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깨달음의 전제조건으로서 나없음과 정화수련에 관한 연구

        이민혜(MinHye Lee),이영좌(YoungJoa Lee),송종희(JongHee Song),심인섭(InSop Shim),정동명(DongMyong Jeong) 한국정신과학학회 2014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4

        현대사회의 양극화 현상과 물질문명의 한계, 지구환경의 불확정성의 증가로 인류는 어려움에 처해 있어서, 이제 서양은 동양의 명상과 깨달음에 눈을 돌리고 있는데, 동양은 아직도 앞서간 서양과 물질을 쫒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추구하는 대상으로서 깨달음은 아직도 분명한 정의와 객관화가 부족하고 주관적 막연함 속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수행법으로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깨달음의 객관화를 시도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깨달음의 전제조건으로서 나없음을 분석하였으며, 자기무화를 이루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정화 수련법을 제안하였다. Today humanity is in trouble. Modern society, the limits of the material civilization of the polarization and the global environment due to the increase in the uncertainty. So the West is turning to meditation of orient. However the East is still to be ahead of the West. And, we are pursuing a clear definition of the enlightenment as the realization that objectification is still insufficient, and waste of time and energy by ineffective in subjective meditation. So, attempted to objectify the previous research about enlightenment were investigated. And, proposed self-purification methodology as a prerequisite for enlightenment for achieving the self-naughting.

      • KCI등재

        성별과 과학 관련 직업포부에 따른 초등학생 과학 학습동기와 성취도의 차이

        이민혜(Minhye Lee),신다정(Da-Jung Diane Shin),봉미미(Mimi Bo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3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는 진로발달과 정체성 탐색의 결정적 시기인 동시에 성 고정관념이 견고해지는 시기이기도 하다. 전통적으로 성비 불균형이 문제시 되어 온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과연 초등학생의 과학 관련 직업포부에서의 성차가 여전히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성별과 직업포부에 따라 과학 학습동기와 성취도가 달라지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성별에 따른 직업포부의 차이가 여전히 존재하였으며,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는 과학, 통신, 공학 전문가 및 관련 직업포부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남학생이 선호하는 직업 상위 3개는 운동선수, 과학자, 인터넷 컨텐츠 크리에이터인 반면, 여학생이 선호하는 직업 상위 3개는 예술가, 교사, 연예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 관련 직업포부를 추구하는 남학생의 비율은 전체 남학생의 53%인 반면, 여학생의 비율은 전체 여학생의 31%에 불과했다. 성별과 과학 관련 직업포부 추구 여부에 따른 과학 학습동기와 성취도의 차이도 발견되었다. 성별의 주효과는 과학 과목에 대한 개인적 흥미에서만 발견됐지만, 과학 관련 직업포부의 주효과는 상황적 흥미, 개인적 흥미, 자기효능감, 유용가치, 학업성취도에서 모두 발견되었다. 학습동기 변인에서는 성별과 과학 관련 직업포부의 상호작용 효과 또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과학 관련 직업포부를 추구하는 남학생이 과학과 무관한 직업포부를 추구하는 남학생에 비해 대부분 과학 학습동기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학생의 경우 과학 관련 직업포부 추구 여부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곧 남학생의 경우 과학 과목에 대한 동기가 과학 관련 직업포부를 선택하는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으나, 여학생의 경우 스스로 지각한 과학 동기 이외의 요인에 의해 과학 관련 직업포부로의 선택 혹은 기피가 결정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중학교 자유학기제를 앞둔 초등학교 고학년에게 자신의 동기와 적성을 바탕으로 한 진로 탐색의 기회를 폭넓게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Upper elementary school years are the most sensitive period in the development of career and gender identity. While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related occupations,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whether gender imbalance exists in these fields and how this difference explains a gender gap in science motivation and achieveme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indeed revealed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career aspirations of fifth and sixth graders, particularly in STEM related careers. The most popular careers among the boys were athletes, scientists, and Web content creators, whereas those among the girl were artists, teachers, and entertainers. Also, 53% of the boys mentioned science related careers among their top 3 priorities, compared to only 31% of the girls who did so. Science motivation and achievement of these students differed depending on gender and science related career aspirations. Among the boys, students who hoped for careers in science showed far superior science motivation and achievement than those who did not. In contrast,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girls depending on their career aspirations in sci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ience motivation and career aspirations are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gender stereotype and that care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be designed to reduce the existing gap between girls and boys before they embark on more systematic career explorations.

