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해군사관학교 해양체육 교육서비스품질과 사관생도의 회복탄력성 및 학교생활만족 간의 관계

        이민주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해군사관학교 해양체육 교육서비스품질과 사관생도들의 회복탄력성 및 학교생활만족 간의 관계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 사관생도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398명의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이중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된 43부의 자료를 제외한 총 355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목적에 따라 통계프로그램인 SPSS v22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서비스품질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서비스품질의 공감성은 회복탄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서비스품질이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서비스품질의 유형성은 학교생활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이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해군사관학교 해양체육 프로그램의 교육서비스품질 향상과 성과 변수의 관리를 통한 경쟁력 제고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情報 네트워크를 이용한 中小企業間 協同化 및 戰略的 提携에 관한 연구

        이민주 단국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ly undergo a change business enviroment. Therefore small business take hold of business chance previous negative lines cast off the on positive lines stratgic management established that adaptability, information and rapidness. There is used of the method raised a small business to small business cooperation and industrial technological exchange and our country each year expedite the proceeding increase but the exchange level is not enough. Business information network is fonned internal information or external information as well as cooperation had joined and that raised competitive power have to establish the foundation strategic business management concerning a product, a market, a technical power. Therefore small business information detabse or network have need to actively support of goverment and the following make a profit as if established on enterprise information network. ① Among small businesses exchange by information network is formed active exchange of research worker and research information. ② Thus, it is easy to market entry into a new goods production, with loss of cost, new technical import. ③ There are joined idea or know-how with cooperation company. ④ It is possible economic of sacale with joint puchase, joint marketing. ⑤ It is reduced risk concerning unreliability. The present and the future will be the competition of information, the competition of time. Still network establish of a small and medium business are the facts of the case almost not recognized. But Internationalization, the opening period for the sake of endure through a small business in competition be arised strategic manage(small business exchange by information network establishment) . So I think that active research is in need of this part.

      • 카본-코팅 광촉매 TiO2을 이용 난분해성 유기 화합물의 흡착특성과 광분해 특성연구

        이민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Carbon-coasted TiO2 samples were prepared from the mixture of poly vinyl alcohol (PVA) and commercial TiO2 (P-25) with different mass ratios at heating temperatures of 500-900℃ for 1h in high-purity Argon gas flow. The samples were characterized by XRD, SEM, TEM, TGI and BET analyses. The adsorption properties and photocatalytic activities of commercial and carbon-coated TiO2 catalysts were compared for the photodegradation of methylene blue (MB).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MB was investigated in a batch photocatalytic reactor, using TiO2 as a photocatalyst and a UV lamp as a light source. The effects of various parameters such as the initial MB concentration, and the initial pH on the MB degradation rate of TiO2 photocatalysis were examined. In the presence of both UV light illumination and TiO2 catalyst, MB was more effectively degraded than with either UV or TiO2 alone. The reaction rate was found to obey pseudo first-order kinetics represented by the Langmuir?Hinshelwood model. Interestingly, we found that the carbon-coated TiO2 showed high resistance for anatase transformation to rutile at high temperatures up to 1073℃. It was also observed that carbon-coated samples gave faster kinetics for the oxidation of organic molecules. 카본-코팅 광촉매를 고온 열소 성법으로 제조 하였다. 폴리비닐알콜(PVA)과 P-25(Degussa) 광촉매를 각각 다른 비율로 혼합하여 1시간 동안 알곤 가스 분위기에서 500~900℃ 고온처리 하였다. 만들어진 샘플은 XRD, SEM, TEM, TGI 그리고 BE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흡착특성과 광촉매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업용 광촉매(P-25)와 카본-코팅 광촉매를 이용하여 MB의 광촉매 분해 실험을 하였다. 메틸렌블루 광촉매 분해 실험은 회분식 반응기에서 광촉매와 UV램프를 이용하여 수행 하였다. 또한 초기농도, 초기온도 조건을 변화하여 광촉매 TiO2을 이용하여 메틸렌블루에 반응속도 상수를 구하였다. UV램브와 광촉매 만을 이용한 영향을 보기 위해 UV램브 만을 이용한 실험과 광촉매만을 이용한 실험을 하여 광촉매의 흡착성능과 UV만을 이용하였을 때에 분해 특성을 실험하였다. 전체적인 반응속도 상수는 준 일차반응을 보였으며 반응속도 상수를 구하기 위해 Langmuir-Hinshelwood 모델식을 이용하였다. 흥미로운 점은 기존의 광촉매는 600℃ 온도에서 상이 변화하였으나 카본 코팅 TiO2는 800℃ 높은 온도에서 아나타제 상이 루타일 상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카본 코팅 광촉매 TiO_(2)가 유기물질 산화에 높은 반응속도와 흡착성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지원, 위 잔여량 및 영양상태

