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관인(官人)들의 탈속인식과 지리산 유람벽(遊覽癖)

        이상균 ( Sang Kyun Lee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5 남명학연구 Vol.46 No.-

        조선시대 관인의 생활은 격무에 시달리는 스트레스의 연속이었다. 관인들은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탈속의지를 항상 표출하였다. 모든 것을 털어버리고 귀거래하지 못하는 처지를 하소연하기도 했고, 여가에 가까운 산수를 찾아 잠시나마 탈속의 기분을 즐기며 돌아왔다. 관인들이 탈속을 즐기기 위해 가장 많이 선호한 공간은 산수였고, 유람을 통해서였다. 연속적인 스트레스에 골몰했던 관인들은 산수벽을 관념처럼 지니고 살았다. 번다한 일상에서 벗어나 자연에 귀의하여 자적하는 安分의 삶을 이상으로 여겼다. 관인들의 산수유람 열망은 매우 컸다. 잠시라도 기회가 생기면 산수를 유람하며 탈속의 기분을 즐겼고, 그 기분을 잊지 못하여 또 다시 유람하고자 하는 유람벽으로 이어졌다. 관인들의 유람벽을 더욱 깊게 만들었던 산 중의 하나는 신선세계로 유명했던 지리산이었다. 관인들이 탈속의 기분을 즐기기에 지리산만한 곳도 없었다. 그러나 공무에 바쁜 관인들에게 지리산은 쉽게 유람할 수 있는 산이 아니었다. 그러므로 지리산과 접해있는 군현의 수령으로 부임하거나 공무 차 지날 기회에 짧게나마 유람하고, 평생의 숙원처럼 여기며 갈망했던 지리산 유람의 積翠를 풀었다. 하지만 지리산은 몇 일만에 모두 볼 수 있는 곳이 아니었다. 관인들의 지리산 유람은 늘 아쉬운 소회로 남았고, 언젠가 또 찾아야겠다는 유람벽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The life of government officers was busy for heavy work load. Government officials often expressed their unworldliness in order to escape their routine life. Government officers complained the situation of not homecoming after their resignation from a government office and they came back after enjoying the unworldliness. Their favorite place was landscape to travel. Government officers who was immersed in stress had landscape habit as their idea. Thus they regarded the life of living in easy retirement as ideal. Government officers had a desire of landscape travel. Given chance to enjoy it, they traveled to landscape. Then it was connected as a travel habit One of making travel habit was Jirisan which was famous of immortal worlds. There is no place as enjoyable as Jirisan whichenjoyed unworldliness. However, it was hard for government officers who was busy for government affairs to travel the mountain. Thus they started for their new post in the countries and prefectures and got a chance to travel around it. Finally they can achieve the dream of traveling the Jirisan. However there is no time for them to look around in a day. Government officers had their cherished intentions and had travel habit which looked for the mountain.