      • 교실 내 학습자 주도성에 대한 교육심리학적 고찰

        이민혜 ( Lee Minhye ) 대경교육학회 2022 교육학논총 Vol.43 No.2

        미래 교육의 궁극적 지향점으로서 학습자 주도성에 관한 교육계의 관심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학습자 주도성의 정의는 무엇이고, 이를 교실 현장에서 지원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은 무엇인가에 대한 개념적, 이론적 합의는 요원하다. 본 연구에서는 주도성과 관련된 교육심리학계 대표 이론으로서 사회인지이론과 자기결정성이론이 바라보는 주도성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두 이론 모두 주도성의 보편성과 인간의 동기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상태로서 주도성을 가정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 주도성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주도성 발현에 있어서 사회 환경의 역할에 대한 이론적 가정에서 두 이론의 관점이 상이하다. 사회인지이론은 인간의 의도된 모든 행동이 주도성의 발현이라고 보는 반면, 자기결정성이론은 진정한 의미의 자아가 통합되고 결정된 상태에서 비롯되는 모든 행동이 주도성의 발현이라고 보았다. 전자에서는 개인을 둘러싼 사회 환경이 곧 주도성의 원천으로 기능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차지하는 반면, 후자에서는 사회 환경은 개인의 내재된 자율성을 지지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맡는다.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학습자 주도성을 둘러싼 교육현장 내 대표적인 오해에 대한 부분적 해답을 제공하는 동시에, 교실 현장에서 학습자 주도성을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A growing interest in learner agency as an ultimate goal of future education has continued. Still, there is a paucity of consensus on what learner agency is and what is a systematic approach to promote learner agency in classroom contexts based on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foundation. In the present study, I aimed to conduct a critical review about two representative theories about human agency in an educational psychology field: social cognitive theory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On the one hand, both theories share the fundamental assumptions that human agency is universal and is an ultimate ideal state that human motivation head towards. On the other hand, they have distinct perspectives about the detailed conceptual definition of agency and the role of social environment in exercise and expression of agency. Social cognitive theory posits that all intentional behaviors are agentic, whereas self-determination theory argues that truly self-determined behaviors satisfying individual’s basic psychological needs are agentic. In the former, social environment surrounding person plays a key role in functioning as an origin of human agency, while in the latter, social environment plays an auxiliary role in supporting person’s intrinsic need for autonomy.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I attempted to provide partial solutions that correct misunderstandings about learner agency and to suggest guidelines supporting learner agency in classrooms.

      • 의식에너지 단계와 명상법의 분류에 관한 연구

        이민혜(MinHye Lee),Yan Zhang,심인섭(InSop Shin),송방호(BangHo Song),정동명(DongMyong Jeong) 韓國精神科學學會 2012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3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or the classification of effective meditation techniques and analysis of the prerequisites concerned with consciousness level, Classification methodology based on consciousness map by the David R. Hawkins in his book Power vs Force classified as human consciousness logarithmic values under the guidance of each individual consciousness level. The history of meditation and meditation techniques of yoga and Zen before occurred, due to various meditation method has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industrialization and the information age, an era of infinite competition of their respective spiritual impoverishment of humanity and the decline in the quality of life improved, or Psychosomatic s in the field of without radiation and drugs to patients a way to heal is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is a trend. However, meditation used as a tool for the relaxation and traditional religious awakening and enlightenment through the self-completion, It can not use same meditation method, apply to overcome stress and to seek mental health mindfulness(MBSR). So, demand has been increased development the new scientific meditation techniques in order to meditate more objective and efficient because of the meditation depending on what the purpose of pursuing different. Accordingly, the 17 stages of human consciousness from shame 20 to 1000 enlightenment was classified into 3 level,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analyzed the prerequisite for the achievement of the purposes of medit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성취목표 척도에 따른 청소년 학습자의 수학교과 다중목표 프로파일 탐색