        이민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지원, 위 잔여량 및 영양상태 Nutrition Support, Gastric Residual Volume and Nutritional Status of Patients Receiving Enteral Nutrition Feeding in ICU 간호학과 이 민 주 지도교수 강 지 연 본 연구는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 영양지원, 위 잔여량 및 영양상태에 대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지원을 최적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B광역시 소재 일 대학병원의 내과계, 외과계, 신경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52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6월 23일부터 9월 10일까지이다. 연구도구는 조사자가 개발한 조사지로 연구도구의 주요항목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임상적 특성, 영양지원, 위 잔여량, 영양상태 및 영양관련 특징이다. 영양지원 항목에는 1일 처방열량, 1일 공급열량, 처방률, 공급률이 포함된다. 1일 열량요구량은 Harris-Benedict 공식에 의한 기초대사량에 활동지수와 부상지수를 곱하여 산출하였다. 영양상태는 혈청 알부민과 총 림프구수로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0.0 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맥네마 검정, 대응표본 T 검정, 독립표본 T 검정, 반복측정 분산분석법, 스피어만 단순상관분석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최초 경장영양 시작일은 평균 중환자실 입실 5.75 (±3.90)일이었다. 2.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지원 정도는 평균 처방률이 51.6%, 평균 공급률 49.1%이었다. 경장영양 5일간 1일 열량요구량과 비교한 1일 처방 열량 및 1일 공급열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경장영양 5일 동안 기간에 따른 처방률과 공급률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12.84, p=<.001/ F=13.13, p<.001). 3.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50%가 한 끼 이상의 영양공급 중단을 경험 하였다. 그 이유는 호흡기계 문제가 34.6%로 가장 많았고 검사 및 수술이 23%, 소화기계 문제가 11.5%, 임상상태 악화가 9.6%를 차지하였고 이어서 위 잔여량과 환자 거절이 각각 7.7%, 비위관 문제가 5.8%이었다. 4. 영양공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대상자의 특성은 최초 경장영양 시작일(t=-2.99, p=.004), 인공호흡기 사용(t=2.32, p=.024). 승압 제 사용(t=2.15, p=.042), 진정제 사용(t=2.97, p=.005), 영양공급 중단경험(t=2.20, p=.032)이었다. 5. 위 잔여량은 평균 1.76±10.12 cc이었고, 95%가 10cc 미만이었다. 6.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상태에 있어서 알부민은 중환자실 입실일에 비해 재원기간 평균값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t=5.755, p=<.001), 총 림프구수도 중환자실 입실일에 비해 재원기간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t=2.147, p=.038). 7.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공급률과 알부민 변화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고, 공급률과 총 림프구수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7, p=.021).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지원은 그 시작이 늦으며 부족한 영양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 잔여량은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양상태는 입실시와 비교하였을 때 불량해지고 있었다. 따라서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의 영양지원에 대한 바른 지식과 인식 향상 및 공급개선을 위한 활동과 교육이 필요하고 이와 관련된 다양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주요어 : 중환자실, 경장영양 환자, 영양지원, 위 잔여량, 영양상태

      • 탐구 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한 '새말 만들기'의 교수·학습방안에 대한 연구 : 비계 설정자로서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이민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개정된 교육과정에 적합한 ‘새말 만들기’의 수업 지도 방법으로 탐구 학습 모형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단순한 문법적 지식의 암기가 아닌 고차원적인 문법 사고력 증진에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행 교육과정과 중학교 국어 교과서 7종을 분석하여 탐구학습 모형을 활용한 ‘새말 만들기’ 교육에서의 적절한 교육 내용과 교사의 역할 및 태도는 무엇인지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새말 만들기’를 학습함으로써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탐구 활동을 할 수 있음을 밝혔다. 첫 번째로 학생들은 이미 배운 문법의 학습 내용들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점검하는 것으로서의 ‘후향적 탐구하기’를 할 수 있다. 그 후 학생들은 새말의 필요성을 느끼고 새말을 직접 만들면서, 학습한 새말 만들기의 원리를 일반화 시켜보는 ‘전향적 탐구’를 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탐구 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한 ‘새말 만들기’의 수업에서 학습자 변인, 교사 변인, 학습 과제 변인 등에 따라 교사가 설정할 수 있는 비계 설정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학습자의 수준이 높고, 교사가 교사 중심의 교수 방법을 선호하며, 학습 과제가 복잡할 때 ‘직접적 비계 설정이 필요하다. 반면 학습자의 수준이 낮고, 교사가 학습자 중심의 교수 방법을 선호하며, 학습과제가 단순할 때에는 ‘간접적 비계 설정’이 적절하다. 그러나 실제 수업에서는 여러 변인이 충돌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교사는 수업 상황에서 적절한 비계를 적극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 재조합 대장균을 이용한 헴 또는 포르피린 유도체의 효율적 생산을 위한 생산 균주 개량 및 화학적 한정배지 개발

        이민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헴(heme)은 프로토포르피린(protoporphyrin)에 Fe2+이 배위 결합한 착염으로 헤모글로빈(hemoglobin), 미오글로빈(myoglobin), 카탈라제(catalase), 퍼옥시다 제(peroxidase), 사이토크롬(cytochrome)등 구조에 들어가 생체 내 분포하며, 헤모글로빈이나 미오글로빈에 결합하여 생체 내에서 산소 운반과 저장 기능을 하는 생체 내 중요한 테트라피롤(tetrapyrrole)이다. 선행 연구에서5-aminolevulinic acid synthase(hemA), NADP-dependent malic enzyme(maeB), dicarboxylate transporter(dctA)를 동시 발현한 재조합 대장균(W3110/pTrc(PlachemA+-maeB-dctA))을 숙신산(succinate)이 포함된 복합배지(complex media)에서 배양 하여 헴 생산을 유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재조합 대장균의 헴 생합성을 산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복합배지가 아닌 최소배지(minimal media)를 기본으로 한 화학 한정배지 (chemically defined media)를 구축하였다. 헴 전구체의 C4 대사 강화를 위해 배지에 sodium bicarbonate를 CO2 제공원으로 첨가하면 헴 생합성이 증대되지만, pH의 변화를 야기하여 세포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sodium bicarbonate를 첨가하였을 때 pH 완충작용을 위해 기존의 64mM의 phosphate buffer를 100mM로 증가시켜 최소배지에 첨가한 결과 재조합 대장균의 헴 생산이 0.35μM에서 0.55μM로 약 60% 증가 하였다. 