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嶺東地方 迎日鄭氏의 世居와 圃隱 鄭夢周의 추모활동

        이규대(Lee, Kyu-Dae) 포은학회 2012 포은학연구 Vol.10 No.-

        영동지역에서 생활하는 영일정씨 사과공파는 15세 손 '渡'에서 시작되었다. 그는 종백조가 단종복위 사건에 연루되자 울진을 은둔하였고, 이어서 16세기 중반에 삼척 쇄운리에 정착하였다. 그리고 그의 4대 손에 이르러 일부 후손들이 부친의 수령을 역임하였던 강릉으로 이주하여 정착하였다. 이들은 근거지를 중심으로 장자가 본가를 계승하고 차자들은 인근에 분가하여 집성촌을 이루었으며, 소농경영을 이루면서 한편으로 독서생활로 관직에 출사하는 생활양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생활양태는 이들이 '친영례'를 수용하면서 부계 친족중심의 가족질서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대적 특성을 갖는다. 세거지에 전승되는 생활유적으로 효ㆍ열각은 삼척 쇄운리에 집중되어 있다. 그 중 "2세3효각"의 입향 초기 이들의 생활 표상이었다. 17, 8세기에 개최되는 "임영족회"와 18세기 중반에 건립되는 입향 시조 재실은 이들의 부계친족 중심의 문중의식과 '팔고조' 의식이 지역사회에 공존하였음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아울러 이들이 사족반열에서 '치향지인'의 위상을 확보하였음을 보이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시대적 추이 이 지방 종중 사회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의미를 갖는다. 포은 정몽주에 대한 숭모활동은 지방사회 사림과 종중의 공동의 관심사였다. "충절과 효행", "이학의 종조"로서 포은에 대한 숭모활동은 향교 '문묘'의 '석전제'와 시문집의 학습을 통해 구현되면서 종중과 향중에 확대 재생산되었다. 20세기 초반에 이르러 종중의 추모활동은 영당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을 보인다. 개성의 '숭양서원'으로부터 영정이 구득되면서 영당이 건립되었고 '다례제'가 정례화 되었다. 이 시기 추모활동은 종중의 자율적 공론에 기반을 둔 것이었다. 그리고 다례제는 향중 유림이 동참하는 형태로 확대 발전되었으며, 아울러 활성화 방안으로서 영당의 이전 논의가 발의 되었다. 향중과 종중의 공론에 따라 새로운 영당이 건립되고 영정의 이안식이 거행되었다. 이로서 포은 영당은 그 운영체계가 확대 정비되면서 종중은 물론 유림의 결집을 위한 구심체로서 기능하였으며, 아울러 포은의 도덕과 충정을 도의사회 구현의 근본으로 삼으려는 시대적 특성이 강하게 투영되고 있다. 다만 영정의 이안식을 둘러싸고 종중의 공론이 분기되면서 기존의 영정이 다른 곳으로 이안되었고, 이에 따라 용인의 충렬서원으로부터 새로운 영정이 구득되어 봉안되었다. 이로서 이 지방에는 두 개의 영당이 건립되었으며, 비록 동일한 운영체계를 갖추었으나 별개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양상은 영정의 정체성을 의식한 데서 비롯되는 것으로 시대적 특성을 보여 주는 것이었다. Youngil Joungssi Sagwagongfa, living in Youngdong area which is located in the east of Daegwalryeng, originated from Do(渡)who is the 15th descendant. When his great grandfather's first son was involved in the incident of restoration for Danjong, the 6th king of Joseon Dynasty, he lived a retired life in Uljin, and then he settled down in Shaewounri, Samcheok in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Some of his 4th generations moved to Gangneung where their father had served as a local governor and settled down there. Their first son took over the main family and the other sons got married and moved close to their parents', establishing the same family village. Some of them earned their livings by being engaged in farming, and others entered government service as a result of reading a lot of books. The way of their living wa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 that is, they accepted Chinyeong etiquette and established the family order which was maintained through agnation. Hyogak and eoulgak, which are living ruins being handed down in Segeogi, have intensively been found in Shaewounri. Among them Two Generation Three Good Son Tower was the symbol of their lives in the early years of their going home. Both "Imyoungjokhoi" which was held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and "Ipgyangsijojaesil" which was built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revealed that the consciousness for paternal family and kinship, and the respect for "eight great-great-grandfather" coexisted in the community. Also it showed that they had already obtained the status of their governing their hometown. Furthermore, this periodical change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lan society. Worshiping activities for Poeun Joung Moungju were common concerns for both the local Sarim and a clan. Because Poeun Joung Moungju was the founder of a religious sect of Seongri philosophy as well as a model for allegiance and filial conduct, the reverence toward him was shown through the semiannual services for a Confucian shrine at Hyanggyo, which was the Confucian temple and school, and learning his poetry and prose, spreading into the clan and local society and rewriting his works. By the early 20th century, the cherishable working for him had been conducted based on the shrine where his portrait was enshrined. His protrait was obtained from a Suongyang private school of Gaseoung, after that his shrine was built, and the ancestral rites were held on a regular basis. The cherishable working at that time was based upon liberal public opinions from the clan. In addition, the ancestral rites were developed and expand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scholars called urims in the local society. Also it was suggested that the shrine should be relocated so as to activate them. A new shrine was established and the festival for moving portrait was held thanks to the public opinions from the clan and local society. As a result, the protectional house for Poeun was largely restructured, and the house served as a center hall where urims as well as the clan could get together. Furthermore, the house reflected the spirit of the age that moral society should be established by making Poeun's morality and loyalty their society's role model. Unfortunately, when public opinions were split concerning the festival for moving portrait, a new portrait had to be obtained from a Chungryeal private school of Youngin because the original portrait was moved to another place. Because of this, two shrines were built in this area. Though these two shrines have the same operational system, it is also true that these are being operated differently respectively. This aspec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 and it is concerned with the identity of the portrait.

