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래공정충직절기> 연구

        이민정 고려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설중환 교수 지도 문학 석사 학위논문초록 논문제목 : <寇萊公貞忠直節記> 硏究 성명 : 이민정 국어국문학과 고전문학 전공 <구래공정충직절기>는 작자와 창작연대를 알 수 없는 국문 장편소설이다. 北宋初의 실존인물 寇準을 차용한 이 소설은 실존 인물 구준과 작자가 창조해낸 허구의 인물 구경린이 중심인물이 되어 서사를 이끌어나간다. 먼저 구준은 가문 외적 영역에서 활약하며 ‘治國’의 능력을 드러내는 인물이며 아들 구경린은 주로 가문 내적 문제 해결에서 활약하며 ‘齊家’의 능력을 부각하는 인물이다. 이들 중심인물의 곁에는 이들의 능력을 부각하거나 보완해주는 인물군이 중심인물의 특성을 강조해준다. 이같은 인물의 대조적 구성의 목적을 주제의식의 강화로 보고 이를 가문의 창달에서 확립으로 시선을 이동하려는 작자의 문제의식에서 기인한다고 보았다. 또 은거하는 처사에 대한 긍정을 통해 작자층을 명철보신에 따라 은거하는 인물로 추정하였다. 인물형상과 함께 살펴본 것은 갈등양상이다. 반복·확대되는 처처갈등은 중심갈등으로서 이에 대처하는 남성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이는 곧 가정을 국가의 소모델로서의 제시하려는 작자의 의도에서 비롯한다고 보았다. 단순한 가문내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 차원으로 치환될 수 있는 소모델로서 충·간갈등과 치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살펴본 바를 토대로 작자층을 조선후기 벌열정치가 행해진 이후 권력의 중심에서 물러나 은거하는 노론계열의 인물로 추정하였다. 살펴본 바, <구래공>은 국가와 가문의 문제를 ‘齊家’와 ‘治國’의 차원으로 치환시킴으로써 가문과 국가적 차원의 질서를 논하려는 작자의 의식지향이 나타나는 작품이다.

      • 수퍼비전이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민정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Supervision o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Professional Identity LEE, MIN JUNG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e and function of supervision and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supervision and the service providers' professional identity, and to suggest ideas to improve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professional identity.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161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from 45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and survey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performance state of supervision at the surveyed centers: - Regularity : No - Frequency : once or more a week - Required time : under 15 minutes - Type of form : individual - Time : when sign, report or ordering by supervisor - Difficulties : the pressure that both supervisors and supervisees get from overwork Second, administrative supervision was an average of 2.55(out of 5.00) which can be regarded as lower and among 5 categories of organization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supervision function of the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 disabled was an average of 2.76 which is the highest and the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centers' supervision function was 2.38 which is the lowest. Third, the recognition leve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professional identity was an average of 2.55(out of 5.00) which can be regarded as low and among 5 categories of organization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rehabilitation centers shows the recognition level 2.64 which is the highest and the psychological rehabilitations' recognition level was 2.47 which is the lowest. The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centers are performing the most appropriate supervision implemented among 5 typ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but they are providing services to limited clients, which resulted in restricted linkage to other establishments. So it causes the weakness of linkage function of supervision and this led to the general effect to low supervision function. 국문초록 수퍼비전이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담복지 전공 이민정 指 導 敎 授 정무성 본 연구는 직업재활업무에 종사하는 직업재활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각 소속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퍼비전의 실태 및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이것이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직업재활종사자의 수퍼비전 기능 강화와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직업재활종사기관을 장애인복지관, 보호작업시설, 근로작업시설, 정신장애인사회복귀시설, 공공기관 등 5개 유형으로 구분을 하였으며, 45개 기관에서 임의 표집한 직업재활종사기관에 재직중인 직업재활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재활종사 기관 전체의 수퍼비전 실태 현황은 형태는 ‘비정기적’, 횟수는 ‘1주에 1회 이상’, 소요시간은 ‘15분 미만’, 형태에서는 ‘개별적’, 실시 시기는 ‘결재, 보고 등 업무지시를 할 때’ 등에 가장 높은 비율의 응답자가 응답하였으며, 수퍼비전 실시에 있어 장애요인으로 수퍼바이저 및 종사자의 업무과다가 53.4%로 나타났다. 둘째, 수퍼비전 기능수행정도는 평균 2.55로 보통수준보다 낮았으며, 직업재활종사기관 5개 영역 중 장애인복지관의 수퍼비전 기능 평균이 2.76으로 가장 높고, 정신장애인사회복귀시설의 수퍼비전 기능이 2.38로 가장 낮았다. 셋째, 전문직업적 정체성 인식은 평균 2.55로 보통수준보다 낮았으며, 직업재활종사기관 5개 영역 중 장애인복지관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수준의 평균 2.64로 가장 높고, 정신장애인사회복귀시설의 정체성 수준이 2.47로 가장 낮았다. 직업재활종사기관 5개 영역 중 사회복귀시설에서는 가장 적극적인 형태의 수퍼비전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의 경우 특정 장애유형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 타 기관과의 연계성에 있어 제한적이어서 이는 수퍼비전 기능 중 연결기능의 약화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하여 수퍼비전의 전반적인 기능수행이 낮게 측정된 것으로 여겨진다. 