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보건수련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과 슈퍼바이저 스타일 인식이 슈퍼비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

        권자영(Kwon, Ja-Young),문영주(Moon, Young-Joo)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4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2 No.3

        본 연구는 정신보건수련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과 슈퍼바이저 스타일이 슈퍼비전 성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지 혹은 슈퍼비전 관계를 통해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정신보건사회복지사 2급 수련생 3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신보건수련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은 슈퍼비전 만족도에는 간접적 영향을 미치지만, 역량강화에는 직접적 영향과 간접적 영향 모두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슈퍼바이저의 과업지향성은 슈퍼비전 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만, 역량강화에는 그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슈퍼바이저의 민감성은 슈퍼비전 만족도에 직접적 영향과 간접적 영향 모두 미치지만, 역랑강화에는 직접적 영향만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슈퍼바이저의 호의성은 슈퍼비전 만족도에 직접적 영향과 간접적 영향 모두 미치지만, 역량강화에는 간접적 영향만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슈퍼비전 만족도에는 슈퍼바이저 민감성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고, 역량강화(임파워먼트)에는 정신보건수련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보건수련과정의 효과적인 슈퍼비전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studies whether the self-efficac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 trainees or supervisory style directly affect or indirectly affect, through supervisory relationship, the performance of supervis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339 second-level mental health social worker trainees were survey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self-efficacy of trainees have indirect effects on supervision satisfaction, and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empowerment. Second, performance-oriented supervision have direct effects on supervision satisfaction, but does not affect empowerment. Third, the supervisor’s sensitivity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supervision satisfaction, but only directly affects empowerment. Lastly, the favorableness of the supervisor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supervision satisfaction, but only indirectly affects empowerment. The supervisor’s sensitivity has the largest effect on supervision satisfaction, and the trainees’ self-efficacy has the largest affect on empowerment. Based on such results, the study proposed implication for the effective supervision system for training social workers.

      • KCI등재후보

        정신장애인과 사례관리자가 지각하는 실천관계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권자영(Ja-Young Kwon)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1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과 담당 사례관리자가 각각 지각한 실천관계의 차이와 실천 관계 유형 및 실천관계 유형에 근거한 집단간 특성들에 대해서 파악해 보고 사례관리과정에서 상호간의 관계증진 및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369명과 담당 사례관리자 8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 SPSS 15.0을 활용하였고, 기술통계분석 및 관계유형별 집단간 차이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t-test와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정신장애인과 사례관리자간의 실천관계의 지각된 일치도에 근거하여 실천관계는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정신장애인과 사례관리자가 실천관계를 상호 유사하게 지각하고 있으면서 평균 이상으로 실천관계를 상호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유형, 평균 이하로 상호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유형, 그리고 실천관계를 상호 상이하게 지각하고 있으면서 정신장애인이 긍정 적으로 지각하는 유형, 반면에 사례관리자만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유형으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네가지 유형의 집단간에는 자기효능감, 서비스만족, 재활성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례관리자의 직무만족과는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d the difference how a person with mental illness and his or her case manager perceive their working relationship in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working relationship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distinct to groups based on working relationship type.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easures to promote and improve the relationship during the case management process. 369 persons with mental illness using a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y for persons with mental illness located in Seoul and their 82 case managers were studied. SPSS 15.0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t-test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were implemented fo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to comprehend group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is study, four types of group were distinguished based on the consistency between how a person with mental illness and case manager perceive their working relationship: person with mental illness and case manager both perceive their working relationship similarly and positively mean and above (group 1), person with mental illness and case manager both perceive their working relationship similarly and negatively below mean (group 2), person with mental illness and case manager perceive their relationship differently with the person with mental illness having a positive perception (group 3), and person with mental illness and case manager perceive their relationship differently with the case manager having a positive perception (group 4). These four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service satisfaction, and rehabilitation outcom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of case manager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어판 치료적 관계척도(STAR-K)의 타당화 연구