      • KCI등재
      • KCI등재

        15세기 강릉 金蘭半月會의 契會圖로 본 茶 文化

        이규대(Lee, Kyu-Dae)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9

        이 논문은 ‘금란반월회’의 계문서와 계회도를 분석하여 문인계의 성향을 지방사적 시각에서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계문서를 통해 계의 구성원과 그들의 동향을 파악하여 사회적 입지와 성향을 이해하였고, 계회도 상의 회화적인 요소들을 분석하여 계회 장면의 시대적 특성을 주목하였다. ‘금란반월회’는 15세기 중엽 강릉지방 문인 16인이 결성한 사교계였다. 이들은 이 지방에 세거해온 거족의 후예들로서 우의와 친목을 돈독히 하려는 취지로 계를 결성하였다. 이들은 烏竹軒 家의 학덕과 연치를 겸비하였던 어른을 師席에 모셨고, 그는 會文을 통해 心友와 面友을 대비하여 계원들의 우의를 격려하고 있었다. 계원들은 과거를 통한 出仕를 지향하였다. 이들은 경사류와 성리서를 탐독하는 학문적 성향을 보였고, 영남사림과 교류하면서 학문과 과거의 동향을 민감하게 교감하고 있었다. 이들 중 15명이 초시에 합격하였고, 8명이 대과에 급제하는 성과를 낸 계원들은 士林으로서 성향을 견지하였다. 또한 이들은 지방 현안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였다. 이들은 세조의 護佛 성향에 비판적이었고, 魯山君의 改葬과 상원사 사원세력의 민간침탈을 규탄하는 上疏와 上書를 올리는데 주도적으로 동참하였다. 이러한 동향 역시 사림의 성향에서 발현된 것이었다. 한편 채색본과 복사본으로 두 점이 전승되는 계회도는 세로로 4등분하여 계회장면, 회문, 계칙, 명단 순으로 배치되었고, 계회장면은 각각 다른 형상이며 나머지는 동일한 내용이다. 계회의 장소는 누정이었고, 시기는 주변의 환경과 계원들의 靑衿 복색으로 보아 봄철이었다. 채색본에서 계원들은 누정에 하나의 원형으로 둘러앉았고, 복사본에서는 4명씩 나누어 둘러앉은 형상이다. 이들의 자리에는 작은 교자상을 두었는데, 후자는 飮酒 형상이고 전자에는 心地가 4개 꽂힌 香爐와 향병이 놓인 형상이다. 이 향로는 飮茶 문화에서 거론되는 茶와 香에서 향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이른바 향로는 茶道문화의 일환으로 이해되며, 적어도 15세기 말엽까지 계원들이 향유하였던 茶會의 실증자료로서 의미를 가지는 것이었다. This paper has a purpose to analyze ‘The Kumranbanwolhwe’ and to understand Muningye’s tendency in local historical perspective. ‘The Kumranbanwolhwe’ is Muningye, is formed writers of Gangneung region in the mid-15th century. They is a scion of a mighty clan distinguished family for generations in the area. They had a purpose to promote friendship and amity, to pass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 They were studied a kind of Kyoungsa and Sungri-books. ‘The Kumranbanwolhwe’ and Youngnam-sarim mutual exchange of study and civil service examinations trend. They were among 15 people to pass ‘Chosi’ and then among 8 people to pass ‘Daegwa’ enter government service. Also they were actively respond to the issues of the province. They criticized the Buddhism tendency of Sejo. They were led to submit an Sangso and Sangse for moving Nosangun’ grave and criticizing the invasion people’s rights of the Sangwon-temple. They are showing the tendency of Sarim. Gyehwedo was handed down to the Boksabon and the Chaesaekbon. It is placed as follows, scenes of Gyehwe, Hwemun, Gyechik, a register of names, divided into four equal parts. Only the scenes of Gyehw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other is the same content. Timing of the Gyehwe, to see the environment around the Nujung and the people’s clothes, it was spring. In Chaesaekbon, members of Gyehwe are sitting in a circle around the Nujung. In Boksabon, its appearance is that they are divided into each group. The number of groups is four. Small Gyojasang is placed in front of each member. Appearance of the Boksabon is a figure that the drinking. In Chaesaekbon, four Simjis are embedded in the Hyangro. The Hyangro is placed along with the Hyangbyoung. This figure was understood that it is applicable to the Hyang in the Cha and Hyang. The Hyangro is to be understood as part of the Dado’s culture. It can be seen in the Gyehwe that is a meaning as a proven fact of Dado.

      • KCI등재

        코로나19 펜데믹 상황과 아시아 선교

        이규대(Kyu Dae Lee)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0 선교와 신학 Vol.52 No.-

