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학대학원생의 자기이해와 성장을 위한 비블리오드라마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윤희 한일장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신학대학원생들의 자기이해와 성장을 위한 비블리오드라마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서인식 명확성, 대인관계 및 영적 안녕감과 같은 변인들과 연관된 신학대학원생들이 참여하는 비블리오드라마 프로그램의 개발 절차를 조사하고, 이론적 근거에 기반해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먼저 신학대학원생 8명과 목회자 5명을 대상으로 개별심층면접을 통해 프로그램 요구사항과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전문가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의 수정 및 보완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총 10회기의 비블리오드라마 프로그램이 구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발적으로 참여한 신학대학원생 2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3명, 통제집단 13명으로 구분하였고 매주 1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참여자들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 정서인식 명확성, 대인관계 및 영적 안녕감 척도를 활용하여 사전, 사후 및 추후 검사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를 통해 프로그램의 의미와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신학대학원생들의 정서인식 명확성 점수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둘째, 대인관계 점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만족감이라는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영적 안녕감 점수의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고, 하위요인인 종교적 안녕감 및 실존적 안녕감에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넷째,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변화경험의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참여자들이 제공한 질적인 자료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에서 다루고자 한 각 요인들의 변화양상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의의는, 신학대학원생의 자기이해와 성장에 비블리오드라마가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신학대학원생의 자기이해와 성장을 위한 비블리오드라마의 연구기반을 마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bibliodrama program for the self-understanding and growth of theological graduate student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o this e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bibliodrama program involving theological graduate students, focusing on variables such as emotional clar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piritual well-being, and designed the program based on theoretical foundations. Initiall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theological graduate students and five ministers to examine the program requirements and validity, and program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were made through expert evaluations. Through this process, a 10-session bibliodrama program was established. In this study, 26 voluntary theological graduate student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with 13 members, and a weekly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nges in participants,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 scales of emotional clar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piritual well-being, and the implications and effects of the program were confirmed through the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clarity scores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mong the participating theological graduate students.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ores, although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sub-factor of satisfaction.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in spiritual well-being scores occurre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the sub-factors of religious and existential well-being. Fourth, through an analysis of the qualitative data provided by the participants, the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changes in the various factors that the program aimed to address. Specifically, although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o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well. The result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 i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bibliodrama program for the self-understanding and growth of theological graduate students, demonstrating the program's effec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 positive direction for the self-understanding and growth of theological graduate students and establishes a research foundation. Finally, the study discusses the limitation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직업선호도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직업의식과 현장실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태선 한일장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ntroduction of various programs and policies to increase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studies by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explain the effect of job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studies on major satisfaction and grasping the effect of these factors. In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four theoretical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predictors of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studies, and job preference was set as an exogenous variable, and job consciousness, field practice, and major satisfaction were set as endogenous variables. There were 13 measurement variables for the four theoretical variables, and the measurement tool was used after confirm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As subjects of the study, 557 students who completed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among university social welfare department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written questionnaire, and the data from 535 people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of the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variables, and for covariate structural analysis, hypotheses were verified using the Amos 25.0 program.