        권자영(Ja Young Kwo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5 No.-

        본 연구는 정신보건서비스에서 정신장애인과 사례관리자가의 실천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치료적 관계척도(Scale To Assess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이하 STAR: Priebe 외, 2007)의 국내 활용을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10곳의 지역정신보건센터와 6곳의 사회복귀시설의 정신장애인 258명, 사례관리자 63명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치료적 관계척도(STAR-K)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원척도와 달리 긍정적인 실천과계와 부정적인 실천과계의 2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수럽타당도 및 판별타당도가 확보되었고, 모델의 적합도도 수용할만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내적일관성 신뢰도는 (α=.84 와 α=.89)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어판 치료적 관계척도(STAR-K)가 정신보건서비스에서 사례관리자와 정신장애인간의 실천관계를 측정하는 도구로 또한 실천관계 연구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has tried to prove the validation of utilization of STAR scale which has been developed to measure working relationship between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s and a case-manager in community mental health practice field. In order to examine this study, 258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and 63 case managers in 10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nd 6 social rehabilitation centers were surveyed as research subjects for Korean version STAR scale. The results of explanatory factor analysis on STAR-K explained that two-factor structure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working relationship factor being different from original scale is appropriate and its credibility and validity has been proved. The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STAR-K examined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liability of STAR-K were α=.84 and α=.89. This kind of study results showed the STAR-K Scale can be used as a scale tool in measuring working relationship in community mental health practice field in Korea.

      • KCI등재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실천관계가 재활성과에 미치는 영향

        권자영(Ja Young Kwo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0 No.1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재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으로서 자기효능감, 가족 요인으로서 가족지지 그리고 서비스 요인으로서 서비스 만족이 실천관계라는 관계적 요인을 통해 어떻게 재활성과에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서비스 만족, 실천관계 그리고 재활성과를 잠재변인으로 한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실천관계가 지닌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정신장애인과 담당 사례관리자간의 실천관계 지각의 차이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즉 정신장애인과 사례관리자가 지각한 실천관계가 상호 유사할 경우와 상이할 경우 재활성과와 경로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해 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432명과 담당 사례관리자 82명이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3.0과 AMOS 5.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실천관계는 재활성과에 유의한 수준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가족지지와 서비스만족은 실천관계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족지지나, 서비스만족이 실천관계를 거쳐 재활성과에 이르는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매개효과가 증명되었다. 자기효능감과 재활성과간의 경로에서는 실천관계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례관리자와 정신장애인간의 실천관계 지각이 상호 유사한 집단과 상이한 집단 간에는 가족지지가 실천관계에 미치는 경로와 실천관계가 재활성과에 미치는 경로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proved how the factors such as the individual factor of the self-efficiency of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s, the family factor of family support, and the service factor of service satisfaction, have an influence on working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study proved that depending on how disparate the perception of their working relationship was, there existed a different path for the person with mental disorders and case manager. That is, the study proved that there are separate rehabilitation paths and outcomes depending on the perception difference level. Participants were 432 persons with mental disorders who use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located in Seoul and 82 case managers. SPSS 13.0 and AMOS 5.0 were used to analys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direct effect analysis, the self-efficiency and working relationship perceived by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s have a significant level of influence on his/her rehabilitation outcomes. In addition, family support and service satisfaction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working relationship. And in the working relationship mediated effect analysis, family support and service satisfaction have a mediated effect in the path to the rehabilitation outcomes through the mediator of the working relationship and stand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However, self-efficiency and rehabilitation outcomes in the path have no mediated effect. The two groups(Group1: person with mental illness and case manager both perceive their working relationship similarly and Group2: person with mental illness and case manager both perceive their working relationship differently) distinctly differ on how the family support influences working relationship and how the working relationship influences rehabilitation outcome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he implications of social work practice were discussed.

      • RANDOM URINE PROTEIN/CREATININE RATIO READILY PREDICTS PROTEINURIA IN PREECLAMPSIA

        권자영 ( Ja Young Kwon ),( Jung Hwa Park ),( Dawn Chung ),( Hee Young Cho ),( Young Han Kim ),( Ga Hyun Son ),( Yong Won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4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0 No.-

        Objective: To assess the diagnostic accuracy of random urine protein-creatinine (P/C) ratio for prediction of significant proteinuria in preeclampsia as an alternative to the time-consuming 24-hour urine protein collection. Methods: Retrospective record analysis was performed on 140 pregnant women who were admitted with suspicion for preeclampsia from January 2006 to June 2011. Random urine protein and/or 24-hour urine protein levels were assessed and their correlation to random urine P/C ratio and 24-hour urine protein excretion was evaluated. Results: Out of 140 patients, random urine P/C ratio or/and 24-hour urine protein was performed in 79 patients to evaluate significant proteinuria. Of 79 patients, 46 (58%) underwent both tests whereas in 33 women (42%) 24-hour urine collection was not available due to urgent delivery. In 39 cases (85%), significant proteinuria (≥300 mg/24 hr) was detected with 6 cases (13%) having values over 5,000 mg/24 hr, corresponding to the diagnosis of severe preeclampsia. Random urine P/C ratio highly correlated with 24-hour urine protein excretion (r=0.823, P<0.01). The optimal random urine P/C ratio cutoff points were 0.63 and 4.68 for 300 mg/24 hr and 5,000 mg/24 hr of protein excretion, respectively. with each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87.1%, 100%, 100%, and 58.3%; and 100%, 85%, 50%, and 100%, for significant and severe preeclampsia, respectively. Conclusion: Random urine P/C ratio is a reliable indicator of significant proteinuria in preeclampsia and may be better at providing earlier diagnostic information than the 24-hour urine protein excretion with more accuracy than the urinary dipstick test.

