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현본(又玄本) <옥련몽(玉蓮夢)> 연구

        이병찬 ( Lee Byoung-chan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4

        이 글은 19세기 중반 남영로(1810-1857)가 23-33세(1832-1842)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옥련몽>의 이본을 검토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옥련몽>의 연구가 <옥루몽>에 비해 소홀하게 다루어져 왔다. 하지만 개작된 <옥루몽>이 중요하다고 해도 원작으로서의 <옥련몽>이 갖는 가치는 그것대로 존중되어야 한다고 본다. 여기서는 우현(又玄) 임영무 선생이 소장하고 있는 한글필사본 <옥련몽>을 학계에 소개함으로써, <옥련몽> 연구에 새로운 기회와 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우선 2장에서 우현본 <옥련몽>의 서지 사항과 각 권의 서사 단락을 상세하게 살폈고, 3장에서는 <박학서원본>과의 대비를 통하여 대략적인 서사의 전개는 큰 차이가 없으나, <우현본>이 그보다는 원<옥련몽>에 가까운 선본(善本) 계열에 들어갈 수 있음을 검토했다. 그 결과 <우현본>은 1916년에 필사된 전 14권 완질(完帙)의 한글필사본으로, 현재까지 가장 원본에 가까운 선본으로 추정되는 <이대무신본>(1908∼1909, 1911) 계열에 추가할 수 있는 이본임을 밝혔다. <옥련몽>의 이본은 ‘근친(覲親)’ 대목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동일하며, 이 가운데 원 <옥련몽>에 가까운 선본(善本)은 근친가지 못하는 ‘이대무신본 계열’이다. 본고에서 논의한 우현본 <옥련몽> 역시 근친을 가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대무신본>과 같지만, 이 부분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음도 논의하였다. 그리고 바로 이 점이 우현본 <옥련몽>이 갖는 중요한 의의가 될 것으로 추정하였다. 다만 우현본과 나머지 다양한 <옥련몽>이나 <옥루몽> 이본 간의 비교와 대조를 치밀하게 전개하지 못한 점은 본고의 한계이다. This article reviewed different editions of < Okryunmong > which is assumed it was written in the mid-19th century by Nam,Youngro(1810-1857) at age of23-33(1832-1842). Up to date, < Okryunmomg > research has been neglected compare to < Okrumong >. Though < Okrumong > is important as an original, < Okryunmong > also needs to be honored by its own value. Here, I want to provide new opportunity and turning point by introducing Korean manuscript of < Okryunmong > owned by Woohyun Limyoungmoo. Second chapter includes bibliographic items and detail summary of each book. Third chapter shows Woohyun's version is more like to be a best version of original < Okryunmong > through comparison with Parkmoonsuhwon's version. As a result, Woohyun's version is total 14 volumes of complete set transcribed in 1916. It is assumed to different affilation of Leedaemooshin's version which presumed to be very close to the original version until today. According to presence of Geunchin story part, they can be divided into different series. Leedaemooshin’s version series not including Geunchin. Among those, best version that is close to original is Leedaemooshin’s series. There are, however, is a limit in this manuscript not to compare or contrast variety of different editions of Woohyun’s version of < Okryunmong >. This can be expected in next article.

      • KCI등재

        조선후기 시학담론과 칸트의 미학론 비교 연구 -성령론과 천재론을 중심으로-

        이병찬 ( Byoung Chan Lee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50 No.4

