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문지를 통한 소음성난청에 대한 인식 조사 및 분석

        이동욱,유재형,한우재,Lee, Donguk,Yu, Jyaehyung,Han, Woojae 한국음향학회 2015 韓國音響學會誌 Vol.34 No.4

        소음성난청은 고려 시 되어야 하는 공중보건 문제로 알려져 있지만, 큰 소음의 노출로 인해 난청이 발생됨을 많은 사람들은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인들이 얼마나 중요하고 심각하게 소음성난청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는지 22개의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20대부터 60대의 성인 남녀 150명을 대상으로 청력손실과 이명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건강 문제들에 대한 사회 및 개인적 중요도, 소음노출과 청력손실에 대한 인지 정도, 청력 보존 방법에 대한 인식을 문답하였다. 연구 결과, 다른 건강 문제들과 비교하여 응답자 중 약 17.33 %만이 청력손실을 '매우 큰 문제'로 인식하였다. 놀랍게도 다수의 응답자인 82 %는 청력손실에 관한 정보를 듣거나 보지 못하였다고 답변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약 85 %의 응답자들은 큰 소음이 있는 환경에서 청력 문제 및 이명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하였지만, 그 중 11.33 %만이 이어플러그를 착용해 본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많은 응답자들은 추후 의료진이 권장하거나(80 %), 소음으로 인한 영구적 청력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정보를 접한다면(78.67 %) 청력보호를 위해 소음 노출 시 이어플러그를 착용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소음으로 인한 영구적 청력 손실의 잠재성과 효율적인 청력 보호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으로 일반인들의 소음성난청을 예방하여야 하겠다. Although noise-induced hearing loss (NIHL) is a significant public health problem, many people might not be aware that exposure to loud noise could occur hearing lo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analyze how importantly and seriously people are aware of NIHL using a 22-question survey. It was administered to random 150 people including between 20 s to 60 s. The questionnaire contained questions about i) views toward general health issues including hearing loss and tinnitus, ii) noise exposure, and iii) views toward hearing protection. Results showed that hearing loss was defined on a likert scale as 'a very big problem' by 17.33 % of respondents compared with other health issues. Surprisingly, most respondents (82 %) had not heard, read, or seen anything lately related to the issue of hearing loss. Many respondents had experience hearing problem or tinnitus under loud noise situations (85 %), however, only 11.33 % of respondents had used earplugs. Fortunately, many could be motivated to try ear protection if they were advised by a medical professional (80 %) or were aware of the potential for permeant hearing loss (78.67 %). We concluded that awareness of the potential for permanent hearing loss with noise and effective methods of hearing protection should be announced to public for preventing NIHL.

      • KCI등재

        송수신기 배열에 따른 굴절 주시 역산의 영향 인자 및 신뢰성 분석

        이동욱,박윤희,편석준,Lee, Donguk,Park, Yunhui,Pyun, Sukjoon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17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20 No.3

