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서각 소장 한글 필사본『동의보감 내경편』의 국어학적 고찰

        이래호(Lee Rae-ho)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장서각 Vol.0 No.21

        이 논문의 목적은 『동의보감 내경편』을 비교적 자세히 소개하고, 그것의 국어학적 특징들을 살펴봄으로써 언해 시기를 추정하는 것이다. 『동의보감 내경편』은 광해군 때인 1613년(광해군 5)에 허준(許浚)이 우리나라와 중국의 의서를 집대성하여 펴낸 한문본 『東醫寶鑑』 「내경편」을 언해한 것으로, 장서각에 유일본으로 소장되어 전하는 한글 필사본이다. 현재 장서각에는 『동의보감 내경편』권1, 3, 5 세 권만이 소장되어 있다. 『동의보감 내경편』의 표기의 특징으로는 어간말음이 'ㄼ', 'ㄺ'인 경우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후행할 때 모두 분철되고, '하늘ㅎ', '길ㅎ', '돌ㅎ'은 곡용시 항상 'ㅎ'이 소실된 형태로 나타나고, 동사 '놓-'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하면 'ㅎ'이 약화된 '노아' 등으로 나타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문법적 특징으로, 주격조사 '가'가 쓰이고, 추측의 표현 '-ㄹ가 보-'에 의문형 어미 '-냐'가 결합된 한 예가 보인다는 점, '-ㄹ진대'가 자주 등장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어휘의 특징으로는 '머므르-'가 자동사로 쓰이는 예, '넘치-'가 보인다는 점, '도야지', '사란니', '자차기' 등이 보인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동의보감 내경편』의 표기 방식이 18세기 중반 이후, 19세기 초반의 그것과 대체로 일치한다는 점과 어휘, 문법적 특징이 19세기 중반의 사실과 일치한다는 점을 통해 이 책은 19세기 중반이나 그 이후에 언해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축자역을 택한 언해 방식과 약명이 향약명이 아닌 그대로 한자어로 언해되었다는 점, 어려운 한자어가 많이 쓰였다는 점 등의 사실이 이 문헌 전반에 나타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책은 병을 직접 구완할 민간 백성을 위해 언해되었을 가능성보다는 전문 지식이 있는 사람들 혹은 그와 관계된 사람들을 위해 언해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o Dongyibogam Naegyeongpyeon to the society of Korean Linguistics and also to provide its presumed chronologoy through a bibliographical and linguistic analysis of this book. Heo jun wrote the Dongyibogam in 1,613 years, And the Dongyibogam naegyeongpyeon is the book translating only the naegyeongpyeon part of the book into Korean language. This book is the Hangul mamuscript owned by the Jangseogak which is the library of the Joseon Dynasty. But this book is owned by Jangseogak only the first volume, the third volume, and the fifth volume. The orth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is book mostly correspond to the characteristics of after the middle of 18c and the early 19c. And the lexical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correspon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of the middle of 19c. So, we can presume that this book was translated after middle of 19c. we cannot know who translated Dongyibogam naegyeongpyeon. but the translator translated this book literally and used the quite difficult sino-korean, moreover translated the medicinal stuff into the sino-korean. So, we can guess that this book is not translated for ordinary peoples, but is translated for the special men like a doctor and nurse.