        본고는 조선후기 시학의 중요 담론인 性靈과 天才의 문제를 중심으로 칸트의 미학과 비교를 시도하였다. 조선후기 성령론과 천재론은 明淸代 원굉도와 원매의 성령설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 시도하는 칸트 미학과의 비교는 동서양의 미학 비교라는 성격도 동시에 지닌다. 원굉도와 원매의 性靈說은 반의고주의적인 노력에서 개성을 중시하고 진정성을 추구하였다는 점에서 조선후기 시학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김창협이나 김창흡의 주장과 궤를 같이한다. 그러나 성령설은 양명좌파의 사유를 기반으로 하였기 때문에 그 영향이 지대하였음에도 우리나라에서는 비판적 시각이 주류를 이룰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학에 있어서 인위적인 틀에 얽매이지 않은 개인의 진정성 추구와 이에 수반되는 자연미의 실현이라는 공통된 지향을 지니고 있었다. 그들의 지향과 담론은 칸트의 자연미 존중을 연상시킨다. 칸트가 말한 자연미는 ‘목적 없는 합목적성’을 지닌다. 따라서 일정한 투식과 격식에 의존하여 시로 명성을 얻고자 하는 것과 같이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창작에 임하는 순간 자연미는 손상을 입게 된다. 칸트의 미학에서 언급하는 자연은 초감성적 기체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천재만이 초감성적 기체를 현시하는 능력을 발휘한다. 조선후기 시학에서 眞詩 추구를 위하여 性靈의 純粹性과 天機의 파악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도 바로 유사한 사유과정에서 나온 당연한 귀결이다. 또한 칸트는 자연을 개념적으로 접근하지 않고, 목적을 의식하지 않는 도덕적 善에 대해서 스스로 충분히 기초를 확립한 경우에만 자연의 미에 대해서 관심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성리학자들의 문학관과도 상통하는 면모를 지니고 있다. 칸트의 논의를 보면 성령설과 유사한 출발선상에 놓여 있다. 자연은 미학적 측면에서 동서양 모두 초감성적인 존재로 인식한다. 따라서 자연미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뛰어난 영적 능력을 지닌 천재가 필요하다. 성령과 천재가 상관관계를 갖는 것도 이 때문이다. 칸트는 조선후기의 시학담론보다 자연미의 추구에 있어서 천재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한다. 이에 반해 조선후기 시학담론은 표면적으로는 천재와 노력의 병중을 표방하였다. 그러나 내면을 들여다보면 천재에 강조점이 주어진다. 또한 자연과 예술 사이에서 조화와 균형을 제시해주는 천재의 역할에서 우리는 儒家의 聖人과 공통된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 여기서 발견되는 동일성은 조선후기 시학담론이 칸트의 미학론과 상통하는 보편성을 지니고 있음을 입증한다. This thesis tried to compare acceptance tendency of Sihak and aesthetics of Kant in late Joseon Dynasty by focusing on the problems of Seongryeong and Cheonjae, important discourses of Won Goingdo(袁宏道) and Wonmae(袁枚)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Sihak of late Joseon Dynasty. Seongryeongron(性靈論) of Won Goingdo and Wonmae come from anti-pseudoarchaism so as to emphasize insistence and individualities of Kim Changhyup(金昌協) and Kim Changheup(金昌翕) who are in important place of Sihank in late Joseon Dynasty and pursue their authenticity. However, critical sights formed mainstream in our country although there were lots of effects for Seongryeongron(性靈論) based on reasons of Yangmyeongjoapa. However, they have common things such as pursuing authenticity of individuals without consideration of artificial frame in literature and realizing natural beauty accompanied to it. Their tendency and discourse recall Kant`s respect of natural beauty. Natural beauty mentioned by Kant has “fitness without purpose”. Therefore, natural beauty is damaged when creating with particular purpose such as obtaining of fame with poems by depending on a certain formality. In addition, aesthetics of Kant understands the nature as superemotional gas. So, only cheonjae can display abilities to reveal superemotional gas. Therefore, Sihak of late Joseon Dynasty was interested in grasping of Seongryeong(性靈)`s pureness and Cheonjae(天機) for Jinsi. Also, Kant insisted that natural beauty can be interested after the foundation is sufficiently established for ethical goodness without conceptual approach of the nature or awareness of goals. It is related to Neo-Confucianism scholars` literary standpoint. If considering Kant`s discussion, it is on the starting line similar to Seongryeongseol. Nature is superemotional existence for both us and Kant. Therefore, Cheonjae including excellent spiritual abilities is necessary so as to pursue natural beauty. Therefore, Seongryeong and Cheonjae are mutually related. Kant emphasizes pursuing of natural beauty and importance of Cheonjae much more than Sihak discourse of late Joseon Dynasty. On the contrary, Sihak discourse of late Joseon Dynasty imitated coexistence of Cheonjae and efforts superficially. But, there is a focus of Cheonjae internally. The identity verifies that Sihak discourse of late Joseon Dynasty is related to aesthetic discourse of Kant. And, roles of Cheonjae suggesting harmony and balance between nature and art recalls common factors with Seongin(聖人) of Confucian family(儒家).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시 유사도 분석 방안 연구

