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IL-HDBK-217F와 Telcordia SR-332를 이용한 Touch-Machine Control Panel의 신뢰도 예측 사례 연구

        이국진,김상부,박우재,오극기,박진환,이동건,Lee, Guk Jin,Kim, Sang Boo,Park, Woo Jae,Oh, Keuk Ki,Park, Jin Whan,Lee, Dong Geon 한국시스템엔지니어링학회 2016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Vol.12 No.2

        Machine switch type control panel is widely used for machine tools in Korea. They, however, have some difficulties in identifying the current operating status of machine tools especially when exposed to cutting oil. And also they have quality problems of operating failures. A new capacitor touch type machine control panel is developed and its reliability is predicted. MIL-HDBK-217F and Teclordia SR-332 are used for its reliability prediction and the prediction results are compared.

      • KCI등재

        이학규 칠언율시의 대장법(對仗法)과 장법(章法) 연구

        이국진 ( Gook Jin Lee ) 민족어문학회 2010 어문논집 Vol.- No.61

        본고는 이학규 칠언율시의 표현기법과 형식미를 對仗法과 章法을 통해 분석하였다. 對仗은 칠언율시의 형식을 구성하는 기본 원칙으로서 대칭의 심미성을 느끼게 하는 수사법이다. 그리고 시상을 배치하고 전개하는 방법을 가리키는 章法은 정형미를 중시하는 칠언율시에서 특히 중요한 표현기법이다. 따라서 칠언율시를 對仗法과 章法을 통해 분석하는 것은 작품의 표현기법과 형식미를 고찰하는 데에 유용하다. 아울러 칠언율시의 창작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던 이학규의 작가적 역량도 함께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이학규는 구 안에서 대를 이루고, 또 다시 위아래 두 구가 대를 이루는 當句對나 의미가 서로 相反되거나 相比되는 시어로써 대를 이루는 反對와 같은 對仗法을 정교하게 운용하였다. 이 외에도 이학규 특유의 섬세한 관찰력과 예민한 감각을 살려 다양한 對仗法을 구사하였다. 그러면서도 對仗에 사용된 시어의 자연스러움을 잃지 않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전체적인 시상과의 유기적인 관계를 중요시하였다. 이를 통해 대칭미는 물론, 내면의 서정적 미감과 작품의 실감 및 생동감 등을 효과적으로 형상화하고 있었다. 또한, 이학규는 起承轉合의 구도와 情景의 교직이라는 칠언율시의 기본적인 章法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고 있었다. 그러면서도 때로는 寫意나 寫景으로 시상을 일관되게 이끌거나 의도적으로 章法을 비트는 것과 같은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였다. 나아가서 시적 주제와 작품의 예술 경계를 부각시키기 위해 자신만의 개성적인 章法을 운용하였다. 그리하여 네 연 여덟 구 속에서 시상을 배치하고 전개하는 데 있어서 수준 높은 역량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examines Lee Hak-gyu`s Chireonnyulshi (七言律詩, seven- syllable Chinese verse) based on his use of parallelism (對仗法) and composition techniques (章法). Parallelism is a basic element of Chireonnyulshi morphology that embodies the aesthetics of its symmetry. Composition techniques, which represent the way poetic ideas are organized and developed, are of particular significance because Chireonnyulshi emphasizes formal aesthetics. Furthermore, basing the analysis of Chireonnyulshi on parallelism and composition techniques is useful in exploring its representational methods and formal aesthetics. Lee Hak-gyu applied parallelism in a sophisticated manner by creating a parallel structure within a line or between two consecutive lines, and by juxtaposing words with opposite or contradicting meanings. All the while, he tried to preserve the naturalness of poetic words used in those parallel structures by placing them in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overall poetic idea. By doing this, he achieved symmetrical beauty of words and delivered a sense of lyricism, while effectively making the verse feel as real and lively as it does. In addition, Lee Hak-gyu successfully practiced the interweaving of the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structures, as well as description of natural surroundings and ambience, another one of the basic composition techniques of Chireonnyulshi. At times, however, he attempted variations, by consistently focusing the poetic idea either on the description of a landscape or on the emotions evoked by the landscape, and by deliberately twisting the syntactic technique. Furthermore, he applied his signature techniques to highlight the poetic theme and artistic boundaries of the verse. Lee Hak-gyu demonstrated his competence in effectively organizing and developing poetic ideas within the four-stanza and eight-line framework.