넷째, 수퍼비전 기능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업무, 경력, 종사자수, 시기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작용하였으며, 행정과 서비스 업무를 구분하지 않고 수행할수록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낮았으며, 경력이 오래되고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수퍼비전을 받을수록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비전의 3가지 기능(통합, 서비스전달, 연결) 중 연결기능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향상과 수퍼비전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수퍼바이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수퍼비전을 실시하며, 직업재활현장의 특수성을 고려한 수퍼비전의 연결기능의 강화 및 업무를 세분화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대물림된 애착외상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민정 인제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대물림된 애착외상 경험의 자문화기술지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이민정 지도교수 김명찬 본 연구는 애착외상을 경험한 연구자의 개인적인 경험을 가족구성원의 관점에서 기술하며, 한국사회의 문화적 배경과 특수한 시대적 배경에서 기인한 가족붕괴와 그로인한 외상이 세대 간 전이되는 과정을 분석하여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애착외상 경험자인 연구자의 주관적 경험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양육자와의 반복된 상호작용경험을 통해 형성된 대상관계가 이후 인간관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Bowlby의 애착이론과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을 바탕으로 대물림된 애착외상의 경험과 그 회복과정에 대해 기술하였다. 정서적으로 친밀하고 의존도 높은 관계에서 발생하는 애착외상은 아동기의 즉각적 영향뿐만 아니라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쳐 개인의 부적응적인 기능과 증상에 이르게 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하지만 아동기에 형성된 애착외상은 고착되는 것이 아니라 이후 삶의 중요한사건 그리고 사회적 지지경험을 통해 변화가능하다는 것이다. 어머니의 상실과 부재가 애착외상의 원인이라 생각했던 연구자는 연구과정에서 아버지의 심리적 부재와 그에 대한 분열되었던 기억이 통합되는 경험을 할 수 있었고, 가족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애착외상대상자 이해의 기초자료와 변화 가능성의 단서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욕실변화에 따른 아파트 공간계획변화에 관한 연구

        이민정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렵에서 수세식 변기는 16세기에 발명되었으나, 인식이 변화하지 못한 점과 수세식 변기를 작동할 만한 물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한 점 때문에 300년이 지나서야 수세식 변기가 다시 부활되었고, 1500년경에는 화장실로서 벽장 속에 변기나 요강이 들어가는 구조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18세기말에 이르러 벨브장치를 갖춘 현대식 수세식 변기가 등장하였고, 배변에 대한 의식이 바뀜에 따라 변기 의자는 점차 사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옷장 속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독탕은 대충 목욕이 금기시되던 시기 이래로 출현하였고, 19세기 중반 미국에서는 목욕이 일상화되었다. 그리고, 서양의 물을 밖으로 흘리지 않고 욕조 안에서 목욕을 끝내는 입욕 방식과 배설, 목욕을 위생행위라 생각하는 사고방식으로 인해 20세기에는 독립된 한 방에 변기와 욕조가 함께 있는 욕실이 계획되었다. 우리 나라의 변소와 목욕공간은 각각 다른 위치에서 발전하여 오다가 개화기 이후부터 수세식 설비에 대하여 인식하게 되고 일제시대부터 변소가 주택 내부로 들어오게 되었다. 변소가 주택 내부에 위치하게 되었지만, 주택 내에서도 분리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으나, 1959년 계명아파트에서 처음으로 욕조와 변기가 설치된 화장실이 현관 옆에 계획되었다. 1962년에는 마포아파트에서 처음으로 양변기가 설치되고 수세식 구조가 발전되면서 변기와 욕조와 세면기가 한 공간에 설치된 욕실이 계획되었다. 우리 나라에서 이러한 욕실은 자생적으로 발전한 것이 아니고 서양에서 도입된 실이었으며, 욕실에 대한 공간의 개념이 없는 상태에서 도입된 욕실은 그 당시 욕실 외에 다른 기능으로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점차 욕실에 대한 인식과 개념이 변화하고 정착되고 욕실의 기능과 위치는 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며, 욕실의 변화가 아파트 계획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이 때의 평면계획의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욕실의 기능은 도입 당시의 욕실의 기능과는 다르게 변화하였는데, 대체로 배변, 세면, 목욕 만의 욕실 기능 이외의 기능으로 사용되었던 것이 점차 욕실만의 기능을 갖는 실로 변하였다. 이는 욕실 기능외에 이루어지던 기능이 다른 실로 분화되면서 이루어졌으며, 이 기능 중 탈의, 수납, 미용의 기능은 드레스룸으로 세탁 등의 기능은 다용도실로 분화되었다. 둘째, 욕실에 대한 개념이 생기고, 욕실 외의 기능이 다른 실로 분화됨과 함께 욕실 기능분석을 통한 욕실계획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거주자들의 목욕행태에 따라 욕실에는 욕조대신 샤워부스가 설치되었으며, 주호의 규모 등에 따라 욕실의 유형을 다르게 계획하는 등 욕실의 유형이 다양해 졌고, 점차 드레스룸이 계획되는 사례가 늘어났다. 또, 드레스룸의 계획사례가 늘어나고, 욕실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욕실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셋째, 욕실의 기능 중 드레스룸의 기능은 90년대에 들어서면서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전실이나 탈의의 기능만을 하던 갱의실이 면적이 크게 늘어나면서 수납이나 화장대가 설치되는 등 그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 또, 욕실 옆에 부속되어 계획되었던 것에서 점차 욕실 위치에 계획되고 욕실은 드레스룸의 북쪽, 즉 북측면의 침실 옆에 계획되는 사례가 90년대 후반부터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또, 욕실에서 세탁등의 가사작업공간이 다용도실로 분화되는 등 욕실의 기능이 분화하여 다른 공간이 생겨나는 경향으로 계획이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나, 특이할 만한 것은 35평형 이하의 편복도형 주거등에서는 90년대 후반이 되면서 욕실에 다시 세탁공간이 계획되고, 다용도실이 계획되지 않는 경우도 나타난다. 이 때는 욕실의 폭이 더 넓게 계획되어 아파트의 깊이의 방향으로 증가되고 있다. 넷째, 아파트 평면의 거실 중심의 분산된 실배치에서 다른 실들과 동서로 나란히 계획되던 욕실이 전면폭을 줄이기 위해 외기와 면하지 않는 침실 사이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90년대에 들어 우리나라 거주자의 전면폭이 넓은 주호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전면폭이 70년대보다 훨씬 넓게 계획되는 경우에도 욕실은 여전히 침실 사이에 배치계획되는 것으로 보아 욕실의 위치는 침실과 침실 사이에 계획되는 내재율이 성립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욕실이 도입되면서 도입 당시 욕실은 현관 부근에 계획되었고, 이후 부엌 옆이나 침실 옆 등 주택 내부에 완전히 자리잡았으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았었고 침실과 인접하는 경향이 커졌다. 그 후 욕실이 남북으로 배치된 침실 사이에 계획되면서 욕실의 위치는 고정되었으며, 이는 부부용 욕실로 계획되면서 혹은 침실 2-3개와 함께 계획되면서, 침실과 함께 사적영역을 이루게 되었다. 이렇게 욕실과 침실이 하나의 사적영역을 이루면서 거실, 식당 등의 공적영역화의 분리가 뚜렷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여섯째, 1970년대 중반부터 침실 사이에 계획된 욕실은 현재까지 위치의 변화없이 계획되고 있으며, 이는 욕실에 대한 인식변화와 함께 사적영역과 공적영역이 분리되어 계획도는 경향이 우리나라 아파트의 전반적인 특성이 되었다. 이러한 영역분리는 대청마루나 혹은 마당의 영향으로 그 영역이 확실하게 분리되지 않은 채 동선의 연결 공간이 되어 그 기능이 불분명했던 거실이 공적영역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됨과 동시에 독립성이 확보되었다. 또, 영역분리에 대한 개념이 평면에 나타나면서, 각 실로의 진입에 있어서 구획되지 않은 진입홀의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욕실에 대한 개념이 없는 상태에서 도입되었을 당시의 욕실의 사용방식과는 달리 점차 욕실 개념이 정착되면서 욕실의 기능과 위치가 변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아파트 평면계획에 있어서의 영향과 그 특성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초기 욕실의 정착 당시 설비와 건축공간, 난방등의 경제성에 치우쳐 대부분의 욕실이 Bath Unit형 욕실로 계획되었으나, 점차 욕실계획은 생활방식에 맞춰 계획되고 있다. 