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글로벌 과학기술협업연구망(GLORIAD)에서의 활용도 모니터링 시스템 (GMON-KR) 개발 연구

        이길재(Giljae Lee),변옥환(Okhwan Byeon)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본 논문은 한국을 비롯하여 미국, 러시아, 중국 등 4개국을 연결하는 글로벌 과학기술협업연구망인 글로리아드의 활용도를 측정하여 망의 유지, 보수 및 관리를 도와주며 망의 사용국가, 사용성격 등을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글로벌 과학기술협업연구망 구축사업의 일환인 글로리아드-한국 링크 활용도 모니터링 시스템 (GMON-KR) 개발 연구를 소개한다. GMON-KR은 넷플로우(Netflow) 기반의 트래픽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써 넷플로우 데이터를 분석하여 웹페이지 기반의 테이블과 그래프로 결과를 보여주며 10분을 주기로 결과 값을 자동으로 갱신한다. 또한, 분석 결과 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므로 추후에 원하는 정보를 추출해낼 수 있다.

      • KCI등재

        What are the driving factors of continuing tuition increase?

        이길재(Giljae Lee),이정미(Jungmi Lee)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교육 분야에서 핵심적인 연구 주제인 지속적인 등록금 인상 요인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것이다. 등록금 인상은 과거 수 십 년에 거쳐 물가지수보다 빠른 증가율을 보여 왔다. 이에 본 연구는 American Institute of Research가 과거 23년 동안 수집된 IPEDS(Integrated Postsecondary Education Data System)의 고등교육재정 데이터에 기초해 공ㆍ사립 대학 간 수입 지출 항목 비교가 가능하도록 재구조화해 놓은 델타비용분석 프로젝트(Delta Cost Project)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고등교육 공동체가 등록금 관련 정책을 수립할 때 유용한 등록금 인상요인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위계적 성장모형(Hierarchical Linear Growth Model)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관련 연구들이 보이는 한계를 극복한다. 한 대학을 23년 동안 반복적으로 측정한 데이터는 변인들 간 다중공선성을 피할 수 없는 바, 그렇게 내재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법으로 위계적 성장 모형이 적절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등록금 상승은 고등교육비 부담의 주체가 정부라는 공적인 영역에서 소비자인 학생에게 이전되는 과정에서 생겨난 필연적인 결과물이며,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고등교육 공동체의 합의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공립과 사립대학들을 포괄하는 모형보다는 사립대학 모형이 분산의 더 많은 부분을 설명함을 밝혔다. 아울러 각각의 대학 단위의 어떠한 수입 및 지출 항목들이 등록금 인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지를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fundamental question central to higher education constituents across the globe: What cause the faster-than-inflation increases in college tuition and required fees? Drawing on the panel data organized by the American Institute of Research and housed at the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this research provides private and public 4-year universities with critical information needed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 of tuition increase and expenditure structures. Applying a Hierarchical Linear Growth Model, this study analyzes past 23 years of finance data between 1987 and 2010 and efficiently controls the intrinsic nested nature of the data collected by repeated measures. The study finds the revenue shift from public sector to consumers, which opens up the needs of straight talk on how we should see the higher education and who should pay the costs. The study walks through the detailed associations between each predictor modeled and keep increasing tuition and fees, the price of higher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교수·학습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길재(Lee, Giljae),이정미(Lee, Jung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2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고등교육의 교육성과를 예측해주는 역량지수인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과 대학수준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대학생의 학습성과를 강력하게 예측해주는 변수이지만, 가장 낮은 역량 점수를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영향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생의 학습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62개 4년제 대학생 42,660명을 대상으로 하는 2014 NASEL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수-학생 상호 작용을 가장 강력하게 예측하는 변수들은 대학수준의 특성이 아닌 개인특성 변수라는 점이다. 특히, 협력적 학습은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핵심적인 영향요인으로 분석 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결정 여부가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수라는 점이다. 셋째, 대학의 규모와 설립유형을 나타내는 변수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넷째, ACE와 교육역량강화사업은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다 엄격한 분석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표준오차 과소추정이 불러올 수 있는 혼란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학들이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정책 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tudent-faculty interaction’ that is a benchmark predicting the performance level of higher education system in South Korea. The benchmark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SFI) is a strong predictor of academic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however, it ranks the lowest among other benchmarks to measure the academic potent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With that on mind, this study trie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system in South Korea. Drawing on the data from 62 4-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this study analyzes the 2014 NASEL data.