      • KCI등재

        근대국어 라체 의문형 어미에 대한 연구-언간 자료를 중심으로-

        이래호(Lee Rae ho) 한국언어문학회 2017 한국언어문학 Vol.102 No.-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change, distribution, expansion, and extinction of the ‘hara’ style interrogative endings of modern Korean based on Korean vernacular letters. ‘nya/nyo’ style and ‘rya/ryo’ style interrogative endings, which were classified as polar(yes-no) question and content question depending on whether they had interrogative word in the middle Korean, were gradually integrated into ‘nya’ and ‘rya’ from the 16th century, and ‘-nya’ and ‘-nyo’ were finally integrated into ‘-nya’ in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and ‘-rya’ and ‘-ryo’, ‘-rya’ in the mid 18th century. ‘-nya’ style interrogative ending has been used without personal distinction from the 17th century as the person restriction gradually disappeared. ‘-n ga/-n go’ and ‘-l ga/-l go’ had been mainly used in indirect questions in the 15th century Korean until 16th century when they were used widely regardless of direct or indirect questions. However, ‘-n da’ was still used exclusively in the sentence led by the second person subject. Meanwhile, ‘-n da’ style interrogative ending began to compete against ‘-nya’ style and ‘-n ga’ style endings in the sentence led by the second person subject. Through this course of competition, ‘-nya’ style and ‘-n ga’ style endings ate into the domain of ‘-n da’ style ending, reducing the distribution of ‘-n da’ style ending. Also, interrogative ending, ‘-n da’, inevitably came into conflict with ‘-n da’ which was used as declarative ending from the 16th century in terms of the form. In this process, ‘-l da’ in ‘-n da’ style disappeared first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and ‘-n da’ remained further until it disappeared at the end of 18th century.

      • KCI등재후보

        사회통합 프로그램[KIIP]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구성 체계와 내용 분석

        이래호 ( Rae Ho Lee ) 영주어문학회 2015 영주어문 Vol.29 No.-

        본고의 목적은 사회통합프로그램(KIIP)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목표와 구성 체계를 살펴보고 내용 분석을 통해 교재의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는 데 있다. <사통 한국어>의 목표는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그것을 통해 지역 사회의 한 일원으로서 융화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사통 한국어 초급>의 특징은 주제와 대화의 실제성, 통합 구성, 한국 문화 내용 제시에 있으며, <사통한국어 중급>의 특징은 의사소통의 원리, 초급과 한국사회이해과정의 연계, 내용면에서 한국사회이해과정과 관련성을 맺고 있다는 데 있다. <사통 한국어>는 이민자가 한국에서 생활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주제와 한국 문화 전반을 다루고 있으며, 문법 항목은 상황이나 주제를 고려하여 나선형으로 배열하여 단계적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주제 선정에 있어 세밀한 배려가 부족한 부분이 있고, 대화의 실제성에서 벗어나는 측면이 있다. 필수적인 문법 항목이 제시되지 않은 경우가 있고, 문법과 읽기, 듣기 자료의 연관성이 떨어지기도 하고, 한과에서 제시되는 새 단어도 일정하지 않은 측면도 있다. 이러한 점은 향후 교재개발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다. This study intended to review the objectives and the organization of Korean textbook for Korea Immigration & Integration Program (KIIP) and analyze its content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textbook. The objectives of <KIIP Korean> is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 and help the student to assimilate into the local society through the skill. The characteristics of <Satong Korean for Beginner> are the realism of topics and conversations, integrated organization, and suggestion of Korean cultural contents, and those of <KIIP Korean for Intermediate Students> are the principle of communication, the connection with Korean Society Comprehension Course for Beginner,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Korean Society Comprehension Course in terms of the contents. <KIIP Korean> deals with various topics that immigrants need to know when they settle down in Korea and overall Korean culture. However, it lacks delicate considerations in selecting topics and deviates from the realism of conversation. The grammar subjects are laid out in a spiral form considering the situation or the topic to enable step-by-step learning. However, a few essential grammar subjects are missing, the association between grammar, reading, and listening materials is low, and the new words suggested in each lesson showed inconsistenc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글본 『동의보감』의 언해 양상과 국어학적 특징

        이래호 ( Rae Ho Lee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인문학연구 Vol.0 No.22