특히 편리함과 쾌적함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또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계획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것은 현대의 인간 삶의 변화를 잘 나타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전통적으로 인식되어온 개념이 없는 공간으로서의 욕실은 이제 정착되고 하나의 문화로서 자리잡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현대 주거문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제 욕실의 계획은 주택계획에서 중요한 인자가 되고 있으며, 앞으로의 욕실 계획은 더 중요시되며 더욱 면밀한 분석과 계획이 요구될 것이다. In Europe, the flush toilet was invented in 16th century. But, because of no chance in cognition and the lack of water to operate it, after 300 years, the flush toilet was reused. Around 1500, toilet stool or a chamber pot was included in a closet as a restroom. At the end of 18th century, as a modern flush toilet with a valve has appeared and the consciousness about evacuation has changed, the toilet bowl was put in the closet in order to keep the privacy. The private bath has emerged when the public bath was forbidden. In the middle of 19th century, a bathing became a daily life. And owing to the two factors, the bathroom with toilet bowl and bathtub was designed in 20th century. One is the Western way of bathing that finishing bath in a bathtub in order not to let water run out. And the other is the way of thinking that considering evacuation and bath as hygiene acts, In Korea, the lavatory and the space of bathing had developed in different places. We had recognized the flush equipment since civilization period and from the era of Japanese reign, the lavatory has placed in the house. Although it was put in the house, in most cases, it was separated. The restroom with toilet and bathtub was designed next to the front door in Gyumyeung apartment for the first time. With the installation of toilet bowl in Mapo apartment in 1962 and the improvement of flush structure, the bathroom that has a toilet, a bathtub and a washbowl in one space was designed. In this country, this kind of bathroom was imported from the West, not developed autogenously. At that time the people had no concept for this kind of space and it was used for other functions, too. However, the cognition and concept for bathroom has changed and taken root gradually. Then, the function and position of it has changed, too. In this study, the goal is to study how these changes appear concretely, what kinds of effects can be caused on design for apartment by the change of bathroom and at that time how the features of the plan appear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unctions of bathroom turned differently from those of imported time. Mostly it was used for other functions as well as its own functions such as lavatory, washing and bathing. Then, it changed into the space which had the functions for bathroom only. It was achieved because other functions had its own separated space - a dressroom for changing garments, keeping, and beauty culture and a multi purpose room for laundry. Second, the concept for bathroom was formed. And with the specialization of spaces for other functions, design for bathroom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analysis of bathroom functions, Therefore,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dwellers' life style in Korea, shower booth takes the place of bathtub. An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ouse, the pattern of bathroom was designed differently and the cases of dressroom designing were increased. The increase of dressroom design and the number of bathroom cause the extention of the bathroom size. Third, in various functions of bathroom, the function as a dressroom was intensified at the beginning of 1990s. The dressroom which was only for changing garments or entering space is expanding its space and including keeping drawers and a dressing fable. In the bathroom, other house keeping functions like laundry specialized into multi purpose room. And this trend is maintaining. Fourth, in apartment plan of arrangement bathroom that place in the same situation with the other rooms places between two bedrooms in order to reduce width of facade. And, in the later 1990s, width of facade in apartment extended again, according to dweller's preference in Korea. But, bathroom has places between two bedrooms. Therefore, we can see that the place of bathroom between two bedrooms came to a rule. Fifth, at that time of import, bathroom placed in the house, but in house plan, bathroom had not fixed situation. Bathroom has placed between two bedrooms, and two or three bedrooms and bathroom formed private area. Therefore, the private area that the two or three bedrooms forrn separated from the public area that livingroom and diningroom form. Sixth, from the middle of 1970s, bathroom between two bedrooms has fixed in house plan, and with cognition change for bathroom trend that private area separated from public area has maintained. This separation had the livingroom that has had not territory and obvious function secure independence and function as public area. And according to concept for area separation appears in house plan, entry halls into room became appeared. In early stage of imported bathroom, mostly bathroom that has a toilet, a bathtub and a washbowl in one space was planned because of economic reasons for equipment, area and heating, but, nowadays, design for bathroom is accomplished through the analysis of dweller's life style. Specially, design for bathroom pursuit convenience, comfortibleness and privacy. This trend shows modern life style. Now, bathroom that has had no concept traditionally is a modern dwelling culture, and design for bathroom will be important more and more.

