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마음읽기 중재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이야기 회상 산출에 미치는 효과

        이산희(San-Hui Lee),서경희(Kyung-Hee Sehr),정한진(Han-Jin Jeong),유진(Jin Yu),이효진(Hyo-Jin Lee)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18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6 No.2

        본 논문에서는 마음읽기 중재가 ASD 아동의 이야기 회상산출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행동간 중다 기초선 설계로 이루어졌으며 기초선 1회기, 중재 8회기, 중재철회 1회기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마음읽기 중재를 사용하였을 때 대상아동의 이야기 회상산출 능력이 증가되었다. 이를 통해 마음읽기 중재가 ASD 아동의 이야기 회상산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nd reading intervention on the recall of ASD children.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single case study (A-B-A). As a result of the study, when the mind reading intervention was used, the ability of the target child to recall the story was increased. This suggests that the mind reading interven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tory recall of ASD children.

      • KCI등재

        배꼽 단일 공을 통한 복강경하 전자궁절제술

        이마리아 ( Maria Lee ),정용욱 ( Yong Wook Jung ),이산희 ( San Hui Lee ),백지흠 ( Ji Heum Paek ),남은지 ( Eun Ji Nam ),김영태 ( Young Tae Kim ),김상운 ( Sang Wu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9

        Laparoscopic hysterectomy is currently considered the standard procedure in many patients who need hysterectomy. To reduce incisional morbidity and improve cosmetic outcomes we performed transumbilical single-port 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using a special single three-channel port and standard laparoscopic tools with virtually no scar. We used an Alexis wound retractor (Applied Medical, CA, USA) and a surgical glove as the single three-channel port. In this paper, we report four cases of 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performed exclusively through an umbilical incision using a single three-channel port.

      • KCI등재

        난치성 골반내 가성낭종의 치료에 있어서 초음파유도하 가성낭종의 흡인술과 경화치료술의

        남가현 ( Ka Hyun Nam ),이광훈 ( Kwang Hun Lee ),김영한 ( Young Han Kim ),이산희 ( San Hui Lee ),양효인 ( Hyo In Yang ),권자영 ( Ja Young Kwon ),박용원 ( Yong Won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2

        Patients who underwent laparotomy often experience recurrent pelvic pseudocysts and they may need to undergo another laparotomy. Nowadays, many less invasive techniques such as the use of ultrasound-guided aspiration of pelvic pseudocysts and sclerotherapy were developed and were replacing laparotomy. We report a case of intractable pelvic pseudocyst treated successfully with ultrasound-guided cyst aspiration and sclerotherapy using acetic aci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임상; 단일 기관에서의 임신성 당뇨 검사에 따른 태아 및 산과적 예후 비교

        윤성현 ( Sung Hyun Yun ),한상원 ( Sang Won Han ),이산희 ( San Hui Lee ),정용욱 ( Yong Wook Jung ),김의혁 ( Euy Hyuk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13 Perinatology Vol.24 No.3

        본 연구는 한국 산모에서 경구 당 부하검사(glucose challenge test, GCT) 결과에 따른 산과 및 주산기의 예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에서 2007년 1월 1일부터 2012년 7월 31일까지 산전검사를 받고 분만한 산모 중 임신 중반기에 임신성 당뇨 검사로써 50 g GCT를 시행받은 1,006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이 되는 1,006명의 산모를 총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50 g 경구 GTC가 140 mg/dL 미만인 정상군(NGT, n=826), 50 g GTC가 140 mg/dL 이상의 결과가 나왔으나 임신성 당뇨 확진 검사상 음성인 임신성 내당 불내성군(GIGT, n=128), 임신성 당뇨 확진군(GDM, n=52). 임신 전 진단받은 산모의 당뇨와 고혈압, 다태임신 산모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이들 세 군의 산모의 특성과 산과적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산모의 나이, 임신력, 임신전의 체질량 지수는 GDM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조기분만, 임신과 합병된 고혈압 또한 NGT군에서 GIGT군, GDM군의 순서로 유병률의 증가를 보였다(13.9% vs. 18.8% vs. 25.0%, P<0.01; 1.9% vs.5.5%vs. 13.5%, P<0.01). 과출생 체중아와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실률 또한 NGT군에서 GIGT군, GDM군의 순서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6.2% vs. 15.6% vs. 15.4%, P<0.01; 12.3% vs. 24.2% vs. 38.5%, P<0.01). 하지만 태변흡입 증후군이나 신생아 가사 등 집중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심각한 합병증의 빈도는 세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임신성 당뇨는 제왕절개, 조기 분만, 임신과 합병된 고혈압의 위험인자이다. 임신성 당뇨가 아닌 내당 불내성군에서도 정상군에 비해 임신과 합병된 고혈압, 조기진통, 제왕절개 비율, 과출생 체중아의 증가 소견을 보였다. 따라서 임신성 당뇨 뿐만 아니라 내당 불내성군에 관한 진료지침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obstetric and perinatal outcomes according to glucose challenge test (GCT) in a single institution. Methods : One thousand six women, who were underwent antepartum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screening by a GCT in mid-pregnancy and delivered at National Health Service between January 1, 2007 and July 31, 2012,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50 g oral GTC and 100 g oral GTC; normal glucose tolerance (NGT, n=826), less than 140 mg/dL; gestational impaired glucose tolerance (GIGT, n=128), more than 140 mg/dL but non-GDM ;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n=52). Pre-existed maternal DM or hypertension and twin pregnancy were excluded. Obstetric and perinatal outcomes were compared among the three groups. Result : Maternal age, parity, and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were higher in the GDM. The preterm delivery and gestational hypertension increased across the groups from NGT to GIGT to GDM (13.9% vs. 18.8% vs. 25.0%, P <0.01, and 1.9% vs.5.5% vs. 13.5%, P <0.01, respectively). Large for gestational age (LGA) an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rate were higher in order in NGT, GIGT, and GDM (6.2% vs. 15.6% vs. 15.4%, P <0.01, and 12.3% vs. 24.2% vs. 38.5%, P <0.01), but other complications requiring intensive care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including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and birth asphyxia. Conclusion : GDM was a risk factor of cesarean section, preterm delivery, and gestational hypertension. In addition, GIG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estational hypertension, preterm labor, cesarean section rate, and LG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guideline for Korean pregnant women who were diagnosed with GIGT.