        이민혜(Minhye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1

        본 연구는 상이한 개념적 모형을 토대로 개발된 세 개의 성취목표 척도를 사용해 각 척도에 따른 청소년의 수학교과 다중목표 프로파일 유형의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총 384명의 중고등학생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3요인 성취목표지향성척도(PALS), 2×2 수정된 성취목표척도(AGQ-R), 4요인 성취목표척도(AGI) 중 하나의 척도에 무선 할당되어 응답하였다. 위계적 군집분석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척도에 관계없이 모든 목표를 비슷한 수준으로 추구하는 다중목표 상, 하 프로파일이 공통적으로 발견되었다. 척도에 따라 고유한 프로파일도 함께 발견되었는데, 3요인 성취목표지향성척도(PALS)에 대한 응답에서는 숙달목표 하, 수행목표 하 프로파일이 추가적으로 발견되었다. 이 중 다중목표 상 프로파일이 다른 프로파일에 비해 높은 수준의 자기효능감과 흥미를 보였으며, 숙달목표 하 프로파일이 가장 낮은 동기수준을 보였다. 수정된 2×2 성취목표척도(AGQ-R) 문항에 응답한 학생들로부터는 다중목표 상, 하 프로파일과 더불어 접근목표 상 프로파일이 도출되었으며, 다중목표 상과 접근목표 상 프로파일이 다중목표 하 프로파일에 비해 높은 자기효능감과 흥미를 나타냈다. 4요인 성취목표척도(AGI) 문항에 응답한 학생들 사이에는 다중목표 상, 평균, 하 프로파일에 추가적으로 규준중심 수행목표 하 프로파일이 관찰되었다. 다중목표 상 프로파일이 다른 프로파일에 비해 적응적인 양상을, 다중목표 하 프로파일이 가장 비적응적인 양상을 보였다. 종합해볼 때, 3요인 성취목표지향성척도(PALS)가 청소년이 지각하는 하위 성취목표의 질적 차이를 가장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different patterns in adolescent students’ multiple goal adoption in mathematics by incorporating three widely accepted achievement goal scales with a person-centered approach. A total of 384 Korea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each assigned to answer a different achievement goal scale: The Patterns of Adaptive Learning Scales (PALS; Midgley et al., 2000), Achievement Goal Questionnaire-Revised (AGQ-R; Elliot & Murayama, 2008), and Achievement Goal Inventory (AGI; Grant & Dweck, 2003). Hierarchical cluster analyses with three different sets of responses determin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distinct profiles across the scale. Students who answered PALS were classified into four profiles consisting of high multiple goal, average multiple goal, low mastery goal, and low performance goal profiles. Among them, those with high and average multiple goal profiles showed higher scores in math self-efficacy and interest compared to the other profiles, whereas those with low mastery goal profile displayed the least adaptive patterns in motivation. For students responding to AGQ-R, three profiles with high multiple goal, low multiple goal, and high approach goal profiles were drawn. Those with high multiple goal and high approach goal profiles showed higher self-efficacy and interest than those with low multiple goal profile. Students who answered AGI were classified into high multiple goal, average multiple goal, low multiple goal, and low normative performance goal profiles. Those with high multiple goal profile were most adaptive, whereas those with low multiple goal profile were the least adaptive in both self-efficacy and interest.

      • KCI등재
      • KCI등재

        다중 생체신호 측정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이민혜(Minhye Lee),정기수(Gisoo Chung),정동명(Dongmyong Jeong) 대한전자공학회 2017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4 No.7

        병원 현장에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환자감시장치에서 기본적으로 다루고 있는 주요 생체신호의 측정과 데이터의 분석이 가능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수용하고자 심전도와 산소포화도 측정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측정된 생체신호를 블루투스를 통해 간호스테이션 상의 서버로 전송되고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의료진이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프 파형과 수치로 표현된다. 설계한 시스템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와 기존 장비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비교하여 본 시스템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In order to apply the patient monitoring system to the hospital field,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measure and analysis data the major bio-signals that are basically covered by the existing patient monitoring system. We have implemented a wearable device and the patient monitoring system for measuring ECG and oxygen saturation. The implemented system transmits the measured bio-signal to the server on the nursing station via Bluetooth. It is represented by graph waveforms and numerical values that can be checked by the medical staff in the patient monitoring system. The validity of this system is verified by compar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designed system with the data obtained from the conventional equipment.