      • 중국 귀주성 묘족의 납염 공예에 관한 연구

        이민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t the globalized 21 century, the design is paid attention on the basis of traditional culture. Recently the China, which is showing its figure as the world big economy country, is trying to rehabilitate the country as the traditional culture foundation of China and minority race. This is very similar to our governmental policy which is trying to be the cultural strong country again and this is telling us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Miao batik handicrafts in Guizhou China is representing the current the Chinese traditional dyeing and crafts and is being recreated as the traditional cultural product(Dressing included). The Miao dressing culture in the overall China cultures can be spoken as the living museum and is paid attention by dressings specialists and folk scholars not only from China but also from several countries. So this research tried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consideration and expressive specialty of Miao batik handicrafts in Guizhou China as the center of Miao batik(the arts of crafts) among China minority race traditional cultures and reflect on the real meaning of preservation, succession, development and recreation of Miao batik handicrafts in Guizhou China through the current application examples analysis of Miao batik(the arts of crafts) and make everybody realize the importance of our traditional culture which exists in the same Asian culture and find the real meaning of recreation about it. This research method was executed by the practical research by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the field survey through the documents. The theoretical research applied the pre-researched documents and the related documents like Chinese dressing, customs and China's ancient folklore crafts etc. and the internet documents. And the practical research was executed by the field survey documents of minority race traditional handicrafts etc. After we visited China Guizhou and Yunnan, we executed the dyeing process survey, dyeing and weaving experiment, dyeing and crafts real observation and purchasing, book purchasing, picturing and interview etc. The summery of this research is as below. The first, as the consideration result of the Miao cultural background, the Miao aesthetic appreciation i.e. beauty mind was found to be connected to the Pattern art of the Miao shamanism. The second, the kinds of natural dye patterns, which is the representative of the Chinese traditional dyeing and crafts by resist printing, was divided with plangi, batik and Chinese blue calico. And the batik of Guizhou Miao has been representing the China traditional batik handicraft until now. The third, the type of Miao batik handicrafts in Guizhou China was divided with Danzhai batik,Huangping batik and Anshun batik according to the regional and expressive specialty and the expression specialty of batik pattern was shown to express the free, creative and broad-minded character of people as the drawing with tjanting which tjanting was used. This kind of specialty was found at the danzhai batik and the danzhai batik reflects on the best the Miao cultural and artistic specialty and so it represents Miao batik handicrafts in Guizhou China. The fourth, the modern meaning of Miao batik(the arts of crafts) was drawn as the practical, cultural, artistic and effective value. The practical value was found to manufacture and use the traditional handicraft living products of minority race, which was originated from self-sufficient traditional life, and as it is one of the traditional culture sightseeing craftworks of China, which represents the china traditional culture, we could have found the cultural value in the development view of traditional cultural products. Because the artistic works with the connection of traditional batik handicraft and modern batik(the art of craft) was created and applied by the batik handicraftsman and special artists positively, it had the high artistic value as the practicability and artistic works of the art of craft. Because there are the good properties like mothproof, antifungal, rostellum and moisture proofing etc in indigo, today the indigo dyeing ,which is the natural dyeing, is evaluated to be very high in the view of environment friendly and effective value. The fifth, The traditional natural dyeing patterns(Samhil patterns), which has been transferred from Samkuk times to Goryoe times, was started to be declined from the middle of Chosun times and the natural dyeing method has been developed through dip dyeing than pattern dyeing by Sung Confucianism and color ideology etc. Today the dip dyeing was recognized as the traditional dyeing craftworks in our country and it is applied and succeeded and developed as clothes, patch-work wrapping cloth and living product etc and the value of traditional pattern dyeing didn’t be recognized and terminated and didn’t be succeeded. On the other hand, the pattern dyeing was developed as the modern dyeing art by special artist from the liberation day in 1945 and even though the artistic value becomes higher, we could find it was not enough in the view of practical, cultural and artistic value and application. As the above result, the modern artistic value as the high civilization society became the problem of scarcity over purity. And also we, who judge the existence or not of value as monetary standard, realized that the development of material culture didn’t be proportional to the development of spiritual culture with Miao batik(the arts of crafts) and the value basis of aesthetic value came not from the material culture but from the succession, development and recre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s welcoming the 21stdesign times, we can say Miao batik(the arts of crafts) indicates us the real meaning of preservation, succession and recreation about our traditional culture a lot. And also the research and rehabilitation about the traditional pattern dyeing is required to succeed & develop out traditional pattern dyeing and the post research, which tries to recreate the Korean traditional pattern dyeing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tradition of Miao batik handicrafts in Guizhou China and the Korean modern dyeing and the art of crafts, shall be continued and succeeded. 글로벌한 21세기, 디자인은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세계 경제 대국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은 중국 전통문화와 소수민족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중국의 부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는 문화 강국으로 재도약을 추진하는 우리 정부 시책과도 맥락을 같이하는 것으로 전통 문화의 중요성을 말해주고 있다. 중국 귀주성 묘족 전통 납염공예는 현재 중국 전통 염색 공예를 대표하며 복식을 비롯한 전통 문화 상품으로, 공예미술의 하나인 염색 예술로 재창조되고 있다. 중국 전체 문화 속에서 묘족 복식문화는 살아있는 박물관이라 할 수 있으며, 중국은 물론 여러 나라의 복식 연구가들과 민속학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소수민족 전통문화 중, 귀주성 묘족의 납염공예를 중심으로 귀주성 묘족 전통 납염공예의 역사적 고찰과 기법 및 표현적 특성 파악하고, 현대 중국 귀주성 묘족 납염공예의 활용 사례 분석을 통하여 귀주성 묘족 전통 납염공예의 보존, 계승 발전 및 재창조의 진정한 의미를 재조명하며 같은 동양 문화권 안에 있는 우리에게 전통문화에 대한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그에 대한 재창조의 진정한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을 통한 이론 연구와 현지답사를 통한 실증 연구에 의하였다. 이론적 연구는 선행 연구 자료와 국내외 중국의 복식?풍속?