        육상 탄성파 탐사에서 불규칙한 지표 고도차와 천부 지층의 풍화대는 자료의 반사파 신호를 왜곡시킨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육상 탄성파 탐사 자료는 정적 보정(static correction)을 통해 이러한 왜곡을 보정해야 한다. 정적 보정을 하기 위해 천부 지층의 속도가 필요하며, 이 속도는 굴절법 탐사를 통해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육상 탄성파 탐사자료는 탐사 현장에 대한 허가나 현장 여건 그리고 장비 보유 현황에 따라 제한된 형태로 취득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송수신기 배열이 제한되어 굴절법 탐사에 적합한 자료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반사법 자료로 굴절법 해석을 수행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규칙 지표 모델에서 제한된 송수신기 배열을 이용하여 얻은 반사법 자료로 굴절 주시 역산을 수행하고 결과의 신뢰성을 분석하였다. 불규칙한 지표와 평탄한 지표를 갖는 모델에 대한 역산 결과를 비교하여 지표 고도 차이가 역산 결과의 신뢰성에 약간의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송신원 개수에 따른 역산을 통해 극히 적은 수의 송신원이 아니라면 역산 결과의 신뢰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음을 보였다. 반면에 제한된 배열의 수신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수신기 전개영역의 중첩된 부분에서 속도왜곡이 발생함을 관찰하였고, 속도왜곡이 발생하지 않기 위한 최소 중첩영역의 크기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장 자료의 지형 조건과 송수신기 배열 정보를 이용하여 수치 모형 실험을 수행하였고, 신뢰성 분석 결과를 검증하였다. 신뢰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현장 자료 역산 결과에 신뢰할 수 있는 영역과 해석에 유의해야 할 영역을 구분하였다. In land seismic exploration, irregular surface topography and weathering layer in near surface distorts the reflected signals of data. Therefore, typical land seismic data should be compensated for this distortion by static correction. To perform the static correction, near-surface velocity is required, which can be obtained by seismic refraction survey. However, land seismic data is often acquired in a limited form of geometry depending on the equipment availability, accessibility condition, and permission for the survey site. In this situation, refraction analysis should be performed using reflection data because it is impossible to acquire refraction-oriented data due to limited source and receiver geometry. In this study, we aimed to analyz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obtained by refraction traveltime tomography when using reflection data with a limited number of sources and receivers from irregular surface topography. By comparing the inversion result from irregular topography with that from flat surface, we found that the surface topography affects the reliability of the inversion results to some degree. We also found that the number of sources has little effect on the inversion results unless the number of sources are very small. On the other hand, we observed that velocity distortion occurred in the overlapped part of receiver arrays when using a limited number of receivers, and therefore suggested the size of the least overlapping ratio to avoid the velocity distortion. Finally, we performed numerical tests for the model which simulates the surface topography and acquisition geometry of the survey region and verified the reliability analysis of inversion results. We identified reliable areas and suspicious area of the inverted velocity model by applying the analysis results to field data.

      • KCI등재

        주륙(朱陸)의 무극태극(無極太極) 논쟁 연구

        이동욱(Lee, Donguk)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3

        이 논문의 목적은 주륙(朱陸)의 무극태극논쟁에서 육구연의 입장을 조명하는 것이다. 이 논쟁 자체가 유의미한 것인지 아닌지에 대해 기존 연구자들의 논란이 있지만, 이 논문에서는 이 논쟁을 육구연 입장에서 재구성함으로써 논쟁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지금까지 이 논쟁에 대한 가장 유력한 해석은 풍우란(馮友蘭)이 제시한 일원론과 이원론의 대립이었다. 필자는 이 해석이 논쟁의 배경은 되지만, 주희가 말한 육구연의 ‘의도’를 보여주지는 못한다고 보고, 이 논쟁을 시작한 육구연의 ‘의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무극태극논쟁을 시작한 육구연의 ‘의도’는 둘이다. 첫째, 외(外)를 강조하는 유학 내부의 이단을 비판하는 데 초점을 맞춘 자신의 독특한 이단론에 근거하여 육구연은 주희의 도덕 이론이 바로 이단이라고 주장하고자 하였다. 둘째, 경전을 비롯한 텍스트의 위상과 수양에서의 역할에 대한 주희의 과도한 강조를 비판하고, 육구연은 경전을 비롯한 테스트가 유의미하기 위해서는 그 텍스트를 활용할 수 있는 독자의 비판적 주체가 우선 성립하여야 하며, 이 주체는 마음에 대한 주목을 통해서만 형성할 수 있다는 특징적인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dissertation's focus is to clarify the Lu Jiuyuan's aim in the debate on ‘the Great Ultimate and the Ultimate of Nonbeing’ with Chu Hsi. Until these days there is even no consensus whether or not this debate is significant from an philosophical point of view. The most important analysis of the debate is the Feng youlan(馮友蘭)'s view. He explains the debate as a conflict of monism and dualism. I think monism and dualism could b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debate, but it does not explain what is the Lu Jiuyuan's aim in the debate. Lu Jiuyuan did not focus on criticizing Chu Hsi's monism. I think that Lu Jiuyuan has two aims in the debate. First, we must notice Lu Jiuyuan's theory of heterodoxy whose peculiarity is that criticizing the heterodoxy within the Confucianism. Based on his theory of heterodoxy, some Confucian were affected by Laozi(老子) from the early period of the Confucianism. Lu Jiuyuan insists what the heterodoxy within the Confucianism emphasizes is not the inside of human being like the original mind but the role of devices which exist in the outside of human being. Lu Jiuyuan attacks Chu Hsi as heterodoxy because the origin of Chu Hsi's concept of ‘the Ultimate of Nonbeing(無極)’ is Laozi(老子) and also Chu Hsi emphasize the outside devices of human being like Laozi(老子). Second, Lu Jiuyuan's fundamental argument is that we need reader's judgment before ones start to read books. Similarly when one want to start one's self-cultivation, he firstly needs the subject that lead the process of one's self-cultivation, or at least moral awakening. It means that Chu Hsi overstress the role of Confucianism texts and wide reading in the self-cultivation.