      • 스마트 의류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연구

        이민혜(MinHye Lee),정기수(GiSoo Chung),주문일(MoonIl Joo),정동명(DongMyong Jeong) 대한전자공학회 2016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6

        Recently, the U-Healthcare market is growing at a rapid pace by development of wireless network market and increase of people"s attention on health care. An example of this is wearable devices with healthcare function, mobile health apps, etc. Despite this development, hospital monitoring system has been still used in constraining way. In order to identify health of hospital patients have to connect electrodes and various sensors, medical devices the front on the patient"s body. In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designed the smart garment and the monitoring system. Through this, be able to measure for the patient"s health status in the non-restraint way. Smart garment is interconnecting to the module and sensor, battery and clothes through digital yarn, and it"s able to detachable. like this, transmit to the monitoring system through Bluetooth for measured bio-signal data of patients on non-restraint.

      • KCI등재

        목표개념에 대한 새로운 접근: “왜-무엇을-어떻게”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으로서 목표

        이민혜 ( Lee Minhye ) 안암교육학회 2017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1

        이 논문에서는 목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문헌연구를 종합하여 역동적 의사결정 과정으로서 목표개념을 새롭게 제안하고자 하였다. 목표는 인간 동기의 원천으로서, 동기적 행동이 시작되고 유지되는 전 과정을 관장한다. 하지만 각기 다른 이론과 연구마다 정의하고 있는 목표의 수준과 범위가 너무 다양하여 이론 간 소통이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먼저 기존의 목표 관련 이론들을 다섯 가지 중요 요소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 결과를 토대로 목표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목표란 개인이 이루고자 하는 다면적이며 위계적인 최종 상태를 구조화하고 실행에 옮기는 동기적 과정으로 정의 하였다. 이는 목표 지향적 활동 시 요구되는 세 가지 질문인 “왜-무엇을-어떻게”에 대한 해답을 찾는 과정이기도 하다. “왜”라는 질문은 목표의 생성단계를 의미하며, 목표의 원천이 되는 경험에 대한 의식적, 무의식적 해석을 바탕으로 인지적 스키마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무엇”에 대한 질문은 목표의 설정단계를 의미하며, 목표의 내용과 구조를 설정함으로써 목표 표상을 보다 구체화 시키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어떻게”라는 질문은 설정된 목표를 실행에 옮기는 단계로, 실행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과 자기조절 과정이다. 마지막 장에서는 이와 같이 새롭게 제안된 목표개념을 청소년 학습자들이 지니는 실질적 고민들과 연관 지어 해결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Questions of why, what, and how represent the new perspective on goal construct. This paper proposed a novel approach toward the goal construct as a dynamic decision-making process.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agreed that goals initiate and sustain human motivation. In spite of the consistency in emphasis on goals, there are apparent inconsistencies in definitions of goal construct across theories and research. These inconsistences hinder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about goal construct, which in turn leads to jingle-jangle fallacy. Therefore, on the basis of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 defined the goal construct as a multifaceted and hierarchical decision-making process to structure desired end-states. The first process is generating goals, which can be also called “why” process. During this phase, individuals generate cognitive schema about general direction of desired end-states based on the conscious and nonconscious interpretation of subjective experience. The second process is goal setting, which can be called “what” process. Here, individuals clarify contents of multiple goals and structure hierarchy and priority of them. The last process is implementing goals, “how” process. This process contains decision making about whether he/she decides to implement the goal or not and how to execute goal-directed behaviors. In the last section of this paper, I tried to suggest several practical applications of this new perspective for adolescents, who struggle with why-what-how to have goals in learning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