        이 연구의 목표는 코로나19 펜데믹이 아시아 선교현장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분석하고 한국교회의 아시아 선교 대응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코로나19는 아시아의 경제 · 사회 · 문화 · 교육 · 종교 전반에 큰 위기와 변화를 가져왔으며 문명사적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코로나19는 신자유주의 경제체제를 뒤흔들고 세계질서를 재편하고 있다. 온라인 비대면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재택근무 · 원격근무는 시공간의 제약을 넘어서 사역할 수 있는 선교의 툴을 제공하며, 자기개발과 본국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해주며, 시공간을 넘어서는 연대의 틀을 제공하여 떨어져 있으나 서로를 연결해주는 강력한 선교의 도구가 된다. 이를 위한 선교사 계속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다. 위험지역에 있는 코로나 중증질환 고위험군 선교사를 본국으로 부르는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 장기간 학교 휴교로 인하여 어려움에 처해있는 기독교 학교와 자신을 지켜주던 울타리와 사회안전망인 학교를 잃어버린 학생들에 대한 선교적 지원과 관심이 요청된다. 코로나19는 부의 불균형 · 계층간 격차 · 실업자 폭증 · 사회적 약자나 비주류에 대한 혐오와 공격성 그리고 감시를 심화시키고 있다. 행동백신과 생태백신은 아시아 선교현장에서 큰 비용 없이 실천 가능하며 코로나19와 여러 질병들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코로나19 위기는 민주적이고 투명하고 효과적인 방제로 세계의 부러움과 칭찬을 받고 있는 한국과 선교적인 한국교회가 활발하게 아시아를 섬길 수 있는 좋은 선교의 기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effects of the COVID-19 pandemic in the asian mission field and to propose countermeasures to be taken by the South Korean churches. The COVID-19 has brought about an immense crisis and change across the economy, society · culture · education · religion and is demanding a civilizational transformation. The COVID-19 has shaken up the neo-liberal economic structure and has brought about a reorganization in the world order. Work-from-home and remote working via untact online systems has allowed missions to be carried out without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and have allowed self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with the headquarter more convenient, thus serving as a strong tool for missions that allow people from all across the globe to connect together in solidarity. In order to build upon this, there needs to be continued support and training for missionaries. Churches and mission organizations must take preemptive measures to call back missionaries who are at high-risk of suffering from the severe symptoms of the COVID-19 virus. There also needs to be support and concern for the Christian schools that are at risk of shutting down due to the prolonged school closures as well as the students that have now lost their social safety net by not being able to go to school. The COVID-19 is intensifying the wealth inequality, gap among social classes, unemployment, monitoring of the minorities and disadvantaged as well as hatred and violence toward them. Behavioral and ecological vaccines can be practiced in the asian mission field without much costs and can effectively prevent many diseases including the COVID-19. With South Korea’s response to the COVID-19 crisis receiving much acclamation and admirations by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is crisis will become a great opportunity for missions-oriented Korean churches to actively serve and perform missions in Asia.

      • KCI등재후보

        17세기 초반 江陵지방 栗谷鄕約의 성격

        이규대 ( Kyu Dae Lee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3 율곡학연구 Vol.27 No.-

