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장 내 성역할 고정관념이 육아휴직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 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장현일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직장 내 성역할 고정관념이 육아휴직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 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장현일 사회복지전공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육아휴직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직장 내 성역할 고정관념이 육아휴직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종속변수인 육아휴직 사용 의도는 전혀 없다(1 점)부터 사용한다(10점)으로 구성한 리커트 10점 척도를 제작해 활용하였 다. 독립변수인 직장 내 성역할 고정관념은 한국아동패널의 성역할 가치 척도를 활용하였다.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명확히 살펴보 기 위해 육아휴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연령, 성별, 혼인여부, 자 녀수, 가족의 양육지원 기대 여부, 개인의 성역할 고정관념, 최종학력, 월 평균 소득, 배우자의 월평균 소득, 고용형태, 직급, 시설 위치, 시설 종류, 근무지 종사자 수를 통제변수로 활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국내 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만 45세 이하 사회복지사 210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설문조사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기술통 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통해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직장 내 성역할 고정관념과 육아휴직 사용 의도의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장 내 성역할 고정관념은 육아휴직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상관관계 분석에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연령, 혼인여부, 자녀수, 본인의 월평균 소득, 직급을 통제한 상태에서 성별에 따른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성의 경우 직장 내 성역할 고정관념이 성평등 적일수록 육아휴직 사용 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장 내 성역할 고정관념과 육아휴직 사용 의도의 관계는 보는 관점에 따라 관계가 없다고 할 수도 있고, 여성에 한해 약한 관계가 있다 고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회복지시설이 이미 성평등한 관점을 가진 조직으로 변화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기존 연구와 달리 직장 내 성역할 고정관념이 평등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나고 전체 통제 변수를 투 입했을 때 육아휴직 사용 의도와의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적어도 사회복지시설에서만큼은 시대가 변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의 표집을 활용해 조사하였기에 사회복지시설 전반으로 일 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점과 설문 조사가 이미 이뤄진 데이터를 활용한 실증 연구이므로 설문 항목을 보완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 의무화, 육아휴 직 급여의 상한액 인상, 여성의 자동육아휴직, 사회복지시설에서의 전문성 과 인력을 갖춘 대체 인력 풀 마련을 제언한다. 국가와 정부 차원에서는 높은 육아휴직 사용 의도가 실제 사용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법제화와 관 련 정책 도입에 힘쓰고, 직장에서는 육아휴직이 자연스러운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사내 교육 및 캠페인으로 분위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gender role stereotypes in the workplace on the intention to use parental leave in order to find policy implications to promote the use of parental leave. The dependent variable, a 10-point Likert scale consisting of no intention to use parental leave (1 point) to use (10 points), was created and used. The independent variable, gender role stereotypes in the workplace, used the Korean Children's Panel's gender role value scale. In order to clearly examine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parental leave are age, gender, marital status, number of children, expectations of family support for childcare, individual gender role stereotypes, highest level of education, and monthly average. Income, spouse's average monthly income, employment type, position, facility location, facility type, and number of employees at the workplace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non-face-to-face survey targeting 210 social workers under the age of 45 working in domestic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5.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between gender role stereotypes in the workplace and the intention to use parental leave while controlling for all variables, it was found that gender role stereotypes in the workplac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parental leave. However, as a result of conduct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gender while controlling for age, marital status, number of children, average monthly income, and position, which were found to be relate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for women, gender role stereotypes in the workplace were related to gender. It was found that the more equal it was, the more it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parental leave. Therefore, depending on one's perspectiv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stereotypes in the workplace and the intention to use parental leave may be said to be unrelated, or it may be said to be a weak relationship only for women. I think this result is because social welfare facilities have already transformed into organizations with a gender-equal perspective. Unlike previous studies, it can be said that times have changed, at least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that gender role stereotypes in the workplace are found to be equally high and no correlation with intention to use parental leave is found when all control variables are input. Because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ignificant sample,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o all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because it is an empirical study using data from which a survey has already been conducte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survey items cannot be supplemen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s mandating the use of parental leave for men, increasing the upper limit of parental leave pay, automatic parental leave for women, and establishing a pool of alternative human resources with expertise and manpower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t the national and government level, efforts must be made to legislate and introduce related policies so that the high intention to use parental leave can lead to actual use, and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atmosphere through in-house training and campaigns so that parental leave can become a natural culture in the workplace.