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Most strong predictor of SFI was not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but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2) One of the critical indicators of forecasting SFI is whether a student sets up a career plan or not. 3) The size and control of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have nothing to do with SFI. 4) National-level funding programs such as ACE and Fostering Educational Potent failed to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FI. 5) Researchers analyzing nested data is required to apply a rigorous analytic strategy to not make a mistake by under-estimating standard error in estimating regression coefficients. Drawing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authors suggested policy alternatives to improve the re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 KCI등재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지원의 문제점과 지원기준 및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이길재(Lee, Giljae),김왕준(Kim, Wangjun),이정미(Lee, Jungmi)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각 교육청의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배분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적절한 개교 지원비 지원기준 및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12개 시도·의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의 배부기준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개교 지원비 교부 시기, 개교 지원비 항목, 신설학교에 대한 특별 지원비, 개교 지원비의 산정 방식, 개교 지원비의 규모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어, C 지역에서 신설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초·중 통합학교, 중·고 통합학교, 특수학교 등 총 6개 학교의 신설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개교 지원비 지원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교 시 학교가 구비해야 할 교구와 설비 중 필수/권장 항목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각 시도교육청의 교구설비기준 자료, 최근 5개년 이내에 개교한 신설학교들의 구입품목 자료 등을 토대로 C 지역의 『각급학교 교구설비 기준』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지원기준을 수립하였다. 지원기준 수립의 절차는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범위 결정→학교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설비 및 교구·교재 관련 품목 교체→학교급별 영역별 품목 및 수량, 단가표 산출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배분실태를 분석한 결과 나타난 문제점은 1) 필수 개교 지원비 품목의 누락 및 예산 부족, 2) 학교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개교 지원비 지원, 3) 개교시 예상치 못한 지출에 대한 예산 미편성 4) 신설학교 교직원의 부적절한 배치 시기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지원기준 산출시 고려 사항은 1) 2015 교육과정에 부합하도록 개정 고시된 교구·설비에 대한 단가 산출 필요, 2) 학교별 교육과정 운영 특성을 고려한 개교 지원비 지원기준 마련 필요, 3) 학교급, 학교 유형 등에 따라 차별화 및 현실화된 단가 마련 필요, 4) 필수개교 지원비 품목에 누락된 품목포함 필요 등이다. 이상의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지원기준 산출의 고려사항을 토대로 C 지역의 학교급별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지원기준을 산출하고, 결론적으로 개교 지원비의 효율적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opening expenses of new schools, and to establish distribution criteria for opening expenses of new schoo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istribution criteria of opening expenses of new schools in 12 school districts was examined. FGI was conducted for those in charge of newly-established schools in the C region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opening expenses. The problems of the 『Criteria for teaching tools and facility』are analyzed based on the data of the teaching tools and facilities and the purchase items of new schools opened within the last five years. And the criteria for supporting the opening of new schools were established. The problems on the distribution of the opening expenses for new schools are as follows. 1) Missing items for essential opening expenses of new schools and expenses, 2) Distributing opening expenses without considering school characteristics, 3) Unscheduled budget for unexpected expenses, and 4) Inadequate placement of new school staff.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considerations for calculating the new school s opening expense criteria are as follows. 1) Need to calculate the unit price for the teaching tools and facility that has been revised to conform with the 2015 curriculum. 2) Need to prepare the distribution criteria of opening expenses considering school curriculum characteristics 3) Differentiated unit prices are needed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school type, and 4) Need to include missing essential items in opening expenses of new schools. Lastly, based on the above considerations, the support criteria for new school opening in C region were calculated.