        이병찬 ( Lee Byoung-chan ) 근역한문학회 2021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9 No.-

        이 논문은 한시 유사도 분석을 위한 방안 제시를 목표로 한다. 한시는 글자 수의 제한으로 간결한 응축 표현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지어진 작품이 많아질수록 새로운 표현의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그래서 用事와 點化가 하나의 기법이 되었다. 그렇지만 과도한 사용은 표절의 혐의를 벗어나기 어렵다. 한시 분석의 핵심은 작가의 고유성 입증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른 시와의 차별성 확인이 필요하다. 유사한 다른 시가 없는지, 또 유사하다면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 시의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유사성 확인이 아니라 이를 통하여 영향 관계나 공통적 특성 확인이 유사도 분석의 목적이다. 시는 표층 구조와 은닉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두 구조가 작용하여 독자에게 다가선다. 다의성은 이 과정에서 발생한다. 같은 7자 시구에서 한자 1자 차이로 의미가 변할 수도 있지만 6자가 같다면 우연의 일치일 가능성은 적다. 최초의 사용자와 활용의 역사를 추적하면 그 영향 관계를 추론할 수 있다. 수많은 시에서 유사한 시구를 찾아내는 분석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도움이 없이 해결할 수 없다. 프로그램의 기초는 알고리즘의 개발이다. 이 논문에서는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의 한계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유사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어의 분석이 필요하다. 보통 5자나 7자가 쓰이는 한시에서 시어의 기준을 정하기 매우 어렵다. 따라서 n-gram 분석과 사용 빈도를 파악하여 작가의 시어를 확정한다. 그리고 다른 문집과 비교하여 자주 활용하는 시어를 제외하면 그것이 바로 작가의 개성이 담긴 시어나 시구가 되는 것이다. 유사도 분석이 어려운 이유는 단순히 한자의 배열이 같은 시어나 시구만 동일 시어로 판단하면 안 되기 때문이다. 표절의 혐의를 피하려고 앞뒤 한자의 순서를 바꾸거나 비슷한 한자로 대치하기도 한다. 따라서 같거나 비슷한 의미의 시어도 유사도 분석에서 중요한 검토 대상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중국 시까지 비교 대상에 포함해야 하며 시어의 변형 유형을 파악하여야 한다. 5언에 2자를 추가하여 7언으로 바꾸거나 시구를 나누어 활용하는 등 다양한 변형 사례의 수집이 필요하다. 정조나 느낌까지 포함하는 유사한 시어의 분류와 변형 구조의 파악이 되면 정확한 유사도 측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을 활용하면 작품들의 문학적 경향에 따른 분류나 상호 영향 관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algorithms for Chinese poetry similarity analysis. Chinese poetry has the advantage of condensing and expressing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the number of characters, but new expressions are difficult in situations where there are many built works. So quote(用事) and magic transformation(點化) became a technique. However, excessive use is plagiarism. At the heart of the analysis is proving the author's uniqueness. This requires confirmation of differences from other cities. The city's evaluation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re are other similar poems or, if so, to what extent. The measurement of similarity is not just for identifying similarities, but for identifying influences or common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Poetry consists of a surface structure and a hidden structure, and these two structures work to reach the reader. Polymorphism occurs in this process. The meaning may change by one character in the same seven-letter first pitch, but if six letters are the same, it is unlikely to be a coincidence. Tracking the history of first-time users and utilization can infer their impact relationships. Analysis that finds similar verses in many poems cannot be solved without the help of a computer program. The basis of the program is the development of algorithms. In this paper, we present a development method of algorithms for these analyses. In order to measure similarity, an analysis of Sheer is first needed. It is very difficult to set the standard for shears in Chinese poetry, which is usually used seven characters are usually used. Therefore, we determine the author's poem by analyzing n-grams and identifying the frequency of use. And except for the words that are frequently used compared to other literary works, it becomes a poem or first pitch containing the writer's personality.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measure similarity is that only the same poem or verse with the same arrangement of Chinese characters should not be judged by the same poem. In order to avoid allegations of plagiarism, Chinese characters may be reordered or replaced with similar Chinese characters. Thus, the same meaning of the word is an important subject to consideration in measuring similarity. The development of algorithms requires identifying the variant types of shears. It is necessary to collect various cases, such as simply changing five words to seven words or dividing the first pitch. Accurate similarity measurements can be made once similar shears are classified and transformed structures are identified. Using these methods will help to identify classifications or mutual influence relationships according to literary trends in works.