      •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윤주 숭실대학교 통일·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대해 연구하였다.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에게 가장 스트레스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5가지 변수를 선정하여 이것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직무스트레스로는 역할갈등과 역할과다, 인간관계의 만족도, 의사소통의 원활함, 근무환경의 적정성의 5가지 하위척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인 성별, 연령, 결혼여부, 교육정도, 현 근무지의 경력, 사회복지사자격급수, 사회복지분야에 종사한 근무기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된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빈도분석방법을 사용하였고,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요인에 관해서는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또한 직무만족도에 대하여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가장 많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종사하고 있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하여 강서구, 관악구, 구로구, 금천구, 동작구, 마포구, 양천구, 영등포구, 은평구, 중량구 10개구를 다단계 집락표집방법으로 선정하여 1개 동사무소에 1부의 설문지를 발송하여 회수하였다. 그리하여 200개의 동사무소에 설문지를 발송하여 122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수거된 자료는 200부의 설문지중 122부가 회수되어 61%의 회수율을 보였고, 회수된 자료는 SPSS for WI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응답자는 사회복지분야에 종사한지 1년 미만의(41%), 대학을 졸업하고(82%), 사회복지사1급 자격증을 소유하고 있는(85.2%) 미혼의 (60.7%) 여자(8.0)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반이상을 차지하였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5가지 직무 스트레스의 요인-역할갈등과 역할과다, 인간관계의 만족도, 의사소통의 원활함, 근무환경의 적정성-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역할과다의 상관관계계수가 -.420으로 상관관계가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환경의 적정성의 상관관계계수가 -.230으로, 인간관계의 만족도의 상관관계계수가 -.221으로 상관관계가 있으나 다소 낮음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직무스트레스의 5가지 하위척도중에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역할과다와 인간관계의 만족도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간관계의 만족도보다는 역할과다가 두배이상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로써 직무만족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역할과다인 것으로 알 수 있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일반적인 사항을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간에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는데, 성별, 연령, 결혼여부, 현 근무지의 경력, 사회복지분야에 종사한 근무기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된 이유를 집단에 따라 직무만족도와 조사 ·분석한 결과 성별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된 이유만이 직무만족도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을 뿐 다른 요인들은 집단간의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성별로 여자응답자보다는 남자응답자가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된 이유로 특별한 목적의식이 있는 응답자가 목적의식이 없는 응답자보다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근무하는 10개구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조사하였고, 전국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전수조사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지만 표본의 동질성이 높기 때문에 연구대상의 특성을 파악하기가 쉬운 장점이 있었다. 물론 본 연구로 입증하기는 어렵고 계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있어야겠지만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이 역할과다라는 것을 생각해 볼 때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을 적정하게 조절하고 권익을 신장시킬 수 있는 연구가 다각적인 방면에서 계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variables related to public social worker's work stress affecting job satisfaction. This researcher selected five variable influencing public social worker and investigated effects on their job satisfaction. Five variable were as follows - role disagreement, role super abundance, satisfaction in human relations, smoothness in communication, propriety of work environment. The question as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ed - sexuality, age, marriage, education level, working of career, social worker's rank, working hours, the reason to becoming a social worker, This study used descriptive statistics to understand effect of work stres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 analysis. This study also used T-test analysis in order to understand differences of job satisfaction among target groups. For this study, 2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122 questionnaires and returned from town-block offices of ten districts in Seoul, which the most many social workers are employed. The researcher used stratified sampling for the study. The result of researcher were analyzed by SPSS for WIN program.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worker's work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correlation factor role super abundance was .420, correlation factor of propriety of environment was .230, correlation factor of satisfaction in human relations was .221. The result showed that role super abundance and satisfaction in human relation made the most sever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mong five stresses, role super abundance had an two times effect on work satisfaction than satisfaction in human relations. Therefore, role super abundanc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work stress affect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common factors related to social workers - sexuality, age, marriage, working career, working hours, the reason of becoming of a social worker, this study divided social workers into several groups and investigated how each group had a different work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mong each group. However in sexuality and the reason of becoming of social worker case, there were differences. On the basis of sexuality, male respondent's job satisfaction is higher than female respondent's work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the reason to becoming of a social worker job satisfaction of respondents with strong intention was higher than respondents with weak intention. This study has a limitation, because it investigated social worker, in only to districts, but it has a strong point to understand easily features of target group, in selecting homogeneous target relating to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Further study needs to research the way to adjust social worker's role and increase their interests continually and variously.

