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기수용, 공격성 및 외국인 혐오 간의 관계:

        이다정 삼육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활스트레스, 자기수용, 공격성 및 외국인 혐오와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269명이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조사에 사용한 척도는 대학생활스트레스 척도,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공격성 척도, 외국인 혐오 척도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version 25.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Pearson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계열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생활스트레스와 공격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 생활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친구관계 스트레스는 예·체능계열이 인문계열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이성관계 스트레스는 인문계열보다 자연계열과 예·체능계열이 유의하게 높았다. 공격성과 하위요인인 신체적 공격성, 분노감과 외국인 혐오의 하위요인인 인종차별은 인문계열보다 자연계열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스트레스, 자기수용, 공격성 및 외국인 혐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생활스트레스는 자기수용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공격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외국인 혐오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자기수용은 공격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 공격성과 외국인 혐오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생활스트레스와 외국인 혐오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생활스트레스와 외국인 혐오의 관계에서 공격성이 완전매개 하는 모형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외국인 혐오의 관계에서 공격성이 완전매개 하는 모형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햄스터> 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만 4세 유아의 바른 인성 함양

        이다정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햄스터>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만 4세 유아의 바른 인성 함양은 어떠한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Y시에 소재한 Y유치원 만 4세 1개 학급 유아 17명(남 12명, 여 5명)이며, 연구 기간은 2022년 6월부터 2023년 2월까지이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중 문화 기술적 연구이며 프로젝트 활동 과정에서 참여관찰, 심층 면접, 기타자료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및 해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햄스터>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만4세 유아는 사회성 관련 인성이 함양되었다. 유아들은 <햄스터> 프로젝트 활동에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소통하며 수정·보완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협력하기가 함양되었다. 또한, 다른 사람의 어려운 상황에 대해 공감하고 수용하여 놀이에 참여함으로써 배려하기가 함양되었다. 둘째, <햄스터>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만4세 유아는 도덕성 관련 인성이 함양되었다. 유아들은 <햄스터>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햄스터를 키우는 방법을 알아보고 실천함으로써 책임감이 함양되었다. 또한, 햄스터를 관찰한 것을 놀이와 돌보는 방법에 반영하는 과정에서 존중하기가 함양되었다. 결론적으로 <햄스터>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만 4세 유아의 사회성 관련 인성과 도덕성 관련 인성이 내면화됨으로써 유아의 바른 인성이 함양된다.

      • 사회과 비판적 사고력 측정을 위한 평가 문항 개발

        이다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uation tool that can measure critical thinking power in social studies. The nature of social studies is to foster the citizen who can make a reasonable decision of any given real issue, not to inculcate students with fragmentary knowledge. In this context, the cultivation of critical thinking power is an important goal of social study education, and the evaluation is important to realize this in class. First, this study selected critical thinking function which can be applied in social studies to develop the evaluation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power. Second, this study developed a valuation question which can measure critical thinking function in social studies. Third, this study implemented the evaluation, and analyzed the result to verify the satisfaction. The researcher reviewed critical thinking power and thinking function in social studies first to select critical thinking function which can be applied in society.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tracted critical thinking function which are commonly found in previous studies, and then selected critical thinking function in social studies by groping for the link between common element and thinking function in social studies. The evaluation aimed at ① grasping the meaning of statement ② separating the fact from the value ③ checking the immanent assumption ④ valuating the validity of basis ⑤ recognizing the consistency of insistence. The critical thought process is essentially demanded in solving issues, so this study addressed the issue as an element of valuation question. According to this, the researcher reviewed issues in the link between curriculum and textbook, and selected three subjects, hair liberalization, additional point for military service, and capital punishment by reflecting students' interest. According to issue, the researcher classified into Set A, B, and C, and each Set was composed to be tested in same shape. The subjects of this test were high school students, the test was progressed for 50 minutes with considering