      • KCI등재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한 청소년의 학교만족도에 대한 예측요인 분석

        이동욱(Donguk Lee)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3

        본 연구는 서울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의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에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고등학생 3학년인 9차(2018년) 자료에서 학생 2,793명을 연구 대상자로 정하였다. 청소년의 학교만족도와 관련한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SPSS 26.0을 사용하여 의사결정나무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의 학교만족도의 분류에서 개인적인 요인으로는 성별, 자아개념, 자기평가, 사회적 관계 요인으로 보호자, 학교교사, 학교 특성/문화 요인으로는 학교에 대한 평가, 학교풍토가 유의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교만족도 분류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중에서는 학교에 대한 평가가 가장 영향력을 가진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교사 수치가 높은 집단에서는 학교풍토, 자아개념이 분류의 중요한 의미 있는 변인이었고, 학교교사 수치가 낮은 집단에서는 자기평가, 학교풍토, 학교에 대한 평가가 영향력 있는 변인이었다. 넷째, 학교에 대한 평가 수준 및 학교풍토가 바람직하고 좋으면 학교만족도가 긍정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학교만족도 증진을 위한 방안 모색, 교육정책 수립 및 프로그램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2,793 students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from the 9th (2018) data of the 3rd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of the Seoul Education Research & Information Institute. In order to identify predictors related to school satisfaction of adolescents, a decision tree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nder, self-concept, self-evaluation, guardian, school teacher, school evaluation, and school climate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classification of school satisfaction of adolescents. Second, among the variables that affect school satisfaction classifi- cation, school evalua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hird, in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relationship with the school teacher, school climate and self-concept were important variables for classification. Self-evaluation, school climate, and evaluation of the school were influential variables in the group with a low level of relationship with school teachers. Fourth, school satisfaction increased positively when the school evaluation and school climate were desirable and go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find ways to improve school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establish educational policies, and operate programs.