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l by arran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model generally fits well in the overall fit index. The predictors in the research model explained 58.3% of the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studies. Second, the variable affecting job consciousness is job preference, and the direct effect and the total effect were significant. Third, the variables affecting on‐the-field practice were job preference and job consciousness, and in job preference,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were significant, while in job consciousness, 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were significant. Fourth, significant variables directly affecting major satisfaction were job preference, job consciousness, and on‐the‐field practice, and for job preference, the direct and total effects were significant. The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were significant in job consciousness, but the indirect effect had a negative effect, and field practice had a negative effect on both the direct effect and the total effect. Therefore, job preference had a direct effect on job consciousness, field practice, and major satisfaction. Job preference had the greatest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followed by job consciousnes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degree of job preference, the higher the degree of job consciousness, field practice, and major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it was found that job preference had a large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showing the result that increasing the degree of job preference meant that major satisfaction increased. In addition, if interested in the job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studies and contribute to job consciousness,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major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pecific and practical job preference reinforcement program from a social welfare perspective with an approach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job preference, and introduce a program to improve job preference through education and consultation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school education and education policy expert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Second, the job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studies can be said to be a very important related variable, given that they become adults and participate in society in the future. We are apt to understand that the job consciousness is fixed at birth, but job consciousness can also be improved through a job consciousness development program that raises the degree to the level required by the society. Therefore, recognizing that there are positive factors affecting the improvement of major satisfaction of the job consciousnes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trive to develop a policy approach and program to improve the job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studies. Third,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at can exist as an indirect causal relationship in addition to the direct causal relationship was revealed, and as an important related variable of major satisfac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work to clarify detailed variables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preference. Fourth,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job preference and job consciousness were important variables as variables related to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studies, but for generalization, iterative studies that expand and apply research subjects, diversification of measurement items, and longitudinal studies to cla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edictive factors are necessary.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직업선호도가 전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과 매개변수인 직업의식과 현장실습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대학 교육현장의 교육 프로그램과 정책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예측변수로 4개의 이론변수를 확인하여 외생변수는 직업선호도, 내생변수로는 직업의식, 현장실습, 전공만족도를 설정하였다. 4개의 이론 변수들에 대한 측정변수는 13개였고, 변수들의 측정도구는 예비조사를 통해 각 문항별 신뢰도를 확인한 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북, 전남, 광주지역의 사회복지학과 재학생 중 사회복지현장실습을 마친 학생이며 응답자는 557명이며 불성실 응답자와 무응답 항목이 있는 응답자료를 제외한 535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을 이용하였으며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그리고 각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공변량 구조분석은 Amo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선호도, 직업의식, 현장실습, 직업만족도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연구모형은 전반적 적합지수에서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 내 예측변수들은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58.3% 설명하였다. 둘째,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직업선호도로 직접효과와 총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현장실습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직업선호도와 직업의식으로 직업선호도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총효과가 유의하였고 직업의식은 직접효과와 총효과가 유의하였다. 넷째, 전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직업선호도와 직업의식, 현장실습이며, 직업선호도는 직접효과와 총효과가 유의하였다. 직업의식은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총효과가 모두 유의하였지만 간접효과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현장실습은 직접효과와 총효과 모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직업선호도는 직업의식과 현장실습, 전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직업선호도가 전공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직업의식이 영향을 미쳤다. 즉, 직업선호도의 정도가 높을수록 직업의식과 현장실습, 전공만족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직업선호도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나 직업선호도의 정도를 높이면 전공만족도가 높아짐을 의미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직업의식에 관심을 가지고 직업의식에 기여하게 되면 전공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직업선호도를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사회복지학적 관점에서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직업선호도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학 교육 담당자, 교육정책 전문가 등과 협의하여 직업선호도 향상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 피드백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전문직의 관점에서 볼 때 현재 사회복지학 전공자의 직업의식과 직업 가치관은 매우 중요한 변수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직업의식이 전공만족도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직업의식 향상을 위한 학교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제도 및 정책적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직업선호도와 전공만족도 간의 직접적인 인과관계 이외에도 매개변수로 직업의식, 현장실습 간의 관계를 밝혔지만 향후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매개변수를 설정하여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관련된 변인으로서 직업선호도, 직업의식이 밀접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으나 보다 일반화를 위해서는 연구대상자를 4학년 뿐만 아니라 전체 학년으로 확대 적용하고 시계열적으로 직업인식 및 선호도의 변화를 측정해교육현장에서 능동적으로 이들 결과를 적용해야 할 것이다.

