의 국가간 규제완화나 장애요인 제거라는 소극적 통합에서 유럽정체성(European identity) 추구와 공동체이익(Community interests)의 극대화라는 적극적 통합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유럽연합의 초국가성과 회원국들의 다원성 사이에 보다 원활한 조화가 필요하다.

      • KCI등재

        강릉 『해운정역방록』의 내력과 지역사적 가치

        이상균(Lee, Sang-kyu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장서각 Vol.0 No.40

        『海雲亭歷訪錄』(이하 『역방록』)은 漁村 沈彦光(1487~1540)의 別業으로 건립된 강릉 해운정의 방명록이다. 해운정 창건 직후인 1538~1989년까지 약 450여 년간 해운정을 다녀간 1,408명의 이름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私的 공간을 방문한 현존 最古 · 最大의 방명록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자료는 지금까지 기본적인 서지사항 조차 밝혀지지 않았다. 이 글은 『역방록』의 서지사항을 분석하고, 내용의 사실성 검증과 지역사를 복원하는 사료로서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역방록』은 해운정 관련 文籍 등이 燒失되자 심언광의 후손 沈爀(‘煿’으로 개명)이 타다 남은 자료와 家傳되는 문적을 참고하여 1774년에 최초로 筆寫한 것이다. 그러나 내용을 검토해 보면 현존하는 것은 심혁 이후 누군가 여러 사람이 다시 필사하였고, 1830년경 이후부터 방문자들의 친필서명이 이어진다. 내용은 방문자 본관과 이름, 干支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방문동기, 題詠 여부 등의 기타내용이 기재된 곳도 있다. 명단 중 강원관찰사나 강릉부사의 소임을 띠고 왔던 방문자를 先生案 등과 비교해 보면 방문한 해와 재임기간이 모두 일치한다. 그리고 文集의 기록과 해운정 詩板 등을 대조해 보면 기록의 정확성이 재차 확인된다. 더불어 『역방록』을 통해 기존에 밝히지 못했던 현존 해운정 시판 시의 작자와 작정시기가 추가로 확인된다. 『역방록』은 대부분이 필사되긴 했으나 기록 내용이 매우 정확한 사료이다. 『역방록』의 주인인 심씨문중은 18세기 문중재실인 河南齋의 門中書院化를 추진하는 일로 江陵士林들과 갈등을 빚는다. 심씨문중은 이 일을 전후하여 해운정을 중심으로 중앙 老論 세력과 꾸준한 교유 관계를 맺었고, 이들 노론은 심씨의 하남재 서원추진을 지지하였다. 이러한 심씨문중과 노론과의 연망관계가 『역방록』에 수록된 인물들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재확인된다. Haeunjeong was built as villa of Sim Eun-guang (沈彦光) and Haeunjeong visitor’s book was written by many visitors. There are 1,408 names who lived for 450 years (1538~1989) in this book. This is the oldest visitor’s book but there were no studies in this book and bibliographic terms were not distinguished. Thus, this thesis analyzes bibliographic terms of Haeunjeong visitor’s book and restored the contents of historicity and local history. As an official paper about Haeunjeong was destroyed by fire and Haeunjeong visitor’s book was rewritten by Sim Hyeok (沈爀: Sim Eun-guang’s descendant) in 1774. His reference was remaining materials and on official paper but after reviewing contents, remaining book was rewritten by many people and there were other visitor’s handwriting signature. The contents were based on visitor’s family clan, name, the sexagenary cycle. After studying comparing two contents, the list was same as list of the ex-officers (Gangwon-provincial governor and Gangneung Local Magistrates) of tenure of office and visiting. And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is book has the date of poem writer of A poetry and style board’s Haeunjeong. The visitor book was rewritten but it was very correctness historical records. There were conflict between scholar-official Gangneung community and Samcheok-Shim Clan ( The book’s owner) because the clan tried to private academy in rural area of Hanam ancestral shrine (河南齋) of ancestral shrine in 18C family. In this time the clan had a relationship between Noron (老論) who had a strong power group in the Seoul by using Haeunjeong and Noron supported Clan. The visitor’s book shows their relationship because the book also shows many Noron visited this villa.