민간공예 등의 관련 문헌 자료와 사진 자료, 인터넷 자료를 활용하였고, 실증 연구는 소수민족 전통 염색 공예 현장 답사자료에 의하였다. 2008년 2월∼3월 사이 중국 귀주성과 운남성을 방문하여 염색과정조사, 염색 및 직조 실험, 염색 공예 실물 관찰 및 구입, 서적 구입, 사진 촬영, 인터뷰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요약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귀주성 묘족의 문화적 배경에 대한 고찰결과, 묘족의 심미감, 즉 미의식은 묘족 샤머니즘 조형예술로 귀결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중국 전통 염색공예 중 방염에 의한 대표적인 문양염의 종류는 교염, 납염, 남인화포(형지호방염)로 분류되었고, 납염은 그 기원이 귀주성 묘족에게 있으며 현대에 이르기까지 귀주성 묘족의 납염은 중국 전통 납염공예를 대표하고 있다. 셋째, 중국 귀주성 묘족 납염공예의 유형은 지역과 납염의 표현적 특성에 따라 단채납염, 황평납염, 안순납염으로 분류되었으며, 납염의 문양표현의 특성은 동납도를 이용한 점납으로 자유롭고 독창적이며 호방한 민족성을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은 단채납염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단채납염은 묘족의 문화적?예술적 특성이 가장 잘 반영되어있어 중국 귀주성 묘족 전통 납염공예를 대변하고 있다. 넷째, 중국 귀주성 묘족 납염공예의 현대적 의의는 실용적 가치, 문화적 가치, 예술적 가치, 효능적 가치로 도출되었다. 실용적 가치는 자급자족의 전통적 생활에서 비롯된 소수민족 전통 수공예 생활용품 제작 및 사용에 있고, 중국의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전통문화관광 공예품의 하나로써, 전통문화상품을 개발하는 측면에서 볼 때 문화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전통 납염공예와 현대 납염공예의 접목을 통한 예술작품은 전통 납염의 장인과 전문 예술가들에 의해 적극적으로 창작, 활용되고 있어 공예로써의 실용성과 예술작품으로의 높은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었다. 또한 천연염료인 남초에는 항균, 방충, 소취, 방습 등의 약성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한 남염은 천연염색으로써 친환경적이라는 점에서 오늘날 효능적 가치 측면에서 높게 평가된다. 다섯째,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계승 발전되었던 우리나라 전통 문양염(삼힐)은 임진왜란, 그 밖의 전란 등으로 인해 조선시대 중반부터 쇠퇴하기 시작하였고, 성리학과 색채관념 등으로 인해 문양염보다는 침염을 통한 천연염색법이 발달하게 되었다. 침염은 현대에 이르러 우리나라 전통 염색공예로 인정받아 의류, 조각보와 생활용품 등으로 폭넓게 활용되며 계승 발전되고 있으나, 전통 문양염은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 채 단절되어 전승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문양염은 1945년 광복이후부터 전문 예술인에 의해 현대 염색미술로 발전되면서 예술적 가치는 한층 높아지고 있지만, 중국 귀주성 묘족 전통 납염에서 찾아볼 수 있는 실용적, 문화적, 예술적 가치와 활용 면에서 매우 부족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현대는 고도의 문명사회로써 예술의 가치는 순수성을 넘어 희소성의 문제로까지 왔다. 또한 금전적인 척도로 가치의 유무를 판단하는 오늘의 우리에게, 중국 귀주성 묘족 납염공예는 물질문명의 발달이 꼭 정신문명의 발달과 비례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시켜주고 있으며, 미의식의 가치기준은 물질문명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 재창조에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21세기 디자인의 시대를 맞이하여 중국 귀주성 묘족 납염공예는 우리 전통문화의 가치와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보존, 계승 발전 및 재창조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가를 시사 하는바가 크다고 하겠다. 또한 단절된 우리나라 전통 문양염의 계승 발전을 위하여 전통 문양염에 대한 연구와 복원이 요구되며, 중국 귀주성 묘족 납염공예의 전통과 한국 현대 염색 공예와의 접목을 통하여 한국의 전통 문양염을 재창조하는 후속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 ICT 학습자료를 활용한 음악 감상지도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이민정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정보화 시대로 과거와 비교해 볼 때 엄청난 변화를 가져 왔다. 그 중 컴퓨터 매개 통신의 발달로 인한 정보화의 변화와 속도를 급속도로 빨라졌다.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교육 분야에서도 정보통신기술(ICT)를 활용한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있으며 전통적인 교수-학습 방법에서 탈피하여 각종 멀티미디어 시스템과 인터넷을 활용하여 사회 변화에 적절한 교육환경을 제공할 때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식정보화 사회에 맞는 정보통신기술(ICT)을 실제 수업에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음악 감상지도 방안에 대하여 연구해 봄으로써 ICT를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음악 감상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ICT의 개념과 구성, ICT 활용 교육의 필요성, ICT를 활용한 음악 교육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현장 학습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ICT를 활용한 감상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ICT 활용 매체 중 Power Point를 기본적으로 사용하여 학습자들이 습득하여야 할 음악적 개념과 요소 내용들을 보다 쉽게 안내하였다. 그리고 감상학습의 효과를 중대시키기 위해 플래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음악과 함께 음성 해설 또는 텍스트 설명이 주어지게 됨으로 학습자 스스로 자기주도 학습을 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Sibeliu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제를 직접 사보해보고 입력한 음을 즉시 들어보며 음색을 자유롭게 변화시켜 보는 등 학습자 주도적인 학습 환경을 만들어 갈 수 있다. 또한 DVD를 적절하게 활용하였으며, 베토벤의 교향곡 제9번 “합창”과 브리튼의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 감상곡을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교수 학습 지도안을 예시하였다. 이처럼 ICT 자료를 음악 수업에 적절히 활용할 때 학습자들에게 흥미 있고 보다 적극적인 감상 활동을 만들어 주어 음악적 능력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ICT 활용 교육이 음악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육성하는 방법의 전부라고는 말할 수 없다. 단지, 21세기는 정보화 사회이며, 각 활동 영역에 적합한 ICT 활용 유형과 ICT 자료가 사용될 때 음악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ICT는 음악교육의 참된 목적을 실현시켜주는 도구로 계속적으로 발전되고 활용되어야 할 것이며, 각각의 영역에 맞는 교재와 교구 개발이 좀 더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학생 중심의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의 ICT 활용 능력과 수업 자료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ompared to the past, the 21st century has brought considerable changes. Among them, the change to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its rate has gone up rapidly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s comeputers have been developing, the need of education utilizing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s emphasized and it is time to break conventional teaching methods and offer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is proper to social changes by using various multimedia systems and the internet.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a teaching model utilizing ICT by studying a plan for music appreciation guide to put easily ICT, which is appropriate for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to practical use in a class focusing on the first year middle school. For this, this study takes another look at the importance of music appreciation and looks into the concept and composition of ICT, the necessity of education utilizing ICT, and music education with ICT. Also, it suggests a plan of teaching guide utilizing ICT to be applied usefully in the field. It is operated as follows. Firstly, instructors use Power Point basically among ICT utilizing media so musical concepts and factors, which learners have to acquire, are introduced more easily. Secondly, students can do oneself leading role study by using flash programs with music given vocal or text explanation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appreciation learning. Thirdly, students can change their academic environment by making a copy of musical topic through Sibelius program and varying tones freely while immediately listening to the sounds they enter. In addition, instructors make good use of DVD and develop a teaching model of Beethoven's "the Choral Symphony" and Brittem's "The Young Person's Guide to the Ochestra" and then exemplify the plan of teaching guidance. Like this, it is expected for learners to feel interested and to appreciate music more actively so that they can develop their musical ability effectively when a instructor uses ICT materials properly in a music clas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education with ICT is the only way of educating the talented, which a society requir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a music class. The 21th century is only a information-oriented society so it is possible to raise the efficiency of musical learing when suitable ICT types for each domain are used. Thus, ICT should be made good use of and developed as a means to realize the true purpose of music education. Furthermore,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appropriate to each field should be developed more actively and development in instructors' ability to use ICT and teaching materials be done continuously to let students have power of leading their class.