      •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나세희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the job performance of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an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volunteer service by identifying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and what the factors that ha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re. To make this possible, the questionnaires have been distributed targeting the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working at the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management center. Among these, 148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WIN 1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factors of survey candidat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age factor whil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was shown between groups in their thirties versus forties and older.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gency factor of survey candidates, a significant different was shown in the existence of social worker license and job type. Third, as a result of performing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workers, the job factor (β=.493, p< .001), supervision of superior (β=.222, p< .01) and possession of class 1 social worker license (β=-.232, p< .01) were shown as having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things will be suggested for the job satisfaction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First, it is necessary to assign more specialized role to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Assigning specialized roles such as the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planning‧executing‧evaluating the programs directly, the needs as a specialist would have to be filled. Second, a specialized supervision for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is necessary. Not only the agency where the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 is working, but the plans to present a systematic and specialized supervision would have to be prepared at the central and local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management headquarters performing the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business. Third, the full-time placement of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is necessary. Also, the use of inefficient administrative power where the volunteer service record is entered by repetition would have to be reduced as various volunteer service management systems such as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cluding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become combined as one system as soon as possible. Although this study is at a probing stage because the previous researches on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are still lacking, it could be considered as having significance from the fact that it is a substantial study on the role and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voluntary works certification management agents. 본 연구는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의 직무만족 수준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함으로써 인증관리요원들의 업무 성과를 높이고 자원봉사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자원봉사 관리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인증관리요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이 중 148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15.0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처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개인 요인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40대 이상의 경우 30대인 경우와 직무만족도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기관요인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회복지사 자격증 유무, 업무형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요인(β=.493, p< .001), 상사의 슈퍼비전(β=.222, p< .01), 사회복지사1급 자격증 소지(β=-.232, p< .01)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에게 보다 전문적인 역할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인증관리요원들이 직접 프로그램을 기획‧실행‧평가하는 등의 전문적인 역할을 부여함으로서 전문가로서의 욕구를 채워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들을 위한 전문적인 슈퍼비전이 필요하다. 인증관리요원이 근무하고 있는 기관 뿐 아니라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중앙 및 지역 사회복지자원봉사 관리본부에서도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슈퍼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의 전담인력 배치가 필요하다. 또한 보건복지부를 비롯한 행정안전부, 여성가족부 등의 다양한 자원봉사 관리시스템이 조속히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되어 각 부처별로 자원봉사 실적을 중복 입력하는 비효율적인 행정력 사용을 줄여야 할 것이다. 그동안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사업에 대한 선행연구가 아직 미비하여 본 연구가 탐색적인 단계이기는 하나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요원의 역할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실질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 사회복지관 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2009년 사회복지시설 평가결과를 중심으로

        김영미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03

        Recently, 'Performance management' is a core issue in social welfare field. Also, It needs performance suggestion through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for inserting government public resource and private resource in social welfare program. Since 1997, Korean government have adopted evaluation system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rough social service law and government have measured social welfare organization performance.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performance brought up not only quantitative growth but also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and reinforcement of management responsibility. However, application of results are inadequate compared to much effort for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index and evaluation progress to measure performance over 10 year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research facts effecting on program performance, using result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evaluation which is representative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major paradigm of 'Performance management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This study researched results of social welfare evaluation in 2009 through secondary data collection and measured the structuralize production, quality and results through performance of 295 social welfare centers in the whole country(15 provinces and cities) Also, this study carried ou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understand effective facts between insert facts of program and performance of program. Follow the result, between insert facts of program and performance of program are generally meaningful correlation. Specially, it showed high correlation between program field and production, quality and result performance. The result of analysis facts effecting on social welfare program performance, it showed all evaluation area effected on program production performance in p<0.01. In quality performance, organization management and program area effected on social welfare program performance. In result performance, it showed that professionalism of workers, transparency in management effected on program performance. There are details of insert facts such as donation rate, management regulation, composition of committee, computerize data, number of members, rate of certification holders, educational expense, professionalism of middle chief executive officers, middle professionalism of middle managers, speciality of program planing, distinction and novelty of program which effect on program performance highly. This study has distinction with similar studies because it used result of objective government facilities evaluation and investigate insert facts of organization effecting on program performance, based on current issue, performance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field. Through this study, it has practical undertone to help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n working level which aim to performance. Also,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selection of trust management, secure private resource, reinforce professionalism of practician, speciality of program planning are very important. This study expects to help inside organizational effort for managing welfare center and applicate grounds data to propose policy suggestions in future. 최근 사회복지분야의 핵심이슈는 ‘성과관리’이다. 