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사탄력성의 조절효과

        이병임 ( Lee Byung Lim ),이용민 ( Lee Young Min ),오대연 ( O Dae You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정서노동, 교사탄력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사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강원도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5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상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교사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Analysis)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유아교사의 교사 탄력성은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정서노동은 직무만족도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정서노동의 하위요인인 자연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도 직무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나, 표면적 행동은 직무만족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정서노동과 직무만족도 하위요인의 관계에서 교사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직무만족도의 하위 요인 중 동료관계, 원장관계, 근무환경에서 교사탄력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정서노동의 문제는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교사탄력성은 정서노동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밝힌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and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The subjects were 152 kindergarten teachers in Gangwon-do. The data were analyzed by F-test, Scheffe for a post hoc test, simple comparison, a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by using SPSS 21.0.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certificate, there were differences in teachers` resilience.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es to grasp th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had a (+) correlation. However the surface acting, one of the emotional labor`s sub-factors, had no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it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satisfaction of colleague relation, director relation, working environment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Especially, this study found out that resilience not only has a direct effect on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but also plays the role of a protective factor for emotional labor.

      • KCI등재후보

        과학고와 일반고 학생의 진로포부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행복과의 관계

        이병임(Lee Byung lim)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2 창의력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 목적은 과학고 학생과 일반고 학생들의 진로포부수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비교하고 진로포부수준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행복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에 소재한 과학고(129명, 남학생 111명, 여학생 18명)와 일반고(163명, 남학생 75, 여학생 88명)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집단은 진로포부 수준이 높고 낮은 집단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고 낮은 집단(2X2) 4개로 나누었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고 학생의 진로포부 수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행복의 하위요인인 학업 및 성적, 가족 및 친지, 삶의 목적 성취, 경제력, 대인관계, 가치관 및 신념, 건강 그리고 행복 총점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일반고 학생들의 진로포부 수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행복의 하위요인 중 가치관 및 신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과학고와 일반고의 집단별 차이분석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진로포부 수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둘 다 낮은 집단(A)은 학업 및 성적, 삶의 목적 성취, 경제력과 행복 총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진로포부 수준은 낮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높은 집단(B)에서는 학업 및 성적과 경제력에서, 진로포부 수준이 높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C)에서는 학업 및 성적과 삶의 목적 성취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둘 다 높은 집단(D)은 학업 및 성적, 삶의 목적 성취, 경제력, 가치관 및 신념 그리고 행복총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네 집단 모두가 과학고 학생들이 높은 평균을 보이면서 학업 및 성적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고와 일반고 학생들의 진로지도를 위한 시사점 및 제한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level of career aspir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with them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examine the level of career aspir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those two school students influencing on their happin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ub-factors of happiness which were studying and academic record, family and relatives, achievement of purpose of life, economic strength, interpersonal relations, values and belief, health, and total score of happines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The sub-factors of happiness which was values and belief did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s i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studying and academic record, and mean value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행복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이병임(Byung-Lim Lee),류형선(Hyung-Sun Ryu) 한국영재교육학회 2017 영재와 영재교육 Vol.16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창의적 인성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 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변인간의 상관분석 결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중개방형은 행복과 정적상관을, 폐쇄형은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행복과 창의적 인성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창의적 인성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하위요인 중 어머니 개방형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복의 하위요인 중 자신감과 긍정적 정서가 창의적 인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긍정적 정서와 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하는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에 대해 제언하고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해 언급 하였다 The study was investigated with three objectives in mind: (1)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parent – child communication, happiness and creative personality of college students. (2) to examine that parent – child communication influenced on creative personality. (3) to examine that happiness influenced on creative personality. The results obtained by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Emotional intelligence and humor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reative personality. (2) The parent – child communication explained about 6% of the variance in creative personality. (3) The happiness explained about 27% of the variance in creative personality. Finally, it should be studied continuously to analysis values which affect on college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It is expectable to conduct some future research to investigate college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more deeply.

      • KCI등재후보

        과학고 학생의 성격(16PF)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이병임(Lee Byung lim)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3 창의력교육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ity factor and creativity personality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first year students (n=99) attending science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nd this study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and creativity personality for the subj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personality representing high mean were ego-strength, self-control, morality, and practicality, while guilty conscience represented the lowest mean among subfactors of personality. Second, the personality representing positive corelation were ego- strength, dominance, boldness, sensitivity, imaginativeness, and progressivity, on the other hand, the personality representing negative corelation was guilty conscience among sub-factors of personality. Third, the personality of influencing creativity personality were imaginativeness, and progressivity. 본 연구는 과학고 학생들의 성격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서울소재 과학고 1학년 학생(n= 99)을 대상으로 성격 검사와 창의적 인성 검사를 실시한 후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의 하위요인인 중 높은 평균을 보인 요인은 자아강도, 자기통제, 도덕성, 실리성 순서였고 자책성 요인은 가장 낮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둘째, 성격 중 자아강도, 지배성, 대담성, 예민성, 공상성, 진보성은 창의적 인성과 정적상관을 보였고, 자책성은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성격 중 창의적 인성과 상관을 나타낸 요인만을 회귀 분석한 결과 공상성과 진보성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을 가르치거나 학생들과 작업 할 때 이러한 성격요인을 고려하면서 창의적 인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반고 학생들과의 비교 연구 및 성별연구 등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성격요인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병임 ( Byung Lim Lee ),류형선 ( Hyung Sun Ryu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3