완충용액이 첨가된 최소배지에 주요 성장인자(1mg/L thiamin, 0.01mg/L biotin, 5mg/L nicotinic acid, 1mg/L pantothenic acid, 1.4mg/L cobalamin)를 선별하여 첨가한 배지에서 헴 생산량이 0.8 μM 로 최소배지(0.35μM)와 비교했을 때 약2배 정도 증가 하였다. 구축된 화학 한정배지 내 포르피린 유도체와 헴은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scopy(LC/MS)를 이용하여 물질분석 하였다. 화학 한정배지의 산업적 이용 가능성과 포르피린 유도체, 헴 분석을 통한 병목지점 확인 후 대사공학적 전략 수립을 위해 생물반응기에서 발효를 수행하였다(pH 6.5, 3L). 그 결과 0.6μM의 헴과 29μM의 5-아미노레불린산(5-aminolevulinic acid, ALA), 0.07μM 코프로포르피린I(coproporphyrinI), 0.21μM의 코프로포르피린III (coproporphy -rinIII), 0.23μM의 유로포르피린(uroporphyrin)이 생산되었다. 위 결과를 토대로 5-아미노레불린산, 포르포빌리노젠, 유로포르피린, 코프로포르피 린의 생산을 차례로 증가시켜 궁극적으로 헴 과 생산을 유도하는 균주를 획득하기 위하여 pantothenate kinase(coaA)를 포함한 헴 생합성 유전자를 재조합 대장균과 동시 발현 시켰다. 발현된 유전자는 세포 내 CoA pool 을 증가시켜 5-아미노레불린산 생합성을 증진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pantothenate kinase(coaA) , 그리고 5-아미노레불린산을 포르포빌리노젠으로 전환시키는 aminolevulinic acid dehydratase(hemB), 포르포빌리노젠을 1-하이드록시메틸빌레인(1-hydroxyme -thylbilain, HMB)으로 변환시키는 효소인 1-hydroxymethylbilane synthase (hemC)와 1-하이드록시메틸빌레인을 tetrapyrrole ring 형태로 변환시키는 uroporphyrinogenIII synthase (hemD), 유로포르피린III을 코프로포르피린III 으로 변환시키는 uroporphyrinogen decarboxylase (hemE)이었다. coaA를 재조합 대장균에서 동시 발현시킨 균주에서는 5-아미노레불린산 생산량이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1.79mM/g-dcw에서 4.41mM/g-dcw 로 2.5배 증가하였고, coaA와 함께 hemB와 hemC를 발현시킨 결과 유로포르피린이 38.23μM/g-dcw로 coaA만 발현시킨 균주(1.12μM/g-dcw)보다 34배 증가하여 5-아미노레불린산의 증가가 유로포르피린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헴 생합성에서는 hemB와 hemC를 각각 발현시킨 경우 0.23μM/g-dcw, 0.18μM/g-dcw로 대조군(0.35μM/g-dcw)과 비교했을 때 35%~50% 감소 하였으나, hemD와 hemE를 각각 발현시킨 균주에서 0.47μM/g-dcw, 0.39μM/ g-dcw로 1.1~1.3배 증가 하였다. 또한 coaA만 발현시킨 균주는 헴 생산량이 0.82μM/g-dcw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2.3배 증가하였으나 coaA에 hemB, hemC를 동시에 과 발현 시킨 결과 0.88μM/g-dcw로 coaA만 발현시킨 균주와 비교했을 때 거의 변화가 없었다. 이는 hemB와 hemC의 발현효과가 헴 생산까지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coaA와 함께 hemD와 hemE를 동시 발현시키는 것이 헴 생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재조합 대장균의 헴 생산을 산업적 용도로 이용하기 위한 화학적 한정 배지를 조성하였고, 물질분석을 통해 헴과 포르피린 유도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분석된 포르피린 유도체와 헴을 토대로 중간체 축적을 최소화 하기 위한 대사공학 전략을 수립하였고 pantothenate kinase coaA와 5-aminolevulinic acid dehydratase hemB, 1-hydroxymethylbilane synthase hemC를 재조합 대장균과 함께 발현 시킴으로써 포르피린 유도체와 헴 생산을 증대 시켜 재조합 대장균의 산업화를 위한 균주 개발의 기틀을 마련 하였다. We have reported previously that a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HMD)co-expresses 5-aminolevulinic acid (ALA) synthase, an NADP-dependent malic enzyme, and a dicarboxylate transporter-produced heme, an iron-chelated porphyrin, in a succinate-containing complex medium. To develop an industrially plausible process, a chemically defined medium was formulated based on M9 minimal medium. Heme synthesis was enhanced by adding sodium bicarbonate, which strengthened the C4 metabolism required for the precursor metabolite, although a pH change discouraged cell growth. Increasing the medium pH buffering capacity(100mM phosphate buffer) and adding sodium bicarbonate enabled the recombinant E. coli to produce heme at rates 60% greater than those in M9 minimal medium. Adding growth factors (1 mg/L thiamin, 0.01 mg/L biotin, 5 mg/L nicotinic acid, 1 mg/L pantothenic acid, and 1.4 mg/L cobalamin) also induced positive heme production effects at levels twice of heme production in M9-based medium. Porphyrin derivatives and heme were found in the chemically defined medium, and their presence was confirmed by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scopy (LC/MS). The formulated medium allowed for the production of 0.6μM heme, 29 μM 5-aminolevulinic acid, 0.07μM coproporphyrinI, 0.21μM copropor -phyrinIII, and 0.23μM uroporphyrin in a 3L pH-controlled culture. To obtain the strain for heme over production through increase of the amount of 5-aminolevulinic acid, porphobilinogen, uroporphyrin, copro-porphyrin and heme, we constructed the recombinant strain harboring many genes related to heme production. There were pantothenate kinase(coaA) which expected to promote 5-aminolevulinic acid biosynthesis by increasing CoA pool in the cell. 5-aminolevulinic acid dehydratase(hemB) that convert 5-aminolevulinic acid into porphobilinogen, 1-hydroxymethylbilane synthase(hemC) that convert porphobilinogen into 1-hydroxymethylbilain, uroporphyrinogen -III synthase (hemD) that convert 1-hydroxymethylbilane in the form of tetrapyrrole ring, and uroporphyrinogenIII decarboxylase (hemE) that convert uroporphyrinogenIII to coproporphyrinogenIII. In the strain HMD-A(HMD harboring coaA gene), 5-aminolevulinic acid production was 2.5-fold increased from 1.79mM/g-dcw to 4.41mM/g -dcw compared with control, and the HMD-ABC(HMD harboring coaA, hemB and hemC) uroporphyrin was 38.23μM/g-dcw, being 34 times increase than the strain expressed only by coaA(1.12μM/g-dcw).