        본고는 『동의보감』의 언해의 양상과 목적을 살펴보고 이래호(2009)의 국어학적 특징을 보완하는 데 있다. 『동의보감』은 한문본 『東醫寶鑑』의 내경편을 언해한 것으로, 장서각에 유일본으로 소장되어 전하는 한글 필사본이다. 현재 장서각에는 『동의보감』 권1, 3, 5 세 권만이 소장되어 있다. 『동의보감』의 언해 특징으로는 한문본에 없는 협주가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독자를 고려했다고 할 수 있지만, 언해문에서 원문의 일부분을 언해하지 않거나 원문의 언해가 잘못된 경우가 있고 언해문에 한자음을 잘못 옮긴 것들이 많이 나타나, 한의학에 지식은 있지만 그리 조예가 깊지 않은 사람이 언해했으며 언해 후 교정 과정이 치밀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동의보감』은 왕후를 비롯한 왕실 여성을 위해 언해하였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궁극적인 목적은 의학 지식을 습득하려는 데 있다기보다는 19세기 말 조선시대에 유행했던 양생 사상과 관련하여, 왕실 여성이 『동의보감』의 양생 부분을 참고하려고 언해했던 것이 아닌가 한다. 국어학적 특징으로는 19세기 중반 이후에 언해되었을 것을 뒷받침하는 몇 가지 사항과 특징적인 어휘와 특정 지역의 방언을 소개하였다.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aspects and aims of translation of Donguibogam and to further supplement Linguistic Characteristics by Lee, Raeho(2009). Donguibogam is a Korean manuscript with its original text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hen translated into Korean language and is housed at the Jangseogak. Donguibogam was translated in consideration of its readers using inserted notes. However, it is evident that Donguibogam was translated by a writer who has knowledge but no profound knowledge of Korean medicine thereby some parts of the original text, if not translated at all, were incorrectly translated thus contains misprints owing to careless proofreading. The writer supposed that Donguibogam was translated for the royal women of the Joseon dynasty but the ultimate objective of translation of Donguibogam was not in relation to acquisition of medical knowledge but in relation to nurturing life which was popular in the 19th century Joseon dynasty. Furthermore, the writer supposed that this book was translated into Korean for the royal women of the Joseon dynasty as reference to parts of nurturing life. This thesis introduces several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specific regional dialects to support that this book was translated in mid or late

      • KCI등재후보

        근대국어 후기 자료로서의 한글 고전소설 -장서각 소장 고전소설 『태원지』를 중심으로-

        이래호 ( Rae Ho Lee ) 영주어문학회 2015 영주어문 Vol.31 No.-

        이 논문의 목적은 장소각 소장 고전소설인 『태원지』의 국어학적 연구를 통하여 필사시기를 추정하고 국어사 자료로서의 가치를 밝히는 데 있다. 『태원지』는 어휘, 형태소 결합 양상, 어중 유기음의 표기 방식 등을 통하여 『태원지』는 18세기말 이후에 필사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필사의 상한선은 일러도 1777년 이후로 잡을 수 있다. 『태원지』는 음운의 측면에서 원순모음화와 구개음화는 매우 보수적으로 반영되어 있지만, 표기법의 측면에서 근대국어 후기 국어 표기법의 전형적인특징과 일치하고, 문법적 측면에서 다양한 문법적 형태의 양상을 통하여 근대국어후기의 문법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태원지』는 다른 자료에 나타나지 않는 특정 어휘의 활용이 나타나 국어사 연구에서 고전소설이 국어사 자료의 공백을 훌륭히 메워줄 수 있음을 보여 주는 자료이다. 또한 『태원지』는 이전 시대까지 보이지 않던 어휘들이 발견되어, 국어 어휘를 풍부하게 하여 주는 자료이며, 부사들의 다양한 의미의 용법을 확인할 수 있어, 어휘사 연구에도 좋은 자료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intended to estimate the transcription eras through the Korean linguistic study of the traditional novel,『Taewonji』, and estimate its value as the reference for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It is estimated that 『Taewonji』 was transcribed after the end of the 18th century based on how vocabularies and morphemes are combined, how word-medial aspirations were written, and so on, and the oldest period of transcription can be estimated around 1777 at the earliest. In terms of phonemes, 『Taewonji』 reflects vowel rounding and palatalization quite conservatively, however in terms of orthography, it matche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orthography of late modern Korean, and in terms of grammar, it shows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te modern Korean through various grammatical forms. Also, for 『Taewonji』shows the usage of specific vocabularies that do not appear in other references, it can sufficiently fill in the gap in the references for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Taewonji』 also includes the vocabularies that had not appeared in preceding eras to enrich Korean vocabulary and it also shows various uses of adverbs, providing great resources for the history of vocabulary.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문법적 특징