      • KCI등재

        朝鮮時代 遊覽을 통한 士大夫의 交遊樣相

        이상균(Lee, Sang-Kyun) 한국사학회 2012 史學硏究 Vol.- No.106

        본 논문은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유람을 통해 교유했던 부류를 僧侶·門人·其他知人등 크게 3부류로 분류하여 그 교유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대부들이 주로 찾던 유람처는 산이었으므로, 가장 많이 만난 方外人은 승려였다. 유람 중 승려들의 많은 도움을 받았고, 유람기록에도 많은 승려의 이름이 등장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대부들은 불교의식을 폄하하고 비판했다. 그러나 유람 중 승려를 만나 교유하기 좋아하는 사대부들도 있었다. 유람 중 作詩를 잘하는 승려를 만나면 서로 酬唱하며 교유하였다. 학식 있는 승려와는 儒?彿道에 대해 담론하며 학문적 견해를 나누기도 했다. 산중에서 면식 있는 승려를 만나면 매우 기뻐하며 소회를 나누었다. 유람은 괴리감을 가지기 쉬웠던 儒·佛者들 간의 소통과 교유를 이끌어 내는 문화행위 중 하나였다. 사대부들은 유람을 기회로 같은 學脈을 가지고 있는 지역 문인들을 만나기도 했다. 이는 淸凉山과 智異山유람자들의 교유관계에 나타나는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었다. 조선시대 청량산과 지리산은 嶺南士林들이 가장 많이 찾는 산이었다. 청량산은 退溪李滉이, 지리산은 南冥曺植이 후학을 양성한 곳으로 이들 학맥의 발상지이기도 했다. 그러므로 영남사림들이 先學의 자취를 찾아 학문을 기리기 위해 자주 찾아 유람하고, 지역의 선후배 門徒들을 만나 교유했다. 이밖에 金剛山과 開城등의 장소도 사대부들이 유람을 위해 자주 찾던 곳이었다. 교유양상이 사승관계에 얽힌 학맥적 특징이 뚜렷하지 않지만, 이곳의 유람을 통해 많은 지인과 교유관계를 맺고 있다. 유람지에서 주로 벗들을 찾아보고, 유람의 큰 조력자 역할을 해줄 수 있는 지방관들을 만나 교유하였다. 또한 지인이나 족친들과 유람을 계획하여 함께 동행하면서 회포를 풀며 親交를 더욱 돈독히 다졌다. 조선시대는 교통편이 편리하지 않았고, 통신수단이 부족하였다. 지인이나 族親들과의 교유는 주로 서신을 통해 이루어졌다. 유람은 평소 만나지 못했던 사람들과 대면하여 소통하고, 교유하는 방편 중의 하나였다. This thesis aims to find out a social intercourse patterns of Sadaebu(士大夫) through their traveling. As for it, it seems to diverse activities but this thesis will divide three kinds of them such as monks, a teacher and pupil(門人), acquaintance(知人). Among them, Sadaebu meets monks many times because they almost travel to the mountain. When they go to the mountain, their aid is needed. Thus it is the dispensable relationship between Sadaebu and monks. According to Sadaebu’s documents, there are many Monk’s names. Most Sadaebu voiced their criticism about Buddhist’s ceremony and look down on them but some of them are in favor of meeting monks. When Sadaebu meet monks who write the poem very well, they get along with them by receiving and giving their poems(酬唱). Also when Sadaebu meet monks who have a special academic knowledge, they talk each other by giving their idea about Confucianism and Buddhism. They are very delighted when meeting monks that they already knew and easily talk to them about their internal emotion. And Sadaebu encounters a district’s scholar in same school during this traveling. This is the special relations between them in the Mt.Chungryang (淸凉山) and Mt.Jiri(智異山). These mountains visited most of the Joseon dynasty, Youngnam-Sarims(嶺南士林). Mt.Chungryang the Toegye(退溪) Lee-Hwang (李滉) and Mt.Jiri the Nammyeong(南冥) Cho-Shik(曺植) is originated from the former and it is the cradle about that. Therefore the Youngnam-Sarims often travel the area in order to find out ancestor’s philosophy and admire them, even see their senior and junior scholars. In addition, the area such as Mt.Geumgang(金剛山), Gaeseong(開城) is the most memorable place for Sadaebu. Even if their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m is not evident, they get along each other by this traveling. During this traveling they can meet their acquaintance and the governor who can help their traveling. Moreover, they can be more familiarized with their relatives by planning to play with them. The main method to commute their relatives and friends is to write the letter because the transportation is bad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re is lack of the communication method. Thus going traveling is one of the vehicles about contacting the people who don’t have chance to commute.