이제 사회복지 프로그램 및 서비스 또한 정부의 공공자원 및 외부 민간재원 투입에 대한 효과성, 효율성 검증을 통해 성과 제시에 대한 요구가 증대대고 있는 현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1997년부터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을 통해 사회복지시설 평가제도를 도입하여 정부 차원에서 사회복지조직의 성과를 측정하고 있다. 2009년 4기 평가까지 진행되어 온 사회복지시설평가는 평가제도의 양적성장 뿐 아니라 서비스 질 향상과 운영 책임성 강화 등의 효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10여년이 넘는 기간동안 시설평가를 진행해오면서 성과 측정을 위한 지표개발과 평가진행 과정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것에 비해 결과 활용 정도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성과관리'라는 주요 패러다임에 따라, '성과평가'를 대표하는 사회복지시설 평가 결과를 분석, 활용하여 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9년 사회복지관 평가 결과자료를 자료원으로 2차 자료 수집방법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전국 15개 시․도 295개 사회복지관의 성과를 산출, 품질, 결과성과로 구조화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투입요소와 프로그램 성과 간의 관계 및 영향요인을 알기 위해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프로그램 투입요소들과 사회복지관 프로그램 성과 간에 전반적으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가운데, 특히 프로그램 영역과 산출, 품질, 결과성과 간 상관관계가 매우 높았다. 사회복지관 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본 결과, p<0.01수준에서 프로그램 산출성과에는 직원처우를 제외한 평가 전 영역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품질성과에는 조직운영과 프로그램 영역이, 결과성과에는 직원의 전문성과 운영투명성, 프로그램 영역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산출, 품질, 결과성과에 공통적으로 특히 높은 영향력을 나타내는 세부 투입요소로는 후원금비율, 운영규정집, 운영위원회 구성, 전산처리, 직원수, 자격증소지 비율, 교육활동비, 최고중간관리자 전문성, 일반중간관리자 전문성, 프로그램 기획의 전문성, 프로그램 차별성 및 참신성 등이었다. 본 연구는 최근 이슈인 사회복지영역의 성과관리라는 주제로, 객관화된 정부의 시설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의 투입요소를 알아봄으로써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타 유사연구와의 차별성을 가진다. 이를 통해 성과를 지향하는 현장의 사회복지조직들에게 실무적으로 도움을 주는 데 실천적 함의가 있다. 또한, 연구 결과, 사회복지관 프로그램 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위탁운영체 선정, 민간자원의 확보, 종사자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의 전문적인 기획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은 향후 사회복지관을 운영하는 데 있어 조직 내부의 노력 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나 국가를 상대로 정책적 제안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사회복지사들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주현우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 직무환경 요인, 건강 요인, 정서적 요인, 경제적 요인이 전체 노후준비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30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건강상태는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정서적 요인인 가치성향은 통제론적 가치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신체적 노후준비와 경제적 노후준비의 경우 보통 수준 이하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노후준비의 경우 높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전체 노후준비도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전체 노후준비도의 차이의 경우 성별, 연령, 종교, 혼인, 자녀수, 가족형태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직무환경 요인에 따른 전체 노후준비도의 차이의 경우 경력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건강 요인인 건강상태와 정서적 요인인 가치성향에 따른 전체 노후준비도의 차이에서도 각각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경제적 요인인 주관적 경제상태, 월평균소득, 재산평가, 주거구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연구대상자들의 전체 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한 결과 신체적 노후준비의 경우 성별, 연령, 혼인, 직급, 고용형태,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노후준비의 경우 혼인, 가치성향, 월평균소득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가치성향과 주관적 경제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혼인, 직급, 고용형태, 건강상태, 가치성향, 주관적 경제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제시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로서 첫째, 사회복지사의 건강상태가 보통수준보다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사회복지 수요에 맞는 적정 수준의 사회복지 인력을 확충하고 배치함으로서 인간의 기본권중 하나인 건강권을 사회복지사들이 수호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사회복지사들의 정서적 노후준비는 높게 나타났지만, 상대적으로 신체적, 경제적인 노후준비는 충분히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사회복지사들의 안정적인 신체적, 경제적 노후준비를 위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개입과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직무환경, 건강, 정서적, 경제적 요인에 따라 노후준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각 특성에 맞는 노후 설계를 위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야한다. 넷째, 사회복지사들의 노후준비를 계획적으로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에 사회복지사들이 근무하고 있는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사회복지법인들은 사회복지사들의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위하여 다양한 지원을 실시해야 한다. 다섯째, 사회복지사들의 업무환경을 개선을 통해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에 사회복지사들의 업무환경 개선을 통해 건강상태를 높여 노후준비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적극 노력이 필요하다. 여섯째, 사회복지사들의 각 개인의 노후준비에 노력해야 한다. 사회복지사들도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이면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자이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사들의 자신의 행복한 삶과 노후준비를 철저히 고민하고 준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he factors that affect retirement planning among social workers. Sociodemographic factors, work environment factors, health factors, emotional factors, economic factors were analyzed How does aging affect the overall readiness. For this study, 309 social workers working in Seoul area were survey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such. First, the physical state of the subjects appeared to be very poor, however the social control theoretical value inclination, which is one of the mental factors, appeared to be very high. The retirement planning in terms of health and finance was below the average, although their emotional retirement planning was above the average. Thus it was apparent that the overall retirement planning ratio was overall the average. Second, in case of the overall retirement planning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sex, age, religion, marital state, number of children, and type of family. Work experience influenced the difference in retirement planning regarding work environmental factor while the difference between physical state, the health factor, and value inclination, the mental factor, was significant. Also, the financial factor, which is individual financial state, average monthly salary, appraisal of property and residential difference, showed valid differences in retirement planning. Third, the analysis result of the factors that affect overall retirement planning index of subjects discovered to be the sex, the age, the marital state, the professional position, the employment status, the physical state, and the individual financial state, and these factors influenced the physical retirement planning. On the other hand, the emotional retirement planning is influenced by the marital state, the value inclination, and the average monthly salary. The variables of the financial retirement planning are the value inclination and the individual financial state. Next, the overall retirement planning index is altered by the variables which are the marital state, the professional position, the employment status, the physical state, the value inclination, and individual financial state. The practical implication propo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s firstly the need of countermeasure regarding the below-average-physical-state of social workers. Hence hereupon number of social workers should be reasonably increased and allocated according to the social welfare demand so that social workers can defend their health right, one of the basic human rights. Secondly, the physical and financial retirement planning was inadequate relative to the emotional retirement planning. This should be ameliorated through aggressive intervention and efforts from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authorities. Next, personalized educational program to design each individual’s retirement should be provided to satisfy the differences in retirement planning depending the work environment of subjects and the physical, emotional and financial factors. Various supporting system should be cultivated so that the social workers can plan their retirement successfully.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 that operates the facilities where the social workers are employed should enforce various supports for their stable retirement. Fifthly, the improvement in work environment of social workers will enhance the quality of their life. This improvement will increase the physical state of social workers which will lead to their interests in active retirement planning. Sixthly, each social worker should put efforts into his or her own retirement plan. They are the one who provides social welfare services as well as receives the social welfare services. This means as much as they are willing to provide high quality social welfare services, they are also the beneficiaries who want to receive the high quality social welfare services. Thus they should consider and prepare for their own happy life and retirement thoroughly.