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ment of 5-aminolevulinic acid affects the amount of to uroporphyrin. In the heme production, in case of hemB and hemC was expressed respectively, there indicated 0.23μM/g-dcw, 0.18μM/g-dcw, and 35%~50% decreased compare to control. However, heme production of the strain HMD-D(HMD harboring hemD) and HMD-E(HMD harboring hemE) was 0.47μM/g-dcw and 0.39μM/g-dcw and increased 1.1~1.3 times. Heme production of HMD-A was 0.82μM/g-dcw and increased 2.3 times compared to the control, however, heme production of HMD-ABC was 0.88μM/g-dcw and not changed largely with that of HMD-A. This results indicate that the effect of hemB and hemC expression does not lead to until heme production. Therefore, the simultaneous expression of coaA, hemD and hemE shown to be helpful in heme production. In conclusion, the formulations of defined medium adapted for heme biosynthesis in industrially plausible process using recombinant E. coli HMD strain and confirmed that heme and other porphyrin derivatives were produced concurrently. Based on analyzed heme and porphyrin derivatives, the metabolic engineering strategy was established to minimize accumulation of intermediate, and the recombinant strain were constructed, which co-expressed coaA, hemB and hemC. It would be helpful for development of strain using industrial fields.

      • 한국의 생물다양성 중요도 평가

        이민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생물다양성의 관리는 지구환경문제가 부각될수록 국제적인 이슈가 되어 오고 있다. 제10차 생물다양성 국제회의에서는 아이치타겟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를 형성하였는데 2020년까지 숲을 포함한 자연서식지의 손실 비중을 절반에서 0%로 줄이고 내륙지역은 17%, 해양과 해안지역에서는 10%의 보호지역을 설정하도록 하는 것 등을 국제적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국가에서는 생물다양성 관리를 위한 국가전략을 수립하고 국제적 목표에 부합하는 실천을 해야 하며, 생물다양성의 국가적 주권 확보는 국가의 중요한 경쟁력 지표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의 국토 전반적 시각에서 생물다양성이 중요한 지역을 선정하고자 할 목적으로 생물다양성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보전관리 시 생물다양성이 높아질 잠재성이 있는 지역, 생태적인 거점 역할을 하는 지역, 실제로 생물다양성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중요도를 평가하였으며,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위협적인 요소를 함께 분석함으로써 중요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위해요소가 상존하여 시급한 관리를 필요로 하는지도 의사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물다양성 평가에 대한 기존 연구동향 및 사례분석 결과 전 국토를 대상으로 생물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의 틀과 기준을 제공할 필요가 있었다. 생물다양성 대표성 및 평가가능 범위 등을 고려하여 잠재성, 예민성, 거점화 가능성, 보전성에 대한 4개의 평가영역과 8개 지표를 개발하였다. 2. 우리나라 지형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주로 백두대간 산맥과 남해안 일부 지역에 점수가 높게 편중되어 나타났다. 설악산국립공원, 대암산 용늪 등 습지와 자연공원이 입지하고 있는 백두대간 일대가 80점대로 가장 높았으며 섬진강 하구지역을 중심으로 한 영산강 유역일대의 생물다양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3. 지자체별로는 전국 평균 48.61점이 도출되었으며, 생물다양성 중요도가 가장 높은 지자체는 양구군 일대(53점), 가장 낮은 곳은 부천시(31점)으로 나타났다. 습지 및 산지 등의 입지, 개발 등의 영향요소가 생물다양성 중요도에 영향을 크게 주고 있으므로 지자체별 생물자원 관련 계획수립 시 주변 산지 및 생물자원 요소를 최대한 발굴하여 생물다양성을 확보하고 영향요소로부터의 훼손을 최소화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4. 대유역별 생물다양성 중요도 분석 결과, 한강유역, 영산강유역, 금강유역, 낙동강유역 순으로 나타났다. 중요도 점수가 높게 분포하는 강원도 일대의 산림자원과 법적 보전지역들이 한강유역에 속하면서 다른 유역에 비해 높게 평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소유역 중에서는 한강유역의 북한강, 소양강 일대, 금강유역의 무주 남대천 상류, 낙동강 유역의 왕피천과 동계천, 영산강 유역의 순천만, 섬진강 상하류가 상등급으로 분류되어 생물다양성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국가하천을 중심으로 생물다양성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므로 국가 관련정책 및 연관사업 시행 시 국가하천과의 연계성을 파악하고 고려해야할 것이다. 5. 생태지역별 생물다양성 중요도 분석 결과 산악권역(59.76점), 남서산야권역(58.10점), 남동산야권역(53.95점), 중부산야권역(48.30점) 순으로 나타났다. 최저 33.95점에서 최대 73.19점의 평균점수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북한강상류, 금강상류, 남강 상류 일대가 70점대로 생물다양성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악권역은 산림 수목생육에 적합한 온도와 산지, 호수가 많으며 대형포유류 등 야생동물 서식지할 수 있는 넓은 산악지 등이 분포하여 생물다양성이 높게 분석되었다. 설악산 일대의 산지축을 보전하고 동물서식지를 중심으로 한 산림생물다양성 확보를 위한 정책 및 계획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생물다양성 관리를 집중적으로 해야 할 지역을 선별할 수 있으며 보전지역 관리를 위한 집중 고려대상을 파악하여 환경보전 및 복원계획 수립 시 지역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용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호지역별 보호 정책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둘째, 보호지역별 중요도 결정요인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국지적 관리방침 설정이 가능하다. 셋째, 지역별 생물다양성 중요도를 지정함으로써 지자체별 관리 우선순위 결정이 가능하다. 넷째, 지자체별 환경계획수립, 발전계획 수립 등 생물다양성이 높은 지역에 대한 인식 증진과 정책반영이 가능할 것이다. The biodiversity management has been an international issue as the global environmental problem becomes more controversial. At th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Biodiversity, an international consensus has been formed around "Aichi target". New international targets have been set as follows; loss of natural habitat including forest is to be reduced by half or to zero percent and reservation in inland areas and the coastal areas is to be expanded up to 17% and 10% respectively by the year 2020. Likewise, each country is bound to plan a national strategy for the management of biodiversity, perform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targets, while securing national sovereignty over biodiversity as it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a nation's competitiveness. It evaluated the importance of biodiversity with a purpose of selecting the regions significant for maintaining biodiversity under the overall view of a nation-wide territory. The study evaluated the potential regions for growing biodiversity under preservation management, the ones