      • KCI등재

        고전문학 : 한국(韓國) 신화(神話)의 교육적(敎育的) 의의(意義)

        이병찬 ( Byoung Chan Lee ) 반교어문학회 2010 泮橋語文硏究 Vol.0 No.29

        신화교육은 더 큰 범주로 설화교육, 구비문학교육, 문학교육, 국어교육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신화가 설화를 포함한 구비서사 갈래에 속하기 때문에, 신화교육의 구안이 넓게는 국어교육이나 문학교육의 틀 안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하지만 신화 또는 신화가 내포하는 의미망은 문학의 범위를 크게 웃돌고 있음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신화교육은 보편성에 기초하면서도 동시에 독자성을 고려하는 방향에서 실행되어야 한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민족들은 모두 자기 민족의 신화를 간직해 왔다. 우리 민족도 옛날부터 여러 신화들을 전승해 왔는데, 그 속에는 우리 민족의 역사, 종교, 관습, 세계관, 가치관 등이 녹아 있다. 우리의 신화는 전승되어 오면서 우리에게 민족의 자부심과 긍지를 갖도록 해주었고, 풍속을 고정시키거나 행위의 모범을 결정해 주었으며, 제도에 위엄과 중요성을 부여해 주기도 하였다. 한국 신화는 문헌에 기록으로 전하는 `문헌신화`와 구비로 전승되는 `구비신화`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문헌신화는 주로 국가의 창건을 주도한 개국시조의 이야기이고, 구비신화는 무속의식에서 구연되는 서사무가가 대부분이다. 우리의 경우 오랫동안 `신화`라고 하면 문헌에 실려 있는 건국신화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통용되어, 연구와 교육의 대상도 그것들에만 국한되어 왔었다. 그런데 무속에서 구연되는 서사적인 노래가 신의 내력을 풀이하는 신화적인 성격을 갖는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무속신화가 신화의 범주에 들어오게 되었다. 나아가 전설로 인식되어 왔던 특정지역의 당신(堂神)의 내력을 설명한 유래담들도 지역민들에 의해 전승되어온 `당신화(堂神話)`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신화의 범주 확장이 불가피해졌다. 본고는 먼저 중등교육에 필요한 한국신화 자료의 대상과 범위를 정리해 보고, 다음에 현재 제7차 교육과정에서 시행되고 있는 신화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나아가 한국 신화의 교육적 의의를 다양한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했다. 결국 본고의 목적은 이 글을 통하여 앞으로 시행될 예정인 제8차 교육과정의 국어교과에서 신화교육의 비중이 높아지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제대로 된 신화교육이야말로 글로벌 인재의 육성에서 반드시 필요한 교육 요소임을 확신하기 때문이다. 바야흐로 고대인의 사고체계를 보여주는 신화는 이제 21세기 최첨단 과학을 비롯하여 상상력을 바탕으로 하는 각종 산업에서 두루 활용되는 기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신화적 사고는 과학적 상상력과 유사하여 오늘날 우주공학 발전과도 무관하지 않으며, 첨단 애니메이션 산업, 디지털 산업 또한 신화적 상상력을 통해 많은 아이디어를 얻는 실정이다. 우리는 신화를 통해 한국의 고대문화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전통을 통찰할 수 있고, 나아가 새로운 세계의 건설을 위한 창조의 계기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더군다나 공유하는 신화를 통해서 분단된 남북이 한민족으로서의 의식을 고취하는 데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이 올바른 신화교육을 위한 가치관의 확립, 구체적인 교육 방안의 마련 등이 시급한 까닭이다. Teaching myths belongs to the categories of teaching folk tales, traditional literature, or more generally literature. It means that myths should be taught within the framework of literature since they, as well as folk tales, belong to traditional narration. However,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myths or semantic network implied by myths go beyond literature. Teaching myths should be carried out, based on idiosyncrasy as well as universality. Those people who have long history and tradition have had their own myths. Koreans have had many myths for a long time, and they reflect the history, religions, customs, world views and ideals of Korean people. They made us have self-respect and pride. Korean myths have two categories: literal myths and narrative myths. Literal myths are mainly about tales about founding fathers and narrative myths are mostly epic poems. Korean myths have referred to birth myths of Korea and so literal myths only have been studied and taught. It has been found that epic poems explain the history of gods and consequently shamanism myths were included in myths. This study summarizes the data and objects of Korean myths, and examines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teach myths in the current curriculum.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Korean myths, more emphasis should be put on teaching myths in the next curriculum.

