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티엔 드 라보에시와 자발적 예속의 문제

        이기라(Lee Gira) 한국정치사상학회 2016 정치사상연구 Vol.22 No.1

        이 글은 르네상스시대 프랑스 인본주의자 에티엔드 라보에시의 정치사상을 소개하면서 그가 제시한 ‘자발적 예속론’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라보에시는 서양 정치사상사에서 가장 명쾌하고 번뜩이는 방식으로 자발적 복종의 문제를 제기했지만 한국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사상가이다. 그의 핵심적인 통찰은 모든 전제정치가 본질적으로 전반적인 대중적 동의에 기초한다고 생각한데에 있다. 그래서 그는 전제적 지배, 그리고 암묵적으로는 정당하지 않은 모든 지배형태들에 대한 자발적 복종에 문제를 제기할 수 있었다. 라보에시는 <자발적 예속론>에서 자발적 복종에 대한 두 가지 유형의 설명을 제시했다. 첫 번째 설명은 지배가 유지되는 메커니즘으로서 관습과 군주들의 술책이다. 두 번째 설명은 지배의 원천과 토대에 대한 것으로서 개인들의 탐욕, 그리고 그것에 기초한 ‘명령과 이익의 연쇄’가 핵심이다. 라보에시는 이렇게 지배와 복종의 이중적 성격, 즉 상황적 성격과 자발적 성격을 동시에 밝혀냈다. 이 논문은 라보에시가 제시한 두 가지 설명의 위상과 관계를 재해석하면서, 그의 통찰이 인간의 비합리성을 전제하는 ‘대중심리론’이나 이데올로기 조작과 피지배자들의 세뇌를 배타적으로 강조하는 ‘지배이데올로기 테제’로 환원될 수 없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This study is to introduce political ideas of Étienne de La Boétie, a French humanist during the Renaissance, and to define the attribute of ‘Voluntary Servitude’. La Boétie has addressed the issue of the voluntary servitude with the most lucid and the most brilliant way in the history of the western political thoughts, however he is one of the least known thinkers in Korea. His acute insight lies in his discernment that all forms of despotism are essentially based on consent of the public. That enables him to raise a question on the issue of the voluntary servitude towards despotic reign and implicitly, all forms of illegitimate domination. The first reason why La Boétie suggested the voluntary servitude is custom. Here, a totally different mechanism of subordination is added onto, and ‘the chain of command and profit’ is the key in the mechanism. This study aims at demonstrating that his insight cannot be reduced to ‘dominant ideology thesis’, which exclusively emphasises on the tactics of the rulers, presupposing irrationality of the human beings, or on ideological manipulation of the rulers and brainwash of the governed, while endeavoring to connect the two types of explanations, presented by La Boétie.

      • KCI등재

        지배메커니즘에서 강제와 정당화의 관계: 이원론에서 상호의존적 조합으로

        이기라(Lee, Gira) 한국이론사회학회 2021 사회와 이론 Vol.39 No.-

        지금까지 지배에 관한 많은 사회과학 연구들은 강제와 정당성을 중심으로 피지배자들의 복종이나 순응을 이끌어내는 권력의 작동양식에 접근해왔다. 그러나 대부분 양자 간의 상호작용에 주목하기보다 둘 중 하나를 강조함으로써 갈등론과 합의론이라는 이원론적 논쟁으로 이어졌다. 각각의 접근은 제한적인 수준에서 경험적으로 유효하지만, 자발적 순응을 이끌어내는 지배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둘 중 하나를 강조하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다. 이 연구는 강제와 정당화라는 권력의 두 주요 작동양식 간의 관계를 특징짓는 요소가 무엇인지 이론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우선 문제제기 차원에서 사회질서를 설명하는 기존 시각들의 한계를 지적하고, 권력과 지배 개념에 대한 베버의 정의를 둘러싼 양분된 해석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다음으로 행위자의 관점에서 복종의 동기들은 복잡하게 뒤섞여 있으며, 복종의지는 역설적으로 권력의지와도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논의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들에 기초하여 강제와 정당화의 관계에서 주목할 만한 특징적인 요소들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그것은 상호배타적이거나 ‘제로섬’ 관계가 아니라, 일정한 균형이 요구되는 상호의존적이고 역동적인 조합이다. When approaching the modus operandi of the power inducing obedience and/or compliance, many studies of social science so far have focused on coercion and legitimacy. Nonetheless, instead of finding the linkage between the coercion and the legitimacy, most of these studies emphasize on either one of them, and it leads to dichotomic controversies between conflict theory and consensus theory. Each approach is empirically valid to a limited extent, however focusing only on either one of them is not sufficient to explain the mechanism of domination that induces voluntary compliance. This study theoretically inquires into the factors characterizing the corelation between coercion and legitimation, the core modes of dominant power. First of all, it critically reviews preexisting perspectives, which explain social order, as well as divided interpretations surrounding Weber"s definition on power and domination at the conceptual level. Secondly, from the perspective of actors, it discusses that the motives of obedience are intricately intertwined, and the will to obey is, ironically, connected to the will to power. Lastly, based on the previous discussions, it derives key distinctive factors in the corelation between coercion and legitimation: They are neither exclusive nor zero-sum relationship, but are interdependent and dynamic combination which requires a certain degree of balance.