      • 한국교회의 선교 갱신을 위한 선교적 교회론 연구

        김성준 한일장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15

        A Study of the Missional Ecclesiology for the Missional Renewal for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Kim Sung Jun Korean Protestant Church has experienced amazing church growth in the 130 past years. The reasons of the growth are not only by the Korean religious, cultural, and economical aspects but also by the functional and pragmatical ecclesiology in relation with Westernization and Americanization of Korean Protestant Church. So tha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tagnation of Korea Protestant Church since the end of 1980's has relation to the stagnation of the churches in the Western and America. Missional church begins to view that the nature of church is missional. Missional church's essence is missional beyond its structure and ministry. The missional life of Jesus Christ is the center of the missional church. It can be said that the Christian church is considered as the missional church when the whole life, structure and ministry aim the kingdom of heaven in the world. GOCN of the northern America begun from 1996 to effort rebuilding of the nature of the church is consisted with the discernment of Newbegin and Bosch. They instituted the identity of the church is not a winner or settler bu pilgrims in the northern America. The churches in the northern America should realize the churches and all actions of Christians participate in God's mission in the world rather than taking pride of that the churches of northern America is in the van of the world mission. The missional church is to witness under the every culture and serve and love local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of God's church. The church is the community of God's people who have the intention of mission. That is the community of the church is missional community which leads the nature of the church in the world. We have to accustomed to understand that God is the missional God and the church is "to be sent." "As the Father has sent me, I am sending you."(John 20:21) The missional reinterpretation of theology is the result from awakening of biblical and theological understanding. The new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 and the intention of God to send and do mission helps us to know the new define of the Trinity. The mission is conducted not by the church but by God Himself. The Father sent the Son, the Son Himslef came to the earth as a missionary, the Holy Spirit leads mission with power. The church is the only missional agent for God's mission. The missional church roles to change the secular culture with the gospel of Jesus Christ. This does not mean that the church despise and oppose the all secular culture but try to change the secular culture to the gospel. The true gospel embrace the cultures in the world. We need to examine cultural circumstance in Korean culture in order that the missional church can be applied in. Without understanding of Korean unique socio-cultural situation we can not put the missional church movement of northen America into Korean church. Therefore, only when the missional ecclesiology provides missional insight and the understanding of socio-cultiral condition, the missional ecclesiology can be applied in. The next three points are for the missional renew as following the missional ecclesiology provided by missional insight and socio-cultural situation. First, the church has to pursuit relationship and share in mission. At first, the both sides(ecumenical group and evangelical group) effort unty and cooperation. The mission for unity and cooperation is the holistic mission through the unity in the diversity in the first world and the third world. Also this shows the whole world is the mission field of God when we consider the world as the mission field. The another aspect of ecumenical mission needs to mention witness and conversation with the other religions. Second, the hospitality-mission is the mission of the Trinity, which welcomes the others. This mission is based on the power of holy spirit who leads us to th e life through the sacrifice. This hospitality-mission embodies serving and share for the others in the Christian life. The hospitality-mission