the effectiveness, and the number of questions were limited to 15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subjects in the fixed time. Accordingly, each of A, B, and C were composed of 5 questions to measure 5 spheres of critical thinking function in social studies. This study implemented the evaluation with developed questions, and also implemented quest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validation procedure, and reliability inspection to verify the satisfaction of questions. The mean degree of difficulty was .690, and the mean degree of discrimination was .472. There was strong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power in social studies and all of 5 critical thinking functions in social studies which were technically defined. The correlation between question set was significant,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 was not changed according to concrete contents of issue. There was almost no correlation between thinking functions, so it is considered that each of thinking functions are independent factor.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5 critical thinking functions in social studies and the total score to verify analytical validity, there was high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s and all of 5 spheres, so it is considered that each sphere is a valid element to measure critical thinking power in social studies. Additionally, questions of 5 spheres selected by the researcher mostly corresponded to questions assigned with factor analysis, but there was a limit in considering that there was the mutual exclusion in some questions of ‘grasping the meaning of statement’ and ‘separating the fact from the value’. It is required to establish subordinate factors of critical thinking function in social studies more minutely. Cronbach α coefficient to measur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question was .691, and the reliability of half-test showed a significant result. After considering these results of analysis, this valuation tool was significant in measuring critical thinking power in social studies. For the more effective realization of critical thinking power education in school, it is required to continuously progress further studies which integrate critical thinking education with previous curriculum as well as the instruction for teachers. 본 연구는 사회과에서 비판적 사고력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회과의 본질은 단편적인 지식 주입이 아니라 어떤 주어진 현실적인 문제에 대해 비판적인 사고를 통해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시민을 육성하는 데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비판적 사고력의 함양은 사회과 교육의 중요한 목표가 되며 이를 수업에서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평가의 역할이 중요하다. 사회과 비판적 사고력 측정을 위한 평가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첫째, 사회과에서 적용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기능을 선정하였다. 둘째, 사회과 비판적 사고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셋째, 평가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며 양호도를 검증하였다. 사회에서 적용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기능을 선정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력과 사회과 사고기능에 대한 검토를 선행하였다. 선행의 학문적 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기능을 추출한 후 이 공통 요소와 사회과 사고기능의 연계를 모색하여 사회과 비판적 사고기능을 선정하였다. 설정된 평가 목표는 ① 진술의 의미 파악하기 ② 사실과 가치 구분하기 ③ 내재된 가정 확인하기 ④ 근거의 타당성 평가하기 ⑤ 주장의 일관성 인지하기이다. 쟁점 해결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과정은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평가 문항의 내용 요소로는 쟁점을 소재로 삼았다. 이에 따라 교육과정과 교과서와의 연계성 속에서 쟁점을 검토하였으며 학생들의 관심도를 반영하여 두발자유화, 군가산점제, 사형제도의 3가지 주제를 선정하였다. 쟁점에 따라 A, B, C세트로 구분하였으며 각 세트는 동형 검사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본 검사의 실효성을 감안하여 검사 시간을 50분으로 규정하였고 정해진 시간 안에 평가 대상자들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문항수를 15개로 한정하였다. 따라서 A, B, C세트별로 사회과 비판적 사고기능 5가지 영역을 측정할 수 있도록 문항을 구성하여 총 3세트 15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으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문항의 양호도를 검증하기 위해 문항 분석, 상관관계 분석, 타당성 검증, 신뢰성 검증을 하였다. 평균 난이도는 .690으로 쉬운 편이었으며 평균 변별도는 .472로 변별력이 높은 편이었다. 본 연구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사회과 비판적 사고력과 이를 위해 조작적으로 정의한 5가지의 사회과 비판적 사고기능과는 모두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문제세트 간 상관관계는 의미 있게 나와 쟁점의 구체적인 내용에 따라 평가 결과가 크게 달라지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사고기능 간 상관관계는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 사고기능은 서로 독립적인 변인임이 증명되었다. 타당성 검증을 위해 사회과 비판적 사고기능 5가지 영역과 총점 간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5개 영역 모두 총점과의 상관계수가 높게 나와 각 영역이 사회과 비판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타당한 요소가 된다고 볼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가 5가지 영역에 선정한 문항들이 요인분석을 통해 배정된 문항과 대부분 일치하였으나 ‘진술의 의미 파악하기’와 ‘사실과 가치 구분하기’ 요인의 일부 문항에서 상호 배타성을 갖는다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앞으로 사회과 비판적 사고기능에 대한 좀 더 세밀한 하위요인의 정립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문항 내적 일관성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한 Cronbach α계수는 .691로 산출되었고, 반분검사 신뢰도도 의미 있게 산출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할 때 본 평가 도구는 사회과 비판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데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앞으로 비판적 사고력 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기존의 교육과정에 비판적 사고 교육을 접목하는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우수 교사의 신체활동에서 나타난 교과교육학적 지식의 특성 탐구