      • KCI등재

        지배이데올로기와 신자유주의 통치성: 1990년대 한국의 ‘세계화 이데올로기’와 ‘영어 열풍’ 사례 분석

        이기라 ( Gira Lee ) 한국사회역사학회 2021 담론 201 Vol.24 No.3

        이 글의 목적은 1980년대를 전후로 활발하게 이루어진 ‘지배이데올로기 테제’에 대한 비판적 논의와 미셸 푸코가 분석한 ‘신자유주의 통치성’을 재검토하고, 한국의 ‘세계화 이데올로기’와 ‘영어 열풍’ 사례 분석을 통해 이데올로기의 기능 및 전달과 관련된 주요한 이론적 관점들을 확인하는 것이다. ‘세계화’는 1990년대 중반에 한국의 새로운 ‘국가이념’으로 등장하여 2000년대에 전 사회로 확산하였다. 그리고 이 새로운 이데올로기의 등장과 맞물려 시작된 대표적인 사회현상이 바로 ‘영어 열풍’이다. 그렇다면 2000년대 한국 사회의 영어 열풍은 사람들이 세계화 이데올로기를 직접적으로 수용한 결과인가? 이 연구는 신자유주의적 통치에서 이데올로기의 구체적인 기능, 그리고 강제적 요소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세계화 이데올로기’의 확산 과정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개인을 이데올로기의 단순한 수용자가 아닌 능동적 인식 주체로 고려하면서, 신자유주의 통치가 개인들의 자발적 복종을 어떻게 이끌어내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ssess the critical discussion on ‘the dominant ideology thesis’ and Michel Foucault’s analysis on ‘neo-liberal governmentality’, and to identify them via the analysis of the ‘Globalization Ideology’ and so-called ‘English Language Craze’ in Korea. ‘Globalization’ has emerged as a new ‘state ideology’ in the mid 1990’s, and spreaded into the whole society in the 2000’s. The ‘English Language Craze’ is one of the social phenomena representing the emergence of the new ideology. Here, the question can be asked whether the Craze is a result of the public acceptance of the Globalization Ideology. This study focuses on how a political ideology is accepted by the public in what process. In doing so, it analyses the spread of the Globalization Ideology and its process focusing on specific role of an ideology and its relationship with coercive attributes in the society. Particularly, it approaches the complementary dynamics of the coercive aspect and the ideological aspect of domination with consideration that an individual is not a simple recipient, but an active cognizant agent.

      • KCI등재

        프랑스 민중교육 전통과 ‘학교 밖’ 시민교육:

        이기라(Lee, Gira)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7 敎育思想硏究 Vol.31 No.2