      • KCI등재

        복거(卜居)를 제재로 한 조선시대 한시의 양상과 의미

        이국진 ( Lee Gook-jin )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7

        동아시아에서는 정착 농경사회가 보편화되면서 주거지를 정하는 일이 매우 중요해졌는데, 중국에서는 점복문화가 성행했던 殷나라를 거치면서 살곳을 점쳐서 정하는 일이 일반화되었다. 그러나 문명이 발달하면서 점치는 미신을 멀리하고, 孔子를 비롯해 살기 좋은 곳의 조건을 인문적으로 성찰하는 사유도 함께 나타났다. 이 가운데 중국 시가에서 ‘卜居’는 일찍부터 중요한 제재가 되었다. 그 중에서 屈原의 「卜居」는 卜居를 제목으로 삼은 최초의 시가 작품으로서 후대 문인들에게 점치는 행위의 불확실성과 실존적 결단의 중요성을 각인시켰다. 이후 陶淵明의 「移居」는 점을 쳐서 거처를 정하는 행위를 직설적으로 부정하고 탈속적이고 자족적인 가치를 구현함으로써 卜居를 제재로 한 한시를 지배하는 은일자족적 분위기의 선도적인 작품이 되었다. 이어서 杜甫와 朱熹의 「卜居」는 각각 서정적 표현과 심미적 묘사, 학자의 본분과 심신수양의 의지가 돋보였다. 조선시대 문인들은 이와 같은 중국 시가 작품들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많은 차운시를 지었다. 이렇게 해서 卜居를 제재로 한 중국 문인들의 시가작품들은 조선시대 문인들의 卜居意識이 실존적인 성찰로 나아가고 공간과의 심미적인 소통으로 이어지는 데에 큰 역할을 했다. 그리고 조선시대 문인들의 복거를 제재로 한 한시 창작에 전범으로 작용했다. 이에 조선시대 문인들은 복거를 제재로 하여 ‘고향에 돌아와 정착하거나 타향에 정착하는 내용’, ‘출사와 은퇴 사이에서 고민하는 내용’, ‘주변 경관을 묘사하거나 소요하는 내용’의 시작품을 많이 남겼다. 또한 주변 지인들과 복거를 제재로 한 한시창작을 통해 활발한 교유 활동을 펼쳤다. 그 중에서도 李萬敷의 「卜居西湖(己巳)」 五首는 26세의 나이에 일찌감치 벼슬을 단념하고 산수의 아름다움 속에서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겠다는 단호한 의지가 두드러졌다. 韓元震의 「卜居」는 산과 바다에서 철학적 이치나 인생의 이치를 발견하고, 그것을 내면화함으로써 삶의 의미를 깨닫고 의식을 고양하는 면모가 돋보였다. 李時明의 「卜居賦」는 병자호란 때 仁祖가 청나라에 굴복한 치욕을 못 이겨 가족과 함께 은거를 감행하고, 자연과의 교감과 학자적인 실천을 통해 아픔을 승화하는 모습이 부각되었다. 李胤永의 「雲仙洞卜居, 以靑山綠水有歸夢白石淸泉聞此言爲韻」 十四首는 산수유람의 과정 중에 단양에 정착해서 그 풍경에 감화를 받고 내면을 성찰하는 자세가 인상적이었다. 요컨대 이상 네 작품은 비교적 창작 동기와 창작 배경이 명확하고 연작시 또는 장편 賦의 형식을 취함으로써 卜居를 제재로 한 조선시대 한시들이 隱居意識을 공통적인 기반으로 하고 있는 가운데에도 작품의 개성과 작가의식이 좀 더 선명하게 드러났다. 이에 卜居를 제재로 한 조선시대 한시의 의미는 중국 시가 작품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변용하면서 개성을 발휘한 점, ‘어디에 살 것인가?’ 라는 표면적인 의미를 넘어서서 ‘어떻게 살 것인가·’ 라는 심층적 고민을 깊이 투영하는 계기로 작용한 점, 삶의 터전을 심미적·근원적으로 사유하고 공간적 가치를 인문적으로 성찰하는 계기로 작용한 점에서 찾을 수 있다. In the East Asia, settlement agriculture society became popular and it became very important to decide the settlement area. In the meantime, in China, it was generalized to decide the place to live by going through the Shang Dynasty.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there has also been a reason for keeping off superstition and rationally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good living places. In the Chinese poetry, ‘Bokgeo(卜居)’ became an important topic early on. Among them, the work of Qu Yuan marked the importance of existential decision as the first poetry work with the title of Bokgeo(卜居). The works of Tao Yuanming provided many inspirations by denying the act of telling one's future and implementing unworldly and self - worthy values. Each work of Du Fu and Zhu Xi acted as a classic, featuring lyrical expression, aesthetic description, scholars' duty, and willingness for physical and mental discipline. In the case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traditional poem as a topic for Bokgeo(卜居), the main contents were ‘contents settled in the hometown and the land’, ‘contents of the question between the exit and the retirement’, and ‘description and rambling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In addition, the Joseon Dynasty period writers actively engaged in collective activities through the creation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poems as a topic for Bokgeo(卜居). Among them, The work of Lee Man-bu showed a strong desire to give a government position at a young age and concentrate on Neo-Confucianism in beautiful nature. The work of Han Won-jin showed that he contemplated the mountains and the sea and discovered the philosophical reason and the meaning of life, realizing the meaning of life and the aspect of raising consciousness stood out. The work of Lee Si-myeong showed the appearance of sublimation of the pain was prominent through sympathy with nature and scholarly practice, after retiring to hermitage with his family due to the disgrace of being forced into the Qing Dynasty at Qing invasion of Joseon. The work of Lee Yun-young showed he was inspired by the scenery and had an attitude of reflecting on the inside after settling in Danyang during mountaineering. Through this, the significance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Sino-Poetry as a topic for Bokgeo(卜居) can b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the Joseon Dynasty period Sino-Poetry as a topic of Bokgeo(卜居), positively accepted and changed China's old ideological and literary tradition of Bokgeo(卜居). Second, the Joseon Dynasty period Sino-Poetry as a topic for Bokgeo(卜居) became an opportunity to project the agony of ‘How to live’ beyond ‘Where to live?’ Third, the Joseon Dynasty period Sino-Poetry as a topic for Bokgeo (卜居) became a chance of aesthetic reason and literary expression about a place to live.