      • KCI등재

        도플러 초음파 신호에서의 태아 심박 검출 개선

        권자영(Ja Young Kwon),이유빈(Yu Bin Lee),조주현(Ju Hyun Cho),이유진(Yoo Jin Lee),최영득(Young Deuk Choi),남기창(Ki Chang Nam) 대한전자공학회 2012 전자공학회논문지 Vol.49 No.9

        산전 및 분만 중 연속적인 태아감시는 임상의에게 태아의 안녕 평가하는데 필요하다. 또한 태아의 심장박동은 임신 중 태아의 건강을 평가하는 중요한 파라미터이다. 초음파 도플러는 태아 심박을 비관혈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현재 임상에서 널리 쓰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태아 심박을 검출하는데 있어서 제한적인 정보만 제공할 뿐만 아니라 검출 오류에 대한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태아의 초음파 도플러 신호로부터 태아 심박을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간단한 방법으로 개선하고자 한다. 신호 주기를 검출하는데 가장 널리 쓰이는 자기상관함수의 수정된 함수를 제안하고, 신호의 주기를 찾기 위해 설정하는 데이터 분석 구간의 크기와 이동 간격을 가변하도록 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실제 산모에게서 측정된 데이터에 적용하여 태아 심박의 beat-to-beat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태아 심전도 신호와도 비교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효과가 있으므로 실제 장비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ntinuous fetal heart beat monitoring has assisted clinicians in assuring fetal well-being during antepartum and intrapartum. Fetal heart rate (FHR) is an important parameter of fetal health during pregnancy. The Doppler ultrasound is one of very useful methods that can non-invasively measure FHR. Although it has been commonly used in clinic, inaccurate heart rate reading has not been completely resolv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detection algorithm of FHR from Doppler ultrasound signal with simple method. We modified autocorrelation function to enhance signal periodicity and adopted adaptive window size and shifted for data segment to be analysed.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to real measured data, and it was verified that beat-to-beat FHR estimation result was comparable with the reference fetal ECG data. This simple and effective method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in the embedded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자립생활경험 연구 : 초기적응을 중심으로

        권자영(Kwon, Ja Young),배은미(Bae, Eun Mi),박향경(Park, Hyang Kyu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9 No.1

        본 연구는 T정신재활시설의 자립생활지원서비스를 이용하여 자립생활을 시작한 6명의 정신장애인의 약 1년 동안의 자립생활 초기적응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9.6-2020.5 사이에 심층면접방법으로 총 2회(자립생활 약 5개월, 11개월 시기)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질적 사례연구방법의 사례내분석, 사례간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걱정과 설렘 속에 자립생활을 시작함, 실생활과 뒤엉켜 나타나는 문제들, 자립생활을 익힘, 자립생활로 바뀐 내 생활, 1년의 자립생활로 미래를 꿈꿈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자립생활을 위한 개별화된 지원 및 서비스제공자의 생활양식에 대한 고정관념 점검의 필요성, 일상의 사소한 일들이 야기하는 문제에 대한 접근, 외로움 등 정서적 문제에 대한 접근, 삶을 지원하는 공간으로서 정신재활시설의 중요성, 자립생활유지에서 일과수행의 중요성 등 자립생활지원 방안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n the 1-year independent living experience of six people with mental diseases. They started living independently with the help of ‘T’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y"s independent living support servic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wice in an in-depth interview between 2019.6-2020.5(approximately at the 5-month period and 11-month perio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intra-case analysis and inter-case analysis of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Analysis results were began indpendent living with concerns and excitement, arising problems intertwined with real life, becoming familiar with independent living, changes in daily life due to independent living, dreaming of the future due to 1-year independent living experie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 individualized support for independent living and the need to examine service providers" stereotyped presumptions about lifestyle, approach to the problems of everyday trifles, coping with emotional problems such as loneliness, the importance of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s a space to support life, importance of completing daily tasks to maintain independent living, and independent living support 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