      • 여성장애인 취업에 관한 고용주 인식 연구

        이민정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ployers' perception of employment among women with disabilities using several research variables select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irst, the research finding suggested that the highest complaint ranked from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difficulty to adjust at work. They also complained about a lack of job training opportunities and education of vocational skills. This experience was perceived as the greatest hindrance factor of employment. Second, analysing the perception related to the employment, a 3-factor model was identified being equivalent to the job-related area, consisting of the job performance factor, the achievement factor and the cost factor. The institution-related area was revealed a 2-factor model, consisting of the incentive factor and the service factor. Finally, the social environment-related area was revealed a 3-factor model, consisting the image factor, the employment-maintaining factor and the background factor. Third, the result of examining the perception of employers involved in general business and directors of job rehabilitation facility in employing the female disabled,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whole in three areas (job, institution, and social environment) and directors of job rehabilitation facility had higher perception of the female disabled than employers of general business on the whole. Employers in the general business area showed the most negative perception in the job-related area, especially lower than the average on the cost factor, and somewhat higher level of perception than the average in the institution-related area, implying that they realize institutional requirement. Fourth, examining the inter-relationship of variables related to employers' perception of employing women with disabilities implies employment satisfact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might be most highly influenced by perception level of employing the female disabled and the most affecting factor on perception level of employing the female disabled might be employment satisfaction of female disabled workers.

      • 국내 파티문화 유형에 따른 파티드레스 디자인 개발 연구

        이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 파티문화는 차와 음료를 즐기는 사교의 한 형식으로 과거 귀족들의 살롱문화에서 시작 되었으며, 대중매체와 인터넷을 통하여 국내의 문화코드와 융합되어 사교 파티문화로 일반화되었다. 파티문화는 동일한 생활 목표, 가치관, 생활방식을 가진 사람들끼리의 생활범주를 만들어 간다는 점에서 대중들의 일상에서 하나의 라이프스타일로 자리잡았다. 남들과 다른 독특하고 차별화된 삶에 대한 관심, 그리고 특별한 공간에서 최상의 대우를 받기를 원하는 현대인들의 경향은 고급문화로 인식되었던 파티의 대중화를 이끌어낸 배경이 되었다. 이렇듯 각종 파티문화가 성행함에 따라 파티패션이 주목되었고 파티드레스 디자인의 감성적 측면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또한 파티드레스는 스타일과 품위를 높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파티문화의 대중화는 파티드레스의 디자인 측면을 세분화하고 차별화 시키고 있다. 특히 파티문화가 사교파티 산업으로 성장하면서 파티드레스에 대한 수요 및 창의적인 디자인에 대한 요구 또한 계속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개성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소비트렌드와 다변화된 파티문화를 파악하고 그에 부합하는 합리적이며 실용적인 파티드레스 디자인 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산업의 발달과 함께 파티문화가 대중화되고 파티드레스의 수요와 시장의 규모도 확대되어감에 따라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하여 고급스러움과 실용성이 강화된 파티드레스 디자인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살롱문화와 국내 파티문화의 개념과 발생 배경 및 특성을 살펴 본 후 살롱문화와 파티문화의 상관성을 도출한다. 둘째, 국내 파티문화의 대중화로 인해 다양해진 파티의 유형 및 특성들을 분류하고 국내 파티웨어 현황을 분석한다. 셋째, 분류된 파티유형에 따라 국내 파티문화와 파티드레스 스타일의 실태를 실제 소비자인 일반 소비자 그룹과 패션 전문가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넷째,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일반 소비자 그룹을 중심으로 전문가 그룹의 전문성과 학문적 적합성을 보완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교 파티드레스 디자인 개발 및 제작한다. 따라서 파티드레스의 실질적인 사례분석을 통하여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파티패션산업을 활성화시키고 파티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높이는 촉매로서의 역할을 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파티와 살롱문화는 고대 그리스의 향연과 스포츠 문화공간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살롱문화는 궁중 문화에서부터 시작되어 17세기에는 서민층에까지 성행하게 되었으며, 여성을 중심으로 한 평등한 사교ㆍ문화의 공간으로서, 귀족들의 성이나 저택에서 열리기 시작하여 독서, 발표, 연주회, 파티 등의 여러 유형으로 발달되었다. 살롱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첫째, 여성이 주체가 되어 이루어지는 여성문화 속에서의 살롱, 둘째, 교양과 지식의 습득 대화나 예술적, 문학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사교문화에서의 살롱, 마지막으로 절대주의와 계몽사상을 중심으로 한 지적 엘리트들의 모임으로 이루어진 엘리트문화에서의 살롱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유형이 독자적인 성격을 띠며 발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국내 파티문화는 해외 유학생이나 기업들에 의해 외국의 파티문화가 유입되면서 시작되었다. 인터넷과 광고 매체들을 통해 파티문화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파티가 사치스러운 상류층만의 놀이문화가 아닌 좀 더 보편적인 사교문화로 자리 잡았고, 현재는 인적 네트워크의 수단으로 여러 곳에서 다양한 파티문화가 성행하고 있었다. 국내 파티문화의 유형을 보면 여성문화의 고급화, 사교문화의 파티화, 엘리트문화의 대중화로 나타나고 있으며, 과거의 살롱문화에서 볼 수 있었던 여성문화의 살롱문화, 사교문화의 살롱문화, 엘리트문화의 살롱문화와 비슷한 유형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여성적 감성문화의 고급화, 정보교환과 사교문화, 상류문화의 대중화로 두 문화 간의 상관성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셋째, 국내 파티문화의 유형과 종류를 T.P.O.에 따라 격식중심, 시즌중심, 장소중심, 음료중심, 음악중심의 파티로 재분류 할 수 있었다. 