      • 충청남도 문화재 활용사업 활성화 방안 모색

        이상균(Lee Sang Kyun)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8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24 No.1

        본 논문에서 필자는 최근 충청남도의 문화재 활용사업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다음과 같은 점들을 적극적으로 검토해보았다. 먼저 충청남도의 문화재 활용사업의 현황을 조감해보고, 충청남도 문화재 활용사업의 확대요인파 향후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문화재 활용사업 확대요인으로는 첫째, 사업공모의 주체인 기초지자체의 활용사업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었고, 둘째, 문화재 활용 민간단체가 꾸준히 성장했기 때문이다. 향후 충청남도 문화재 활용사업은 정책적인 차원의 접근, 마케팅 차원의 접근, 지역 상생 차원에서의 접근을 통한 개선이 필요하다. 좀 더 논의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필자는 충청남도 문화재 활용사업의 우수사례로 (재)충남역사문화연구원에서 주관해서 운영한 충현서원 활용자엽 사례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서 문화재 활용사업은 대상 문화재의 여건을 충분히 분석하여 대상 문화재의 특성에 맞는 콘텐츠 개발과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며 동시에 지자체와의 공동 전립헤 요구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필자는 충청남도 특성화 문화재 활용사업에 대해 구체적으로 백제역사지구 활용사업, 충청유교 문화재 활용사업, 내포 문화재 활용사업, 근대 문화재 활용사업이 도정 차원에서 검토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충청남도 차원에서 문화재 활용사업 전략을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충청남도 문화재 활용 정책비전을 수렵하는 것이다. 둘째, 충청남도 문화재 활용사업 공동 브랜드를 개발하는 것이다. 셋째 충청남도가 앞장서서 선도적인 시범사업을 재발하는 것이다. 넷째, 충청남도와 기초지자체, 민간단체간 협력 거버넌스를 강화하는 것이다.

      • KCI등재

        강릉 『해운정역방록』의 내력과 지역사적 가치

        이상균(Lee, Sang-kyu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장서각 Vol.0 No.40

        『海雲亭歷訪錄』(이하 『역방록』)은 漁村 沈彦光(1487~1540)의 別業으로 건립된 강릉 해운정의 방명록이다. 해운정 창건 직후인 1538~1989년까지 약 450여 년간 해운정을 다녀간 1,408명의 이름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私的 공간을 방문한 현존 最古 · 最大의 방명록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자료는 지금까지 기본적인 서지사항 조차 밝혀지지 않았다. 이 글은 『역방록』의 서지사항을 분석하고, 내용의 사실성 검증과 지역사를 복원하는 사료로서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역방록』은 해운정 관련 文籍 등이 燒失되자 심언광의 후손 沈爀(‘煿’으로 개명)이 타다 남은 자료와 家傳되는 문적을 참고하여 1774년에 최초로 筆寫한 것이다. 그러나 내용을 검토해 보면 현존하는 것은 심혁 이후 누군가 여러 사람이 다시 필사하였고, 1830년경 이후부터 방문자들의 친필서명이 이어진다. 내용은 방문자 본관과 이름, 干支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방문동기, 題詠 여부 등의 기타내용이 기재된 곳도 있다. 명단 중 강원관찰사나 강릉부사의 소임을 띠고 왔던 방문자를 先生案 등과 비교해 보면 방문한 해와 재임기간이 모두 일치한다. 그리고 文集의 기록과 해운정 詩板 등을 대조해 보면 기록의 정확성이 재차 확인된다. 더불어 『역방록』을 통해 기존에 밝히지 못했던 현존 해운정 시판 시의 작자와 작정시기가 추가로 확인된다. 『역방록』은 대부분이 필사되긴 했으나 기록 내용이 매우 정확한 사료이다. 『역방록』의 주인인 심씨문중은 18세기 문중재실인 河南齋의 門中書院化를 추진하는 일로 江陵士林들과 갈등을 빚는다. 심씨문중은 이 일을 전후하여 해운정을 중심으로 중앙 老論 세력과 꾸준한 교유 관계를 맺었고, 이들 노론은 심씨의 하남재 서원추진을 지지하였다. 이러한 심씨문중과 노론과의 연망관계가 『역방록』에 수록된 인물들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재확인된다. Haeunjeong was built as villa of Sim Eun-guang (沈彦光) and Haeunjeong visitor’s book was written by many visitors. There are 1,408 names who lived for 450 years (1538~1989) in this book. This is the oldest visitor’s book but there were no studies in this book and bibliographic terms were not distinguished. Thus, this thesis analyzes bibliographic terms of Haeunjeong visitor’s book and restored the contents of historicity and local history. As an official paper about Haeunjeong was destroyed by fire and Haeunjeong visitor’s book was rewritten by Sim Hyeok (沈爀: Sim Eun-guang’s descendant) in 1774. His reference was remaining materials and on official paper but after reviewing contents, remaining book was rewritten by many people and there were other visitor’s handwriting signature. The contents were based on visitor’s family clan, name, the sexagenary cycle. After studying comparing two contents, the list was same as list of the ex-officers (Gangwon-provincial governor and Gangneung Local Magistrates) of tenure of office and visiting. And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is book has the date of poem writer of A poetry and style board’s Haeunjeong. The visitor book was rewritten but it was very correctness historical records. There were conflict between scholar-official Gangneung community and Samcheok-Shim Clan ( The book’s owner) because the clan tried to private academy in rural area of Hanam ancestral shrine (河南齋) of ancestral shrine in 18C family. In this time the clan had a relationship between Noron (老論) who had a strong power group in the Seoul by using Haeunjeong and Noron supported Clan. The visitor’s book shows their relationship because the book also shows many Noron visited this villa.