        이래호 ( Lee Rae Ho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5 No.-

        언간의 문법은 언간이 작성된 그 당시의 문법 질서를 반영한 것일 터인데, 이러한 문법적 특징들 가운데는, 간본 자료에서 나타나지 않는 문법 현상들이 언간 자료에서 나타나기도 하며, 간본 자료에서 후대에 나타나는 문법적 특징들이 언간에서는 이른 시기에 나타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언간의 언어 현상 중에서 간본과 구별되는 문법적 특징들을 제시함으로써 언간의 문법적 특징을 부각시키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간의 문법적 특징으로 형용사와 명령형 어미의 결합, `X -`의 특수 교체, 선어말어미 `-거-`와 `-엇-`, 주격조사 `가`와 보조사 `마□`, 부정문, 경어법을 통하여 언간의 문법적 특징을 드러내었다. The grammars of Eon`gan(vernacular letters) reflect the grammar of the day that Eon`gans were written. Grammatical characteristics that do not appear in the printed book reveal in Eon`gan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that appear lately in the printed book reveal even earlier. This paper aims to highlight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Eon`gan by presenting distinct characteristics from printed book in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Eon`gan. This paper reveale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Eon`gan through combination of adjective and imperative endings, special alternation of `Xha-`, prefinal endings `-geo-` and `-eot-`, nominative case particle `ga`, auxiliary particle `maran`, grammatical negation and addressee-honorifics.

      • KCI등재

        언간의 ‘ㅄ’계, ‘ㅂ’계 어두 합용병서 변화 연구

        이래호 ( Lee Rae-ho ) 한민족문화학회 2021 한민족문화연구 Vol.76 No.-

        본고의 목적은 언간에 나타나는 ‘ㅄ’계와 ‘ㅂ’계 어두 합용병서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판본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ㅴ’은 16세기 언간에서부터 ‘ㅴ>ㅺ/ㅲ’의 변화를 보이다가 17기 후기에는 ‘ㅲ>ㅺ’의 변화가 완성되었다. ‘ㅵ’은 16세기 언간에서 보이지 않으며 16세기부터 ‘ㅳ’으로 변화하였다가 17세기 후기 ‘ㅳ>ㅼ’의 변화가 시작하여 18세기 초 ‘ㅼ’으로의 변화가 완성되었다.언간에서 ‘ㅂ’계 합용병서는 ‘ㅳ’은 17세기 중기까지, ‘ㅶ’은 17세기 후기까지 그 형태를 유지하다가 ‘ㅳ>ㅼ’가 17세기 후기에 시작하여 18세기 초에 완성되었으며, ‘ㅶ>ㅾ’의 변화는 18세기 초에 완성되었다. ‘ㅄ’은 17세기 후기부터 일부 어휘에서 ‘ㅆ’과 혼기를 보이기 시작한다. 이를 통해 ‘ㅂ’계 합용병서의 된소리화가 17세기 후기에 시작하여 18세기 초에 완성된 것으로 판단하였다.언간과 판본에서 ‘ㅄ’계와 ‘ㅂ’계 합용병서의 변화 시기는 차이를 보이는데, 언간에서 18세기 초에 완성되었으며 ‘ㅂ’계 합용병서는 17세기까지 출현하는 데 반해 판본에서는 17세기 말까지 ‘ㅄ’계, ‘ㅂ’계, ‘ㅅ’계의 혼용이 이루어지며, ‘ㅄ’계 합용병서가 18세기 초까지, ‘ㅂ’계 합용병서들은 19세기 말까지 출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ps (ㅄ)’ and ‘p(ㅂ)’ series compound characters that appears in Korean letters in the Joseon dynasty and to study how they differ from that of the Block book.In Korean letters, among the ‘ps(ㅄ)’ series, ‘psk(ㅴ)’ was changed to ‘psk(ㅴ)>sk(ㅺ)/pk(ㅲ)>sk(ㅺ)’ in the early 17th century. ‘Pst(ㅵ)’ didn't not appear in the 16th century, but appears as ‘pt(ㅳ)’, and the change in ‘pt(ㅳ)>st(ㅼ)’ was began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was completed in the early 18th century. ‘pj(ㅶ)’ maintained its form until the late 17th century. The change in ‘pj(ㅶ)>sj(ㅾ)’ was completed in the early 18th century. Through this, I judged that the tensification of ‘p(ㅂ)’ series began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was completed in the early 18th century.The era of change in ‘ps(ㅄ)’ and ‘p(ㅂ)’ series showed a difference in Korean letters and Block books. In Korean letters, this change was completed in the early 18th century, and ‘p(ㅂ)’ series appeared until the 17th century. On the other hand, in Block book, ‘ps(ㅄ)’, ‘p(ㅂ)’ and ‘s(ㅅ)’ series were mixed and marked until the end of the 17th century, ‘ps(ㅄ)’ series appeared until the early 18th century, and ‘p(ㅂ)’ series compound characters appeared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편지에 나타난 청자경어법의 특이례 고찰