that play their role as biodiversity footholds, and the ones that already have a high level of biodiversity;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threaten biodiversity, it made decision-making possible over whether urgent management in the important areas that currently receive hazardous threat is necessar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and trends in preceding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biodiversity, it was found that a framework for evaluating biodiversity throughout all regions in Korea was needed. Taking representativeness of biodiversity, and the possible extent of evaluation, etc. into consideration, it was possible to develop 4 evaluation areas and 8 indicators concerning potential, sensibility, possibility for development of foothold, and maintainability. 2. As a result of analysis in comparison to geography in Korea, high scores were shown primarily in Bakdudaegan mountain ranges and a part of the southern coast. National Park in Mt. Seorak the whole Bakdudaegan region, where wetlands of Mt. Daeam Yong Swamp and natural parks are located, have scored as highest as 80, and the biodiversity of the whole regions of Yongsan River basins around Sumjin river estuaries were evaluated to be high. 3. The national average score by municipal governments was drawn to be 48.61 points, and YangGu District turned out to be the local government with the highest biodiversity importance (53 points), whereas Busan City scored the lowest (31 points). Since the influential factors of specific location of wetlands and mountain areas, and development, et cetera affect biodiversity significance, efforts of securing biodiversity by discovering surrounding mountain areas and biological resource factors under the biological resources related planning by each local government at maximum and minimizing the damage from influential factors, et cetera are of key importance. 4. The analysis results of biological importance in large river valleys suggested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in the following order: Han River basins, Yongsan River basins, Geum River basins, and Nakdong River basins. As the forest resources and legally preserved area in the areas of Kangwondo with distribution of generally high scores of importance were included as a part of Han River Basins, it is suggested that they are better evaluated than other basins. In the midst of the small river valleys, Bukhan River of Han River Basins, the whole regions of Soyang River, the upper stream of Muju Namdae Brook around Geum River basins, Wangpi brook and Donggae brook of Nakdong River, Sunchun bay of Yongsan River basins, and the upper and lower streams of Sumjin river were classified as a high grade to show high biological importance. As biological importance of the areas surrounding national stream systems had been analyzed to show biological importance, connectivity to national stream systems, if nation-related policies as well as associated businesses are to be implemented, should be apprehended and regarded. 5. The biological importance analysis of each bioregion resulted in the scores that were suggested in the following order: mountainous regions (59.76 points), the south-western fields and mountains (58.10 points), the southeastern fields and mountains (53.95 points), and the central part of fields and mountains (48.30 points). It appeared that the distribution of average scores ranges from the lowest 33.95 points to the highest 73.19 points, and was analyzed that the upper stream regions of Bukhan River, Geum River, and Nam River scored 70 points, which was high enough to show biological importance. Because of the fact a broad range of mountains contained the mountainous regions that consisted of mountains and rivers with temperatures fit growth and development of forest shrubs, and wild animals such as large mammals and others were well distributed, they were analyzed to possess rich biodiversity. Therefore, the policies and planning of securing mountain biodiversity in and around preservation of mountainous axes of Mt. Seorak regions and animal habitats are assessed to be necessary. This study can provide assistance in identifying the regions that require intense biodiversity management and in making decisions, when apprehending targeted areas of intense preservation management to establish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plans. The utility gained through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can help determining the priority in terms of environment policies with respect to each reservation site. Second, it allows the determining factors for importance by reservation sites so that setting up localized management policies become possible. Third, by designating biodiversity importance by reservation sites, management decisions by municipal governments can be prioritized. Fourth, promoted recognition of and application of polices to the regions with high biodiversity, such as establishment of environment planning by districts and development planning, et cetera, is also feasible.