      • 사회복지기관의 윤리경영이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서울경기지역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채성현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기관의 사회복지사들이 인식하는 윤리경영의 수준을 파악하여 윤리경영이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사회복지 기관의 윤리경영과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함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하는 36개소의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총 346명의 사회복지사에게 우편과 방문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결과 30개 사회복지관으로부터 297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이 중 276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 기관에서 실행되고 있는 윤리경영 수준에 있어 전체 윤리경영 수행 정도는 3.24점으로 보통수준보다 높았으며 그 가운데 기관장의 윤리경영 의지가 3.7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이해관계자 동참이 높게 나타났으며, 윤리경영시스템 구축과 윤리경영 평가 및 개선, 윤리교육 및 훈련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들이 인식하는 조직몰입 수준에 있어서는 전체 조직몰입이 3.47점으로 대체로 높았으며 그 가운데 정서적 몰입이 3.7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윤리경영 선도기관 육성사업에 참여한 기관과 비참여 기관의 윤리경영 수준과 조직몰입 수준을 비교한 결과 참여기관의 사회복지사가 인식한 윤리경영 수준이 참여하지 않은 기관의 사회복지사가 인식한 수준보다 높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윤리경영이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윤리경영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적으로 기관장의 윤리경영 의지와 윤리경영 평가 및 개선, 이해관계자 동참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이상에서 윤리경영은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 향상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향후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하여 신분보장, 처우개선과 함께 사회복지 기관의 윤리경영 도입과 정착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및 사회복지 기관에 적합한 윤리경영 모델의 지속적인 개발과 연구가 병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gree of ethical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agenc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thical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agency and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e survey research, 346 social workers from 36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GeyongGi were selected.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the questionnaires by visitation and mail, and then 29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0 agencies. Among them, 27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e frequency and descriptive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tatistic program of SPSS 13.0.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ocial welfare agencies' ethical management was 3.24(of 5.00) in average, which is fairly high. Among the sub-dimensions, 'the strong willingness of Director(CEO) to adopt ethical management' was the highest at the level of 3.75(of 5.00), and 'participation of interested group to ethical management', 'establishment of ethics management system' and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ethical management' were followed in regular sequence. Second, the to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relatively high at the level of 3.47(of 5.00) among the cognition results of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t the results, 'affective commitment' was the highest at 3.71(of 5.00). The cognition levels of 'norma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were followed. Third, the level of the ethical management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ignificantly high at the social workers of participation agencies in the upbringing project for the guidance agency of ethical management against those of no participation agencies. The participated agencies' social workers had better understanding about the ethical management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those of not participated. Finally, the result of the influence of ethical management of welfare agency on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that the higher level of the ethical management might bring th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detail, 'the strong willingness of Director(CEO) to adopt ethical management',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ethical management', and 'participation of interested group to ethical management' may lead the positive effect of significant dimen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found that the ethical management was important dimension to improve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Furt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social workers, the systematic support is necessary for the induction and settlement of the ethical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agencies. And it is regarded that the continuo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ideal model for the ethical management is also important in company with a guarantee of status and better treatment for the social workers.

      • 교육복지사업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사례관리자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조미리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사업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사례관리자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영향 요인 중 특히,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요인(자기효능감, 사례관리 관련 전문적 지식 수준, 사례관리 교육·훈련 정도), 학교 요인(연계활동에 대한 지원 수준, 학교 내 업무의 자율성, 과업의 중요성), 지역사회 요인(지역사회 네트워크 수준, 지역사회 자원 정도)이 사례관리자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교육복지 사업학교에 근무하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 18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사례관리자 역할 수행 수준을 보면, 보통 수준 이상으로 사례관리자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례관리자 역할수행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은 사례관리자 역할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성별, 대학 전공, 최종 학력, 교육복지 관련 경력, 근무지역, 교급은 사례관리자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평균(34세)을 기준으로 고연령 집단이 저연령 집단보다 사례관리자 역할수행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사례관리자 역할수행과 전체 독립변수들 간 관련성 여부 및 그 정도를 분석한 결과, 투입된 독립변수 중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연령,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요인(자기효능감, 사례관리 전문적 지식, 사례관리 교육·훈련 정도), 학교 요인(연계활동에 대한 학교의 지원 수준, 학교 내 과업의 중요성, 학교 내 업무의 자율성), 지역사회 요인(지역사회 네트워크 수준, 지역사회 자원 정도)이 사례관리자 역할 수행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연령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사례관리 전문적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사례관리 교육·훈련 정도가 높을수록, 연계활동에 대한 학교의 지원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 내 과업의 중요성이 높을수록, 학교 내 업무의 자율성이 높을수록, 지역사회의 네트워크 수준이 높을수록, 지역사회의 자원 정도가 높을수록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사례관리자 역할 수행 수준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요인, 학교 요인, 지역사회 요인이 모두 종속변수인 사례관리자 역할수행에 영향력을 보이는 이 같은 결과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 개인의 역량 외에도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업무 및 활동과 사례관리에 대한 교육·훈련에 대한 학교의 지원 정도, 지역사회 기관과의 연계·협력 관계가 사례관리자 역할수행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라고 판단되어 진다. 