        이다정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우수 교사의 신체활동에서 나타난 교과교육학적 지식의 특성 탐구 이 다 정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곽 은 순) 본 연구는 우수 유아교사의 신체활동에서 나타나는 교과교육학적 지식의 특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가르치고자 하는 교과목에 대한 교사의 지식이 중요한데, 이는 교사가 가진 교과내용지식, 교육학지식, 그리고 상황적 지식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가정하고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G시에 속한 사랑유치원의 수석교사이자 만 5세 하늘반을 맡고 있는 경력 20년의 임교사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임교사의 신체활동 수업을 3월부터 10월까지, 매주 1회 관찰하고 필요에 따라 면담 및 관련 문서 수집을 추가하였다. 우수 유아교사의 신체활동에서 나타나는 교과교육학적 지식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활동을 지도하는데 있어 우수 교사의 교과내용지식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나타낸다. 임교사는 유아에게 있어 움직임과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과 내외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교과내용을 구성하였다. 이 때, 신체활동이 하나의 단위 활동이 아닌 임교사의 장기적인 안목을 통해 생활주제와 연계되어 이루어짐이 나타났으며, 난이도가 있는 수업내용으로 깊이 있는 수업이 진행되었다. 둘째, 신체활동을 지도하는데 있어 우수 교사의 교육학지식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나타낸다. 임교사는 활동에 따라 다양한 수업전략과 방법을 구사하였는데 수업관리를 최소화 하였으며, 구체적이고 정확한 의사소통 전략, 유아의 참여비중을 높이는 전략을 통해 임교사의 교육학 지식이 실현되고 있었다. 이런 교육학 지식은 수업방법에 대한 끊임없는 자기반성을 통해 개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활동을 지도하는데 있어 우수 교사의 상황적 지식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나타낸다. 임교사는 21년째 한 기관에서 근무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유치원이 갖고 있는 특성, 주변 환경에 대한 이해가 높았으며 이를 적절히 활용하고 있었다. 풍부한 활동자료는 신체활동에 대한 유치원의 지속적인 연구수업을 통해 이루어졌음이 관찰되었고 교사와 유치원의 하나 된 교육관이 유아를 최대 수혜자로 생각하는 활동을 운영하고자 하였다. 한편, 특기교육의 남발로 인해 교사의 전문성이 위협받고 있음을 염려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우수 유아교사가 신체활동을 지도하는데 있어 필요한 교과교육학 지식의 3가지 요소는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교사 지식의 핵심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hown in physical activity of an excellent teacher Lee, Da Jeong Advised by Prof. Kwak, Eun Soo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hown in a physical activity of an excellent teacher. The knowledge of a teacher is important in improving quality of class. This study is carried out with an assump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tent knowledge, pedagogical knowledge and contextual knowledge. The research participant is teacher Lim who is a senior teacher of Sarang Kindergarten in G City and in charge of Hanul class for year 5 having 21 years of career. For data collection, the physical activity classes of teacher Lim were observed once per week from March to October. And interview and data collection were added if necessary. Characteristic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an excellent teacher are as follows. First, characteristics of content knowledge of an excellent teacher in the instruction of physical activity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eacher Lim recognized importance of movement and physical activity and constructed curriculum considering the connectivity of curriculum. Physical activity is connected to life theme in a long-term perspective rather than a unit activity, and in-depth class was performed with class having level of difficulties. Second, in the instruction of physical activity, pedagogical knowledge of an excellent teacher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eacher Lim presented different class strategies and methods and minimizes class management. And Teacher Lim’s pedagogical knowledge was realized through specific and accurate communication strategy and strategy increasing participation of children. Such pedagogical knowledge was developed through ceaseless self-reflection. Third, in the instruction of physical activity, contextual knowledge of an excellent teacher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s teacher Lim worked at one institution for 21 years, the teacher had higher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and utilizes them properly. Rich activity resources were accumulated through continual research class on physical activity and the coincidence of educational philosophy between teacher and kindergarten enabled children to be the largest beneficiary. Meanwhile, the teacher had a concern of threatening specialty of teachers due to excessive use of specialty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3 elem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re mutually influenced being the core of teacher knowledge.