      • KCI등재

        朝鮮末 嚴興道의 顯彰과 후손의 宗統是非

        이상균(Lee, Sang-Ky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69

        엄흥도는 영월 戶長 출신으로 영월에 유폐되어 시해된 단종을 장사지냈다. 엄흥도의 충절은 死六臣 등 端宗諸臣과 함께 평가되며, 그에 대한 추증도 추진된다. 공조의 좌랑 · 참의를 거쳐 참판에 증직되고, 사육신과 함께 영월 彰節祠와 莊陵 配食壇 正壇에 배향된다. 이후 엄흥도 후손들과 유생들은 그의 충절이 사육신에 비등하다 강조하며, 사육신에게 내린 正卿 증직과 諡號 추증의 恩典을 내려 줄 것을 上言한다. 이에 따라 純祖는 엄흥도를 공조판서로 증직하고, 高宗은 엄흥도에게 ‘忠毅’라는 시호를 추증한다. 시호 추증 이후 예천 엄흥도 후손들의 청원으로 엄흥도에게 不遷位 은전이 내려진다. 불천위가 내리자 울산의 후손들은 조정에 종통시비 訴請을 한다. 예천은 支孫이고 宗家는 울산인데, 지손이 종손과 협의도 없이 不祧祠版을 받아 봉사하는 것은 綱常을 어지럽힌다는 것이었다. 엄흥도의 행방이 묘연해진지 오랜 시간이 흐른 뒤 종통을 따지는 것은 난해한 일이었다. 그런데 1798년 현 울주군 삼동면 鵲洞에서 발견된 嚴善 墓誌가 결정적 증거가 되어 울산이 종손, 예천이 지손임이 판명되었다. 이것으로 예천 부조사판은 없애고, 울산에 부조사판을 내려 봉사하게 하는 것으로 시비가 종결된다. 엄흥도의 현창은 사육신과 대등한 포장이 내릴 때까지 계속 추진되었다. 사육신보다 오랜 기간이 걸리고 종통시비가 있었으나, 엄흥도의 포장이 높아질 때마다 그의 의기와 충절 또한 드높아진다. 이로 인해 엄흥도의 출신지인 영월은 만고의 충신을 배출한 충절의 고장으로 확고한 명성을 얻게 된다. Eom Hung-do funeralized King Danjong(端宗), who was incarcerated in Yeongwol. In recognition of Eom Hung-do"s allegiance, he received a government post[Champan (參判) · Jwarang(佐郞) · GongjoChamui(工曹參議)] after his death and dedicate a shrine to Jungdan(正壇) of Baesikdan(配食壇) in Jangreung(莊陵) and Changjeolsa(彰節祠) with Six Martyred Ministers(死六臣) Later, Eom Heung-do"s descendants and students of Confucianism suggested that Eom Heung-do had to receive the posthumous epitet of Six Martyred Ministers. As a result, King Sunjo(純祖) appointed Eom Heung-do to Gongjopanseo(工曹判書), and King Gojong(高宗) appointed Eom Hung-do as a posthumous epith of the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rs After the a posthumous epith of the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rs, Eom Heung-do descendants of Yechon suggested that they had to recieve Eom Heung-do"s Bulcheonwe(不遷位). Later, Ulsan"s descendants suggested an "A dispute over the inheritance of the old son" with the court. They argued that Yecheon is Eom"s second son, and the old grandson of the head family is Ulsan, and it"s unreasonable for Eom Heung-do"s second son to receive Bulcheonwe without consultation with the firstborn. After the Court"s verification process, Ulsan proved to be one"s second son. This ends the right and wrong by eliminating Yecheon Shrine and setting up a auxiliary grave to Ulsan"s firstborn.