      • KCI등재

        이학규 부(賦)의 형상화 방식과 문학적 특징 -<해부(海賦)>, <화부(火賦)>, <림우부(霖雨賦)>를 중심으로

        이국진 ( Gook Jin Lee ) 한국한시학회 2014 韓國漢詩硏究 Vol.22 No.-

        이학규(1770~1835)는 신유사옥(1801) 때 황사영 백서 사건에 연루되어 김해에서 24년간 유배생활을 보냈다. 그는 유배지에서 자신의 내면을 시창작을 통해 적극적으로 형상화했다. 동시에 시의 표현기법과 미적 특질을 적극적으로 탐색하였으며, 시의 양식과 형식을 실험하고 선택적으로 운용하였다. 이학규가 유배초기에 남긴 다섯 편의 賦 작품은 이처럼 치열한 시인의식 속에서 창작되었다. 본고는 그 중에서 제재적 성격과 형상화 방식이 유사한 <海賦>(1804), <火賦>(1806), <霖雨賦>(1807)를 살펴보았다. 이 작품들은 각각 ‘바다’, ‘불’, ‘장맛비’라는 구체적인 대상물을 제재로 하였으며, 묘사적 서술방식을 집중적으로 사용하였다. 이에 이학규는 이 세 작품을 창작하기에 앞서 동일한 제재를 사용한 중국과 조선의 賦 작품들을 섭렵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작가적 경험·세밀한 관찰력·풍부한 상상력과 서정성을 활용하여 개성적인 작품을 구성했다. 아울러 표현기법 면에서는 이 세 작품이 或字句와 전고 인용구의 나열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나열적 진술의 수사적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낯선 형식미·역동적인 리듬감·의미의 함축미를 발산하였다. 특히 혹자구와 전고 인용구의 나열은 이학규의 한시 작품에서도 비중 있게 사용되었다. 이는 이러한 표현기법이 일회적·단절적 현상이 아니라 중요한 작가적 개성의 발로였음을 말해준다. 요컨대 이학규는 賦라는 장르를 통해 분량과 형식의 상대적 자유로움을 확보하고, 수사적 기교를 유감없이 발휘하고 싶은 작가적 욕구를 표현하였다. 그리고 여기에는 압운을 고려한 100구 이상의 분량 속에서 험벽한 글자·박학다식함·문학적 상상력·언어 조직력을 능숙하게 구사하는 창작 역량의 과시 욕구도 반영되었다. Lee Hak-gyu(1770~1835) got involved in the white paper scandal of Hwang Sa-yeong during Shiyusaok(1801) and lived in exile in Gimhae for 24 years. Living in exile, he actively embodied his inner world through poetic creations. At the same time, he explored the expressive techniqu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poetry and selectively applied the poetic styles and forms. It was out of his fierce consciousness as a poet that he created five Bu works in the early days of his exile. This study focused on Haebu, Hwabu, and Imwoobu of the five works. They were about the "sea," "fire" and "monsoon," respectively, and intensively used a descriptive narration method. Before writing the three works, Lee searched far and wide Chinese and Joseon Bu works of the same materials. Based on them, he utilized his observation, depiction, imagination, and lyricism for individual work organization and narrative methods. In terms of expressive techniques, he adopted the enumeration technique of Hokjagu and Jeongo quotes in the works and maximized the rhetorical effects of enumerative statement, thus creating form-, rhythm- and implication-based aesthetics. The enumeration of Hokjagu and Jeongo quotes was especially used with importance in his Chinese poems, as well, which indicates that the expressive technique was part of his important individuality as a writer.

      • KCI등재

        동아시아 소상팔경 문화 조선 전기 소상팔경시(瀟湘八景詩)의 형상화 방식

        이국진 ( Gook Jin Lee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4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scenic poems on XiXiang(瀟湘) inherited the traditional way of expressions used in Koryo and Song Dynasty. Meanwhile, there was a notable endeavor which try to break from convention. First of all, poets tried to use various styles of poems. Seong Sam-mun used either Tang style(唐詩風) or Song style(宋詩風) effectively in accordance with figure title. So Se-yang was good at using a repetitive use of the same word, while he was