넷째, 본 연구의 주요 변수로써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요인(자기효능감, 사례관리 전문 지식 수준, 사례관리 교육·훈련 정도), 학교 요인(연계활동에 대한 학교의 지원 수준, 학교 내 과업의 중요성, 학교 내 업무의 자율성), 지역사회 요인(지역사회 네트워크 수준, 지역사회 자원정도)이 종속변수인 사례관리자 역할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특성,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요인, 학교 요인,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요인을 단계적으로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최종 분석 모델2는 개인적 특성 및 학교 특성의 영향력이 고려된 상태에서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요인, 학교 요인, 지역사회 요인을 투입한 분석 모형으로, 사례관리자 역할수행 수준에 영향을 주는 개별 변수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사례관리 전문적 지식수준, 지역사회의 네트워크 수준의 순으로 정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육복지사업에서의 사례관리 실천에 관한 최초의 연구로써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사례관리자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지역사회교육전문가 개인 및 학교와 지역사회 수준에서 사례관리자 역할 수행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의 결과로 제시될 수 있는 실천적 함으로써 첫째,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사례관리 전문적 지식수준을 높여 사례관리자 역할수행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사례관리 관련 전문 교육과 사례관리 관련 전문적 지식을 갖춘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채용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하여 지역사회교육전문가가 학교의 협조 하에 다양한 네트워크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청 차원에서 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복지사업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며, 교육청과 학교 차원에서 교육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한 협의회를 진행하고, 공동사업 및 협력사업을 추진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수퍼바이저 없이 홀로 학교에서 근무하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들의 사례관리 교육·훈련 정도가 매우 낮은 것을 감안하여 교육청 차원에서 전문가에게 정기적인 수퍼비전을 받을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넷째, 회귀분석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상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es of case managers' role performance of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in education welfare. Among various factors ,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at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factors (self-efficacy, the level of expertise related to case management and case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level), school factors (the level of support for resources associated activities, the autonomy of school work and the importance of school tasks), and community factors (the level of community networks and community resources) affect case managers' role performa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ed data from 187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who are working at the school education welfare from all over the country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y participants reported to have above average case managers' role performance Secondly, analyse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erforming case managers' role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Third, in order to answer the major study question as to influential factors in case managers’ role performances of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in education welfare,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es showed, after accounting for other variables in the model, the level of expertise related to case management of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factors and the level of community networks of community factors affect case managers' role performance.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서비스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영선 崇實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서비스연계에 대한 실태와 서비스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 활성화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자원환경, 조직적 특성인 직무환경과 조직내 임파워먼트, 개인적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는 가설을 설정하고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이를 검증해 보았다. 조사대상은 서울시 동사무소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 200명이었으며 실제 분석에 활용된 설문지는 153부였다. 조사과정은 우편을 통한 설문의 형식을 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연계 실태로는 서비스 연계의 총 연계 횟수를 보았을 때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은 연 평균 60.15회의 서비스연계를 수행하고 있었다. 하위 영역별로는 정보제공은 연평균 19.7회로 이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클라이언트 및 그의 가족에게 사회복지서비스 기관명, 위치 등의 정보를 알려준 횟수를 말하며 , 서비스 의뢰는 25.98회로 이는 다른 기관의 구성원과 접촉하여 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비스를 의뢰한 횟수를 말한다. 자금동원은 14.47회로 이는 클라이언트에게 후원단체 연결 등을 통해 외부자원을 연결한 횟수를 말한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92.2%는 서비스연계업무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었으며 79.1%가 서비스연계업무가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서비스연계업무 경험의 이유로는 공공부조에 의한 지원만으로 한계가 있어서가 절반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우리나라 공공부조가 수급자들의 욕구를 해결하는데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서비스 연계에 차이가 나는지 보았을 때, 성별로는 수행하고 있는 서비스 연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연령, 결혼상태, 종교, 자격증, 직위, 총근무경력, 동기에 따라서는 서비스연계의 수행에 차이가 났다. 연령이 높을수록 서비스 연계를 더욱 많이 하고 있었고, 미혼보다는 기혼이, 직위가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자격증 급수도 높아질수록 수행하는 서비스 연계량이 많았다. 한편 지역사회 자원환경요인, 조직요인, 사회복지전담공무원 개인요인이 서비스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에 관한 연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자원환경요인, 조직요인, 사회복지전담공무원 개인요인이 지역사회 자원정보 제공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을 때, 조직요인의 하위요인인 교육체계 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자원환경요인, 조직요인, 사회복지전담공무원 개인요인이 서비스 의뢰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을 때, 조직요인의 하위요인인 교육체계, 수퍼비전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 자원환경요인, 조직요인, 사회복지전담공무원 개인요인이 자금의 동원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을 때, 조직요인의 하위요인인 교육체계와 전문성 태도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서비스연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방자치단체장은 조직 내에서 연계업무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연계업무가 일상의 공식업무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할 것이다. 특히 교육체계와 수퍼비전이 연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전문적인 교육과 수퍼비전을 받을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해야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atus of linking services by social workers who are dealing with public aid programs in public sectors and the factors having an effect on it and find the revitalization plan. This study is based on the linking services influencing not by one factor but by multiple factors. This study formed the hypothesis for local society resource environment, job environment which is systematic feature, individual factor as independent variable and verified these thing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subjects of survey are 200 social workers in 12 different provinces in Seoul and 153 are included in the research. All procedure was taken the form of questionnaires by the mail. Major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As the status of linking services,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accomplished 60.15 annually from the standpoint of total linking services. As subordinate categories, furnishing information per year is 19.7. It means the number that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 organization name, location etc. to the clients or their family. The number of service request is 25.98 per year. This is the number that they contacted to other organization staff and request services. The number of fund mobilization which connected external resource to the clients through the connection with a support group is 14.47. 