      • 계획된 행위 이론에 근거한 중장년층 공무원의 헌혈의도 영향요인 : 소방직과 교정직 중심으로

        이다정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Ajzen (1991)의 계획된 행위 이론에 근거하여 소방직과 교정직 중장년층 공무원의 헌혈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G시와 B군에 위치한 일개 소방서와 교도소의 중장년층 소방관과 교도관 223명이었다. 연구 도구로는 김윤경(2009)이 계획된 행위 이론 모델을 검증한 도구를 바탕으로 Ajzen (2006)의 도구개발과정 서술연구를 참조하여 김유정(2014)이 구성 및 수정·보완한 헌혈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도구를 이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자가 해당 소방서와 교도소를 직접 방문하여 2020년 11월 2일부터 2020년 11월 06일까지 연구 대상자 선정 기준에 적합한 참여자에게 자기기입식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 통계 및 t-test, one-way ANOVA(Tukey 다중비교),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헌혈에 대한 태도는 응답범위 6∼42점 사이에 평균 27.4±7.7점이였고, 주관적 규범은 응답범위 3∼21점 사이에 평균 10.9±4.0점이었다. 지각된 행위통제는 응답범위 3∼21점 사이에 평균 13.1±4.2점이었고, 헌혈의도는 응답범위 3∼21점 사이에 평균 10.1±5.1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헌혈 관련 특성에 따른 헌혈에 대한 태도는 진단 질병 유무(t=2.37, p=.019), 헌혈 경험 유무(t=3.31, p=.001), 최근 1년간 헌혈 시도(t=3.99, p<.001), 마지막 헌혈 참여 연령대(F=5.45, p<.001), 3개월 이내에 헌혈 참여 계획 유무(t=8.4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관적 규범는 마지막 헌혈 참여 연령대(F=2.56, p=.041), 3개월 이내에 헌혈 참여 계획 유무(t=4.90,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지각된 행위통제는 성별(t=2.19, p=.029), 헌혈 경험 유무(t=3.25, p=.001), 최근 1년간 헌혈 시도 (t=3.99, p<.001), 마지막 헌혈 참여 연령대(F=7.00, p<.001), 3개월 이내에 헌혈 참여 계획 유무(t=8.22,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헌혈의도는 헌혈 경험 유무(t=2.96, p=.003), 최근 1년간 헌혈 시도(t=6.04, p<.001), 마지막 헌혈 참여 연령대(F=8.70, p<.001), 3개월 이내에 헌혈 참여 계획 유무(t=12.84,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헌혈의도는 헌혈에 대한 태도(r=.52, p<.001), 주관적 규범(r=.52, p<.001), 지각된 행위통제(r=.65,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헌혈에 대한 태도는 주관적 규범(r=.37, p<.001), 지각된 행위통제(r=.54,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주관적 규범는 지각된 행위통제(r=.46,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4. 다중회귀분석 결과, 3개월 이내 헌혈 참여 계획(β=-.34, p<.001), 지각된 행위통제(β=.31, p<.001), 최근 1년간 헌혈 시도(β=-.31, p<.001), 주관적 규범(β=.20, p<.001), 헌혈에 대한 태도(β=.15, p<.001)순으로 헌혈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69%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중장년층 공무원의 헌혈의도에 영향에 미치는 요인은 3개월 이내 헌혈 참여 계획 유무, 지각된 행위통제, 주관적 규범, 헌혈에 대한 태도, 최근 1년간 헌혈 시도 유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중장년층의 헌혈의도를 높이기 위한 중재전략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blood donation intentions of the middle-aged firefighters and prison officer based on Ajzen's (1991) planned behavior theor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3 middle-aged firefighters and prison officer at a fire station and prison located in G City and District B.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s for 223 participants at the fire department and pris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urkey,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attitude toward blood donation was 27.4±7.7, subjective norm was 10.9±4.0,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as 13.1±4.2, and the blood donation intention was 10.1±5.1 in 223 participants. 2. Between attitude toward blood donatio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agnosed disease (t=2.37, p=.019), blood donation experience (t=3.31, p=.001), attempted blood donation for the last 1 year (t=3.99, p<.001), age group for the last blood donation (F=5.45, p<.001), or the presence or absence participate plan in blood donation within 3 months (t=8.45, p<.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 analysis. Between subjective norm and age group for the last blood donation (F=2.56, p=.041), or the presence or absence participate plan in blood donation within 3 months (t=4.90, p<.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 analysis. Betwee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gender (t=2.19, p=.029), blood donation experience (t=3.25, p=.001), attempted blood donation for the last 1 year (t=3.99, p<.001), last blood donation participation (F=7.00, p<.001), or the presence or absence participate plan in blood donation within 3 months (t=8.22, p<.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 analysis. Also, between intention of blood donation and blood donation experience (t=2.96, p=.003), attempted blood donation for the last 1 year (t=6.04, p<.001), age group for the last blood donation (F=8.70, p<.001), or the presence or absence participate plan in blood donation within 3 months (t=12.84, p<.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 analysis. 3. Attitude toward blood donation (r=.52, p<.001), subjective norm (r=.52, p<.001)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r=.65, p<.001)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ntion of blood donation. Subjective norm (r=.37, p<.001)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r=.54, p<.001)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attitude toward blood donation. Perceived behavior the control (r=.46, p<.001)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norm. 4.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tention of blood donation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the presence or absence participate plan in blood donation within 3 months (β=-.34, p<.001), perceived behavior control (β=.31, p<.001), subjective norm (β=.20,) p<.001), attitude toward blood donation (β=.15, p<.001), and attempted blood donation for the last 1 year (β=.31, p<.001) and explained 69%. This study shows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blood donation intentions of the middle-aged a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blood donation plan within 3 months, perceived behavior control, subjective norms, attitude toward blood donatio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blood donation attempts in the last 1 year.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develop an intervention strategy to enhance the blood donation intention of middle aged.