        이 논문은 宣祖33년(1600)에 강릉지방에서 시행된 江陵鄕約을 자료로 삼고, 이 향약이 海州一鄕約束의 변용된 사례라는 점을 주목하여, 그 내용과 조직 및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시대적 특성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강릉향약 은 壬亂직후에 시행되면서 지방의 사회질서를 복원하려는 의도가 투영되고 있다. 이 향약은 朱子의 朱子增損呂氏鄕約을 체제의 근간으로 삼고 栗谷李珥가 선조 10년(1577)에 입안한 해주일향약속 을 <附錄>과 <別條>의 형태로 수용하고 있다는 체제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체제는 원론적 의미의 주자향약과 실무적 규정으로서 율곡향약의 조합이었다. 특히 율곡향약의 수용은 율곡과 이 지방 사림들의 인적·물적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것이었으며, 율곡향약의 변용이라는 의미를 갖는 것이었다. 강릉향약 의 조직과 운영은 율곡향약과 유사한 양상이다. 鄕案에 등재된 鄕員을 구성원으로 하고, 鄕會를 통해 규합되는 公論을 기반으로 지방사회의 자치적 운영질서를 구축하고 있다. 향원 상호간의 갈등을 유발하는 행위와 下民을 침탈하는 행위가 가장 무거운 벌칙으로 규제되며, 城主와 향원들의 의례관계를 관권우위의 질서로 정형화하며, 鄕吏및 官屬의 민간 작폐와 品官능욕행위는 留鄕所를 통해 규제되고 있다. 이로서 향원 자신들중심의 지방사회의 자치적 운영질서를 구축하려는 성향을 지향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강릉향약 에서는 율곡향약에서 강조되는 유향소 결원에 대한 추천권·근면한 향리에 대한 추천권·부세 책정안의 조사권 등에 대한 내용이 배제되었고, 아울러 향회에서는 朝廷과 州縣政事의 得失에 대한 논의가 일체 금지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자료상의 城主手決에서 시사되듯 향약시행에 수령권이 크게 작용하는데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향약에서 政務와 敎化가 분리되는 것으로 이 시기 향약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한계로 지적될 수 있으며, 이후 교화 위주의 향약운영을 예고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The main material for this thesis is Gangneung Hyanyak which was written in Sunjo 33(1600). This is noted for the transformation of Yulgok Hyangyak.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system and the content to figure out the periodic character. Gangneung Hyangyak had the intention to restore the social order to its original state right after Imran. This had systematic basis on Jujajeungsonyeossihyangyak of Juja. In addition, Haejuilhyangyaksok devised in Sunjo 10(1577) from Yulhok Yiyi was accepted as the appendix and the additional clause. This kind of system was the combination of Juja hyangyak in principal and Yulgok hyangyak as the practical regulation. Especially, the acceptance of Yulgok Hyangyak was based on the human and material network of Yulgok and the community people, which meant the transformation of Yulgok hyangyak. The organization and the operation of Gangneung Hyangyak had similarities to those of Yulgok hyangyak. This hyangyak had Hyangwon registered in Hyangan as members. The operation aimed for the autonomous operational order of the local community based on the public opinion gathered through Hyanghoi. The deed which could cause the conflict between members and plundering the people were controlled by heavy penalties. The formal relationship between Seongju and members was standardized following the government authority order. The Hyangri`s evil effects to the people and civilian insult were regulated through Yuhyangso. So it could be said that Gangneung Hyangyak tried to establish the autonomous operational order in the community which was centered on themselves, in harmony with the government authority. In spite of these tries, in Gangneoung Hyangyak, the main content that was emphasized in Yulgok Hyangyak was deleted. That is, Yuhyangso and the right to nominate Hyangri and to investigate tax were excluded. Furthermore, in Hyanghoi,