      • KCI등재

        단군신화 교육의 전제와 방법적 제안

        이병찬 ( Lee Byoung-cha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1 국제어문 Vol.53 No.-

        본고는 단군신화의 교육에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적 전제들과 교육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단군신화는 우리 선인들의 정신생활을 파악하고, 민족문학의 전개와 정수를 이해하며, 전통을 바탕으로 새로운 문학을 건설하는 방향을 정하는 데 기여하는 동시에, 나아가 확고한 민족적 주체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교육의 제재이기 때문이다. 2장에서는 단군신화 자료의 실상과 이해를 다루었는데 크게 문학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 전승 자료의 실상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현황을 살펴 교사들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3장은 교사가 단군신화를 제대로 가르치기 위해서 교육적으로 전제해야 할 요소들을 제시해 본 것이다. 교사는 학습자가 가질 수 있는 여러 가지 의문들을 풀어주어야 할 의무가 있고, 그를 위해 교사들은 우선적으로 1)신화자료의 이해, 2)역사교육, 3)정체성교육, 4)단군민족주의, 5)단군 신앙, 6)국어교육, 7)문학교육, 8)문화 창조 등과 관련한 교육적 전제들이 확립되어 있어야 함을 검토하였다. 4장에서는 단군신화의 교육 방법에 대한 제안으로서 단군신화가 지니는 현대적 의미를 해석하여 `살아있는 텍스트`로서 교육할 것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방법론의 제시보다는 특히 문화콘텐츠(스토리텔링) 개발 자료로서의 활용을 고려한 교육 방법의 개발을 역설하였다. 이를 위해서 내용 바꾸기, 갈래 바꾸기, 매체 바꾸기 등을 통한 작품의 재구성·재창작 활동을 교육 현장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구현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educational premises and ways in the education of Tangun mythology in answer to new demands of the times. Tangun mythology is an indispensible subject-matter of education not only to our grasping of ancestors` spiritual life and to our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and development of national literature, but also to our building new literature based on tradition and to our establishment of firm national sovereignty. The topics discussed are as follows. In the 2nd chapter I deal with the actual circumstances under which the materials regarding Tangun mythology are used and the ways they are understood. The circumstances are categorized into three divisions: textbooks for literature, teacher`s manuals, and traditional literature. In the 3rd chapter, the premises to proper education of Tangun mythology are proposed to teachers. Teachers have obligation to satisfy learners` questions and for that purpose should establish their ideas of those premises regarding such subjects as 1)understanding of mythological materials 2)education of history 3)education of identity 4)nationalism of Tangun 5)Tangun religion 6)national language education 7)eduction of literature 8)creation of culture, etc. In the 4th chapter I propose that we should interpret concretely the Tangun mythology and find its modern significance as a living text. I put less emphasis on the presentation of specific methodologies than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ethods in consideration of using cultural contents such as storytelling. To do this I think we need to embody more positively on the educational spot such recreative and reconstructive activities as changes of contents, divisions or medi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고전문학 : 고전소설(古典小說) 교육(敎育)의 전제(前提)와 실제(實際) -<구운몽(九雲夢)>과 <춘향전(春香傳)>을 중심으로-