seeking aesthetic way. Above this, Lee seung-so and Kang Hee-maeng used the same rhyme which was used by Lee Je-hyun of Koryo. And the King Seongjong(成宗) used the same rhyme used by the King Ningzong(寧宗) of Song dynasty. Second, poets tried to use various expressive techniques to accomplish lyrical projection. On the one hand, they tried to solidify established ways of expressions. And on the other hand, expressing people and object in the picture was important for some poets like Euh Se-kyum and Shin Kwang-han. On the one another hand, Kim Si-seup and Chung Hee-ryang tried to pour out themselves on their poems.

      • KCI등재

        『장자(莊子)』의 우언(寓言)을 제재로 한 조선시대 현실 풍유(諷諭) 운문문학과 현대적 시사 -조선 중기ㆍ후기 작품을 중심으로-

        이국진 ( Lee Gook-jin ) 동방한문학회 2016 東方漢文學 Vol.0 No.68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many then-Korean many writers satisfied their ideological and epistemic thirst, which was not quenched only by Confucianism, through Chuang-Tzu and learned and used the colorful literary imagination and the rhetorical expressions contained in his allegories. This phenomenon became more active and various as the Joseon Dynasty era stepped in. In the process, some writers created Korean poetic literature that exhort reality by insinuation using the allegories of Chuang-Tzu as theme. Of them, the literary works of Lee Hang, Jang Yoo, and Cho Chan-han take a form of full-length writing and express the allegories in various literary ways. In addition, they actively reflected their inner consciousness that stemmed from their troubles with reality in the works. This kind of Korean allegorical poetic literature on reality has a different literary impact from fable poetry that strongly criticizes reality. These works do not directly criticize or tell right from wrong on the irrationalities,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of the real world. Instead, they expose human desires and social structure full of them in order to remind us of the fundamental causes of such germination. This provides us room to contemplate what the true nature and value of life are. Chuang-Tzu``s allegories on reality can arouse public consensus and enlightening easily and interestingly even in the present. And the Korean allegorical poetic literature using his allegories on reality as theme are mutually complementary to Chuang-Tzu``s allegories. This enriches the literary value of allegory more, enables new imagination and a variety of interpretations, and shows the specific meaning of it in reality, reflecting individual``s life and consciousness in it. Therefore, Korean allegorical poetic literature on reality using 『Chuang-Tzu』``s allegories lets those who live in the modern times contemplate whether they follow institutionalized value system or others`` desires blindly or they are trapped in a fixed self-awareness and prejudice. In this sense, the ultimate goal of Korean allegorical poetic literature is to provide a life free of obsession and fixed notion, happy life stemming form self-motivation, not by external conditions, and co-existence and peace based on open mind and generosity.