      • KCI등재
      • 영상처리에 의한 마크판독 장치의 설계

        이규대(Kyu Dae Lee),이기돈(Ki Don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8 No.2

        본 논문의 CCD 카메라와 digitizer를 이용한 영상처리에 의한 마크판독 장치는 현존하는 외국의 line scan방식에 의한 마크판독 장치보다 다음의 장점을 갖는다. (1) 줄단위(line)의 판독이 아니고 영상처리방식이므로 급지장치가 간편하다. (2) 모니터에 판독과정이 나타나므로 에러의 원인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다. (3) 용지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판독이 가능하다. (4) IBM-PC를 판독컴퓨터로 하므로 시스템이 저가이다. 본 논문에 의하여 설계, 제작된 마크판독기로 호서대학교 주 객관식 입시, 수강신청, 성적 및 주소 마크용지를 초당 2-3장 씩 3년에 걸쳐 판독해 왔으며 매번 약 3%의 임의추출 마크용지와 판독 결과를 비교, 확인한 결과 판독에러율은 전혀 없었다.

      • KCI등재

        17세기 강릉지방(江陵地方) 정부자(程夫子) 영정(影幀)과 사(祠),원(院)의 사체(事體) 논의(論議)

        이규대 ( Kyu Dae Lee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4 율곡학연구 Vol.29 No.-