      • KCI등재

        임상 ; 분만 산모의 상급병실 선택 요인과 실제 병상 사용 현황

        윤정원 ( Jung Won Yoon ),한상원 ( Sang Won Han ),이산희 ( San Hui Lee ),정연수 ( Yeon Soo Jung ),김지만 ( Ji Man Kim ),김의혁 ( Eui Hyeok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14 Perinatology Vol.25 No.3

        목적 : 최근 저출산, 국민 소득 수준 향상 등에 따라 산모들이 분만 후 처치와 모유 수유 등을 위해 전용 공간인 상급 병실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국민건강보험에서는 의료기관이 상급병실을 전체 병상의 50% 미만으로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분만 환자의 일반 병실 또는 상급 병실 선택 이유를 파악하고 실제 병상 사용 현황을 검토하여, 병상 이용의 효율성과 형평성을 높이는 정책적 방안을 모색한다. 방법 : 2011년도 기준으로 분만 건수가 10건 이상인 요양 기관 대상으로 요양 기관 종별, 병상 수, 지역을 고려, 166개 의료기관을 표본 추출한 뒤, 2012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 까지 설문 조사 전문 업체에 의뢰하여 802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1:1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대상자들의 병실이용 현황과 병실 선택과 관련된 상황과 인식,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 총 802명의 산모 중 상급 병실 이용자/선호자는 각각 690명(86%)/684명(85.2%), 일반 병실은 112명(14%)/118명(14.8%) 이었다. 35세 미만의 산모에서 상급 병실을 더 많이 이용하였다(87.3% vs. 80.3%, P=0.026). 의료기관 종별 유형은 의원, 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순서로 산모들의 상급병실 이용이 많았다. 제왕절개 여부, 다태아 여부, 경산 여부는 상급 병실의 이용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병실의 만족도는 상급병실이 일반병실 보다 유의하게 높았고[5.9±1.0 vs. 5.4±1.2 (0-7 scale), P<0.01], 가구 총 소득 역시 상급병실 이용자에서 높았다. 상급병실 이용 이유는 분만 후 충분한 요양 (78%), 모유 수유(6.1%), 방문 가족 접객(5.4%) 등이었다. 추후 병원 이용 시 상급 병실 선호도는, 분만의 경우가 분만 외 질환 시 보다 높았다(81.8% vs. 44.9%, P<0.001). 결론 : 분만 입원의 특성상 사생활 보호, 충분한 요양의 필요, 모유 수유, 가족공간의 필요성 때문에 상급병실에 대한 선호 및 실제 이용이 높다. 반면 소득수준, 보험가입여부, 연령에 따라 상급병실 이용에 격차가 생기고 있으므로, 분만에 한해 상급병실료의 국가 지원이 필요하며 아울러서 상급병실 비율 완화와 병실료 적정화와 같은 정책적 제언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 Demand of specialized maternity ward is increasing as national income level rises. Howev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limits the number of hospital’s non-standard room to less than 50% of total hospital beds. Therefor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non-standard room among the Korean women who recently delivered baby in medical facilities in order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selection. Methods : One hundred sixty six medical facilities which deliver a minimum of ten cases in the year 2011 were selected and categorized by type, region, and size. A cross-sectional survey was done in November 2012 by a professional research survey company. Eight hundred and two pregnant women answered the questionnaire through a face-to-face interview. Results : Of the 802 expecting mothers, 690 (86%) occupied non-standard room and 684 (85.2%) preferred non-standard room to the standard room. Satisfaction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others occupying non-standard room [5.9±1.0 vs. 5.4±1.2 (0-7 scale), P<0.01] and high-income families used non-standard room more often. Reasons for using non-standard room included adequate convalescence (78%), separate place for breastfeeding (6.1%), and convenience on receiving visitors (5.4%). Preference for non-standard room on next visit was higher in case of delivery compared to other cause of hospitalization (81.8% vs. 44.9%, P<0.001). Conclusions : Preference and actual use of non-standard room after delivery was significant. In spite of concrete preference, there was certain barrier in use of non-standard room according to income and types of hospitals. Therefore, changes of policy are needed such as insurance support for room charge in case of deliv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