      • KCI등재

        초기 유학(儒學)의 ‘반성(反省)’에 대한 연구

        이동욱(Donguk Lee) 한국철학회 2011 철학 Vol.0 No.109

        이 논문의 목적은 유가 철학에서 오랫동안 논란이 된 ‘반성’이라는 주제의 기원을 찾고, ‘반성’ 개념의 철학사적 맥락을 조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반(反)’과 ‘성(省)’이라는 용어가 언제 ‘반성’이라는 도덕철학적 의미를 획득했고, 그 변화의 과정은 어떠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시경』과 『서경』에서 ‘반(反)’과 ‘성(省)’이라는 글자는 일상어의 의미만을 가지며, ‘반성’이라는 주제를 중국철학사에서 처음으로 제시한 인물은 공자이다. 『논어』는 ‘성(省)’이라는 용어에 ‘실패한 결과나 잘못된 행위에 직면하여 나 자신을 점검하다/돌아보다’라는 도덕철학적 의미를 함축시켰다. 그러나 『논어』는 반성의 구체적인 방법과 의미에 대한 논의는 소략하다. ‘반성’이라는 주제가 보다 체계적인 맥락에서 논의되는 것은 『묵자』이다. 묵자는 성(省) 대신에 ‘반(反)’이라는 글자에 ‘반성’이라는 의미를 부여한다. 묵자의 반(反)-반성은 현재의 자신이 과거의 자기 판단이나 행위, 사건을 대상으로 한다. 『묵자』에서 반성은 개인의 이기심과 주관성을 극복하고 공동체 전체의 관점에서 자신을 반성한다는 의미를 함축하며, 반(反)에 함축된 이러한 의미는 효(孝)와 같은 유가의 윤리적 개념이 특수성에 제한된다고 비판하는 묵가의 논지와 부합한다. 맹자는 ‘반(反)’의 일상어로서의 용법과 『묵자』의 특징적인 용법을 수용한다. 그는 『논어』의 표현과 『묵자』의 철학적 사유를 결합하여 ‘반구저기(反求諸己)’라는 특징적인 표현을 만든다. 한편 맹자는 이 두 용법과 구분되는 ‘반(反)’의 새로운 용법을 제시하는데, ‘反身而誠, 樂莫大焉’이 바로 이러한 경우이다. 이때의 반성은 자기 자신이 주체이고, 자기 내면의 본래적이고 자연적인 도덕성을 대상으로 한다. 이러한 맹자의 반(反)-반성은 자신이 주체이고, 지나간 일이나 현재의 사건과 같은 특정한 대상이 아닌, 자기 내면의 도덕감 혹은 본래적 도덕성을 대상으로 한다. 맹자의 이러한 반(反)-반성 용법은 이전과는 구분되는 새롭고 특징적인 것이다. 순자는 ‘반(反)’을 일상어 용법으로만 사용한다. 대신에 그는 『논어』에 등장하는 ‘성(省)’을 활용한다. 철학적 함축성을 가진 용어인 ‘반(反)’을 ‘성(省)’으로 대체한 것이다. 그리고 순자는 이 ‘성(省)’을 배움[學]이나 예(禮)와 연관시키는 구조를 새롭게 창안함으로써 이 용어에 자신의 철학적인 특징을 투영시킨다.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the origin and the moral philosophical context of the concept of ‘reflection’. I"m going to focus on the word ‘fan(反)’ and ‘sheng(省)’. ‘Sheng(省)’ has firstly obtained the moral meaning of ‘reflection’ in the Confucius Analects. So Confucius is the first thinker who invents the meaning of ‘reflection’. But his descendent thinkers, like Mozi and Menzi, use the term of ‘fan(反)’ instead of Confucius"s ‘sheng(省)’. ‘Fan(反)’ meant ‘to be contrary to each other’, ‘to return’, ‘rather’ in the canons like Shijing(詩經), Shujing(書經), and Lunyu(論語). The usage of ‘fan’ in these canons is not philosophical language but ordinary and simple language. Mozi was the first thinker who use ‘fan’ as the meaning of reflection. It means when a person is faced with a unexpected failure or a wrongdoing, he has to seek the cause of those results from himself instead of others or think over about those result for preventing any recurrence. Mozi also use ‘fan’ as ordinary and simple language. Menzi"s usage of ‘fan’ has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ordinary and simple language like ‘to be contrary to each other’, ‘to return’, ‘rather’. The second type is exactly the same as Mozi"s usage to reflect upon oneself. Menzi"s acception of Mozi"s usage of ‘fan’ shows the Mozi"s philosophical influence for Menzi. The third type shows Menzi"s characteristic theory that human nature is originally good. Menzi" insists that if one can reflect and concentrate upon oneself, then he may ascertain the existence of the innate moral inclination which is called ‘the Four Beginnings’. This type of reflection must proceed before doing any action. The aim of this type of reflection is not preventing any recurrence of failure or wrongdoing, but having a confidence for the natural morality. Xunzi uses ‘fan’ as everyday language and replaces ‘fan’ with ‘sheng(省)’. ‘Fan’ loses the philosophical meaning and ‘sheng’ gained the role of ‘fan’ in Xunzi. Xunzi"s distinctive usage of ‘sheng’ is a direct involvement with the learning and Li(禮) and this feature is related to his theory that human nature is originally evil. There’s one other point which claims our attention. The combination of ‘fan’ and ‘sheng’ and appearance of the word ‘fansheng(反省)’ in later ages is by virture of Xunzi"s usage of ‘sheng’.