      • KCI등재후보

        알코올중독자 가정 자녀의 역할유형과 심리사회적 문제

        이상균(Lee Sang Gyun) 한국아동복지학회 2003 한국아동복지학 Vol.- No.16

        알코올중독자 가족에서 가족영웅, 마스코트, 희생양, 사라진 아이 등 자녀 가 수행하는 역할유형이 심리사회적 문제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아동 101명과 부모의 알코올문제가 없는 가족의 아동 222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두 집단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 알코올중독자 자녀집단은 비알코올중독자 자녀집단보다 희생양, 사라진 아이의 역할유형을 보다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족영웅, 마스코트 역할은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기능수준을 통제한 상태에서 자녀역할유형이 심리 사회적 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두 집단에 대해 각각 확인해보았다. 그 결과, 알코올중독자 자녀집단의 경우 사라진 아이의 역할과 희생양 역할이 내재화문제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현화문제에 대해서는 희생양 역할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알코올중독자 자녀집단에서는 마스코트 역할과 희생양역할이 외현화문제에 영향을 미쳤고, 내재화문제에는 사라진 아이와 희생양역할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와는 달리, 가족영웅역할과 마스코트 역할은 알코올중독자 자녀들에게 보호적 효과를 가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알코올중독자 자녀집단에 대한 적극적인 조기개입이 필요하며, 이때 자녀역할유형에 따른 차별적인 개입방법의 개발 및 적용이 유용할 것이다. 또한 아동의 역할수행에 대한 사정은 다양한 가족체계에 대해서도 적용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roles in alcoholic family system and their psychosocial problems. Data were collected from two samples, which are consist of the children of alcoholics(COA) and children who reported no parental alcoholism. The Children`s Roles Inventory was used to assess four roles hypothesized to be an important part of the alcoholic family system. The four childhood roles are (1) the Hero, (2) the Mascot, (3) the Lost Child, (4) the Scapegoat. Comparing the results from COA and non-COA subsample, identified children`s roles were found to exist in both alcoholic and non-alcoholic families. In both samples, internal psychosocial problems were positively related to both the Lost Child an Scapegoat roles. The Scapegoat role was positively related to external psychosocial problems in both samples, and the Mascot role was positively related only in non-COA subsample. Though the COA and non-COA samples differed on outcome variables, the children`s roles were generally predictive of outcome in both samples. Theses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identifying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children of alcoholics as well as for protecting those children who may be at risk for psychosocial problems. Lastly, future use of the Children`s Role Inventory and implications for the social work practice fields were outline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as suggested.

      • KCI등재

        청소년의 또래폭력 가해경험에 대한 생태 체계적 영향 요인

        이상균(Sang Gyun Lee) 한국아동복지학회 2005 한국아동복지학 Vol.- No.19

        중학교에서의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해 살펴 보았다. 이를 위해 12개 지역별로 층화다단계 집락표집으로 추출된 3,449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청소년패널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또래들에 게 행해진 조롱, 협박, 갈취, 폭행, 따돌림과 같은 또래폭력의 가해경험비율은 남학생 33.0%, 여학생 25.6%로 전체비율은 29.3%였다. 반면 또래폭력의 피해경험비율은 남학생 26.5%, 여학생 17.6%로 전체비율은 22.1%로 나타났다. 집단따돌림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남학생의 가해비율이 여학생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의 또래폭력에 대해 개인의 특성요인, 가족요인, 또래집단요인 및 학교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개인특성요인으로는 공격성·충동성, 일탈적 자아개념, 남성역할 고정관념이, 가족요인으로는 가족갈등 노출정도가, 또래집단요인으로 비행친구와의 교류 여부가, 학교환경 요인으로 학교생활의 부적응, 교사와의 관계친밀도 등이 또래폭력 가해경험 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학교에서의 또래 폭력문제를 해결하기위해 개인적 특성의 변화와 함께 가족, 또래집단의 영향을 동시에 고려 하는 개입접근, 학급·학교단위의 예방프로그램 실시 및 또래폭력 문제를 학교 안에서 적시 에 개입 할 수 있는 전문적 원조체계의 도입이 시급함을 제언하였다. To identify the effect of eco-systemic factors on peer violence in adolescence was a purpose of this study. In order to measure the dependant variable, adolescents were asked to report whether or not they had perpetrated peer violence and independent variables were individual factors, peer group factors, family factors, and school factor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because of the nature of limited dependent variable. Data for this study were taken from the Korean Youth Panel Study of 2003. As a results, significantly associated factors with peer violence were gender, aggression/ impulsiveness, level of masculinity, exposure to family conflict, association of delinquent peer group,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academic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s, the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suggested as follows. Fist, simultaneous and comprehensive approach may be useful to resolve peer violence in schools because eco-systemic factors cause adolescents to commit it. Second, intervention and prevention program should be provided to class and school unit. Intervention for the bullies only will be less likely to success than prevention program for the general population in adolescence at risk. Third,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ystem and social welfare should be strengthened.