      • 전통적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이다정 서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1세기를 살아갈 인재들이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인 생활 능력을 갖추게 돕고, 민주국가의 발전에 이바지 하는 사회 구성원이 되도록 돕기 위하여 동양 전통 고전을 활용하여 역량을 함양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현대사회에 요청되는 역량을 제시함으로써 인재들에게 필요한 역량을 살펴보았다. 역량이라는 개념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역량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역량은 직업사회에 처음으로 등장하게 된 용어인데, 지금은 현대 사회의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사용되고 있다. 교육계에 역량의 개념이 도입된 것은 OECD 프로젝트에서 역량이라는 단어가 사용되면서 부터이다. 이 프로젝트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2015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을 설정하여 역량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교과 역량 중 도덕과 역량과 그 핵심 가치를 살펴봄으로써 우리 사회에 요청되는 역량과는 어떠한 유기적인 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역량은 공통성도 가지고 있으나 시간적‧공간적 배경에 따라 다르게 제시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전통교육이라는 ‘온고지신’ 교육모델을 통해 함양하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 전통교육이 현대 사회에 필요한 이유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적 핵심 역량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현대 사회의 역량의 개념과 함양 방법이 전통교육 모델과 일정정도 부합한다고 판단하여 개념과 방법의 현대화를 모색하였다. 온고지신 프로그램을 토대로 하여 전통적 핵심역량들을 함양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전통적인 명명덕(明明德) 영역에서의 성찰과 자존 함양, 친민(親民) 영역에서의 공감과 배려 함양, 지어지선(止於至善) 영역에서의 상생과 공존 함양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또한, 부록으로 온고지신의 태토를 갖기 위한 첫걸음이 되는 온고지신의 뜻에 대해 초등학생들에게 지도할 수 있는 지도안과 학습지 예시 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전통교육의 긍정적인 의미를 이해하고 아울러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함양하는데 활용되어 21세기의 인재 육성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한글 맞춤법 교육 개선 방안 연구 :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이다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analyze the 12 different types of <Korean> textbooks used in the 10th-grade curriculum based on the direction of Hangul (Korean) spelling education guidelines provided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find the ideal textbook unit structure and class structure that suits the current curriculum. In Chapter 2, the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is the basis for critical analysis of current textbooks that are used in schools, are analyzed. The directions for Korean spelling education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must include contents that allows the students to learn about the key principles that form the basics of Korean spelling, such as Article #1 of the Korean Spelling Rule/Guideline. Second, rather than learning each and every single rule included in the Korean Spelling Rule/Guideline, selectively deal with specific articles that are deeply related to our daily language use. Third, rather than making the students ‘memorize’ the spelling rules, teach them how to ‘apply’ those rules in daily life through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principles/rules. Fourth, the focus of spelling education should not only be on teaching the students about the functional aspects of Korean spelling, but also to develop a proper ‘attitude’ of spelling Korean correctly. Fifth, through a deeper understanding about accurate language (Korean) use, the students must be able to develop critical & creative thinking. Chapter 3 looked at whether the directions of Korean spelling education,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re properly implemented in the <Korean> textbooks (12 different types) used in high schools (10th-grade). First, the study has selected the main rules/clauses covered in each textbook and summarized how they were presented within the textbook. Next, the study has critically examined whether the key educational directions of Korean spelling education,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re implemented properly within the textbook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purpose. However, contrary to the direction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following problems have been found in the textbooks that are currently used in high schools. First, the textbooks were presenting individual clauses separately, without considering the context with the general rules. Second, the textbooks contained a number of clauses that lacked any proper basis or standards behind its selection. Third, most of the activities included in the textbooks were focused on ‘simple confirmation’ of what the students have just learned. Fourth, compared to the number of activities that focused on teaching actual ‘knowledge’ related to Korean spelling, there was a lack of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attitude’ of using/implementing that knowledge. Finally, there was not enough activities that could help the students develop critical & creative thinking skills. Chapter 4 focused on exploring new textbook & class structures that could solve and improve the current limitations/problems of Korean spelling education. First, to address the problem where individual clauses were scattered throughout the textbooks without any relation to the general rule, the basic principles of Korean spelling (Article #1) has been explained explicitly. In addition, Article #19 & #20 were presented together with Article #1 so that the students could learn Korean spelling while hav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asic rules & principles of Korean spelling. Second, to solve the