based on self-emptiness and redemption provides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nd the world church with the alternative vision of the missional church. Third, we need the communication and pilgrim-mission. Up to now Korea is still missioned, so that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exists. However, we lost many thins because of the early missionaries from the western countries. For example, the Korean cultures and the unique life style have been getting disappeared. The mission of God implants God's things. It means the mission of God implants the life. The mission of life is to communicate and recognize the life. The pilgrim-mission is to make the space for God, the Life of God, and the space for the others.

      • 한국 국민연금체계의 전환모델에 관한 연구 : 공무원연금체계와의 형평성을 중심으로

        문혜영 한일장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15

        한국 국민연금체계의 전환 모델에 관한 연구 -공무원연금체계와의 형평성을 중심으로 문 혜 영 지도교수 차 성 환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근간이 되는 중간계급의 강력한 사회보장 욕구를 더는 충족시키지 못하는 국민연금체계를 문제시한다. 한국 사회의 산업화 진전과정에서 근로계급은 번영·발전하여 국민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중간계급으로 편입되었다. 그 결과로 한국의 중간계급은 확대·발전되었다. 그렇지만 이들 중간계급을 위한 사회보장체계는 매우 취약하다. 그래서 국민연금체계를 사회보장 수준이 높은 공무원연금체계와 같이 업그레이드시키는 것은 현재 우리 사회를 위해서 대단히 중요하고도 시급한 과제임에 틀림없다. 그래서 연구자는 G. 에스핑엔더슨(G. Esping-Andersen, 2011)의 탈상품화 이론에 기대어 한국 중간계급의 이러한 절박한 사회보장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방향에서 국민연금체계를 개혁하고 변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I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근본 문제들을 질문하고 있다. 첫째, 공무원연금체계는 정부로부터 어떤 특혜를 받아서 탈상품화 효과가 높은 소득비례연금체계로 발전하게 되었는가. 둘째, 국민연금체계는 왜 사회의 근간이 되는 중간계급의 복지 욕구를 만족하게 하는 데 실패하여 미미한 소득보장의 연금체계로 전락하게 되었는가. 셋째, 공무원연금가입자 집단은 모든 근로자가 받는 법정 퇴직금을 거의 받지 않았는데도 강한 탈상품화 압력에서 벗어나 있는 데 반해, 국민연금가입자 집단에는 적은 액수의 연금과 아울러 완전한 법정 퇴직금을 보장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왜 거센 탈상품화 압력에 시달리게 되었는가. 이러한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연구자는 국민연금체계와 공무원연금체계의 발달과정을 법정 퇴직금과 관련지어서 역사·사회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와 아울러 이 연구에 사용되는 1차 자료 또한 독특하게 규정된다. 곧, 두 연금체계의 제정과 개정에 관련된 다양한 법령, 그러한 법령 제정과 개정에 관련된 각종 위원회 및 국회 회의록, 그리고 두 연금체계 가입자 집단에 관련된 통계자료 등이 그것이다. 제II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에스핑엔더슨의 복지국가 모델과 탈상품화 이론, 산업화 과정의 역사적 배경과 사회보험이 성립하기 위한 다양한 상황조건과 사회보험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사회보험의 주된 재원인 사회보험료의 독자적인 성격과 사회보험의 두 가지 재정방식인 적립방식과 부과방식에 대한 이론을 비교·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제III장에서는 국민연금체계와 공무원연금체계를 역사·사회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곧, 국민연금체계와 공무원연금체계의 발달과정 중 국민연금이 소득비례연금체계로 발전할 수 없게 만든 요인에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역사적 사실들을 역사·사회학적으로 재구성하여 규명해 내기 위해 다음과 같이 비교·분석하였다. 1) 공적연금제도의 도입 동기와 목적, 2) 국민연금법 제정과 연금의 목적, 3) 공무원연금법의 제정과 연금의 목적, 4) 국민연금체계와 공무원연금체계 가입자 집단의 급여구조 비교, 5) 연금재정의 안정화와 부과식 재정운용 등이 논의되었다. Ⅲ장에서 두 연금체계의 비교·분석을 통해 발견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1) 정부가 공무원 집단에 재정적 특혜를 제공해서 탈상품화 효과가 높은 소득비례형 공무원연금체계를 발전시킬 수 있었을 것이라는 사회적 통념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정부는 공무원들에게 일반기업이 근로자들에게 제공한 사회적 임금보다 더 적게 지급했기 때문이다. 곧, 정부는 공무원들의 법정 퇴직금(8.3%)의 대부분을 연금보험료로 전환하여 공무원연금공단에 내고, 그 나머지 1.9%를 퇴직 시에 퇴직수당으로 본인에게 일시금으로 지급하였다. 반면, 일반기업은 피고용인 임금의 4.5%를 보험료로 국민연금공단에 내는 한편 퇴직 시에 법정 퇴직금 모두(8.3%)를 본인에게 일시금으로 지급했다. 2) 공무원연금의 재정은 외부의 도움 없이 앞서 언급한 퇴직전환금과 공무원 개인들이 그에 상응하는 높은 수준의 기여금(7%)으로 충당되고 있다. 3) 국민연금은 낮은 기여와 낮은 급여를 제공하는 기여형 소득재분배연금체계이다. 일부 저소득 근로계층 가입자의 낮은 복지 욕구를 만족하게 하지만, 복지적 열망이 큰 대다수 중간계급 가입자들에 의해서 외면당하고 있다. 4) 국민연금체계의 연금산식에 내재한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을 의미하는 A값은 정부가 매년 발표하는 4인 가족 최저생계비에 근접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A값 이하 소득 가입자층의 비중이 2014년 기준 56.7%에 달한다. 5) 정부는 공무원연금체계와 같이 퇴직금을 연금으로 전환하고 가입자들의 기여금을 높이는 방법으로 국민연금체계를 업그레이드하는 개혁을 시도했지만, 성공할 수 없었다. 그 결과, 법정퇴직금이 국민연금가입자 집단에 고스란히 남아있게 되었다. 마지막 Ⅳ장 결론에서는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민연금체계의 전환모델을 제시했다. 