      • KCI등재

        이학규 영물시 연구

        이국진(Lee, Gook-Jin) 대동한문학회 2008 大東漢文學 Vol.29 No.-

        洛下生 李學逵(1770~1835)는 辛酉邪獄(1801)에 연루됨으로써 綾州(전남 화순군)을 거쳐 金州(김해)에서 24년이라는 기나긴 유배 생활을 겪었다. 그리고 해배된 이후에도 고향에 안착하지 못한 채, 김해와 충주 등을 떠돌다가 생을 마감했다. 이와 같은 삶의 행적은 100여수에 이르는 이학규 영물시의 창작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에 작품소재는 궁벽한 시골의 자연물과 김해 바다의 수산 생물이 주를 이루었다. 아울러 그 내용은 사물 자체의 객관적인 묘사·주관적 정서와 내면의식의 적극적인 투영·사회현실에 대한 권계 등과 같이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그 중에서도 본고가 주목한 주관적 정서와 내면의식을 적극적으로 투영한 작품들은 불우한 일생에서 비롯된 이학규의 내면풍경을 효과적으로 형상화하고 있었다. 여기에서 그는 특유의 감성적인 성향을 바탕으로, 세밀한 관찰력과 묘사력을 유감없이 발휘하였다. 그는 상징적 묘사에 적합한 근체시의 특징을 활용하여, 동정적 관물태도에 기반 한 대상사물과의 일체화를 구현함으로써 끊임없이 자신을 위로하였다. 또한, 대상사물의 묘사와 함께 자신의 처지와 내면의식을 보다 자세하게 전달하고 싶을 때에는 장편 서술구조를 선택함으로써 구체적인 생활상까지 실감나게 형상화하였다. 그리고 때에 따라서는 기존 작품의 시상이나 표현법을 개성적으로 변모시키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이학규의 영물시는 천근한 소재의 사용·자유로운 情의 발산·개성적인 표현법·장편고시의 적극적인 활용이라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앞으로 이학규 영물시의 미적 특징을 보다 온전하게 고찰하기 위해서는 본고의 성격상 미처 다루지 못한 작품들에 대한 분석이 실행되고, 조선후기 한시사의 맥락 속에서 그 의미가 더욱 정밀하게 구명되어야 할 것이다. Lee Hak-kyu(1770~1835) was sent into exile because he was involved in the oppression occurred in 1801. He undergo all sorts of hardships during the next 24 years. After he got free, he couldn't settle down in hometown but wandered about from place to place. The troubles of his life, like mentioned above, made him be absorbed in writing poems. Especially over a hundred of poems about natural creatures. Thus his major writing material were natural objects of rural area and marine products. Also he tried not to be particular about formality of poem. His poem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aspects according to the essential points. A realistic description and its impressions, subjective and internal emotions, remonstrations about the society were his matter of primary concerns. Among them, I paid attention to the subjective and internal emotions through his poems. These poems represented his unfortunate life well. And from these poems, we can read out his minute observation and the power of description. He comforted himself by making himself in accord with objects. It was based on sympathetic attitude about objects. He also transformed the structure of poems longer than usual, so that he could express the rural life in the concrete. From this analysis, I figured out his characteristics like above. However, there still are so many poems which have not been dealt. I expect future studies can clear up the worth of his poem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