92.2% of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recognizes about linking services and 79.1% of them think linking services should be expanded. As the reason for linking services necessity, more than half think support by only public helping has the limits and they recognize that Korea's public helping is not sufficient for beneficiary's desire. At standpoint of the difference of linking services according to the general features of object, there is no difference by the gender but it reverses on the age, marriage, religion, certificate, position, total experience, motivation. The older is more accomplishing than the younger, linking services amount getting increase on the married than the single, more job experience, and higher certificate level. On the other side, analysis result about what has an effect on linking services among local society resource environment factor, system factor, individual factor of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is as follows. First, analysis about local society resource environment factor, system factor, individual factor of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have an effect on providing local society resource information shows that only education system as subordinate categories of systematic factor has an meaning effect. Second, according to analysis about local society resource environment factor, system factor, individual factor of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have an effect on service request, education system as subordinate categories of systematic factor and supervision in that order have an meaning effect. Third, analysis about local society resource environment factor, system factor, individual factor of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have an effect on the fund mobilization shows that education system as subordinate categories of systematic factor and professional attitude factor have an meaning effect.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 A local government head should recogniz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onnection affair in the organization and encourage the environment that connection affair could be settled as normal official job in order to revitalize linking services of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Especially, professional education and supervision of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should be supported politically considering education system and supervision have an principle effect on linking services.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지역사회교육전문가와의 협력에 미치는 영향

        방수연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eachers on Educational Welfare on the cooperations with comminity education specialistis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ed data from 201 teachers in educational welfare schools in Seoul area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y participants reported to have above high level of cooperation. Second, analyse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vel of cooperation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nd schools, level of school and employment type. Third, in order to answer the major study question as to how perception of teachers on educational welfare on the cooperations with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years in educational welfare, level of school, type establishment, leadership of principal, school culture and perception of teachers had effect on the cooperations with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after accounting for other variables in the model. Base on these results,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raise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educational welfa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roles and characteristics through small sized training sessions.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evel of school culture though relationship improvement among teachers to enhance the cooperation with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leadership of principal by encouraging of teachers in educational welfare sessions. Fourth, it is needed to improve the level of cooperation through cooperation program for all staffs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in national and public school. Fifth, it is needed to raise the level of cooperation through various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satisfying the demand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ixth, it is important to publicize the meaning of educational welfare and necessity of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by executing project PR, consulting and training. 본 연구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지역사회교육전문가와의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 내 교육복지학교의 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들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은 연구의 주요 결과이다. 첫째, 연구 대상자와의 협력수준을 살펴보면, 높은 수준이상의 협력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교사와 학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협력의 수준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교급과 고용형태에 따라 협력 수준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학교급은 초등학교 일수록, 고용형태는 정규직 일수록 협력의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지역사회교육전문가와의 협력수준과 독립변수, 통제변수들 간 관련 여부와 그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제변수인 성별, 나이, 고용형태,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 교육복지사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협력수준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대상자비율과 학교급은 지역사회교육전문가와의 협력 수준에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는 남자교사보다 여자교사인 경우가 비정규직교사 보다는 정규직교사의 경우, 연령,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수준, 교육복지사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높을수록 지역사회교육전문가와의 협력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육복지대상자비율이 낮을수록 학교급이 중·고등학교에서 초등학교로 낮아지면서 교사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협력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문제로서 지역사회교육전문가와의 협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인구사회학적요인, 