        이병찬 ( Byoung Chan Lee ) 반교어문학회 2009 泮橋語文硏究 Vol.0 No.27

        고전 작품을 통하여 우리 문화의 전통과 그 계승에 대해 깊이 통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는 것은 매우 소중하다. 그런데 고전 작품이 적절하게 이해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고전소설 교육은 문학 교육, 국어 교육, 나아가 한국 교육의 전반적인 문제와 연결되어 있고, 개별 작품에 따라 각각의 전제와 교수·학습의 실제도 달라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논문은 고전소설 교육을 위해서 필요한 몇 가지 전제와 실제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구체적인 작품으로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국어 (상)·(하)』에 각각 수록되어 있는 <구운몽>과 <춘향전>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여, 각각의 교육에서 사전에 전제되어야 할 요소들과 실제적인 방법론을 모색해본 것이다. 왜냐하면 이 작품들은 실로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우리 고전소설의 대표작이면서도, 여러 가지 측면에서 차이점을 보이는 작품이기 때문이다. 이들을 검토해 봄으로써 나머지 다른 작품에 대한 전망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각각의 작품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방법은 다양하여 어느 것이 최상이라는 단정을 내리기는 매우 어렵다고 하겠다. 결국 고전소설을 가르치는 바람직한 방법은 작품이 하나의 의미체로 생성되고 존립하는 데 작용한 제 요인을 해석의 유효 요소로 인정하면서 나의 시각, 체험, 시대적·문화적 의식이 그것과 소통되도록 중재하는 데서 찾아져야 할 것이다. 먼저 국어과에서 차지하는 고전소설의 위상과 고전소설 교육의 위상을 점검하여 논의의 출발로 삼아서, <국어>의 `문학` 부분과 <문학> 과목의 이원화에 따른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이어서 <구운몽> 교육에 필요한 전제와 실제를 논하였다. <구운몽>의 교육에서는 무엇보다 꿈과 현실, 자아의 양면성, 정신적 가치 추구와 현실 지향의 삶 등을 통합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하는 점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그것이 국어 교육과 문학 교육에 모두 유용함을 입증하고자 했다. 다음으로 <춘향전> 교육의 전제와 실제를 제시하였다. <구운몽>과 달리 <춘향전>은 상당히 복잡한 사정이 고려되어야 하지만, <춘향전> 교육의 핵심은 `진정한 사랑의 힘`과 `자아각성이 수반된 강한 의지`가 우리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원동력임을 일깨우는 데 있음을 역설하였다. 모든 교육적 행위들의 과정에 대한 정답은 있을 수 없기에, 시대나 교육 주체들의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그 방안은 유동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고는 시론의 성격이 크지만, 이러한 노력은 그 자체로도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It is very precious for students to get the chances discerning deeply on the heritage of our culture and the succession of that by classic works. But It needs a lot of efforts to understand the classic works properly. As classic novel teaching is connected with literature teaching,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further general problems of Education in Korea, the teaching should have different presupposition and practice of teaching-learning depending on each of the works. This paper tries to suggest some presuppositions and practical methods required to teach classic novels. Especially, this paper tries to find the elements which must be presupposed before the teaching and practical methodology focussing on <Guwoonmong> and <Choonhyangjeon> in high school Korean Book 1 and 2 of the 7th Curriculum. Because these works are standing for Korean classic works and sympathized by a lot of people and they have some differences in many respects. Through investigation the works, this paper expects to get perspectives on the other works. As teaching procedure with each of the classic novels is various, it is very difficult to define which teaching methodology is the best. As a result, the valuable teaching methodology on the classic novels has to be found in building the work as a meaning, in considering primary factors as an effective ones of interpretation, and in mediating my perspective, experience, senses of time-culture and the meaning of the work built. Most of all, this paper checks the status of classic novels and classic novel teaching in Korean subject and based on that this paper supplies questions occurring because of division to the `literature` part of Korean and literature subject. And discusses on the presupposition and the practice required on teaching <Guwoonmong>. This paper stresses that, in teaching <Guwoonmong>, it is the most important having a point of view integrating dream and reality, duality of self, the pursuit of mental value and the reality oriented life, etc. And tries to prove what is applied to Korean educ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Finally, suggests the presupposition and the practice of teaching <Choonhyangjeon>. Beside of <Guwoonmong>, in teaching <Choonhyangjeon>, the complex situation has to be considered, but this paper emphasizes that the teaching point of <Choonhyangjeon> should be the following that `the power of true love` and `the strong will through self understanding` are the resources to change our lives. As it is not possible to decide which teaching procedure is the best, the procedure can be changed depends on the time and the subject of the teaching. Even though this paper is standing at the beginning of the work, I think that this kind of work has it`s own value.