국내 파티웨어 산업 현황 분석을 통하여 파티웨어의 구입 수요는 증가하는 반면 디자인과 만족도는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파티드레스에 대한 수요증가는 파티웨어 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 예측 및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파티드레스 디자인 개발을 위하여 파티플랜 및 컨설팅 전문 업체를 선정하여 파티드레스 스타일 사진을 1022여장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파티 동호회 회원 및 파티 참여 경험이 있는 일반 소비자 그룹과 패션 업계, 의류학 교수 및 박사과정 이상으로 구성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파티에서 드레스에 대한 선호도 및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파티드레스 현황 분석에 앞서 파티 참여 현황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격식, 시즌, 음악중심으로 파티문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그룹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일반 소비자 그룹은 각각의 파티 유형별로 엘레강스, 로맨틱, 시크 스타일 등을 다양하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적인 디자인 요소에 대한 분석 결과, 실루엣은 스트레이트와 아워글래스 실루엣, 소재는 새틴, 시폰, 레이스 소재, 컬러는 무채색 계열과 파스텔 톤의 컬러, 디테일은 셔링, 개더, 리본, 비즈 디테일로 선호도 면에서 다소 한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는 일반 소비자 그룹이 파티유형이나 형식을 생각하기보다는 평소 선호하는 스타일을 위주로 선택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파티 유형별 드레스에 대한 전문적 지식보다는 패션 트렌드를 의식하여 선택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전문가 그룹에서도 실루엣은 스트레이트, 아워글래스가 일반소비자 그룹에서와 동일하게 가장 높은 선호를 보였고, 소재, 컬러, 디테일 부분에서도 일반 소비자 그룹과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지만 소재면에서는 벨벳과 울 소재, 컬러는 네이비 컬러, 디테일은 드레이프, 핀터킹 디테일 등 폭넓은 선호를 보임으로써 일반 소비자 그룹과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패션디자이너와 의류학과 교수 등 전문가 그룹이 일반 소비자보다 패션에 대한 보다 많은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인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패션 트렌드나 디자인 요소의 효과에 대한 지식 및 디자인 감각을 지니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일반 소비자 그룹과 전문가 그룹의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파티드레스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한 드레스 디자인 개발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선호도 분석을 토대로 엘레강스 스타일에 소녀적 이미지의 로맨틱과 세련된 시크를 가미한 파티드레스 스타일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자신을 위한 투자에 과감한 커리어우먼 층의 스타일을 반영하여 ‘Fascinating delicacy for lady’로 컨셉을 설정하여, 우아하고 여성적이며 품위있는 이미지와 현대적이며 세련된 도시적 이미지로 'Grace with delicacy', 'Beauty with delicacy', 'Chic with delicacy'의 3가지 테마를 구성하여 총 10벌의 파티드레스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1. 'Grace with delicacy' 테마에서는 ‘엘레강스 & 엘레강스’ 스타일로 여유로우면서 품격을 갖춘 우아한 여성적 스타일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실루엣은 일반소비자와 전문가 그룹의 의견을 반영하여 스트레이트와 아워글래스 실루엣을 응용하였으며, 컬러으로는 블랙을 중심으로 그레이와 화이트 컬러를 사용하였다. 디테일은 셔링과 개더를 사용하였고, 여성적인 부드러움과 우아한 느낌을 부각시키기 위해 드레스의 길이를 무릎 아래로 길게 하거나 비즈, 스팽글, 보석 장식을 포인트로 사용함으로써, 고급성을 가미한 격식중심의 사교 파티드레스가 되도록 디자인 개발하였다. 2. 'Beauty with delicacy' 테마에서는 ‘엘레강스 & 로맨틱’ 스타일로 시대적 감성을 바탕으로 여성스럽고 부드러운 느낌을 가미하여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실루엣은 아워글래스 실루엣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머메이드, 프린세스, 피티드 라인을 사용하였다. 색상으로는 파스텔 톤의 핑크와 블루계열의 컬러로 화사한 느낌을 부각시켰고, 소재는 주로 시폰, 레이스, 새틴을 사용하였으며, 디테일은 셔링, 개더를 사용하였다. 여성스러운 로맨틱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플라운스, 자수, 비즈를 디자인 포인트로 사용하여, 심미성을 가미한 시즌중심의 파티드레스로 디자인 개발하였다. 3. 'Chic with delicacy' 테마에서는 ‘엘레강스 & 시크’ 스타일로 도시적 세련미를 바탕으로 무게있고 정제된 느낌을 가미하여 모던하게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실루엣은 스트레이트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그중에서도 엠파이어, 에이치ㆍ아이 라인을 비중 있게 활용하였다. 소재로는 투톤의 세련된 색감을 가지고 있는 타프타, 우아한 광택이 흐르는 새틴, 레이스 등을 사용하였다. 색상으로는 설문 결과를 반영하여 무채색 계열의 컬러에 보색이나 색감이 강한 컬러로 포인트를 주었으며, 디테일로는 턱과 셔링 디테일을 사용하였다. 격식과 품위가 느껴지는 시크한 감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광택있는 소재위에 레이스를 겹치거나 모던한 턱 디테일을 디자인 포인트로 사용하여, 심미성과 실용성을 가미한 음악중심의 파티드레스로 디자인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의 파티문화에 있어서 살롱문화와 파티문화 간의 상관관계를 학문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살롱문화와 파티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학문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파티문화의 대중화에 따른 파티 참여 양상의 변화 및 T.P.O.에 따른 격식, 시즌, 음악, 장소, 음료에 대한 유형별 파티 분류는 늘어나고 있는 새로운 형식의 파티문화에 대한 분류하는 방법과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파티어들에게 유형별 드레스 선택에 있어 체계적인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T.P.O.에 따른 파티 유형 분류는 앞으로 더욱 변화 하는 파티웨어 산업에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파티문화의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파티드레스 스타일별 디자인 요소의 분석결과는 향후 파티웨어 시장에서 드레스 제작의 디자인 근거 자료로 활용 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될 뿐 아니라, 본 연구에서 시도한 파티드레스의 실물제작을 통해 파티드레스 디자인의 트렌드를 예측할 수 있는 근거와 소비자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시장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파티유형별 파티드레스 스타일에 대한 이해와 파티드레스 시장의 발전에 있어 데이터베이스로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Modern Party culture came from Salon culture of the nobility as a pattern of the social gathering, and it became "PARTY" mixed with the Internal culture code through media and internet. Party culture got to be a life style of people for those who has similarities in their goals, values, life patterns. Interest in their own specific life style and tendency to be served as special ones in an extraordinary place have popularized party which was considered high class culture. Party culture became very popular and people took more interest in party fashion. And now party dress got to need sensibilities in design. Party dress is considered that it helps people outstanding in style and dignifies their character, and the popularization of party culture stimulates party dress in design to be detail and specific. What is more, the growth of party dress in industry makes enormous demands on party dress and its creative design. Therefore we are to survey the consumer's need and the contemporary party culture, and design party dress according to them. Now I believe we agree that party dress needs to have dignity and practical use satisfying the customers' need, because the demand of party dress and its market in size have been increasing as party culture got to be popularized. And what I am aiming in my study is below. First, I am going to look into what they, the salon culture and the party culture in Korea, really are, where they are from and what their characteristics