      • 경기지역 여대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식습관 및 편의식품 섭취

        이민주 가천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경기지역 여대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식습관 및 편의식품 섭취에 관한 연구 이 민 주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영양교육전공 지도교수 장 재 선 본 연구는 2019년 9월부터 10월까지 경기지역 여자 대학생 326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생활습관 및 식습관, 편의식품에 대한 섭취,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대해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학년은 1학년은 88명(27.0%), 2학년은 48명(14.7%), 3학년은 122명(37.4%), 4학년은 68명(20.9%)이었고, 거주형태는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는 학생이 262명(80.4%), 자취가 42명(12.9%), 기숙사가 22명(6.7%)이었으며, 월평균 용돈은 20만원-30만원이 134명(41.1%), 40-59만원이 112명(34.4%), 20만원 미만이 42명(12.9%), 60만원 이상이 38명(11.7%)이었다. 체질량지수등급 중 정상은 244명(74.8%), 저체중 48명(14.7%), 과체중 28명(8.6%), 비만 6명(1.8%)이었고, 편의식품을 구입정도는 1-3만원 미만이 132명(40.5%), 3-5만원 미만이 86명(26.4%), 5만원 이상이 76명(23.3%), 1만원 미만이 32명(9.8%)이었다. 학업시간은 3시간 미만 260명(79.8%), 3-5시간 미만 60명(18.4%), 5-7시간 미만(1.8%)이었고, 학업 스트레스는 ‘중’ 수준이 194명(59.5%), ‘상’ 수준이 88명(27.0%), ‘하’ 수준이 44명(13.5%)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보통’이 190명(58.3%), ‘좋지 않은 편’이 72명(22.1%), ‘좋은 편’이 64명(19.6%)으로 나타났고, 건강관심도는 ‘보통’ 수준이 218명(66.9%), ‘낮은 편’이 108명(33.1%)이었으며, 식습관 등급 중, 나쁜 식습관이 282명(86.5%), 보통이 24명(7.4%), 좋은 식습관이 20명(6.1%)으로 나타났다. 2. 생활습관과 식습관인 경우 ‘흡연을 하지 않음’ 응답이 92%로 가장 많았으며, 흡연여부는 학업스트레스에 따른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음주여부는 ‘음주를 함’이 81.6%로 가장 많았으며, 학업스트레스에 따른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음주횟수는 ‘주 1회 미만’이 42.3%로 가장 많았으며, 거주형태에 따른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운동은 ‘전혀 하지 않음’이 50.3%로 가장 많았고, 거주형태에 따른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아침식사 여부는 ‘매일 먹는다’가 22.7%로 가장 많았고, 거주형태별(p<0.001), 학업스트레스별(p<0.001), BMI(p<0.05)에 따른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이유로는 ‘시간이 없어서’가 66.3%로 가장 많았고, 거주형태별(p<0.001), 학업스트레스별(p<0.05), BMI(p<0.001)에 따른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아침식사 종류는 ‘밥과 반찬’이 51.5%로 가장 많았고, 거주형태별, BMI에 따른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점심식사 장소는 ‘학교 외부식당’이 46.6%로 가장 많았고, 거주형태별(p<0.01), 학업스트레스별(p<0.05), BMI(p<0.001)에 따른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저녁식사 여부는 ‘저녀식사를 하지 않는다’가 68.1%로 가장 많았고, 거주형태별, BMI에 따른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저녁식사를 하지 않는 이유는 ‘불규칙한 생활습관’이 55.2%로 가장 많았고, 거주형태별, 학업스트레스에 따른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하루에 간식을 먹는 횟수는 ‘1번’이 54.0%로 가장 많았고, 거주형태별(p<0.001), BMI(p<0.01)에 따른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간식시간은 ‘점심-저녁 사이’가 75.5%로 가장 많았고, BMI에 따른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간식 종류는 ‘과자류’가 39.9%로 가장 많았고, 거주형태별(p<0.001), 학업스트레스별(p<0.05), BMI(p<0.001)에 따른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간식을 먹는 이유는 ‘배고파서’가 28.9%로 가장 많았고, 거주형태별, 학업스트레스별, BMI에 따른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일주일에 야식 먹는 횟수는 ‘일주일에 1-2회’가 가장 많았고, 거주형태별(p<0.001), 학업스트레스(p<0.01)에 따른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3. 여대생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서는 외식추구형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이 3.66으로 가장 높았고, 거주형태에 따라서는 건강추구형(p<0.05)과 외식추구형(p<0.01)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대생의 학업스트레스에 따라서는 식생활라이프 스타일 모든 유형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대생의 BMI에 따른 식생활라이프 스타일은 편의추구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4. 여대생의 편의식품의 섭취형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서는 편의식품 중, 여대생들은 즉석 조리식품인 라면, 컵라면 등이 2.90으로 나타나 가장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대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편의식품의 섭취빈도를 살펴보면, 햄버거(p<0.05), 삼각김밥(p<0.001), 도시락(p<0.001), 핫바(핫도그)(p<0.001), 유부초밥(p<0.05), 소시지(p<0.05), 과일(p<0.001) 섭취빈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에 따른 편의식품의 섭취빈도를 살펴보면, 삼각김밥(p<0.05), 닭강정(p<0.001), 삶은 달걀(p<0.01), 과일(p<0.01) 섭취빈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대생의 식습관에 따른 편의식품의 섭취빈도를 살펴보면, 햄버거(p<0.01), 샌드위치(p<0.001), 도시락(p<0.001), 핫바(핫도그)(p<0.05), 김밥(p<0.05), 유부초밥(p<0.01), 삶은 달걀(p<0.05), 라면 및 컵라면(p<0.001), 덮밥류(p<0.05), 과일(p<0.01), 샐러드(p<0.01) 섭취빈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대생의 BMI에 따른 편의식품의 섭취빈도를 살펴보면, 햄버거(p<0.01), 도시락(p<0.001), 핫바(핫도그)(p<0.05), 김밥(p<0.05), 소시지(p<0.01), 라면 및 컵라면(p<0.01), 덮밥류(p<0.05) 섭취빈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편의식품의 섭취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첫째 일반적 특성 및 건강생활 습관이 편의식품 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거주형태가 자취, 기숙사일수록 햄버거, 삼각김밥, 도시락, 핫바(핫도그), 유부초밥을 통계학적으로 많이 섭취하게 되고, 과일 섭취량은 통계학적으로 적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삼각김밥과 삶은 달걀의 섭취빈도는 통계학적으로 적어지고, 김밥과 닭강정의 섭취빈도는 통계학적으로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신체상태에 따라서는 신체상태가 좋을수록 햄버거 섭취빈도가 통계학적으로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심도는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햄버거, 김밥, 케이크 섭취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적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도시락, 삶은 달걀에 대한 섭취빈도는 통계학적으로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여부는 운동을 전혀 하지 않을수록 햄버거, 삼각김밥, 유부초밥, 소시지, 라면 및 컵라면의 섭취빈도가 통계학적으로 많아졌고, 샐러드의 섭취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적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흡연여부는 흡연을 안 할수록 김밥, 과일, 샐러드의 섭취빈도가 통계학적으로 많아졌고, 샌드위치의 섭취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적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음주여부는 음주를 할수록 핫바(핫도그), 간편조리식품(구이, 찌개), 떡볶이, 덮밥류의 섭취빈도가 통계학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술을 자주 마실수록 햄버거, 핫바(핫도그), 유부초밥, 라면 및 컵라면, 간편조리식품(구이, 찌개), 떡볶이, 덮밥류의 섭취빈도가 통계학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식생활 습관이 편의식품의 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아침식사 여부는 아침식사를 하지 않을수록 햄버거, 라면 및 컵라면, 떡볶이의 섭취빈도가 통계학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삶은 달걀, 과일, 샐러드의 섭취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점심식사 