        이 논문은 17세기 朱子 중심의 학문적 성향이 지방사회에서 인물의 논평과 祠·院의 事體 논의에서 작동되는 양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강릉지방 士林의 黨色은 西人이 주류였고, 老·少論으로 분화되는 시기에 노론으로 경도되었다. 여기에는 이 지방 사림들의 栗谷 李珥·尤庵 宋時烈과 交遊가 기반이 되었다. 우암은 1679년(숙종 5) 流配 중에 강릉을 경유하였다. 이 무렵 그는 강릉지방에 소장된 程顥·程이 즉 程夫子의 影幀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였다. 이 영정은 漁村 沈彦光이 구득하였다. 그는 1537년(중종 22) 館伴使로서 사신 공用卿과 吳希孟으로부터 영정을 구하였다. 그는 末年에 파직되어 귀향하였고, 영정은 沈氏 一門에 소장되었다. 우암의 영정에 대한 관심은 자신의 학문에 대한 자부심의 소치였다. 朱子學의 道統을 정립하였던 그는 정부자 영정을 취득한 사실과 아울러 이후 140여 년 동안 봉안해 온 심씨 일문의 행적을 극찬하였다. 특히 영정을 취득한 어촌에 대해서는『近思錄』을 중시했던 己卯 士林의 학행을 계승하는 인물로 평가하였다. 이것은 朱子道統論에 입각한 의미 부여였다. 이를 계기로 一門에서는 어촌의 伸寃과 文集 발간을 모색하였다. 이 작업은 우암이 관직에 복귀하는 1680년(숙종 6년)에 본격화 되었다. 일문에서는 5년 동안 3차례의 상소를 올렸다. 그리고 “己卯 士類를 신원하지 못한 것은 典範의 흠”이라는 우암의 견해에 힘입어 어촌은 1684년(숙종 10)에 신원되었다. 이어서 일문에서는 尤庵·朴世采·李敏敍 등 華陽門人들에게 題號·序文·跋文 등을 부촉하여 어촌의 문집을 발간하게 된다. 여기에 우암의 朱子道統論이 작동되며, 이를 추동력으로 서인세력과 심씨 일문 간에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있었다. 이를 배경으로 影堂 건립이 논의 되었고, 그 논의의 핵심은 事體 문제였다. 사체 논의 결과에서 영당은 栗谷의 ‘朱子祠’를 본받아서 심씨 일문이 주체가 되는 家塾으로 규정되었다. 그리고 우암을 비롯한 화양문인들은 記文과 “歷武夷登雲谷”의 扁額과 “養蒙” “養正” “養秀”의 堂額을 영당 건립의 당위성을 지원하였다. 이로서 영당은 우암의 事業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그리고 가숙으로 운영된 지 14년 만에 우암과 어촌의 追配가 논의되었다. 논의의 핵심은 역시 事體 문제였다. 화양문인들은 講學 藏修의 기능과 一鄕의 公論에 의거한 配享을 강조하였다. 이것은 書院의 정체성을 지향하는 것으로 영당의 書院化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사체 논의는 그 운영 주체와 재정 문제를 함축하는 것이었고, 학술성의 제고와 일향의 공론을 지향하는 것이었다. 이 무렵 영당 운영의 중심기구로 齋會와 서원의 의례로서 焚香禮를 비롯한 規約이 마련되었고, 이후 우암과 어촌을 배향하여 영당은 ‘河南書院’으로 발족하였다. 다만 門中書院의 성격을 탈피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This paper seeks to understand Juja center of academic inclinations aspect that work at the local community in the 17th century. Seoin was the mainstream of a factional tendency of Gangneung province Sarim. Seoin leant towards Noron in the period divided by Noron and Soron. In 1679(Sukjong 5th), Uam was via Gangneung in exile. By this time, Uam showed interest in Jungho and Jungsin that is Jung buja``s portrait. Eochon Sim eon-gwang got the portrait. In 1537(Jungjong 22th), He took the portraits from the envoys, Gong Yong-gyeong and Oh Hui-maeng, in the character of the Gwanbavsa. He has been dismissed and was returning home in his later years. the portrait is housed in the Sim``s sept. It was because of pride for the study that Uam are interested in for portraits. After obtaining the portrait he who was established a spiritual system Jujahak was praised to the fact that portrait was enshrined during the whole 140 years. This fact has been evaluated as a succession of Kimuo sahwa``s learning and virtue. It was a eaning that was grounded in Jujadotong theory. With this as a momentum sept was sought fishing village of redress a grievance and an anthology. This work began in earnest in 1680(Sukjong 6th) that Uam is restored. Uam was raised three times of petition for 5 years. And chagrin of the fishing village has been resolved on the strength of Uam``s view, "It is the fault of the discipline that did not solve the chagrin of Kimuo classical scholars." Subsequently, sept was requested to Hwayang disciple that anthology``s title, foreword, epilogue, etc. As a result, the publication it. Jujadotong theory of the Uam has been applied to this work. As the driving force in accordance with Jujadotong theory, the network was formed between Seoin forces and Sim`` sept. Under such background, the Sadang construction was discussed. Discussion of the core was Matter of the dignity work. Therefore, the Sadang has been imitating ``the Juja shrine``. the Sadang was defined as a Gasuk that was the subject Sim``s sept. Hwayang disciple, in luding Uam were supporting a dossier and a framed picture. For this reason, the portrait hall is also be evaluated to business of Uam. First time in 14 years from being operated by Gasuk, A additional enshrining of Uam and Eochon was cross lips. Discussion of the core was Matter of the dignity work. Hwayang disciple emphasized function of Ganghak Jangsu and Baehyang based on public opinion. This is to direct the identity of the seowon and means a change in the seowon of the portrait hall. This discussion was implied the central operating body and financial problems. In addition, discussed was Promotion of academic and was oriented to public opinion. At this time, Jeahoe is provided as the central mechanism of the Sadang. Also, Bunhangye and bylaw was established as a rite of seowon. Uam and Eochon was enshrined in the Sadang. The Sadang was launched as Hanam-seowon. However, Hanam-seowon has limitations that Hanam-seowon did away with the nature of the Munjung-seowon.