problem of textbooks including too many clauses that have been selected without any proper basis or standards, the following standards have been presented for selecting specific clauses: Clauses that can be applied with the principles presented in Article #1, clauses that are often ignored or misused during the use of words that frequently appears in daily conversations, and clauses that can actually be applied to many words. Based on these standards, the following clauses have been selected as the main clauses that the students must learn, and are included in the textbooks in the form of a learning activity: Article #1, Strong Sounds (Article #5), Rule of Initial Sound (Article #11), Stem & Endings (Article #15), Words that are Created by Attaching an Affix to a Stem or a Noun (Article #19), 'Middle ㅅ' (interval ‘ㅅ’) (Article #30), Spacing (Article #41~43). Third, to solve the problem of current textbooks heavily focusing on simple ‘review’ activities, new learning activities that allows the students to properly understand and apply the clauses have been designed. Fourth,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n attitude of using proper Korean spelling, new learning activities that can help the students learn the necessity/importance of Korean spelling, check their own language habits, and develop an attitude of using proper Korean spelling, have been designed. Lastly, in order to address the current lack of activities that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s’ critical/creative thinking skills, a new activity that allows the students to critically explore and discuss various words in which the basic Korean spelling principles are not applied, and specific cases where such principles are intentionally ignored or violated, have been designed. Chapter 4, Paragraph 2 presents a detailed 4-class course/curriculum that reflects the class & unit structure mentioned above that can be used for Korean spelling classes.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 4-class Korean spelling course, the students can learn the basic rules of Korean spelling based on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basic principles of Korean spelling, develop an attitude of spelling Korean correctly, and further expand the boundaries of current Korean spelling education, which was limited to a normative perspective, through a critical/creative point of view.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oposed specific educational measures that can be used for Korean Spelling education.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제시하고 있는 한글 맞춤법 교육 방향을 기준으로 고1 12종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방향에 맞는 교과서 단원 구성안과 수업 구성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먼저 2장에서는 현행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분석할 기준이 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글 맞춤법 교육의 방향을 5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글 맞춤법 1항과 같이 맞춤법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 원리를 알 수 있게 하는 조항을 활용하여 학습한다. 둘째, 맞춤법 모든 조항을 일일이 학습하기보다는 실제 언어생활과 관련이 깊은 것을 선택적으로 다룬다. 셋째, 맞춤법 규정을 암기식으로 학습하기보다는 원리를 탐구하는 과정에서 실제 언어생활에 적용하도록 한다. 넷째, 맞춤법의 지식, 기능적 측면뿐 아니라 한글 맞춤법을 바르게 사용하는 태도를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다섯째, 정확한 언어 사용의 심화된 이해를 통해, 한글 맞춤법을 통해 비판적, 창의적 사고를 기른다. 3장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한글 맞춤법 교육 방향이 현행 고1 12종 교과서에 잘 구현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대표 조항들을 선정하여 이 조항들을 각 교과서에서 어떠한 유형의 학습 활동으로 제시하고 있는지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한글 맞춤법의 교육 방향이 교과서에서 본래 의도에 맞게 잘 구현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방향과 달리 현행 교과서는 첫째, 총칙과 연관성 없이 개별 조항들을 병렬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조항 선정의 기준과 근거가 부재한 조항들을 다수 수록하고 있었다. 셋째, 탐구 활동이 아니라 단순 확인식 학습 활동들이 대부분이었다. 넷째, 언어 지식에 비해 한글맞춤법을 사용하는 태도와 관련된 학습 활동이 부족했다. 마지막으로 한글 맞춤법을 통해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학습 활동이 미흡하였다. 4장에서는 현행 한글 맞춤법 교육의 한계를 보완한 한글 맞춤법 관련 교과서 단원 구성안과 수업 구성안을 모색해보았다. 단원의 구성안을 보면 첫째, 현행 교과서에서 총칙과 연관성 없이 개별 조항을 병렬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문제를 보완하고자, 총칙 1항의 기본 원리를 연계한 설명을 명시적으로 밝혔다. 그리고 1항과 함께 19항, 20항과 연계하여 학습함으로써 학생들이 기본 원리를 가지고 한글 맞춤법을 이해할 것을 제시하였다. 둘째, 현행 교과서에서 조항 선정의 기준과 근거가 부재한 많은 조항을 다루는 문제를 보완하고자 맞춤법 1항의 원리를 적용할 수 있는 조항, 실제 사용 빈도가 높은 단어 중 오류 양상을 많이 보이는 조항, 하나의 조항을 학습함으로써 실제 많은 단어에 적용할 수 있는 활용도가 높은 조항을 조항 선정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준에 의해 1항, 된소리(5항), 두음법칙(11항), 어간과 어미(15항), 어간이나 명사에 접사가 붙어서 된 말(19항), 사이시옷(30항), 띄어쓰기(41~43항)의 학습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고, 학습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현행 교과서에서 조항을 단순 확인식 학습 활동 위주로 구성하고 있는 문제를 보완하고자 탐구 과정을 통해 조항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학습 활동을 구성하였다. 넷째, 현행 교과서에서 한글 맞춤법 사용 태도와 관련된 학습 활동이 부족했던 문제를 보완하고자 한글 맞춤법의 필요성을 알고, 자신의 언어 습관을 점검하고, 한글 맞춤법을 바르게 사용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는 학습 활동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현행 교과서에서 맞춤법의 정확한 사용에만 치우쳐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을 키우는 활동들이 미흡했던 점을 보완하고자 모둠별로 현행 한글 맞춤법 표기에서 기본 원리가 적용되지 않은 단어, 그리고 맞춤법을 의도적으로 어기고 있는 사례들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탐구해 보고 토의하는 활동을 구성하였다. 4장 2절에서는 단원의 구성안을 반영한 4차시의 수업 구성안을 통해 구체적인 한글 맞춤법 교수 학습 과정을 제시해보았다. 4차시 한글 맞춤법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를 중심으로 탐구 과정을 통해 한글 맞춤법 조항을 이해하고, 맞춤법 이해 측면뿐 아니라 한글 맞춤법을 바르게 사용하는 태도를 기르게 되며, 규범적 관점에만 한정되어 있던 문법 교육을 비판적, 창의적 관점으로 확장할 것이라 기대한다. 본 연구는 한글 맞춤법의 교육 방안을 실질적으로 제안해 보았다는 데서 의의가 있다.