새로운 전환모델을 A Study on a Transformation Model of the Korean National Pension System: Focusing on Its Equality with the Government Employee Pension System By Hyeyoung Mun Graduate School Hanil University in Korea Advisor Dr. Seong Hwan Cha This study explores a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National Pension System which does not meet the strong social security desire of the Korean middle class. The importance of this topic reflects the fact that through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of Korea, Korean middle class has become wider and larger by receiving a variety of labor groups. However, the social security system for the middle class has been very weak. Therefore, it is an urgent issue to enhance the level of the National Pension System to that of the Government Employee Pension System. Reflecting this urgent need of the Korean middle clas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way to transform and reform the National Pension System relying on decommodification theory of G. Esping-Andersen(2011). The first chapter deals with the fundamental issues that are as following. First, what was the role of the Government in upgrading the Government Employee Pension System into a high rated decommodification pension system. Second, why and how the Korean National Pension System cannot meet the social security desire of the Korean middle class which is the very foundation of Korean society. Third, how are the government employees, who do not receive the retirement pay designated by law, free from the pressure of decommodification while the middle class labors are under strong pressure of decommodification even though they receive certain amount of pension in addition to the full retirement pay designated by law. This chapter also compares and traces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each pension system in relation to the retirement payment designated by law in Korea using historical and sociological approaches. In this study, the first rate materials are used such as legislation and reformation of each pension system, minutes of each legislation committee, statistics of pensioners. Chapter two is devoted to discuss G. Esping-Andersen’s three social welfare models in developed countrie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It also further discusses Andersen’s decommodification theory, and moves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industrialization process, and examines the various conditions and characters of establishing social insurance system. It highlights the particular characters of major financial resources of social insurances. In so doing, it compares and contrasts two ways of financing of social insurance systems: accumulating and assigning. In chapter three, the National Pension System and the Government Employee Pension System are compared based on the historical and sociological approach. In so doing, historical facts that prevent National Pension System from being a proportional pension system according to earning, are discussed. For this comparition, the purpose and goal of Public Pension Systems such as the National Pension System, and Government Employee Pension System are discussed. Also this chapter examines and compares ways of being paid among the various pension subscribers groups. Through the comparison and contrast of each pension system, this chapter highlights the followings: 1) The wide spread idea, that Government provides its employees with a financial advantage that would develop into a highly decommodificated pension system with high proportional rate, is turned out not to be true. For, the sources show that the Government have paid its employees far less than the general corporations have paid their labors. To put in detail, Government have paid 7.0% of its employees’ monthly payment for insurance fees, and then, have offered only 1.9% of amount of accumulated annual salary at once at the time of their retirement. On the other hand, corporations have changed only 4.5% of its labors wages into insurance fees and have offered all of 8.3% of amount of accumulated annual salary at once at the time of their retirement. 2) The finance of Government Employee Pension System is composed only by each individual Government employee’s contribution(7%) and another 7% of the government’s contribution without any outside financial input. 3) National Pension System is a redistribution of income system for the low waged labors with less contribution. Because of this, it might meet the lower level of social welfare of the poor labors, but cannot meet the stronger desire of the financial security of the middle class.