      • KCI등재

        협력적 거버넌스 형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A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조윤정(Jo, Yunjeong),정진화(Jung, Jin Hwa),남미자(Nam Mi-Ja),이규대(Lee, Kyu Dae)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교육 3주체인 교사, 학생, 학부모가 어떻게 학교운영에 참여하고 있는지 고찰함 으로써 단위학교 협력적 거버넌스의 형성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의 고등학교를 연구참여학교로 선정하고 질적 사 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면담은 학교운영 및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학교 구성원들의 참여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포화점에 도달할 때까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적 거버넌스의 주요 행위자는 교사, 학생, 학 부모였다. 둘째, 교육과정 이슈와 관련하여 교사와 학생은 의제설정자로서의 이해관계자의 역 할을 수행하였고 양자 간에 경쟁적 갈등이 발생하였다. 셋째, 교과포럼과 관련하여 교사는 의 제설정자로서의 이해관계자로서, 학부모는 공동생산자로서의 이해관계자의 역할을 수행하였 고 양자 간에는 경쟁적 갈등이 발생하였다. 넷째, 지역사회 연계활동에 있어서 교사와 학부모 는 의제설정자로서의 이해관계자로서 역할을 수행하였고 양자 간에는 연합관계가 형성되었 다. 학부모와 학생은 공동의 목표를 향해 적극적인 의지를 갖고 협력관계가 형성되었다. 다섯 째, 네트워크 속의 행위자와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관계를 조정하고 중재한 것은 교장의 협력적 리더십과 행위자 간의 상호신뢰 관계 형성이었다. 여섯째, 네트워크 행위자들 이 힘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거버넌스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은 제도적 근거가 있었기에 가능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단위학교 수준에서의 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participate in school management and to explore the factors and future-oriented direction of collaborative school governance. Fieldworks were carried out in ‘A’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implemented regarding school management and curriculum constru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ctors in collaborative governance wer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1) In terms of curriculum construction, teachers and students played roles as stakeholders of agenda setter respectively. Competitive conflicts arose between the two actors. 2) In terms of curriculum forum, teachers played roles as stakeholders of agenda setter and parents as stakeholders of coproducer. Competitive conflicts happened between the two actors. 3) With regard to community-related activities, teachers and parents performed roles as stakeholders of agenda setter respectively. Coalition relationships were established between the two actors. Parents and students built cooperative relationships toward common goals. Second, the principal’s collaborative leadership and the mutual trust built between the actors contributed to mediating and coordinating the competitive conflicts. Lastly, competitive conflicts between the actors have changed into collaborative ones through a variety of institutional frameworks so that the actors developed collaborative govern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