      • 컴퓨터 색채도구의 활용이 아동의 정서 발달에 주는 효과 : 초등학교 색채학습을 중심으로

        이다정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계화 문명 속에 치우친 현대 사회의 지적 교육은 인간의 정서와 순수성을 메마르게 하고 인간의 존엄성마저 상실하게 하고 있다. 이렇듯 상실되어 버린 인간성과 존엄성을 회복하는 일은 미래 사회가 구현해야 할 목표이다.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해 우리가 가장 중요시해야 할 일은 미래 사회의 주역이 될 어린이들을 위한 교육, 즉 "정서 교육" 이다. 이는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간상인 건강한 사람, 창의적인 사람, 개성적인 사람의 구현에 필수적인 교육이라 할 수 있겠다. 본래 정서 교육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조형 교육으로, 미술 교육을 일컫는다. 미술의 표현은 인간의 정신세계를 통하여 얻은 경험을 현실로 이어주는 가교의 역할을 하며, 아이들이 스스로 자연스런 생활 속에서 느끼고,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진정한 인성교육이 나타난다. 특히, 색채는 인간의 심리와 정서에 영향을 미치며, 아동의 전인적 발달에 상당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이 같은 기본 위에서, 급변하는 시대에 충실하고, 전인적 인간을 형성하는 색채미술교육의 활용은 현 시점에서 매우 필요하다. 컴퓨터를 활용한 색채미술수업이 그것인데, 새로운 색채표현도구의 경험은 학생들의 색채 감각 동기를 부여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시키는 활동이 될 수 있다. 기존의 획일적이고 제한된 요소가 많은 색채표현도구들은 아동들에게 보다 넓은 색채감각을 키우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에 반해, 특수한 기능들이 다양하고 우연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컴퓨터의 활용은, 학생들의 창의성을 자극하여 참신한 아이디어의 즉각적 실현을 가능하게 해주므로, 창의력과 개성을 신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수업의 컴퓨터 활용 중에서도, 컴퓨터로 나타낼 수 있는 색과 표현의 다양함이 아동의 감성과 정서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과 방법을, 본론에서는 색채학습과 아동의 정서 발달에 관한 연구를 하였고, 이를 토대로 실제 수업 지도 시 전통적인 미술수업의 획일적인 수업방식의 문제점을 제시하여, 그 대안으로 컴퓨터 색채도구가 갖는 장점을 적용하는 지도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결론에서는, 서론과 본론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컴퓨터 그래픽의 색채도구 활용에서 수많은 색채와 다양한 기법의 경험으로 즐거움과 풍부한 정서를 함양시키고 이를 통해 학생들이 개성과 창의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제시한다. For mechanization civilization batch, intelligent education of modern society makes human's emotion and purity very dry and cost human's dignity. Like this, it is target that circle should embodies the future to recover forfeit human nature and dignity. For the better future, it is education for children, that is, "Culture sentiments" to be social star the future that we should taking a serious view most. This can be education that society is essential in a healthy person, a creative person, an individual person's embodiment that is charged image of man the future. It calls art education to modeling education that occupy important part of culture sentiments originally. Expression of art does part that join experience getting through human's mind actually, and genuine human nature education appears through process that feel in life that children are natural and expresses. Specially, color affects in human's mind and emotion, and have relativity that is considerable in child's whole personality development. In such basis contents stomach, practical use of color art education that is full in age that change rapidly need very at string visual point. Color art class that utilize computer is it, experience of a new color expression tool can become activity that provoke interest and interest of students giving color sensation motive of students. Restricted element there are a lot of color expression tools, and there is trouble to raise wider color sensation to children. In contrary, can help that refurbish creative mind and personality because practical use of computer that particular functions can display various and episodic effect initiative of students stimulate and enable quick realization of brand new idea. In this study, it searches about child's sensitivity and positive effect getting in emotion that is various of color and expression that can appear by computer among computer practical use of art class. From introduction study purpose and method. In body, offered research of emotion development of color studying and child, on the basis of this, when guide actuality study, presented problem of same class method of traditional art class. By the alternative, suggest method that teach that a computer color tool applies having forte. And in conclusion, based on introduction and contents of main discourse, in color tool practical use of computer graphic, foster pleasure and rich emotion to experience of great many color and various notation and students quote conclusion that can develop personality and creative mind through this.