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National Pension System is not welcomed by the middle class. 4) The average income of the total subscribers of National Pension System is close to the Government guided minimum salary for the four-family members household, which means that it is too low. For, such low average income would lower the benefit of the National Pension System which eventually leads to the unsatisfaction of the middle class. This is caused by the inclusion of low income poor, who are the beneficiary of public governmental support, into the National Pension System. These poor are 56.7% of the whole Nation Pension System subscribers. 5) The Government in vain has attempted to merge retirement payment into a Pension System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subscribers contribution in order to upgrade the National Pension System to the Government Employee Pension System level. As the result, the statutory retirement payment funds entirely remains for the future retirement payment of the subscribers. The concluding chapter suggests way to a new reformed National Pension System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and examination. The new proposed National Pension System suggests the division of the present subscribers into that of middle class and lower class. The division would give the middle class 60-70% of present wa

      • 칼케돈 공의회의 기독론 형성에 관한 연구

        신진석 한일장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15

        기독론은 “이르시되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시몬 베드로가 대답하여 이르되 주는 그리스도시오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라는 예수의 물음에 대한 베드로의 답변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왜냐하면 베드로의 이 답변에는 그리스도라는 인성과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신성이 고스란히 담겨 있기 때문이다. 기독론은 “기독교가 그리스도 사건(Christ-event), 즉 그리스도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계시 사건은 무엇보다도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더불어 시작한다는 점이다. 기독론은 예수 그리스도의 역사적 존재의 의의에 관한 신학이다. 그것은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성육신한 아들이라는 것을 주장하며, 그리스도 안에 그의 신성(divine nature)과 인성(human nature)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려고 노력한다. 니케아에서 칼케돈에 이르는 기독론 논쟁에 참여했던 사람들이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은 구원론 문제이다. 만일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도 아니고 인간도 아니라면 어떻게 그가 우리를 구원할 수 있는가? 다시 말하면 하나님보다 못하고 인간과 다른 사람이 구원과 화해를 어떻게 가져올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이 문제가 바로 기독론 논쟁에 참여한 교부들의 공통적인 핵심 관심사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잘 드러나듯이 그리스도가 어떻게 인간인 동시에 하나님일 수가 있는가? 하는 문제는 기독교인들의 원초적인 의문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교부들이 이 문제에 대해 논의하기 시작한 것이고 이런 문제의식이 알렉산드리아 학파와 안디옥 학파의 기독론 논쟁을 통해 칼케돈 신조에서 신성과 인성의 일치라는 고전적인 공식으로 정립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칼케돈 신조는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에 관한 두 학파 사이의 치열한 논쟁을 통해 형성되었다. 먼저 인성과 신성의 연합체로 된 그리스도의 성육신에 관한 아타나시우스와 알렉산드리아 학파는 “말씀-육신” 기독론(Word-flesh Christology)을 주장했다. 이 기독론이 추구한 물음은 이것이다. 즉 만일 신성과 인성이 예수 안에서 하나의 본성이 되지 않았다면 어떻게 우리가 구원을 받을 수 있는가? 이 물음에 대해 안디옥 학파의 신학자들은 만일 예수 그리스도가 두 본성이 아니고 하나의 본성만 갖고 있다면 “참 하나님”이며 “참 인간”으로써 하나님과 어떻게 동일본질일 수 있는가라고 반박했다. 그들은 하나님의 존재는 영원하며 변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안디옥 학파의 기독론은 “말씀-인간” 기독론(Word-man Christology)으로 불린다. 즉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은 수동적이 아니고 능동적이었고 전인적이며 완전한 인격체였다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신성과 인성의 연합을 강조하는 대신에 안디옥 학파의 신학자들은 그 안에 있는 두 본성의 구별을 강조했다. 니케아 공의회에서부터 칼케돈 공의회까지 치열한 기독론 논쟁은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에 대한 것이었다. 니케아 공의회에서는 아리우스가 주장했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피조물이기 때문에 하나님과 같을 수 없다는 유사본질에 대해 아타나시우스는 그리스도는 하나님과 본체가 동일본질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아리우스를 정죄하였고, 니케아 공의회에서는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명확하게 확증하였다. 그리스도는 마리아라는 인간에 의해서 태어났지만 그는 성령으로 잉태되었다. 그의 속성에는 하나님이 계신다는 의미이다. 이것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는 없을 것이다. 칼케돈 회의에서 확정된 “한 분이시오 동일하신 그리스도, 아들, 주, 독생자는 두 성품에 있어서 인식되되 혼합됨이 없으시며, 변동됨이 없으시며, 분리됨이 없으시며, 분할됨이 없으시며 그리하여 두 품격으로 분할되거나 하지 않으며 한 분이시오, 동일하신 아들, 독생하신 하나님, 말씀, 주, 예수 그리스도니라”는 이 기독론이야말로 그리스도를 올바르게 정의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