여부는 점심식사를 사지 않을수록 도시락, 핫바(핫도그), 어묵, 소시지, 간편조리(구이, 찌개), 덮밥류, 샐러드의 섭취빈도가 통계학적으로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저녁식사 여부는 저녁식사를 하지 않을수록 삼각김밥의 섭취빈도가 통계학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과일의 섭취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간식횟수는 간식을 먹는 횟수가 적을수록 햄버거, 김밥, 소시지, 떡볶이, 덮밥류, 과일, 샐러드의 섭취빈도가 통계학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야식을 먹는 빈도는 야식을 자주 먹지 않을수록 햄버거, 유부초밥, 닭강정, 라면 및 컵라면의 섭취빈도가 통계학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삶은 달걀의 섭취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여대생, 생활습관, 식습관, 거주형태, 학업 스트레스, BMI, 편의식품 ABSTRACT Dietary Habits and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According to the Residence Type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 Lee, Min Ju Major in Nutritio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achon University In this study, 326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 region were analyzed for their demographics, life habits, dietary habits, and the life style regarding their consumption of the convenience food, over the perio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9.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s for the participants there were 88 (27.0%) first-year students, 48 (14.7%) second-year students, and 122 (37.4%) third-year students, while 68 (20.9%) were in their fourth year. As for the mode of residence, 262 (80.4%) were living with their parents; 42 (12.9%) were living alone outside the campus, while 22 (6.7%) were living in dormitories. As for the monthly allowance, the 200,000 - 300,000 group had 134 (41.1%) participants, while the 400,000 - 590,000 won group 112 (34.4%); less than 200,000 won 42 (12.9%), and 600,000 and upward 38 (11.7%). As for the body mass indexes, 244 (74.8%) were normal; 48 (14.7%) underweight; 28 (8.6%) overweight; 6 (1.8%) obesity. The tendency of purchasing convenience food was that 132 (40.5%) spent from 10,000 to less than 30,000 won on convenience foods, 86 from 30,000 to less than 50,000 won (26.4%); 76 (23.3%) 50,000 won or upward; and 32 (9.8%) less than 10,000 won. The time they spent studying was three to five hours in 260 (79.8%) participants, three to less than seven hours in 60 (18.4%), and five to less than seven hours in 6(1.8%). 194 (59.5%) admitted their stress level was ‘intermediate’, while 88 (27.0%) was ‘high’ and 44 (13.5%) were ‘low.’ As for the health status, 190 (58.3%) reported ‘normal’; 72 (22.1%) ‘not good’; and, 64 (19.6%) ‘rather good.’ The level of interest in health was ‘intermediate’ in 218 participants (66.9%); ‘rather low’ in 108 (33.1%). 282 (86.5%) reported their dietary habit to be ‘bad,’ while 24 (7.4%) reported ‘normal’ and 20 (6.1%) ‘good.’ 2. As for the life habits and dietary habits, 92% reported they did not smoke, and the smoking habits different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level of stress from studying (p<0.001). 81.6% reported they drank alcohol, which also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level of stress from studying (p<0.001). As for the number of drinking sessions per week, 42.3% answered ‘less than once a week,’ and this different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mode of residence (p<0.001). 50.3% of the participants answered they did not exercise ‘at all,’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mode of residence (p<0.05). As for the dietary habit with the breakfast, 22.7%, which was the highest, answered they ‘eat breakfast every day.’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mode of residence (p<0.001), level of stress from studying (p<0.001), and the BMI (p<0.05). As for the reason for not having breakfast, the majority (66.3%) answered they did not have time, while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mode of residence (p<0.001), the level of stress (p<0.05), and the BMI(p<0.001).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had ‘rice and side dish’ for their breakfast (51.5%),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mode of residence and the BMI (p<0.001). 46.6%, which was the highest, answered that they eat their lunch at restaurants outside the campus. And difference was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mode of residence (p<0.01), the level of stress (p<0.05), and the BMI (p<0.001). As for the dinner, the majority (68.1%) answered they ‘do not eat dinner,’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mode of residence and the BMI (p<0.05). 55.2% answered that they did not eat dinner due to ‘irregular life habits,’ and the difference in replies was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mode of residence and the level of stress from studying (p<0.001). 54.0% answered they ate snacks ‘once,’ in a day.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mode of residence (p<0.001) and the BMI (p<0.01). The time of eating snack was, in most cases, between lunch and dinner (75.5%). Here,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BMI (p<0.001). As for the types of the snacks, the majority was ‘confectionaries’ (39.9%),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mode of residence (p<0.001), the level of stress (p<0.05), and the BMI (p<0.001). The reason for eating snack was ‘because they were hungry’ in 28.9%, which was the highest. The difference here was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mode of residence, stress, and BMI (p<0.001). When asked how many times they ate night-time snacks, the majority answered once or twice a week,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mode of residence (p<0.001) and the level of stress from studying (p<0.01). 