        이래호(Lee Rae ho) 한국언어문학회 2014 한국언어문학 Vol.91 No.-

        This study examined the appearance of 'ᄒᆞᄂᆞ이다(hʌnʌida) style' of ' (hʌnʌy) style' that the person of upper rank used to the person of lower rank and the condition and cause for the appearance of such styles using 1,496 hangeul letters from the Joseon Dynasty. The examples of 'ᄒᆞᄂᆞ이다(hʌnaida) style' or '(hʌnʌy) style' used by the person of upper rank to the person of lower rank appear in the letters from parents to children, parents-in-law to daughter-in-law, grandparents (-in-law) to granddaughter or grandson's wife, uncle or aunt to nephew couple, nephew, nephew's wife, elder sister or elder brother (elder cousin) to younger brother or younger sister (younger cousin), mother-in-law to son-in-law, student's teacher to student's wife. While the letter from student's teacher to student's wife is a social relationship, the rest is kinship. The addresser's intention to treat the person of lower rank with respect has an important impact on the addressee-honorifics which contravenes the superior-subordinate relationship. After the kinship between addresser and addressee is confirmed, the intention to respect is determined by the specific situation between the addresser and the addressee. The example of the specific situation is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 of upper rank and the person of lower rank, the family background, public post, and age of the person of lower rank, and social custom. Such factors can act complexly. When the person of upper rank treat the person of lower rank with respect, the level of respect toward the person of lower rank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nsideration for the person while keeping the dignity as the person of upper rank, and the most suitable level would be '(hʌnʌy) style.' '이다 (hʌnʌida) style' is used when more emphasis is given to the social relationship even when the addresser and the addressee are in kinship.

      • KCI등재

        장서각 소장 유일본 『어졔』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이래호(Lee Rae-ho) 한국학중앙연구원 2001 장서각 Vol.- No.5

        Eojye is the Korean hand-written data and the unique archive in Jangseo-gak. Eojye is the book consisted of 'Syeongnyeoneul thyumohaya seonghuneul oewa sseo thungjaral beonora' (「셕년을 튜모하야 셩훈을 외와 ?튱자랄 뵈노라」), 'Gyeongsyephyeon eonhae'(「경셰편언하」), 'Eojye Jasyeong myeonthik yuneum'(「 어졔자셩면틱?음」), and 'Eojye Baekhaengweon'(「어졔박항원」) which are translated its book written by chinese character into Korean. We can not know the exact published period and the wirter. But we can suppose to have translated and written in 1765 or in the later eighteenth century. In the view of writing system and phonology, this archive in the respect of 'l-l(ㄹ-ㄹ)' chain, palatalization, vowel modification etc. is quite conservative in comparison with other korean hand-written data and xylographic data in the 18th century. In the view of syntax, there are no great differences of the case makers between Eojye and other archive in the 18th century. For example, subject case maker 'ga(가)'r isn't used and genitive case marker isn't distinguished by vowel harmony. But we can find characteristics of honorific and interrogative form. Especially we can find special honorific function of '-ao(아오)-' which have had the modest function in the 15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