      • 한국산 참김의 내병성 반응에 있어 NADPH oxidase 매개 산화적 폭발(respiratory burst)의 역할

        이다정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질병 관리는 빠르게 성장하는 김 양식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우려 사항이 되었다. 난균성 (Oomycete) 병원균이 일으키는 붉은갯병 (Red-rot disease)과 낭균병 (Olpidiopsis-blight) 및 PyroV1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녹반병 (Green-spot disease)은 매년 김 양식장에서 수확의 10-15%를 감소시키면서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켜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인 질병 방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김의 질병 저항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식물의 산화적 폭발 (respiratory burst, oxidative burst)은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의 생산 및 세포 외 방출로 병원균의 침입과 확산을 막는 과정으로 식물에 있어 병원성 감염에 대한 핵심 방어작용이다. 해조류인 김에서도 이와 같은 방어 작용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조직화학적 염색 시약인 DAB (3, 3'-diaminobenzidine)와 NBT (nitrotetra blue chloride) 및 형광염색 시약인 DCFH-DA (2', 7'-dichlorofluorescindiacetate diacetate)을 사용하여 감염 시기별 활성산소종을 탐색한 결과 갯병의 종류에 따라 발현 양상과 시간은 달랐으나 감염된 김에서는 모두 활성산소종의 생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특히 난균성 갯병에 걸린 개체들의 경우 난균의 균사와 직접 접촉한 세포에서 특징적으로 hydrogen peroxide의 생성이 증가되어 감염의 진행 과정과 활성산소종의 축적 간에 긴밀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활성산소종 생산을 매개하는 NADPH oxidase 저해제인 DPI (diphenyleniodonium chloride)를 처리한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hydrogen peroxide 생성이 감소하였으며 감염률은 증가하였다.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였을 때 감염 초기에 질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 나타나는 세포 자살 (programmed cell death)과 사세포의 형성이 현저히 억제되었다. 감염 시간별로 trypan blue assay를 수행한 결과 DPI 처리구는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감염 초기 시간에 나타나는 사세포율이 현저히 낮았다. 참김의 산화적 폭발의 분자적 체계를 이해하기 위해 질병에 걸린 김들의 전사체 (transcriptome)를 얻은 후 이에 기반하여 15,111개의 primer를 제작하고 microarray 분석을 수행한 결과 병원체에 감염된 참김에서는 항산화 효소 유전자의 발현량 증가가 뚜렷하였고 활성산소의 생산에 관여하는 rboh gene의 발현량도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참김에서 추출된 3가지 rboh gene (Ptrboh1, Ptrboh2, Ptrboh3)의 분자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참김의 rboh 유전자는 세포막 삽입을 위한 transmembrane domain들은 보존되어 있었으나 육상식물의 rhoh 유전자들과는 달리 칼슘 결합기인 EF-hands domain이 없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다른 홍조식물의 rboh 유전자에도 공통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qPCR 결과 추출된 참김의 rboh 유전자들은 갯병 종류와 감염의 진행 정도에 대응하여 발현량이 변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김의 세포들이 병원균과 접촉하였을 때 활성산소종을 대량으로 방출 하여 감염을 저해하고 감염된 세포는 세포 자살을 통하여 감염의 확산을 저해하는 체계를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Disease management is the most serious concern for rapidly growing seaweed aquaculture industry. Oomycete and viral disease causes serious economic loss in Pyropia sea farms every year. Oxidative burst plays a pivotal role in defense to pathogenic infections in red algae Pyropia species. Histochemical staining and microarray profiles on disease infected Pyropia tenera showed that retrograde signaling from cell organelles is involved in the defense mechanism for infection. 3, 3-Diaminobenzidine (DAB) staining on pathogen infected P. tenera blades showed an accumulation of hydrogen peroxide. Microarray gene profiles showed that respiratory burst oxidase homologue (rboh) were specifically upregulated in the infected blades of P. tenera. As these enzymes are involved in disease resistance, we examined the role of rboh on defense responses in P. tenera using diphenyleneiodonium (DPI). DPI-pretreated P. tenera showed enhanced infe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suggesting that rboh protein was involved in defense responses to pathoge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 tenera may have signal transduction pathway regulated by rboh protein in response to pathogens and uses oxidative burst to inhibit the spread of oomycete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