      • KCI등재

        학생 수요 기반 교양교육 개선 방안 연구

        이동욱(Donguk Lee),전종희(Jonghee J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생 수요 및 의견 분석 기구로서 K대학교의 ‘교양교육 학생 모니터링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 및 결과 분석을 통해 학습자 중심 교양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교육의 주체이자 수요자인 학생의 눈높이에 맞추어 교육적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현실적인 시사점을 도출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방법 K대학교 교양대학은 2020년 2학기에 ‘학생 모니터링단’을 구성하고, 교양교육(심화교양) 영역을 중심으로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 모니터링단’ 학생들은 다양한 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 의견 조사 설문 문항(안)을 도출하였다. 이 조사 설문 문항은 모니터링단 지도교수 등의 전문가 검토를 거쳐 최종 문항으로 완성되었다. 설문조사는 2020년 11월 30일(월)~2020년 12월 4일(금)까지 온라인 설문 폼을 활용하여 진행되었고, 총 285명의 학생이 응답하였다. 문항은 5점 척도이고 이외에 인적 정보(학년, 소속, 단과대학, 성별) 관련 기본 문항, 주관식 문항 등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분석 결과, 학생들은 교양교육 영역에서 듣고 싶은 교과목의 개설과 영역별 고른 분포에 있어 보다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같은 맥락에서 강좌별 정원 수와 수업 선택의 기회가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는 입장이 많았다. 또한 성적 평가에 있어 다변화된 문제 출제 등을 요한다고 보는 경향이 있었다. 교양교육 영역의 개선점(주관식)으로 ‘인기 강좌 클래스의 증설’이, 개설 희망 주제로는 ‘예체능/미술/영화/매체’가 가장 많았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요구와 향후 과제를 파악하였다. 결론 이러한 사례 분석을 기반으로 교양교육 영역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의 방법과 과정, 주요 결과, 문제점과 해결 방안 등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생 수요 및 의견 분석 기구로서 K대학교의 ‘교양교육 학생 모니터링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 및 결과 분석을 통해 학습자 중심 교양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교육의 주체이자 수요자인 학생의 눈높이에 맞추어 교육적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현실적인 시사점을 도출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방법 K대학교 교양대학은 2020년 2학기에 ‘학생 모니터링단’을 구성하고, 교양교육(심화교양) 영역을 중심으로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 모니터링단’ 학생들은 다양한 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 의견 조사 설문 문항(안)을 도출하였다. 이 조사 설문 문항은 모니터링단 지도교수 등의 전문가 검토를 거쳐 최종 문항으로 완성되었다. 설문조사는 2020년 11월 30일(월)~2020년 12월 4일(금)까지 온라인 설문 폼을 활용하여 진행되었고, 총 285명의 학생이 응답하였다. 문항은 5점 척도이고 이외에 인적 정보(학년, 소속, 단과대학, 성별) 관련 기본 문항, 주관식 문항 등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분석 결과, 학생들은 교양교육 영역에서 듣고 싶은 교과목의 개설과 영역별 고른 분포에 있어 보다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같은 맥락에서 강좌별 정원 수와 수업 선택의 기회가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는 입장이 많았다. 또한 성적 평가에 있어 다변화된 문제 출제 등을 요한다고 보는 경향이 있었다. 교양교육 영역의 개선점(주관식)으로 ‘인기 강좌 클래스의 증설’이, 개설 희망 주제로는 ‘예체능/미술/영화/매체’가 가장 많았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요구와 향후 과제를 파악하였다. 결론 이러한 사례 분석을 기반으로 교양교육 영역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의 방법과 과정, 주요 결과, 문제점과 해결 방안 등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In this study, focusing on the case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Student Monitoring Group’ of K University, which is a ‘student demand and opinion analysis organization,’ we propose a learner-centered liberal arts curriculum structure and operation plan through a student opinion survey and result analysis on liberal arts education.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s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the eye level of students, who are the principal and consumer of education, and draws realistic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Method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the College of Liberal Arts of K University formed the “Student Monitoring Group” and conducted a student opinion survey o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focusing on the liberal arts education (advanced liberal arts). The students of the “Student Monitoring Group” conducted a basic survey on liberal arts education for students from various departments and drew up student opinion survey questionnaires(draft). This survey questionnaire was completed as the final question after expert review by the supervisor of the monitoring team.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online survey form from November 30, 2020 (Mon) to December 4, 2020 (Fri), and a total of 285 students responded. The questions were basically a 5-point scale, and in addition, they consisted of basic question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grade, affiliation, college, gender), subjective questions, etc.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more improvement was needed in 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