        본 연구는 전주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24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성격 5요인(외향성, 성실성, 우호성, 정서적 불안정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 학업소진(정서고갈, 냉소, 학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두 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① 외향성, 성실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정서고갈과 정적상관을, 냉소와는 부적상관을, 학업효능감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② 우호성은 학업효능감에서만 정적상관을 보였다. ③ 정서적 불안정성은 정서고갈과 냉소와 정적인 상관을 보인 반면, 학업효능감에서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격 5요인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① 성격요인 하위변인인 정서적불안정성, 성실성, 우호성이 학업소진 하위변인인 정서고갈과 냉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성격요인 하위변인인 성실성, 정서적 불안정성, 우호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 학업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정서적 불안정성과 우호성 요인이 학업소진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big-five personality factors and academic burnou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245 in Jeonjo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sex affected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academic burnout. Second, according to relationship between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academic burnout, extroversion,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efficacy bu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emotional exhaustion and cynicism. Agreeablenes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efficacy. Emotional instabilit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motional exhaustion and cynicism wherea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cademic efficacy. Big Five traits explained 24% of the variance in emotional exhaustion, 33% of the variance in cynicism and 56% of the variance in academic efficacy. The result revealed several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Big-Five Personality and burnout.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인성과 교직윤리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병임(Byung-Lim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인성과 교직윤리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과 학생 1학년이 53명, 2학년이 54명, 3학년이 74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방법은 첫째, 기술통계 및 신뢰도를 실시하였다. 둘 째, 학년에 따른 교직인성, 교직윤리,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구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 및 사후검증을 실행하였다. 셋째, 교직인성 및 교직윤리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인 성의 하위요인에서는 도덕성, 교직윤리의 하위요인에서는 영유아윤리 그리고 교사 효능감의 하위요인에서는 교수전략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 평균은 교직인성과 교직윤리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평균(3>2>1)이 높아지고 있었지만 교사 효능감은 3학년이 2학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요인별 차이에서는 도덕성, 사회성, 학생열정, 교육적 신념, 교직인성 전체, 교직윤리는 가정윤리, 동료윤리, 사회윤리 그리고 교직윤리 전체, 학생참여, 교수전략 그리고 교사효능감 전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교직인성, 교직윤리, 교사효능감은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교직인성과 교직윤리를 독립변인으로 교사효능감을 종속변인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56%의 설명력을 보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 교직인성과 관련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교직윤리를 함양하기 위한 교과 및 비교과 개발과 다양한 교수방법의 적용 그리고 졸업 후의 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ity and ethics on teacher efficacy. Participants wer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53=1st, 54=2nd, and 74=3r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Morality section among the sub-variances of the teachers’ personality (M=4.57), the Infant and Toddler Ethics section among the sub-variances of the teaching ethics(M=4.55), and the Teaching Strategy section among the sub-variances of the teaching efficacy (M=3.87) were the highest of their categories. The increasing number of years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means of the teacher’s personality (3>2>1) and the teaching ethics (3>2>1), but third years had the lower teaching efficacy than the second years. Second, teacher’s personality was showed significant partial difference on morality, sociality, students’ passion, educational belief, and all the teacher’s personality. Teaching ethics was showed significant partial difference on domestic, collegial, social, and all the teaching ethics. Teaching efficacy was showed significant partial difference on student participation, teaching strategy, and the teaching efficacy. Third, teacher’s personality, teaching ethics, and teaching efficac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efficacy. Fourth, based on regression, the teacher’s personality explained 56% of the variance in teacher’s efficacy.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teacher’s personality and ethics programs should be continuously studie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경험 유무, 전공만족도 및 교직열정의 수준에 따른 교사역량의 인식 차이

        이병임(Lee, Byung lim),고보라(Koh, Bo r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teacher competency according to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practice experience, major satisfaction, and teaching passion. The subjects were 144 students majo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J and N cities. The first result was that teaching pa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jor satisfaction (r = .595, p <.01), teaching passion and teacher capac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r = 689 (p <.01), and major satisfaction and teacher capacity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as r = .523 (p <.01). Second, teachers’ competency in accordance with educational practice experience was meaningful in educational planning, infant protection, personal traits,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learning management.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variables in the perception difference of teacher competency.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variables in the perception of teacher competency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ching passion. In conclusion, we emphasized the arrangement between curriculum and extra-curriculum activities to set up education practice friendly, and discussed the academic administration and major curriculum related with early childhood and other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maintaining and cultivating major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passion.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실습경험의 유무, 전공만족도 및 교직열정의 수준에 따른 교사역량의 인식 차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 시와 N 시에 소재한 대학의 유아교육과 학생 144명이었다. 연구의 분석 방법은 첫째, 전공만족도, 교직열정 그리고 교사역량의 관계를 구하기 위해 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둘째, 교육실습 경험의 유무와 전공만족도 및 교직열정 수준에 따른 교사역량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열정은 전공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r=.595, p<.01), 교직열정과 교사역량도 정적 상관관계(r=689(p<.01) 그리고 전공만족도와 교사역량도 정적 상관관계(r=.523(p<.01)로 보였다. 둘째, 교육실습경험 유무에 다른 교사역량의 인식 차이에서는 교육계획수립, 유아보호, 개인적 자질, 교육과정 실행, 학습운영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전공만족도 수준에 따른 교사역량의 인식 차이에서도 하위변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교직열정 수준에 따른 교사역량의 인식 차이에서도 하위변인 모두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결론에서는 교육실습 경험을 현장 친화적으로 활용가능 하도록 교과 및 비교과의 배치를 강조하였고 전공만족도 및 교육열정의 유지 및 함양을 위한 학사행정과 전공 교과목 편성 그리고 기타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