3. The result of the survey on the dietary habits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showed that the largest group was those with a eating-out style, while the difference based on the mode of residence was significant between the health-oriented group (p<0.05) and the eating out group (ㅊ<0.01). Based on the stress level of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no subtypes of dietary habi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ir BMI, the convenience-oriented subtype of dietary habi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4. The survey on the mode of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showed that, among the convenience foods, the result for ramen or cup noodle was 2.90, indicating that this was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category. By the frequency of eating convenience foods depending on the mode of residence, the frequency of eating hamburgers (p<0.05), onigiris (p<0.001), bentos (p<0.001), hotdog on a stick (p<0.001), inarizushi (p<0.05), sausages (p<0.05), or fruits (p<0.001) differed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 for the frequency of eating different types of convenience food depending on the level of stress from studying, the frequency of eating onigiri (p<0.05), popcorn chicken (p<0.001), boiled eggs (p<0.01), and fruits (p<0.01) diff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 for the frequency of eating convenience foods depending on the dietary habit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frequency different significantly between hamburgers (p<0.01), sandwiches (p<0.001), bentos (p<0.001), hotdogs on a stick (p<0.05), kimbap (p<0.05), inarizushi (p<0.01), boiled eggs (p<0.05), ramen and cub noodles (p<0.001), deopbaps (p<0.05), fruits (p<0.01), and salads (p<0.01). As for the frequency of eating convenience food depending on their BMIs the frequency of eating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hamburgers (p<0.01), bentos (p<0.001), hotdogs on a stick (p<0.05), kimbap (p<0.05), sausages (p<0.01), ramen and cup noodles (p<0.01), and deopbap (p<0.05). 5. As for the influential factors over the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first, the influence of the demographics and healthy life habits was as follows; the groups that lived alone outside of the campus or those living in dormitories tended to eat hamburgers, onigiris, bentos, hotdogs on a stick, and inarizushi more frequently,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consumption of fruit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stress from studying escalated, the frequency of eating onigiris and boiled eggs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the chance of eating kimbap and popcorn chickens significantly increased. Depending on the health status, the healthier ones tended to eat hamburgers more frequentl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s for the interest in health, those who were more interested in health tended to eat hamburgers, kimbap, or cakes less frequently (with significance,) while the frequency of eating bentos and boiled eggs increased significantly. As for the exercise habits, those who did not exercise ‘at all’ had more significance chances of having hamburgers, onigiris, inarizushi, sausages, ramen, and cup noodles. The frequency for them to eat a salad was significantly lower. Those who did not smoke had a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in eating kimbap, fruits, and salads, while they ate sandwiches less frequently. As for the drinking habits, the drinkers ate hotdogs on a stick, easy-to-cook dinners (broiled foods or stews), teokboki, or deopbaps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The more frequent drinkers ate hotdogs on a stick, easy-to-cook dinners (broiled foods or stews), teokboki, or deopbaps more frequently,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impact of the dietary habits on the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 was as follows; Those who tended not to eat breakfast were more significantly frequent eaters of hamburgers, ramen and cup noodles, and teokboki, while they were significantly less likely to eat boiled eggs, fruits, and salads. Those who were less likely to eat lunch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tendency of eating bentos, hotdogs on a stick, oden, sausages, easy-to-cook foods (broiled foods or stews), deopbaps, or salads. Those who were more likely to skip dinner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tendency of eating onigiris, while their chance of eating fruits was significantly lower. And, with less snack sessions, the frequency of eating hamburgers, kimbap, sausages, teokboki, deopbaps, fruits, and salads significantly increased. A lower frequency of snacking at night resulted in a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ating hamburgers, inarizushi, popcorn chicken, ramen and cup noodles, while the chance of eating boiled eggs significantly decreased. Keyword: Female university students, life habits, dietary habits, mode of residence, stress from studying, BMI, convenience foods

      •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가족 행동 관찰 평가도구의 개발

        이민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행동과 아동의 다양한 문제행동을 관찰하고 측정하기 위한 도구인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체크리스트 개발을 위해 기존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도구인 FOS-R III의 문항을 바탕으로 문제행동 전문가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추가 문항을 선별하였다. 연구 2에서는 발달장애 아동과 부모 52쌍의 놀이 상황 (10분), 지시 상황(10분) 등 상호작용을 비디오 촬영하여 파일럿 코딩을 진행하고 점수 체계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도구의 변별타당도 검증을 위해 정상발달 아동과 부모 16쌍이 참여하여 상호작용 비디오를 촬영하였다. 측정 도구는 FOS-R III와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부모-아동 상호작용 행동 관찰 체크리스트 등 직접관찰 도구와 설문도구인 문제행동 평가척도(BPI-01)였다.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여 관찰자간 신뢰도와 FOS-R III과의 공인타당도가 낮은 문항은 제거하였다. 연구 결과, 체크리스트는 적절한 내적 타당도와 높은 관찰자간 신뢰도를 보였으며 FOS-R III 및 BPI-01과의 공인타당도 또한 높게 나타나 체크리스트가 심리측정적으로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