        이 논문은 프랑스 시민사회에서 이루어지는 시민성 함양 교육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민중교육이라는 고유한 전통을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런 관점에서, 민중교육 전통의 제도화과정을 검토하면서 그 안에 담겨 있는 정치적 이념과 시민교육적 요소들을 탐색하고자 한다. 프랑스 민중교육 전통은 18세기 계몽철학, 특히 콩도르세의 교육사상을 기원으로 하며, 19세기동안 세속적 공화주의, 사회적 기독교주의, 혁명적 노동자주의라는 세 가지 흐름으로 나타났다. 민중교육 운동은 한편으로 모두에게 제공되는 일반교육과 공화국 시민을 양성하는 시민교육차원의 공교육으로 제도화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독교와 노동운동 영역에서 농민과 노동자, 그리고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시민사회 차원의 민중교육운동으로 지속되었다. 민중교육의정신에는 교육의 권리를 모두에게 동등하게 보장해야 한다는 생각이 깔려있을 뿐만 아니라, 교 육을 통해서 민주주의와 사회적 권리의 확대 같은 사회 발전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그 자체로오늘날 시민교육의 위상을 포함한다. 그 결과, 프랑스에서는 우리가 광의의 시민교육이라고 부를 수 있는 교육영역 역시 민중교육이라는 보다 넓은 범주 안에서 다루어진다. This study argues that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tradition of popular education in order to grasp citizenship education performed by civil society in France. With this perspective, while reviewing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the traditions of popular education, it investigates their ideological, and civil educational factors. The traditions of popular education in France originated from the Enlightenment, particularly the educational thought of Condorcet, and it was developed into three major trends in the 19th century: Secular republicanism, Social Christianism and Revolutionary workerism. The popular education, in one hand, was institutionalize as general education, provided to everyone, and as public education in the way of civic education for nurturing the citizens of the Republic. On the other hand, it was continued to education targeting peasants, workers and adults in the realm of christianity and labour movements. On the basis of the popular education, there lies the belief that the right to education must be guaranteed equally to everyone, and it pursues social developments, such as expansion of democracy and social rights via education. Accordingly, in France, the educational field, which we may call as civic education in a broad sense, is within the boundary of popular education.

      • KCI등재

        자발적 복종의 정치심리학: 강제와 정당화의 동학을 중심으로

        이기라(Lee, Gira) 한국이론사회학회 2023 사회와 이론 Vol.44 No.-

        현대사회의 지배에 관한 논쟁은 가시적인 강제의 사용이 없는 경우에 상대적 약자들의 순응적 태도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에 집중되었다. 이 논쟁에서 마르크스의 영향을 받은 이론가들 다수는 지배의 유지와 재생산을 보장하는 기제로서 정당화, 특히 이데올로기의 역할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1980년대 이후에는 강제에 좀 더 무게를 부여하는 흐름이 나타났는데, 이 관점은 노동자들의 이데올로기적 동조와 상관없이 강제적 요소들과 사회조직에 내재한 물질적 요소들로도 그들이 자본주의적 생산에 가담하는 것을 설명하기에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지배의 유지와 재생산에 대한 설명에서 강제적 차원과 정당화의 차원 간의 이러한 이론적 동요는 양자의 관계가 구체적으로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권력의 주요 작동 양식인 강제와 정당화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특정 이데올로기가 개인들에게 수용되는 과정을 세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는 개인들이 경험하는 현실에서 지배의 강제적 요소와 이데올로기적 요소가 어떤 조합으로 그들의 심리 과정에 작용하는지 고찰할 것을 요구한다. 본 연구는 사회심리학에서 인지부조화와 ‘강요된 순응’에 관한 연구들, 특히 프랑스 사회심리학자 장레옹 보부아의 합리화 이론을 바탕으로 자발적 복종을 이끌어내는 심리메커니즘을 살펴본다. 그래서 어떻게 피지배계급이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에 ‘선택적 친화성’을 갖게 되는지 설명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배의 유지와 재생산에 있어서 강제적 요소와 이데올로기적 요소 간의 상호관계를 규명하는데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Sociological controversies concerning domination in modern society have been mostly focused on how to explain the submissive attitude of the weak irrespective of the absence of tangible coercion. In the controversies, many of the thinkers, influenced by Karl Marx, tended to lean on legitimation via assuring reproduction of dominance, particularly the role of ideology. But since the 1980s, a new trend putting weight more on coercion has emerged, and the advocates of this view posed that irrespective of ideological consents of the working class, coercions and material factors in a social organization sufficed to explain why they participated in the capitalistic production. It seems that this theoretical sway between coercion and legitimation in the explanation of the maintenance and reproduction of dominance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has not been clearly defined. To understand the two of the key modes of power, coercion and legitim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rocess of a certain ideology accepted by individuals in detail. And it requires us to verify in what combinative dynamics on the coercive factors and the ideological factors works in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the individuals in the reality which they experience. This study presents sociopsychological studies on ‘cognitive dissonance’ and ‘forced compliance’. Particularly the Theory of Rationalization by the french sociopsychologist Jean-Leon Beauvois would be suggested as one of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explain voluntary obedience.

      • 압축 완화형 독자 엔진브레크 개발

        이중희(Junghee Lee),김중호(Joongho Kim),이기라(Gira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1 No.5

        Compression release engine brakes have been developed from separable type to integrated one by major brake suppliers and truck makers. The unique model called “Socket brake” is designed for cost and efficiency. The testing result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get a comparable with a current production in its mo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