are. Then I will find out how they are related. Second, I am going to classify the type of party, varied by popularization,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and to analyze how the party wear in Korea goes. Third, I am going to get hold of the actual state of the party culture in Korea and the party dress style according to classified party types. Then I will analyze them in groups of two, the ordinary consumers and the fashion designers. Forth, I am going to complement each other and to apply the result to develop the design of party dress. The followings are what I study and what I got. First, the party and the salon culture originated in ancient Greek festivals and sports. The salon culture was an impartial social and cultural gathering for women, that started from the palace and became very popular among an ordinary people in the 17th century. In the beginning a gathering was held at the castle and soon it appeared in various ways, such as literature, performance, concert, etc. We can divide the salons into three types; First, the salons in the feminine culture, mostly led by women. Second, the salons for social gathering of art, literature activities. Third, the salons of the elite of the Absolutism and the Enlightenment. The salons had their own styles and they grew in them. Second, the party culture in Korea started with the students studied abroad and the companies expanded the outreach overseas. The party culture has spread rapidly due to internet and media. It is no longer only for the rich. Nowadays there are a lot of different party culture. The types of party culture in Korea are the following; improved women culture, social fellowship to the party, the elite popularized, women's salon as the old days, social fellowship to the salon culture, the elite to the salon culture, etc. We find out here that the salon culture and the party culture are related; feminine sensibility and improved women culture, exchanging information and the social fellowship, the higher classes popularized. Third, according to T.P.O. the party type in Korea is classified into some; formal party, seasonal party, drinks party, music party, etc. It is quite many. The problem is that demand for the party wear increases, whereas the design and satisfaction decrease. However it gives us positive aspects of the market for party dress and of necessity of design development. Forth, I collected 1,022 pictures of the party dress style to develop the party dress design. I surveyed two groups whether they like their dress and if it is proper; one is the ordinary consumers, who belonged to a party association or had been to a party, and the other is the professionals, who involved in fashion. And I found that the recent party culture is connected with form, season and music. Fifth, what I got from what I study is the following. In the formal party dress, the ordinary and the professional both took the elegant style as No.1. They took straight and hourglass style for silhouette, satin and chiffon for material, black, white and grey for color, sharing, flounce and drape for detail. In the seasonal party dress, both took the romantic style as No.1. Hourglass for silhouette, satin, taffeta and chiffon for material, pastel pink, pastel blue and beige for color, ribbon, gather, sharing for detail. They preferred lovely style. In the music party dress, two groups took the different styles. The ordinary choose chic style, and the professional elegant style. In the ordinary group, they wanted hourglass for silhouette, satin, lace and beads/spangles for material, achromatic colors and complementary colors for color, tuck, sharing and ribbon for detail. In the professional group, they also wanted hourglass for silhouette, but satin, lace and velvet for material, peach, indi-pink and grey for color, drape, flounce and sharing for detail. I concluded in this study that the chic style is good for the music party as I focused on the ordinary's choice more than the professional's. And I designed the dresses based on it. Sixth, I made a concept of design, that is ‘fascinating delicacy for lady’. I took 'Grace with delicacy', 'Beauty with delicacy', 'Chic with delicacy' as a theme and made 10 designs of the party dress. In 'Grace with delicacy', I worked in the formal style showing noble and elegant mood.(Elegant & Elegant) In 'Beauty with delicacy', I worked in the seasonal style showing sweet and lovely mood.(Elegant & Romantic) In 'Chic with delicacy', I worked in the music style showing urban and practical mood.(Elegant & Chic) This study is able to be used for understanding the salon culture and the party culture as it shows how they are related each other in the modern party culture. The change in the party type people join in and the classification into the type of form, season, music, etc gives the standard about how to classify the party types to come. And it can be used for the partiers to choose the proper dress style in a situation. Party dress designs in different styles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not only for the source to make the party dress in the party wear market to come, but also for the marketing research to satisfy the consumers' need. Furthermore they can be used for the motive to raise the competitive power and for the database to be applied in the party dress market. In conclusion, I suggest that we should study to design for more age groups including '40s, '50s as most of ages need the party dress due to popularization of the party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