      • KCI등재

        한반도 선사인의 죽음관

        이상균(Sang Kyun Lee) 한국고대학회 2001 先史와 古代 Vol.16 No.-

        Hunting and gathering` was the primary way to live i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neolithic age. People were not able to invest much labor in making their tombs because of so much activity for their living. Small tombs like the shallow pit tomb were popular in those days. During the neolithic age the heads of the dead bodies were placed in various direc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supine burial lay on one`s back was a general method to bury the dead. A single body was usually buried in a tomb but burying together was sometimes practiced. The dimensions of tombs and the funerary objects were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status and wealth of the dead. And they often practiced the cremation. The types of tombs, the burial rites and the sacrifices became varied and complicated in the ages of bronze and the early periods of iron. An additional space was occupied by the tomb which had a stone coffin in it or a memorial stone such as capstone of dolmen on it. Such spaces and coffins were not only methods of processing bodies but also meant the space the dead would live in the other world. These types of tombs began to appear in the periods when political and military status of a person and heritage of private property were established by using metals and introducing rice culture. The tombs in proto-three kingdoms periods usually had wooden coffins and were gathered in groups. Later they developed into the tombs of Mokgwak[木槨]. From this time the Chinese grave goads were buried under the influence of Lolang. For the parts of I,olang tombs were added to the tombs of wooden coffins.

      • KCI등재

        한반도 신석기시대 거주의 현상과 지역적 특징

        이상균 ( Sang Kyun Lee ) 한국고대학회 2002 先史와 古代 Vol.17 No.-

        The dwelling conditions of the northern region of the Amnok River and the basin of the Cheongchon River are almost the latter half of the Neolithic age; and they are consist of rectangular age and precedently consist of round-shaped types. The ruins beneath the Seopohang have shown and grasped their orders from the second floor basin of the round-shaped dwellings to the third floor basin of that square and by the following added rectangular from of the forth basin floor. The dwelling condition at the Amsadong situated in the mid-region contain much of the round-shaped or of shape, however, the round-shaped is preceded. And for the ruined dwelling conditions of Osanni and Munamni consist of round shape or oval shape, and for the ruins of Kapyeongni and Jikyeongni exist that of round shape and square shape as for the following generations. Southern part of the Chungcheong provincial region can be seen shapes of round oval and rectangular basin; and Honam region mainly round shape Songjungni, the inland of Gyeongbuk, has shown rectangular form and Bongkeiri, the inland of Gyeongnam, is formed round shape or oval shape; however, Sangchonni has rectangular form, even in the same inland are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