교육복지사업요인, 학교요인과 독립변수인 교육복지사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단계적으로 투입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최종모형에서 지역사회교육전문가와의 협력에 영향을 주는 개별변수는 교육복지연차, 학교급, 설립형태,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 교사의 인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육복지사업에서의 교사의 인식의 중요성을 입증하고, 현재 교육복지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결과를 제시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로서 첫째, 교육복지사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높은 것이 중요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수를 실제사례 중심으로 사실적·개별적으로, 학교의 특성에 맞는 소규모 연수, 교사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가 동일하게 참여하는 연수를 통해 서로의 역할과 특성을 이해하고 협력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교육전문가와의 협력을 높이기 위해 교사들 간의 관계개선을 통해 학교문화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장의 전문 리더십센터와의 연계를 통해 교사들의 교육복지참여 독려를 통해 학교장의 리더십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국공립학교에서는 학기 초 전교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협력프로그램을 통해 협력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다. 다섯째, 중·고등학생들의 욕구에 맞는 다양한 교육복지프로그램을 통해 협력수준을 높여야 한다. 여섯째, 안정된 교육복지사업을 위해 사업홍보와 컨설팅, 연수 등을 실시하여 교육복지사업의 의의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필요성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 사회복지사의 전직 후 재진입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백세준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점차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는 현 시점에서 사회복지사의 이직을 넘어 전직을 알아보고, 전직한 후 다시 사회복지분야로 재진입하는 현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직 후 재진입 경험이 있는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가 겪고 있는 어려움은 무엇이고, 전직 후 재진입하는 계기는 어떤 것인지,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정책적 및 실천적 방안을 모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사로 근무를 하다가 전직의 경험이 있고, 결론적으로 사회복지분야로 재진입한 경험이 있는 사회복지사 8명을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reswell의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상위 범주 16개, 하위 범주 44개를 도출하였다. 사회복지사가 경험한 것을 시간 순으로 사회복지 진입 과정, 타 분야 전직 계기, 전직 후 타 분야에서의 적응과정, 사회복지분야 재진입 계기, 재진입 후 성찰의 과정 등 5개로 구분하였다. 먼저, ‘사회복지 진입 과정’에서 상위 범주 1개, 하위 범주 2개로 구분하였다. ‘타 분야 전직 계기’에서는 상위 범주 5개, 하위 범주 20개를 도출하였으며 ‘전직 후 타 분야에서의 적응 과정’에서는 상위 범주 3개, 하위 범주 6개로 구분하였다. ‘사회복지 재진입 계기’에서는 상위 범주 5개, 하위 범주 16개로 분류하였고, ‘재진입 후 성찰의 과정’에서 상위 범주 2개, 하위 범주 6개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조직은 비전과 가치를 확립하여야 하고, 채용 단계에서부터 조직과 같은 비전과 가치를 가진 사람을 채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반적인 사회복지분야의 경직된 분위기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코로나19와 같이 예상할 수 없는 사회적 재난 등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변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업무 능력 향상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조직 차원에서는 사회복지사 개인뿐만 아니라 직원의 가족 등 외부 환경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육아휴직과 같은 일·가정 양립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사회복지분야에서도 이를 계속해서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분위기를 조성해 하나의 문화로 정착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정책적 제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 진입 과정에서 중요한 채용 과정이 불충분하므로 채용 공고 시 명확한 정보를 담을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의무화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최근 들어 자주 발생하고 있는 직장 내 괴롭힘 문제를 투명하고 공정하게 처리하기 위해 법과 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분야의 단일임금체계 적용 및 보수 수준 현실화가 필요하다. 넷째, 사회복지분야에서도 괜찮은 일자리의 개념과 측정 지표를 도입하여 일자리 질에 대한 책임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This study explored in-depth social workers who have re-entry experience after turnover to find out about turnover beyond social workers and re-enter the social welfare sector at a time when the desire for social welfare services is gradually diversified and complex. Through this, the purpose is to find out what difficulties social workers are experiencing, what is the opportunity to re-enter after turnover, and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them. To this end, eight social workers who worked as social workers and had experience in turnover, and in conclusion, re-entered the social welfare field were selected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reswell's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6 upper categories and 44 lower categories were derived. Social workers' experiences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in chronological order: social welfare entry process, opportunity to turnover in other fields, adaptation process in other fields after change, opportunity to re-enter social welfare field, and reflection process after re-entry. First, in the 'social welfare entry process', it was divided into one upper category and two lower categories. In the 'instance of changing jobs in other fields', 5 upper categories and 20 lower categories were derived, and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in other fields after changing jobs', 3 upper categories and 6 lower categories were classified. In the 'Instance to Re-enter Social Welfare', it was classified into 5 upper categories and 16 lower categories, and in the 'Process of Reflection after Re-entry', it was derived into 2 upper categories and 6 lower categories'. The practical suggestions are as follows.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need to establish visions and values, and from the recruitment stage, it is necessary to hire people with the same vision and values as the organiz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innovatively change the rigid atmosphere of the overall social welfare sector. Third, support for improving work ability is needed to cope with rapidly changing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unpredictable social disasters such as COVID-19. Fourth,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not only to individual social workers but also to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the employee's family. Finally, as the importance of work-family balance such as parental leave is emphasized, the social welfare sector should continue to actively encourage it and create an atmosphere to establish itself as a culture. The policy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an important recruitment process is insufficient in the process of entering social welfare, it is necessary to make guidelines that can contain clear information mandatory when announcing employ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laws and systems in order to transparently and fairly deal with workplace bullying problems that have frequently occurred in recent years. Third, it is necessary to apply a single wage system in the social welfare sector and realize the level of remuneration. Fourth, in the social welfare field, the responsibility for job quality should be strengthened by introducing the concept and measurement indicators of decent jo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