      • KCI등재

        조선후기 地誌의 遊覽詩 수록의 문화사적 의미

        이상균(Lee, Sang-kyun) 한국고전번역원 2014 民族文化 Vol.44 No.-

        이 글은 조선후기 地誌에 詩의 수록양이 대폭 증가하고, 대부분이 유람시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지지에 유람시가 수록되는 원인을 고찰하여 봄으로써 그 문화사적 의미를 부여해 보고자 하였다. 전국의 지지를 전부 살피지는 못하였으나, 조선후기에 편찬된 『關東誌』의 사례를 분석하여 시가 처음 수록되는 지지인 『 新增東國輿地勝覽』과 수록양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관동지』 는 『신증동국여지승람』 보다 5배 이상 많은 시가 수록되고, 이 중 유람시가 70%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지지는 전통적으로 史書로 분류되어 왔다. ‘文史一致’의 측면에서 文士들은 文에서 제일로 여기던 시를 통해 역사를 살필 수 있다는 ‘詩史一致’ 의식을 가지고 있었고, 사서로 인식한 지지에 시를 수록하여 史實을 보충하고자 했다. 특히 현장을 직접 답사하거나 유람하고 창작한 현장감 있는 유람시를 적극 수록하였다. 또한 유람시 수록은 지역문화에 대한 자긍심의 표출이었다. 인물조를 통해 지역의 顯達한 인물들을 직접적으로 소개했지만, 지역을 詠嘆의 대상으로 삼은 유람시를 수록하여 유명한 인물들이 다녀가고 시를 통해 찬양한 지역임을 소개하고자 했다. 지지의 중요 편찬목적 중 하나는 지역의 산천과 형승, 문물을 소개하는 것이다. 시는 산수를 묘사하고, 그것이 담고 있는 의미 또한 부각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문예작품이었다. 유람시 수록을 통해 지역의 산수가 불러일으키는 감흥 등 그 특징을 다양하게 나타내고자 했다. 그리고 지지는 유람정보를 사전에 습득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었다. 산천조에 기록되어 있는 산수의 형상과 수록된 유람시를 통해 누가 어느 곳을 주로 유람하고 어떤 감흥을 느끼고 갔는지를 사전에 파악하였다. 즉, 지지에 유람시를 수록하여 지역의 유람정보를 소개하였다. 이는 당시 유행했던 유람의 욕구에 부응했던 것이기도 하다. 조선후기로 갈수록 전대에 누적된 시가 많아지기는 하나 지지에 유람시가 대폭 수록되는 것은 그 이전 지지편찬 양상과는 다른 가장 큰 변화였다. 文의 제일인 시가 수록됨으로써 지지는 인문적 기술이 더욱 풍부해진 인문지리서의 형태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유람시는 지지의 讀史적 측면을 보충하고, 지역을 다양하게 소개하고자 한 지지 편찬목적에 부합되는 문예물로 적극 활용되었다. This thesis aims to find the meaning of cultural history by studying the reason why people recorded a travel poem in a geography book as there were increasing many poems in a geography book and they were travel poems. Although this thesis cannot find all of poems, but this thesis studies comparing the example between 『Gwandongji』 and 『shinjeung-Donggug-Yeojiseungram』 . As a result, poems in the gwandongji has five times as much as them in the 『shinjeung-Donggug-Yeojiseungram』 and there were the 70% of poems in the『Gwandongji』 . A geography book has been classified as history book. As literature is history, writer had a conception that poem is history and they contained poems in the history book in order to add historical fact. Specially they actively added the travel poems when they go to the ourdoor activity. Also containing the poems was the expression in the area culture. Although they directly introduce the celebrity by using the contents of people, they also tried to introduce the area where famous people stayed by reciting a poem. One of the object of publishing is to introduce the picturesque of mountain-stream and the culture. The poem is a literary work that can bring into relief. By containing the poems, they tried to express the character that mountain-stream was made. And the geography book was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that people can earn the knowledge of that. People used the poems in order to study the people of feeling in the area. This facts were addressed need. Change was to contain many poems in the geography book in the late Joseon when considering the before. By containing the poem that literature is the est, the geography book became the anthropogeography-book. The travel poems was actively used in order to adding the historical contents in the geography book and widely introducing the area. It met a need about of publishing the 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