      • 글로벌 과학기술협업연구망(GLORIAD) 모니터링 시스템(GMON-KR) 데이터 가시화 연구

        이길재(Giljae Lee),권윤주(Yoonjoo Kwon),석우진(Woojin Seok),곽재승(Jaiseung Kwak),Eric J. Mohr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D

        GMON-KR 시스템은 한국을 비롯하여 미국, 러시아, 중국 등 4개국을 연결하는 글로벌 과학기술협업연구망인 글로리아드의 활용도를 모니터링하여 망의 유지, 보수 및 관리를 도와주며 망의 사용국가, 사용성격 등을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005년에 글로리아드-미국과 한국과학기술정보 연구원에서 공동으로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GMON-KR 시스템을 확장하여 좀더 사용자 친화적인 방법으로 글로리아드-한국 망의 트래픽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시화 연구의 결과를 소개한다.

      • KCI등재

        그래프 이론과 상관성을 이용한 PM OLED 다중선 구동 기술

        이길재(Giljae Lee),이창훈(Chang-hoon Lee),정제창(Jechang Jeong) 大韓電子工學會 2010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7 No.1

        PM OLED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하나로 많은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고 있다. PM OLED를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데 있어 가장 큰 문제는 전력 소모와 제품 수명을 꼽을 수 있다. PM OLED 시장의 확대를 위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패널과 회로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전력소모와 제품 수명은 상호 연관 관계가 있어, 회로 상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면 인가 전류가 감소하여 제품 수명이 향상된다. 그러므로 전력 소모를 회로적으로 보완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구동 방식을 개선함으로 전력 소모 감소와 제품 수명 향상이 가능하다. 종래 Row-to-Row 방식을 개선하여 여러 Row를 동시에 구동하는 기술을 적용하면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여러 Row를 동시에 구동하는 방식을 적용함에 있어 Row 별 Column 데이터에 대해 확률적 개념을 도입하여 유사성이 높은 Row를 하나의 Group으로 분리하고 Group별로 차별적으로 Row 구동 방식을 적용하여 전력을 감소하여 패널 수명을 향상하였다. PM OLED is used in many applications as one of the display for the next generation. The most essential problems are the power dissipation and the short life time in applying PM OLED into a commercial application. Many efforts are made in developing the panel and in improving the circuit for expanding the current market wider. The life time in PM OLED is expanded by lessening the power dissipation of the circuit for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current is lower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ower dissipation from improving the driving technology. The classical technology, Row-to-Row driving, is that row is selected one by one while applying the column current input individually. The multi-line driving is a new technology which is to select multiple rows simultaneously while applying the column current as a whole. However, the solution of the multi-line driving is NP-complete problem. The efficiency is dependant on the sort of picture and the driving condition. This paper presents the new efficient multi-line driving which is that the multiple lines are selected by applying column current together after grouping the simultaneous driving group applying the gnew efficient muthe coi-line dr coefficient. Bengrouping the several rows which has the higher coi-line dr coefficient, the more efficient driving is realized to present the high quality image and to lessen the power dissipation and to stretch the life time in the PM OLED.

      • 이동 단말을 이용한 이동 그리그 프레임워크

        이길재(Giljae Lee),공정욱(Jonguk Kong),변옥환(Okhwan Byeon)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Ⅰ

        이동 단말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동 단말의 성능 및 이동 통신 기술이 날로 발전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인 그리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이 유선환경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이동 단말들의 유휴 자원을 이동 그리드로 통합하기 위한 이동 그리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고 각 구성 요소별 기능을 정의하였다. 향후에는 제안한 이동 그리드 프레임워크를 동기종 및 무선랜 환경에서 실제로 구현하여 제시한 이동 그리드 프레임워크의 유효성을 보이고 나아가서 이기종 및 다른 무선 환경과 연동할 수 있도록 확장해갈 예정이다.