      • KCI등재

        극재 어윤적 한시 연구

        이병찬(Lee Byoung chan)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89 No.-

        본연구는克齋魚允績의克齋手稿에수록된漢詩를대상으로, 격변의근대전환기지 식인의 고뇌를 안고 살아간 그의 漢詩가 지닌 문학적 성취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근대문학은 근대성과 한국의 정체성·독자성이라는 측면에서 주로 한글문학의 연구에 중점을 두어왔다. 때문에 근대문학의 한축인 한문학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간과된 것이 현실이다. 근대한문학은 근대성이라는 측면에서 부정적 인식이 엄연히 존재한다. 그러나 근대한문학이 시대로서의 근대를 담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魚允績은 華西李恒老를 연원으로 하는 省齋柳重敎의 문인이다. 구한말 격변기에 그는 위정척사 사상을 기치로 내건 毅菴柳麟錫(1842~1915)을 비롯한 화서학파의 일원들과지속적인교류와활동을하였다. 1910년, 어윤적은뜻을같이하던이들과함께일본의 식민통치를 거부하고, 만주로 이거하여 화서학파의 일원으로 활동을 이어갔으며, 1933년 異域에서 세상을 마감하였다. 그의 문집인 克齋手稿에는 도학적 사유, 우국 항일 의식, 난세의 지식인의 고뇌, 망명이주민의 삶을 담은작가개인의문학적성취를보여주는 수준 높은다양한주제의한 시뿐만이 아니라 화서학파의 교류와 활동에 관련된 많은 자료까지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어윤적의 漢詩는 근대시기 유학적 전통을 고수한 실천적 지식인의 수난과 현실 대응의 모습이 반영된 근대한문학의 실상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며, 아울러 만주지역에서 국권회복을 위하여 활동한 전통적 지식인들의 문학적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literary achievement of Chinese poems(漢詩) of Geukjae Eo, Yun Juk(克齋魚允績) who has lived intellectual agonies during the turbulent turning point of modern ages for Chinese poems(漢詩) recorded in 『Geukjaesugo(克齋手稿)』. Korean modern literature has focused on studies on Korean literature mainly from an angle of modernity and Korean identity·independence. Therefore, one axis of modern literature, the importance of Chinese literature was ignored relatively. Modern Chinese literature has negative awareness undoubtedly from an angle of modernity. But, modern Chinese literature clearly includes modern times as a period. The object of this research, Eo, Yun Juk s Chinese poems(漢詩) shows how practical intellectuals sticking to Confucian tradition in modern times responded to ordeals and realities. Eo, Yun Juk(魚允績) is a literary person of Sungjae Yu, Jung Gyo(省 齋柳重敎) under the origin of Hwaseo Lee, Hang Ro(華西李恒老). During the rapid changes of the Late Period of Chosun, he continuously exchanged with members of Hwaseo school including Uiam Yu, In Suk (毅菴柳麟錫)(1842~1915) insisting li learning thought. In 1910, Eo, Yun Juk refused Japanese colonization with people whose intention is same as his, moved to Manchuria and conducted as a member of hwaseo school. And then, in 1933, he died at foreign land. His anthology includes Chinese poems of various subjects, that show his literary achievement as well as lots of materials related to world of confucian thought and exchanges and activities of Hwaseo school. Chinese poems of Eo, Yun Juk show actual aspects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and his anthology 『Geukjaesugo(克齋手稿)』 is worth noticing as they show actual life of traditional intellectuals who had acted so as to recover national sovereignty in Manchuria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