      • KCI등재

        대학원 교육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정미(Lee, Jungmi),이길재(Lee, Giljae)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원 교육 만족도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대학원 교육 관련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대학원 교육 만족도를 교육여건 만족도, 교육과정 만족도, 수업 및 논문지도 만족도로 세분화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개념구인을 검증하였다. 각 만족도를 예측하는 모형의 집단 간 분산의 크기를 고려하여 회귀모형과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교육여건 만족도에 관한 위계적 선형모형의 분석결과, 여학생과 학자가 대학원에 진학한 동기라고 응답한 학생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장학금 비율, 동료학생의 수준과 경쟁력, 졸업생 취업률, 교육과정의 질 등이 각각 높을수록, 공학계열 학생이 보다 높은 교육여건 만족도를 보고하였다. 교육과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여학생과 인문계열 소속 학생들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반면, 타 대학 학부 졸업생, 동료학생 수준 및 대학원의 경쟁력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졸업생의 취업률, 교육과정의 질, 수업준비도가 각각 높을수록 교육과정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수업 및 논문지도 만족도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치는 요인은 교육과정의 질과 동료 학생 및 대학의 경쟁력 변인으로 나타났고, 거점 국립대학 학생들이 연구중심 대학 학생들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보고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대학원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with graduate education. Based on the relevant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subdivided satisfaction with graduate education into three; educational condition, curriculum, and teaching and advising services. Using each satisfaction variable as a 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utilized either regression or Hierachical Linear Model(HLM). The results of HLM disclosed that female students and students with the goal of becoming a scholar after graduate education reported a lower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dition. The portion of scholarship, colleague students’ academic level and competency, job placement rate of graduates, the quality of curriculum, and student from the college of technology showed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dition. The regression model revealed that female and students from college of liberal arts showed a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hile students obtained undergraduate degree from other universities reported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curriculum. The same was true for graduate students thinking that their colleagues are well-qualified, higher job placement rate, better quality of curriculum, and higher level of class preparation. Factor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graduat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advising services were the quality of curriculum and other colleague students’ academic competency. Students at research focused universities reported a lower level of satisfaction level than those from major national universities. Policy implications were provid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 KCI등재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필요 교원수 추산 연구

        이재덕(Lee, Jaeduck),김도기(Kim, Dogi),박태양(Park, Taeyang),이길재(Lee, Giljae)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3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필요 교원수를 추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필요 교원수 추산을 위해 학생수, 수업학급수, 학급당 학생수, 교원의 주당 수업시수 등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변수를 단계적으로 적용하는 세 가지 모델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고교학점제 변수를 적용할 경우 그렇지 않은 기본모델 대비 24.7~50.0%의 교원이 더 필요한 것으로 추계되었다. 모델 간 차이는 보수모델 대비 합리모델은 8.4%, 최적모델은 35.2% 더 많은 교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되었다. 2021년부터 2040년까지 공립 고등학교 교원 신규채용 규모를 추계한 결과, 보수모델에서는 평균 5,959명, 합리모델에서는 평균 6,257명, 최적모델에서는 평균 7,203명의 교원이 신규채용 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교원 수급계획 수립 시 고교학점제 정책변수 고려, 교원 정원 산출 방식에 학교 현실 반영, 책임교육 실현을 위한 교원 충원의 필요성 인식 등을 제언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project teacher supply upon the introdu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order to best estimate the size of teacher supply, three projection models were constructed and applied based on different assumptions o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implementa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such as the number of instruction classes and per week credit load taught by a teacher. The study found that about 24.7 to 50.0 percent more teachers would be needed for the stabl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compared to the basic model in which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not considered. Specifically, rational and optimal models projected 8.4 percent and 35.2 percent more teachers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servative model (basic model). Following the projection scenarios, the conservative, rational, and optimal models estimated 5,959, 6,257, 7,203 new teachers are required to hired, respectively from 2021 to 2040. Based on the major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e needs to 1) consider the new policy factors like high school credit system, 2) reflect the reality of the school practice, 3) recognize the necessity of recruiting enough number of teachers required to ensure educational accoun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